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16/03/11 14:44:29 |
Name | ORIFixation |
Subject | 정형외과의 역사 |
잉여처럼 끊임없이 인터넷을 하던 도중에 흥미로운 글을 찾아서 좀 옮겨보려합니다. 원문이 영어라 해석이 어려운 부분은 대충 지나가렵니다.... ------------------------------------------------------------------------------------ 정형외과는 다른 여러 전문과목들과 마찬가지로 변형을 교정하고 기능을 회복시키며 통증을 경감시키는 등의 필요에 의하여 발전해왔습니다. 정형외과 의사들은 신체기능의 중대한 손실을 막기위해 노력을 해왔죠. 이러한 정형외과의 기원은 상당히 오래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문서화된 기록이 존재하지는 않지만 원시인들의 생활상은 화석을 통하여 유추해 볼 수 있습니다. 남아있는 화석들에는 원시인들이 현재 우리들이 다치는 모습과 같은 기전으로 다친 흔적들이 보입니다. 골절이 된 뼈가 발견되는 것은 물론이고 몇몇 뼈들은 아주 바른 정렬을 가지고 뼈가 유합된 모습을 보이기도 합니다. 즉 부러진 뼈를 맞춘것 입니다. 그리고 어느 순간에는 아주 원시적인 형태의 부목이 발견되고 또한 원시적인 형태의 절단술의 흔적이 보이기도 합니다. 외상을 치료하는 방법이 본능에서 부터 각인되어 있던것이라고도 생각해 볼수 있을거 같습니다. 고대 이집트의 미라와 벽화들에서는 그 당시 이집트인들도 우리와 같은 질병과 외상으로 고통받았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정형외과적인 처치가 행해졌다는 것 또한 알수 있지요. ![]() 위 그림을 보면 부러지거나 빠진 손가락, 발가락을 교정하는 모습이 잘 나와있습니다.(왠지 환자의 고통도 보이는거 같네요) ![]() 이집트에 발견된 미라에는 대나무나 나무껍질, 천으로 이루어진 부목이 같이 발견되기도 했습니다. 1862년에 도굴되어 미국인 이집트 연구자 Edwin smith에게 팔려 Edwin smith papyrus라 불리는 파피루스에는 부상의 정도를 분류하는 방법과 척추 손상의 징후, 사경의 증상, 부러진 쇄골등을 치료하는 방법등이 기록되어 있었습니다. ----------------------------------------------------------------------------------------- 다음에 다시 이어보도록 하겠습니다. 0
|
생각해보면 옛날이야말로 어디 부러지고 다칠 확률이 높지 않았을까 싶네요.
고대 이집트는 역사가 오래되었으니 당연히 의학도 발달했겠지요. 고대 로마 또한 군진의학이 대단히 발달하여, 어떤 시스템은 현대 한국군의 그것보다 더 우수할 정도였다는 글(http://egloos.zum.com/kalnaf/v/3168557)을 읽은 적이 있는데 그 내용도 나오려나요?
고대 이집트는 역사가 오래되었으니 당연히 의학도 발달했겠지요. 고대 로마 또한 군진의학이 대단히 발달하여, 어떤 시스템은 현대 한국군의 그것보다 더 우수할 정도였다는 글(http://egloos.zum.com/kalnaf/v/3168557)을 읽은 적이 있는데 그 내용도 나오려나요?
저 글이 한때 유명했는데 좀 오버도 있습니다. 저 당시에 의료 시스템이라고 할만한게 군대 정도가 아니면 접목될 수가 없어서 그 당시 기준 최신 의료가 집대성되었다는 점(지금으로 치면 미국 CDS랑 NIH가 군 산하에 있는데 4차 의료기관과 최상위연구기관이 부속으로 딸린 정도)이 일단 크고... 그리고 19세기까지 멸균/소독 개념을 잊었던 것도 아닙니다. 저걸 망각한 건 석탄산 처음 쓰던 그 시대의 근대 의사들이 희박한 근거와 폭증하는 의료 수요 사이에서 귀차니즘을 못 이겨서 그런거지, 그때도 산파들은 잘만 했던 거라... 그리고 의... 더 보기
저 글이 한때 유명했는데 좀 오버도 있습니다. 저 당시에 의료 시스템이라고 할만한게 군대 정도가 아니면 접목될 수가 없어서 그 당시 기준 최신 의료가 집대성되었다는 점(지금으로 치면 미국 CDS랑 NIH가 군 산하에 있는데 4차 의료기관과 최상위연구기관이 부속으로 딸린 정도)이 일단 크고... 그리고 19세기까지 멸균/소독 개념을 잊었던 것도 아닙니다. 저걸 망각한 건 석탄산 처음 쓰던 그 시대의 근대 의사들이 희박한 근거와 폭증하는 의료 수요 사이에서 귀차니즘을 못 이겨서 그런거지, 그때도 산파들은 잘만 했던 거라... 그리고 의료기기에 대한 원시적인 세척은 이슬람, 중화권, 심지어 한국쪽에서도 자주 보이던 일입니다. 반면에 로마 시대의 소독 기술과 매커니즘이 이보다 패러다임적으로 우월했다고 보기도 힘들고... 사망자 통계도 바이아스가 강하죠. 어지간하면 현장 사망이라서 포함되질 않으니. 교과서 문제도 유의미한 시도가 있었지만 제대로 보급되었는가에 의문을 제기할만한 근거들이 많습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