-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16/05/04 21:34:55 |
Name | 묘해 |
Subject | [24주차 조각글] 말해봐요 나한테 왜 그랬어요 |
F군은 다정했다. 그는 매일 밤 내 머리맡에 누워 머리칼을 쓸어주곤 했다. 불면증으로 지독한 나날을 보냈던 나에겐 작은 위로였고 큰 애정이었다. 낮 동안의 시끄러움이 두개골을 두드리다가 쓰다듬으로 잦아들면 이윽고 나는 잠들었다. 그것은 그 시절 우리만의 의식이었다. F군과 나 사이의 우리 둘만의 일과. 그런 그가 떠났을 때 나는 F군의 의사를 존중해주고 싶었다. 그런데 이별은 으레 마음의 준비 없이 닥쳐오는 것이라 며칠을 멍하게 보냈던 것 같다. 그가 지나쳤을 복도를 계단을 골목길을 주차장을 되밟아 보았던 기억이 난다. 계절이 바뀌어 눈이 소복이 내렸을 때가 돼서야 기다림을 그쳤다. 그날 밤 두려움에 바들바들 떨지 않았을까 걱정된다. 차에 치이진 않았을까. 무서운 사람에게 해코지 당하진 않았을까. 그리고 마침내 나 자신에게는, 아마도 좋은 사람에게 발견되어 귀염받으며 지내고 있으리라 거짓말을 하게 되었다. 이렇게 되뇌다 보면, 그날 닥친 갑작스러운 이별을 받아들일 수 있게 될 것이라 주문을 외웠다. 지금도 그와 닮은 묘옹을 보면 가만히 이름을 불러본다. F군은 사춘기령에 접어든 수컷 고양이였고 우리는 단란한 가족이 되어가고 있었다. 적어도 난 그렇게 믿었다. 키보드를 두드리면 조용히 다가와 내 무릎을 탐냈던. 컴퓨터 화면 속 등장인물을 질투하며 솜방이로 때리던. 내 어깨와 머리끝에 올라앉아 갸릉거리며 벽지무늬를 관찰하던. 밤마다 내 한숨을 먹으며 작은 혀로 머리카락을 하염없이 핥아줬던. 그리고 말랑말랑 묘족으로 사람보다 능숙하게 대문 잠금쇠를 따고 가출을 강행했던. F군이 졸던 방바닥을 쓸면 형용사만 수북 쌓이고 그 자리는 식어만 간다. 왜 집을 나갔을까. 외출을 했으면 집으로 돌아와야지. 왜 우리 집에 나만 두고 나간 거야. 그 후 어떤 고양이를 만나도 그의 안부를 물어본다. 그런데 어떤 고양이도 답을 주지 않는다. 왜 우리집을 떠난 걸까. 왜 매일밤 내 머리칼을 핥아줬을까. F군에게 나는 우리는 무엇이었을까. 1
|
\"야옹\"하고 그들이 울때면 나는 무심코 따지고 싶어지는 것이다. 말해봐요 나한테 왜 그랬어요.
고양이 F군과의 이별에 대해 묘해님의 감성이 묻어나오는 글이었습니다. 기본 필력도 있으시고 섬세한 표현이 두드러지는 것이 묘해님 글의 특징이자 장점인 것 같습니다.
1차 수정글이 불필요한 문장을 과감히 없애고 다듬은 흔적이 보여 훨씬 좋게 읽혔습니다. 다만 기존에 가지고 있던 이야기 흐름에 대한 구조를 과감히 바꾸지 못한 것은 아쉬움이 남습니다. 흐름을 F군이 사라짐-> 멍했음->F군의 흔적을 따라 주차장을 되밟아 감-> ... 더 보기
고양이 F군과의 이별에 대해 묘해님의 감성이 묻어나오는 글이었습니다. 기본 필력도 있으시고 섬세한 표현이 두드러지는 것이 묘해님 글의 특징이자 장점인 것 같습니다.
1차 수정글이 불필요한 문장을 과감히 없애고 다듬은 흔적이 보여 훨씬 좋게 읽혔습니다. 다만 기존에 가지고 있던 이야기 흐름에 대한 구조를 과감히 바꾸지 못한 것은 아쉬움이 남습니다. 흐름을 F군이 사라짐-> 멍했음->F군의 흔적을 따라 주차장을 되밟아 감-> ... 더 보기
\"야옹\"하고 그들이 울때면 나는 무심코 따지고 싶어지는 것이다. 말해봐요 나한테 왜 그랬어요.
고양이 F군과의 이별에 대해 묘해님의 감성이 묻어나오는 글이었습니다. 기본 필력도 있으시고 섬세한 표현이 두드러지는 것이 묘해님 글의 특징이자 장점인 것 같습니다.
1차 수정글이 불필요한 문장을 과감히 없애고 다듬은 흔적이 보여 훨씬 좋게 읽혔습니다. 다만 기존에 가지고 있던 이야기 흐름에 대한 구조를 과감히 바꾸지 못한 것은 아쉬움이 남습니다. 흐름을 F군이 사라짐-> 멍했음->F군의 흔적을 따라 주차장을 되밟아 감-> F군에 대한 걱정->시간이 지나 기다림을 멈춤-> 이별 받아들이는 주문 외움-> 존중하고 싶었지만 -> 여전히 그리운 F군의 형식으로 흘러갔으면 어땠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두번째 문단에서는 F군이 집을 나간 이유를 존중하고 싶은 것으로 시작했으나 그 뒤에는 이별을 받아들이는 담담한 모습을 그려내 내용이 자연스레 연결되지 못했습니다.
두번째 문단에서 각 표현이 뛰어남에도 불구하고 문장이 어색하게 느껴지는 것은 수식이 지시대명사로 과하게 들어갔기 때문입니다. \'그런 그가~\', \'그가 지나쳤을~\' 등에는 \'그가\'를 빼거나 \'F군이\'라는 주어를 명확히 밝혀주는 것이 더 자연스럽게 읽힐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좋은 표현을 살리기 위해서는 자연스러운 전개도 중요한데 두번째 문단은 이별을 수긍하는 것과, 수긍하지 못하는 자신, 그를 회상하는 모습이 자연스럽게 연결되기보다는 나열되듯 이어져서 시간을 조금 더 두고 부드럽게 풀어 나가는건 어떨까 싶었어요.
좋은 글 감사했습니다.
다음글도 기대하고 있을게요!
고양이 F군과의 이별에 대해 묘해님의 감성이 묻어나오는 글이었습니다. 기본 필력도 있으시고 섬세한 표현이 두드러지는 것이 묘해님 글의 특징이자 장점인 것 같습니다.
1차 수정글이 불필요한 문장을 과감히 없애고 다듬은 흔적이 보여 훨씬 좋게 읽혔습니다. 다만 기존에 가지고 있던 이야기 흐름에 대한 구조를 과감히 바꾸지 못한 것은 아쉬움이 남습니다. 흐름을 F군이 사라짐-> 멍했음->F군의 흔적을 따라 주차장을 되밟아 감-> F군에 대한 걱정->시간이 지나 기다림을 멈춤-> 이별 받아들이는 주문 외움-> 존중하고 싶었지만 -> 여전히 그리운 F군의 형식으로 흘러갔으면 어땠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두번째 문단에서는 F군이 집을 나간 이유를 존중하고 싶은 것으로 시작했으나 그 뒤에는 이별을 받아들이는 담담한 모습을 그려내 내용이 자연스레 연결되지 못했습니다.
두번째 문단에서 각 표현이 뛰어남에도 불구하고 문장이 어색하게 느껴지는 것은 수식이 지시대명사로 과하게 들어갔기 때문입니다. \'그런 그가~\', \'그가 지나쳤을~\' 등에는 \'그가\'를 빼거나 \'F군이\'라는 주어를 명확히 밝혀주는 것이 더 자연스럽게 읽힐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좋은 표현을 살리기 위해서는 자연스러운 전개도 중요한데 두번째 문단은 이별을 수긍하는 것과, 수긍하지 못하는 자신, 그를 회상하는 모습이 자연스럽게 연결되기보다는 나열되듯 이어져서 시간을 조금 더 두고 부드럽게 풀어 나가는건 어떨까 싶었어요.
좋은 글 감사했습니다.
다음글도 기대하고 있을게요!
세련되고 감각적인 문체가 돋보였어요.
서점에서 일을 하고 있는 덕분에, 요즈음 나오는 책들을 볼 기회가 가끔 있는데 묘해님 문체가 지금의 문체 경향과 비슷한 거 같아요.
본문중
『그리고 말랑말랑 묘족으로 사람보다 능숙하게 대문 잠금쇠를 따고 가출을 강행했던.』
이 문장 좋았습니다. 문법적으로 설명할 재주는 제겐 없습니다만, 읽었을 때 머릿속에서 문장이 유려하게 흘렀어요.말랑말랑......
이 문장의 마지막에 쓰인 단어는, 비슷한 단어라도 미묘하게 다를 수 있을 것을..... 잘 읽었어요.
하루키도 냥덕인 ... 더 보기
서점에서 일을 하고 있는 덕분에, 요즈음 나오는 책들을 볼 기회가 가끔 있는데 묘해님 문체가 지금의 문체 경향과 비슷한 거 같아요.
본문중
『그리고 말랑말랑 묘족으로 사람보다 능숙하게 대문 잠금쇠를 따고 가출을 강행했던.』
이 문장 좋았습니다. 문법적으로 설명할 재주는 제겐 없습니다만, 읽었을 때 머릿속에서 문장이 유려하게 흘렀어요.말랑말랑......
이 문장의 마지막에 쓰인 단어는, 비슷한 단어라도 미묘하게 다를 수 있을 것을..... 잘 읽었어요.
하루키도 냥덕인 ... 더 보기
세련되고 감각적인 문체가 돋보였어요.
서점에서 일을 하고 있는 덕분에, 요즈음 나오는 책들을 볼 기회가 가끔 있는데 묘해님 문체가 지금의 문체 경향과 비슷한 거 같아요.
본문중
『그리고 말랑말랑 묘족으로 사람보다 능숙하게 대문 잠금쇠를 따고 가출을 강행했던.』
이 문장 좋았습니다. 문법적으로 설명할 재주는 제겐 없습니다만, 읽었을 때 머릿속에서 문장이 유려하게 흘렀어요.말랑말랑......
이 문장의 마지막에 쓰인 단어는, 비슷한 단어라도 미묘하게 다를 수 있을 것을..... 잘 읽었어요.
하루키도 냥덕인 걸로 아는데...ㅎㅎ
서점에서 일을 하고 있는 덕분에, 요즈음 나오는 책들을 볼 기회가 가끔 있는데 묘해님 문체가 지금의 문체 경향과 비슷한 거 같아요.
본문중
『그리고 말랑말랑 묘족으로 사람보다 능숙하게 대문 잠금쇠를 따고 가출을 강행했던.』
이 문장 좋았습니다. 문법적으로 설명할 재주는 제겐 없습니다만, 읽었을 때 머릿속에서 문장이 유려하게 흘렀어요.말랑말랑......
이 문장의 마지막에 쓰인 단어는, 비슷한 단어라도 미묘하게 다를 수 있을 것을..... 잘 읽었어요.
하루키도 냥덕인 걸로 아는데...ㅎㅎ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