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5/06/03 09:38:08
Name   Zel
Subject   실제적인 메르스 위험 줄이기
메르스 관련으로는 더 이상 글을 쓰지 않을려고 했는데.. 그냥 아는 정보를 좀 정리하는게 나을 거 같아서 쳐 봅니다.
사실 저는 감염병과 무관한 전공의 경기 남부에 있는 대학병원 의사일 뿐입니다만, 다들 우왕좌왕 하고 있고 질본 및 복지부의 대응도 답답하기 이를 데가 없습니다.
공기감염 되느냐, 지역감염의 리스크가 있느냐 등등은 언론에서 많이 다룬 관계로 생략합니다. 어짜피 지금은 팩트보다 패닉이 지배하고 있고요.

1. 병의원 리스트를 왜 공개 안하나? 이 병원만 피해가면 되나?

어제 어느 언론사에서는 10개병원이라고 했지만 사실 이거 보다 더 많이 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의료진에게만 정보를 알려준다고 하지만 아직까지 제가 응급실이나
일선에 근무하지 않는 관계로 정보를 모르고 있고 또 이 정보를 알려주는건 의료진만 피하라는게 아니라, 이쪽에서 이송되는 환자들을 관리하기 위해서 꼭 필요한 정보입니다.
메르스 발병병원에서 전원 시킨다고 환자를 받지 않을 수는 없습니다. 지금 언론의 질타와 패닉의 대상이 되는 동탄S병원 같은 경우에도, 수원 모 대학 병원의 중환자실에 베드가 없는 상태에서 받아준거고, 받을때 까지만 해도 메르스에 대한 정보를 받지 못한 상태입니다. 실제로 이 병원에서 사망사고가 나서 패닉의 진원이 되었지만 과연 그렇게 리스크가 높은 병원이냐 하면 전 아니라고 봅니다. 객관적으로 본다면 지금 3차감염이 발생한 일원동의 모 대학병원이 가장 위험하다고 봅니다.

그리고 결론적으로 피해갈만한 병원은 없습니다. http://daily.hankooki.com/lpage/society/201506/dh20150602065941137780.htm
왜냐하면 확진환자들은 음압 (negative pressure)가 걸려있는 격리병상에 입원시켜야 하는데, 이 입원실이 지극히 한정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예.. 민간병원 입장에서 이거 돌리면 엄청 적자나고 국가적 보전은 미미하므로 어쩔 수 없습니다. 공공병원은 자세한 설명은 생략합니다...)
어떤 분들은 왜 신종플루처럼 거점병원을 만들지 않느냐라고 하는데, 그때는 완전 판데믹이었고 (하루에 수만명씩 전국적으로 생겼습니다) 지금은 아직까지 병원내 감염입니다. 이 환자들을 다룰만한 병상이 많지 않기 때문에 병상이 모자라면 이송을 하게 되고, 다르게 이야기 하면 지금 대략 전국의 탑 20병원 급은 다 메르스 환자가 있다고 보는게 안전합니다. 신종 플루때는 격리병상 운영을 포기했었습니다. 그러면 거점병원 운영이 가능하죠. 복지부에서 레벨 올리지 않는다고 뭐라고 그러는데 레벨을 올린다는게 쉬운 이야기가 아닐겁니다.

제 처가 근무하는 인천의 병원은 어제 새벽에 평택에서 환자를 이송 받았고, 제가 근무하는 병원은 오늘 들어온다는 소식이 있습니다. 환자를 한군데 모아놓지 않고 왜 뿌리냐가 아니라, 제대로 처리할 수 있는 시설이 부족하니 전국적으로 자원을 쉐어할 수 밖에 없습니다. 물론 의심자에 대한 격리는 다른 문제입니다. (저도 의심자는 따로 모으는게 어떤가 하는 생각이 있긴 합니다만 이런면에서 행정력이 지지부진합니다. 플랜은 있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각 병원에서 근무하는 입장에서 부담스럽기는 하지만 소방수가 불끄러 가는 것 처럼 '업'이니깐 당연히 해야하는 기본적 직업윤리입니다. 일반인들도 "우리 지역 병원에 환자 보내는 보건당국 개념없는놈들.." 이런 식의 님비스러운 생각은 옳지 못합니다. 메르스 환자들은 모두 적절히 관리되는 병상에서 적절히 치료받아야 하는 이유가 있습니다. 우리를 위해서도요.

2. 병원 방문이 안전한가?

현재 이런 확진자들은 대부분 격리병동, 혹은 중환자실에 입원해 있습니다. 지금은 의료진들도 제한된 인원만 접촉해서 진료하고 있고요. 공기감염이 없다는 전제에 (그리고 전 없다고 생각합니다. 에어로졸 이 아닌다음에야) 외래의 단순 방문으로 감염될 가능성은 지극히 낮습니다. 하지만 입원환자 방문 정도만 되어도 리스크가 높아진다고 생각되고, 병실간호쯤 되면 이제 의료인과 비슷한 수준의 위험도가 됩니다. 그렇다고 의료인에게 현재 N95마스크와 방호복, 고글등이 일괄 지급된것도 아닙니다. 따라서 저의 추천은 외래진료가 잡혀있으면 진료를 받는걸 추천합니다. (위험도 보다 이익이 앞선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본인이 무섭다는 분들에게 까지 억지로 강요할 수는 없고, 그런 분들을 비난 할 이유도 없습니다. 단 '이 병원은 리스트에 있으니 절대 가면 안돼, 이 병원은 리스트 없으니깐 괜찮지 않을까?' 이런 생각은 합리적이지 않습니다. 병실 방문 이나, 간병은 부득이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피하시는게 좋습니다. 간병이 꼭 필요하다면 병실내 비치되어 있는 손소독제 및 그 외 감염 방지 규칙을 따라주셔야 합니다.

3. 현재의 문제점은?

지금 3차감염자가 나오고 있습니다. 3차감염자가 16번 환자에게서 계속 전파되고 있어서 이 16번환자가 1번환자 같은 역할을 하지 않나 우려하고 있는 것 같고요. 가장 취약계층은 의사 및 간호사 등 의료진입니다. 현재 확진자 외 격리된 의료진은 상당히 많습니다. 의료진끼리 만나는 형태의 접촉을 삼가하는게 병원감염의 전파를 막는 키 중 하나일텐데 아직까지 보건당국이 정신이 없는지 생각이 없는 지 관리를 못하고 있네요. 의료진 감염시 질병매개의 매체가 되므로 환자에 가장 위험한 상황이 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좀 말이 애매하지만 불필요한 의료인과의 접촉을 삼가하는 것이 병원 외래 방문 보다는 훨씬 더 위험도를 낮추는 걸겁니다. (그래도 둘 다 상당히 낮다고는 봅니다만..어쨌던)

4. 놀이공원 영화관 등등 가는 것은 안전한가?

격리대상 의심환자가 돌아다닌다면 문제가 될 수 있고, 보건당국이 이를 컨트롤하고 있다면 사실 안전하다고 볼 수 있겠지만. 신뢰가 떨어진게 사실이다 보니 안전하다고 말씀드리긴 어렵겠습니다. 이런 곳에 가는거의 기준은 불가피한 경우가 아니라면 "내가 거기 가서 느낄 불안함 > 즐거움" 이면 안가는게 정답입니다. 마치 방사선 공포와 일본여행 같은거죠.

5. 그럼 앞으로는 어떻게 될 것인가?

바이러스 전문가라는 사람들이 모여서 낸 결론이 일부가 틀려버린 상태기 때문에 저같은 일개 양민이 이를 예측할 능력이나 권위는 없습니다. 감염력이 낮을것이다, 3차감염은 없을 것이다. 두 가지 전제는 완전히 틀렸고.. 치사율이 낮을 것이다라는 예상은 어느 정도는 맞습니다. (사망자 모두 상당한 기저질환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지역사회감염이 안될것이다 라는 예상은 아직까지는 유효합니다. 물론 변종바이러스에 대한 위험은 아직 사라지지는 않았습니다.

왜 최악을 상정하지 않고 일처리를 하느냐에 대해서도 신종플루때 타미플루 남용으로 끼친 부작용 같은 학습효과가 있기 때문에 이해할 만한 구석이 있긴 있습니다. (사석에선 타미플루 독성으로 죽은 사람이 신종플루보다 많을거다 라는 이야기를 하는 사람도 있었습니다. 별 믿음직한 소린 아니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초기 방역이 구멍이 났고, 컨트롤 타워가 무능하며, 또 한가지는 질본이 오송에 있어서 물리적인 어려움도 있는 것 같기도 합니다. 항상 이런 일이 생길때 마다 전문가라는 사람들의 한계가 좌절스러움이 있는데 그건 어쩔 수 없네요.

마지막으로 제가 본 제일 공감가는 컬럼을 링크합니다. http://www.rapportian.com/n_news/news/view.html?no=22516
이중 CDC의 가이드라인이라는 것 중 새겨들을 만 한게 이거입니다.

공중보건을 위한 투명한 소통이 갖추어야 할 대강의 조건은 다음과 같다.  

⓵ 불확실성을 인정하라.
⓶ 추적에 대한 정보를 가급적 신속하게 제공하라.
⓷ 인내와 유연성을 유지하도록 권고하라.
⓸ 실수를 인정하고 개선하라.
⓹ 현실에서 가능한 실천 방법을 제시하라.
⓺ 지역사회를 포기하지 말고, 또한 그렇게 하는 것처럼 보이지도 말라.

우리 보건 당국이 이걸 모를거라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이걸 어떻게 적용할지를 모르는거고, 그 이전에 기본적인 국가/전문가 신뢰레벨이 낮은거고, 이거는 전적으로 대중의 잘못이 아닙니다. 오래된 역사를 통한 학습인거죠. 초기 정보통제는 부득이하다고 생각했지만 지금은 이게 과연 패닉 컨트롤에 도움이 되는지 진지하게 따져봐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병원 리스트 뿌리면 뭐 갈 병원이 안남을겁니다 어짜피. 아..의원급은 상대적으로 괜찮습니다만.

세줄요약

1. 병원 리스트 만들지 마라. 피할 병원은 없다.
2. 일과적 병원 방문의 리스크는 높지 않으나 입원환자 방문, 간병, 의료인 접촉은 주의하라
3. 병원내 감염에 국한된 건 사실이고 아직까지 지역사회 감염은 없다.



0


    곧내려갈게요
    어느 순간부터 환자수 카운트나 등등의 정보가 안나오면서 추적이 안되고 있는거 아닌가 하는 불안감이 있습니다.
    잠복기 전염성이 없다고 하니까 추적이 안된다 한들 그나마 안심은 하고 있었는데,
    어제 새벽에 갑자기 병원 응급실에 보호자로 갈일이 생기니까 덜컥 겁이나긴 하더군요. 다행히 아주 큰 병원은 아니여서 오히려 조금 안심했습니다.

    아무튼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후달리긴 후달립니다. 병원에서도 직업적 숙련도가 낮은 사람일 수록 더 불안해 하는데 어쩔 수 없네요. 간만에 환자가 줄어서 교과서적인 진료를 할 수 있는 환경이 되었습니다..
    의사도 쓰러졌다 보도되면 우리 목사님 지옥갔다만큼 패닉일거에요. 의사들 안전에 당국이 관심이 있는지 모르겠네요.
    드레이크
    일부 목사님들 지옥 가시는 것보다 훨씬 패닉일 것 같긴 하네요.
    시부야린
    이미 진료하던 의사 중에 확진자가 발생한걸로 알고 있습니다...
    의사 1인, 간호사 2인 확진되었고, 격리중에 있는 의료진 두자리 넘습니다.
    우선 정보를 주셔서 감사합니다.

    역시 이런 일이는 신뢰가 중요하다는걸 새삼 느끼게 되는것 같아요.
    우선 내가 할 수 있는 소소한 것들(마스크쓰기, 손세정제사용, 손 자주씻기등)은 우선 열심히 하고 기다려볼랍니다. ㅠㅠ

    정부를 믿어봐야죠. 별 수 있나요...
    이서준팬바이브
    첫 환자가 호전중이고 몇몇 환자들이 호전중이라던데 사실이겠죠?
    지금쯤 초창기에 발병했던 분들은 거의 나아갈껍니다. 오히려 다 낫고 나서 이분들이 낙인효과가 찍혀 생활이 어려울까 걱정되네요.
    케틀벨
    정부에서 적절한 정보를 신속히 제공하고 대응해야 할텐데 그게 안되니 시민들은 우왕좌왕이네요.
    써주신 글들 잘 읽고 있습니다. 고맙습니다.
    ... 이쯤되면 이미 out of control 이지 싶습니다.
    necrosis
    전 이 글 보다 Zel님의 처가 더 궁금하군요 흐흐흐흐
    제가 Zel님의 아내 분이 계시는 인천의 모 병원에 있다보니...

    메르스 환자가 입원해 있다고 그 병원 자체를 안갈 필요는 없다고 생각하지만, 일반인들 생각은 다르겠죠.
    병원이 한산하고 참 좋네요 흐흐흐흐
    특히 소아과 병동이나 외래쪽은 전멸인듯
    음..전 궁금하지 않습니다. 농담이고요.. 수고 많으십니다.
    레이드
    그래도.. 일선에서 일하시는 분들이 제일 힘들거라 생각합니다. 힘내세요. 그러고보니 왠지 홍차넷이 의료 커뮤니티가 된 것 같은?..
    다니엘
    정보글 감사합니다!
    세상의빛
    Zel님의 고견에 동감합니다
    저도 외래 환자가 확 줄어서 환자 분당 10분씩 진료했네요 확진 환자를 진료하는 선생님들 수고 많으십니다 힘내시길...
    바닐라아이스
    좋은 글 감사합니다. 하루빨리 수습되고 진정국면에 들어가면 좋겠습니다만.. 지금의 정부 대처를 보면 일단 큰 기대는 하지 말아야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나마 일선에서 노력하고 계시는 분들 덕에 이만큼이나마 정보를 알 수 있어서 다행이네요. 열심히 현장에서 일하고 계실 모든 분들 감사드립니다.
    저희 전임 원장님이 그러시더군요.. \'한국 사람들 이런데 익숙하니깐.. 어찌 저찌 잘해나갈꺼야..\' 좀 웃프긴 한데 뭐 사실 현실은 현실이니깐요.
    바닐라아이스
    정말 웃프네요..
    파란아게하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왜자꾸시비네AI
    격리치료시에 동반되는 여러가지 문제를 생각하면 우선 1-2주 정도는 상황을 지켜봐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사망자 2분은 기저질환이 있는 분들이시고 연세도 있으시지만 이것이 건강한 사람에게 어떤 정도의 위력을 가지는지 확인이 되지 않고 있죠. 전염력은 이미 중동의 그것과는 큰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아직 공기감염이 되는지 여부도 불확실합니다. 신종플루와는 좀 다른 느낌인데 저는 코크란 리뷰를 신뢰하는 편이라 타미플루의 효과로 그 당시 피해자가 적어졌다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게다가 정부의 대응도 엉망인지라 이번엔 좀 더 주의해서 나쁠 것 없다고 생각합니다. 지금은 먼저 결론내리고 행동하기보다는 최대한 방어적으로 움츠리며 상황을 지켜보는게 일반인의 바른 태도일 겁니다.
    예. 제가 좀 낙관적 시각을 가지고 있긴 합니다. 아직까지 불확실한게 많은 상황에서 만용을 부릴 필요는 없긴 합니다. WHO에서 역학조사관을 보낸다니 RNA 시퀀싱등을 통해서 변종여부를 확인하고 역학 조사를 제대로 해야 할 것 같습니다. 농담이 아니고 MERS가 KORS가 될 가능성이 있긴 있습니다. 그래도 난무하는 카톡 메시지나.. 바셀린 코에 바르기 같은걸 보면 좀 답답해져 옵니다. 커뮤니케이션의 실패 혹은 부재를 사실 제가 고민할 문제는 아닙니다만 보건당국, 언론, 의료계 모두 이 사태를 자기 좋은쪽으로만 해석하지 말고 제대로 된 대응체계를 갖추었으면 좋겠습니다.
    왜자꾸시비네AI
    세월호때도 그랬었지만 큰 문제로 번지느냐 아니냐 하는 것은 정부와 사회의 문제로 귀결되는 경향이 있었죠. 어찌보면 의사분들도 그 당시 선생님들처럼 피해자입니다. 살신성인하셨지만 결국 제3자에 의해서 돌이킬 수 없는 일이 되어버렸습니다. 그 때는 학생들, 이번엔 신체 취약한 사람들이 고통받는군요. MERS의 본질과는 별도로 사회적 혼란상황으로부터 눈을 뗄 수가 없습니다. 이미 사망하신 두 분도 질병관리본부가 제대로 대응했더라면 생존할 수 있었겠죠. 바셀린 이야기 한 사람은 진짜 잡아야한다고 생각합니다.
    바닐라아이스
    묻어가는 바보같은 질문인데 바세린 코에 바르지 말라는거죠;? 전 좀전에 이런 얘기를 들어서 긴가민가 했습니다;::
    이서준팬바이브
    격리자가. 1000명이 넘었다는데..어떡할런지 모르겠네요
    Blue Sky
    상세히 써주신 글 잘 보았습니다. 인명은 재천이란 말, 염두에 두고 살아가고 있으며, 언제 어디서든 위험에 노출되어 살아가는 삶에서 그 누구 하나 자유로울 순 없는 시대에 살고 있으나, 어느 나라에 태어났느냐에 따라서, 피할 수 있는 위험을 고스란히 당하며, 억울한 마음으로 생과 사를 결정 당하는 일은 정말 당하고 싶지 않은 마음이 강하네요! 선진국들이 비슷한 유사사례를 겪으며, 보여준 초동 대응이나 신속한 처리상황을 창의적으로 더 발전시키진 못할지라도, 그들이 행한 사례들을 보고 배우고, 모방이라도 해서 대입하려는 부지런한 노력이라도 보여주길 바란다면, 너무나 과한 요구가 될까요?? 첫 감염자가 ... 더 보기
    상세히 써주신 글 잘 보았습니다. 인명은 재천이란 말, 염두에 두고 살아가고 있으며, 언제 어디서든 위험에 노출되어 살아가는 삶에서 그 누구 하나 자유로울 순 없는 시대에 살고 있으나, 어느 나라에 태어났느냐에 따라서, 피할 수 있는 위험을 고스란히 당하며, 억울한 마음으로 생과 사를 결정 당하는 일은 정말 당하고 싶지 않은 마음이 강하네요! 선진국들이 비슷한 유사사례를 겪으며, 보여준 초동 대응이나 신속한 처리상황을 창의적으로 더 발전시키진 못할지라도, 그들이 행한 사례들을 보고 배우고, 모방이라도 해서 대입하려는 부지런한 노력이라도 보여주길 바란다면, 너무나 과한 요구가 될까요?? 첫 감염자가 바레인 여행 갔다고 보고했더니, 질병관리본부에서 그 나라는 들어있지 않다고 했다는 이러한 안이한 태도와 무능함이 작금의 사태로 일을 키워버린 계기가 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듯?! 일파만파 사태를 키우고, 투명함까지도 막아버리려고만 드는 정부의 행태를 묵과하고 넘어간다면, 다음에도 반드시 이런 유사한 사태를 그대로 답습할 것이 불 보듯 뻔할 텐데... 이런 사태가 발생할 때마다 가장 안타까운 분들이 현장에서 생사의 위험에 항시 노출되어있는 의료진들, 소방관, 경찰관분들이셔서, 늘 감사하며, 숙연해지는 마음이 함께 듭니다! 부디 일선에 계신 의료진분들의 피해가 없길 바라며, 확진자분들도 빠르고, 깨끗한 쾌유를 기원합니다!!! 오늘 WHO에서, 역학조사관들이 한국에 파견될 준비를 마쳤다면서 한국 정부의 최종 승인을 기다리는 중이고, 도착하는 즉시, 구호팀은 한국에서 발견된 메르스 바이러스에 대한 sequencing (유전적 배열) 작업에 돌입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http://www.koreatimes.co.kr/www/news/nation/kr/116_180090.html ) 발생하지 않았다면 좋았을 이번 메르스사태를 계기로라도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효율적인 방역시스템을 반드시 구축하여, 유사한 사태가 발생되더라도, 완벽에 가까운 신속조치가 이루어져 안타깝고, 억울할 희생자가 발생하지 않게 되길 바라봅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90 기타실제적인 메르스 위험 줄이기 26 Zel 15/06/03 9899 0
    192 기타어제 있었던 "메르스 확산, 어떻게 막을 것인가?" 에 대한 토론 전문입니다.(스압) 2 아나키 15/06/03 11777 0
    193 기타잡설 #01 온라인과 광고 5 Secundo 15/06/03 8312 0
    195 기타4월 전세계 스마트폰 판매, 1위 아이폰이 차지. 24 Leeka 15/06/03 10366 0
    197 기타한사람만 바라본 짝사랑 이야기[주의 : 암울합니다. 매우] 5 민트밀크라떼 15/06/04 8916 0
    198 기타잘 지내요?.. 15 박초롱 15/06/04 9195 0
    199 문화/예술브람스 좋아하세요? - 클래식 입문하기 32 뤼야 15/06/04 13127 0
    200 기타[한밤]홍진호 레이디제인 관계 발전.nate 14 천무덕 15/06/04 10131 0
    201 기타YTN속보 - 대전에서 메르스3차 감염의심 80대 남성사망 3 Heirs 15/06/04 7337 0
    202 기타심심해서 써보는 자파메탈(Japametal) 14 레지엔 15/06/04 10156 0
    203 기타한국이 기록적인 속도로 메르스 감염자를 늘리고 있습니다 31 Leeka 15/06/04 9297 0
    204 기타잘 지내요?.. (2) 9 박초롱 15/06/04 8585 0
    205 기타. 23 WisperingRain 15/06/04 11056 0
    206 기타[잡담] 건강과 미용을 위해 식후에는 홍차 한잔을 25 시부야린 15/06/04 9442 0
    207 기타2015년에 다시 보는 2003년 사스(SARS)대책 협조문 5 Blue Sky 15/06/04 8838 0
    208 기타[뉴스] 중국 양쯔강 둥팡즈싱 호 침몰사고 16 마로니에 15/06/04 9120 0
    209 기타한 잔의 완벽한 홍차를 만드는 방법 17 15/06/04 10488 0
    210 기타35번 메르스 의사 미스테리 45 Zel 15/06/04 11824 0
    211 기타지역별 메르스 휴교현황 15 절름발이이리 15/06/05 9159 0
    212 기타달려라 피아노와 함께 무대울렁증 극복하기 4 reason 15/06/05 8292 0
    213 기타시나리오를 구합니다.... 15 표절작곡가 15/06/05 8288 0
    214 생활체육 챔피언스 리그 파이널 프리뷰 (팟캐스트 입축구 영상화 프로젝트) 3 구밀복검 15/06/05 12028 0
    215 기타잘 지내요?.. (3) 11 박초롱 15/06/05 8558 0
    218 기타현재까지의 홍차넷 이용 통계 26 Toby 15/06/05 9578 0
    219 기타아메리카 서부개척시대의 이면에 가려진 흑역사 5 개평3냥 15/06/05 22711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