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15/06/04 11:30:53 |
Name | Leeka |
Subject | 한국이 기록적인 속도로 메르스 감염자를 늘리고 있습니다 |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506030837311&code=940601 현재 중동에서 메르스는 한달간 29명이 감염되었습니다만 한국은 3주만에 35명을 돌파했습니다. 해외에서도 '이정도로 빨리 메르스가 번지는건 이례적이라고' (사우디를 제외한 전세계 어떤 나라에서도 이정도 속도로 메르스가 번진 나라가 없습니다. 사우디는 초기 메르스 발병때 제외하곤 이정도 속도로 번지진 않았습니다.) 말하고 있네요 덕분에 세계 의학계의 관심을 한몸에 받고 있으며.. 아마 몇년뒤에는 '전염병 발생시 이렇게 하면 안된다' 의 대표케이스로 한국의 메르스 사건이 전세계의 강의 자료로 소개되지 않을까... 또한 작년 세월호 - 올해 메르스를 거치면서 수학여행이 2년째 줄 취소가 되고 있으며. 덕분에 관련 업종들은 2년째 죽을맛이라고 하고 있습니다. (특히 여행사쪽은 해외 관광취소까지 줄줄히 터지고 있어서 타격이 장난이 아니라고 하네요) 이러다가 지금 세대 학생들은 수학여행을 못해보는 세대가 될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Leeka님의 최근 게시물
|
예전에는 사스나 신종플루,구제역이 발생했을 때 대응이 과하고 돈낭비 아닌가 싶은 생각도 했었는데, 미치는 파장을 생각해보면 좀 호들갑도 떨면서 과하게 대응하는 게 맞구나 라는 생각이 듭니다. 마치 전쟁나간 병사들처럼 한 부분이 무너지니 전체가 휘청하는군요. 그런 면에서 정말 거부당하실지도 크크
그나저나 파이어글 자체가 읽는 자체가 요즘 스트레스에 딱히 배울 게 나오는 내용도 아니고 해서 애초에 읽지도 않았는데, 그동안 무슨일인지 모르고 있다가 오늘 나무위키 읽어보고 여길 첨 알고 왔는데 익숙한 닉네임분들이 이미 다 벌써 계시니 지금 어리둥절입니다 크...
그나저나 파이어글 자체가 읽는 자체가 요즘 스트레스에 딱히 배울 게 나오는 내용도 아니고 해서 애초에 읽지도 않았는데, 그동안 무슨일인지 모르고 있다가 오늘 나무위키 읽어보고 여길 첨 알고 왔는데 익숙한 닉네임분들이 이미 다 벌써 계시니 지금 어리둥절입니다 크...
군산의료원 김영진 원장님이라는 분이 남겨주신 트윗을 보니 조금 상황이 객관적으로 파악되고, 두려움도 줄어드는 것 같네요.
https://twitter.com/daiske5896/status/606301714514255873/photo/1
실질적으로 필요한 조치도 잘 못하고 있을 뿐 더러, 필요한 정보 공유도 형편없이 잘 못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컨트롤 타워가 무능하다고 볼 수 밖에...
https://twitter.com/daiske5896/status/606301714514255873/photo/1
실질적으로 필요한 조치도 잘 못하고 있을 뿐 더러, 필요한 정보 공유도 형편없이 잘 못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컨트롤 타워가 무능하다고 볼 수 밖에...
메르스 의료진 3차감염자 추가 된게 언론에 나왔나 모르겠네요. 삼성의료원 (뭐 이미 언론에 나왔으니 말씀드리겠습니다) 신경외과 전공의도 확진되었다고 하던데.. http://www.vop.co.kr/A00000895724.html 이쪽 원내감염 방지가 당분간 키가 되겠어요. 이래 저래 흉흉합니다. 이 의료진으로 부터의 3차감염 (뭐 차수로는 4차라고 볼 수 있겠지만 그냥 다 3차로 칩니다)이 가장 핫한 이슈가 될 겁니다.
사실 저도 처음엔 정보통제에 찬... 더 보기
사실 저도 처음엔 정보통제에 찬... 더 보기
메르스 의료진 3차감염자 추가 된게 언론에 나왔나 모르겠네요. 삼성의료원 (뭐 이미 언론에 나왔으니 말씀드리겠습니다) 신경외과 전공의도 확진되었다고 하던데.. http://www.vop.co.kr/A00000895724.html 이쪽 원내감염 방지가 당분간 키가 되겠어요. 이래 저래 흉흉합니다. 이 의료진으로 부터의 3차감염 (뭐 차수로는 4차라고 볼 수 있겠지만 그냥 다 3차로 칩니다)이 가장 핫한 이슈가 될 겁니다.
사실 저도 처음엔 정보통제에 찬성하던 쪽이었는데, 이젠 이 통제의 실익이 거의 없는 것 같아요. 일본 원전 사고 이후 후쿠시마 이주민들 이지매 하는거 비슷하게 특히 지금 강남쪽에서 부모가 이 병원 의료진이라면 학교에서 자녀 등교를 시키지 말라고 한다던데.. 충분히 이해가 가는 액션이긴 하지만, 환자와 전혀 컨택이 없을 만한 사람들까지도 피해를 보니 그냥 정확히 격리대상을 공표해주고 관리했음 좋겠습니다.
카톡으로 \"xx 아파트 12x4호 부모가 어느 병원 의사이므로 그 애들이랑 접촉 못하게 합시다..\" 등등 메시지가 돌아다니는거 보면 맘이 좀 아프기도 하고 보건당국에 더 화가나고 그렇네요.
사실 저도 처음엔 정보통제에 찬성하던 쪽이었는데, 이젠 이 통제의 실익이 거의 없는 것 같아요. 일본 원전 사고 이후 후쿠시마 이주민들 이지매 하는거 비슷하게 특히 지금 강남쪽에서 부모가 이 병원 의료진이라면 학교에서 자녀 등교를 시키지 말라고 한다던데.. 충분히 이해가 가는 액션이긴 하지만, 환자와 전혀 컨택이 없을 만한 사람들까지도 피해를 보니 그냥 정확히 격리대상을 공표해주고 관리했음 좋겠습니다.
카톡으로 \"xx 아파트 12x4호 부모가 어느 병원 의사이므로 그 애들이랑 접촉 못하게 합시다..\" 등등 메시지가 돌아다니는거 보면 맘이 좀 아프기도 하고 보건당국에 더 화가나고 그렇네요.
삼성 서울병원에 유달리 지인이 없는지라 (뭐 거기야 그냥 두 학교가 킹왕짱..)...예전에 가끔 학회때나 본 사람들한테 물어볼 수도 없고,
개원가로 나오다 보니 정보 얻기가 그렇게 쉽지가 않군요. 모교 병원에 있는 선후배들한테 물어보면 외래환자 늘었고 아직 괜찮지만 앞으로 시간문제 아니겠냐 그러고...
어제 제 주변에서 내과 열고 계신 선배님과 퇴근 후에 이야기 하다가 들었는데, 진료 환자수 엄청 늘었다고 하시더군요.
거기에 도곡동 강남 세브란스는 물론이고 송파 아산병원, 건대 병원에 강동구 끝자락에 있는 경희대 병원도 ... 더 보기
개원가로 나오다 보니 정보 얻기가 그렇게 쉽지가 않군요. 모교 병원에 있는 선후배들한테 물어보면 외래환자 늘었고 아직 괜찮지만 앞으로 시간문제 아니겠냐 그러고...
어제 제 주변에서 내과 열고 계신 선배님과 퇴근 후에 이야기 하다가 들었는데, 진료 환자수 엄청 늘었다고 하시더군요.
거기에 도곡동 강남 세브란스는 물론이고 송파 아산병원, 건대 병원에 강동구 끝자락에 있는 경희대 병원도 ... 더 보기
삼성 서울병원에 유달리 지인이 없는지라 (뭐 거기야 그냥 두 학교가 킹왕짱..)...예전에 가끔 학회때나 본 사람들한테 물어볼 수도 없고,
개원가로 나오다 보니 정보 얻기가 그렇게 쉽지가 않군요. 모교 병원에 있는 선후배들한테 물어보면 외래환자 늘었고 아직 괜찮지만 앞으로 시간문제 아니겠냐 그러고...
어제 제 주변에서 내과 열고 계신 선배님과 퇴근 후에 이야기 하다가 들었는데, 진료 환자수 엄청 늘었다고 하시더군요.
거기에 도곡동 강남 세브란스는 물론이고 송파 아산병원, 건대 병원에 강동구 끝자락에 있는 경희대 병원도 마찬가지라고도 하시고.
삼성 서울에 갈 사람들이 다른 병원들을 찾고 있고, 그냥 집에서 상비약 정도 먹고 끝낼 증세도 다들 여기저기 찾아가시나 봅니다. 불안들 하니.
그리고, 저도 처음에는 그렇게 심각하게 생각하지 않았었는데 감염자 증가 속도가 예외적으로 빠른것 같습니다.
이렇게 가다보면 정부가 나서서 3차 병원들에 격리병동 따로 만들려 그럴텐데, 어차피 없는 공간에 그런거 만들기도 어려울테고.
그나마 공간 여기저기서 뺀다고 해도 걸리는게 많을텐데.
앞으로 정부측에서 어떻게 대처할지 솔직히 좀 걱정이 됩니다.
개원가로 나오다 보니 정보 얻기가 그렇게 쉽지가 않군요. 모교 병원에 있는 선후배들한테 물어보면 외래환자 늘었고 아직 괜찮지만 앞으로 시간문제 아니겠냐 그러고...
어제 제 주변에서 내과 열고 계신 선배님과 퇴근 후에 이야기 하다가 들었는데, 진료 환자수 엄청 늘었다고 하시더군요.
거기에 도곡동 강남 세브란스는 물론이고 송파 아산병원, 건대 병원에 강동구 끝자락에 있는 경희대 병원도 마찬가지라고도 하시고.
삼성 서울에 갈 사람들이 다른 병원들을 찾고 있고, 그냥 집에서 상비약 정도 먹고 끝낼 증세도 다들 여기저기 찾아가시나 봅니다. 불안들 하니.
그리고, 저도 처음에는 그렇게 심각하게 생각하지 않았었는데 감염자 증가 속도가 예외적으로 빠른것 같습니다.
이렇게 가다보면 정부가 나서서 3차 병원들에 격리병동 따로 만들려 그럴텐데, 어차피 없는 공간에 그런거 만들기도 어려울테고.
그나마 공간 여기저기서 뺀다고 해도 걸리는게 많을텐데.
앞으로 정부측에서 어떻게 대처할지 솔직히 좀 걱정이 됩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