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25/04/12 13:17:31수정됨 |
Name | meson |
Link #1 | https://cafe.naver.com/booheong/230530 |
Subject | 한국사 구조론 |
마치 외국사를 보는 시선에서처럼 말한다면, 한국사에서 가장 중요한 사건은 삼한일통(三韓一通)이었다고 선언할 수 있을 것입니다. 삼한일통은 삼국통일이 아닐 수는 있어도 분명히 ‘한국통일(Unification of Korea)’이며, 이때 출현한 통일체는 그 뒤로 1910년까지 통일-회복성을 발휘하며 공고한 역사공동체로 확립되었습니다. 이 사이의 한국에서 왕국이 병립한 분열기는 오직 한 번이었으며 약 35년이었고, 외세에 의한 통치도 한 번으로 몽골의 다루가치가 약 8년간만 시행하였습니다. 따라서 한국사의 구조를 개관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이 통일체의 성격을 규명하는 일입니다. 이것은 특히 고구려의 활동과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는데, 왜냐하면 고구려가 [ 한국사의 일원으로 받아들여진 유일한 정복 세력 ]이기 때문입니다. 이들은 압록강 일대에서 발흥하여 남만주와 한반도 북부의 정주민들을 모두 복속시켰고, 서쪽으로는 요동을 차지하여 중국과 접하였으며, 남쪽으로는 낙랑군을 점령함으로써 삼한을 마주했습니다. 그리고 이 지역에서 등장한 후대의 정복자들과는 달리 서쪽이 아니라 남쪽으로 정복을 이어감으로써 마침내 한국사에 진입했습니다. 이러한 ‘광개토’를 거치며 용맹한 기마전사였던 고구려인들은 점차 문명화했으며, 5세기에 평양으로 천도하고 한반도 중부를 점령한 뒤부터는 이 경향이 더욱 강화되었습니다. 고구려는 한반도 전체를 정복할 의도를 가지고 있었으나 한반도 남부의 국가들은 동맹을 맺어 이를 저지하는 데 성공했으며, [ 1세기 뒤에는 고구려를 옛 삼한 지역에서 몰아내기에 이르렀습니다. ] 이 과정 뒤에는 남부 역시 두 개의 국가로 재편되었으며, 그중 한때 고구려의 속국이었던 신라는 당나라와 연합하여 경쟁자인 백제를 제거했습니다. 그리고 그 대가로 당나라가 고구려를 멸망시키는 것을 도왔습니다. 그 뒤에 신라는 영토 분할 문제로 당나라와도 전쟁을 벌여 백제 지역을 점유했으나, 고구려 지역은 확보하지 못했습니다. 하지만 당나라 역시 고구려 지역의 통치에 실패했으며 고구려인들은 곧 발해를 건국해 독립하였습니다. 신라는 이를 틈타 [ 옛 낙랑군에 해당하는 고구려 지역 일부를 차지함으로써 ] 평양 이남을 영유했습니다. 이것이 한국사에서 ‘통일 신라(Unified Silla)’ 혹은 ‘후기 신라(Late Silla)’라고 불리는 국가이며, 앞서 언급한 ‘삼한일통’을 천명한 국가입니다. 이 시기에 ‘삼한’은 더는 낙랑군 이남의 옛 소국들을 의미하지 않았으며, 신라와 고구려와 백제를 가리키는 이칭이었습니다. 이와 같은 사실은 고구려의 정복이 [ 한반도 북부를 통합하여 한반도 중부와 연결시켰고, ] 이 연결이 훗날 신라에 의한 삼한의 확장을 유발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물론 이 확장은 고구려 지역 전체를 포괄할 수 없었으며 신라가 지배한 지역에만 한정되었습니다. 그러나 신라의 뒤를 이은 고려는 서북쪽으로 압록강까지 정복하여 삼한을 다시 확장시켰으며, 고려의 뒤를 이은 조선 역시 동북쪽으로 두만강까지 정복한 뒤 점령 지역을 삼한에 포함시켰습니다. 이것은 모두 ‘삼한일통’ 관념에 영향을 받은 것이며, 고구려의 옛 영토는 모두 삼한의 영역이라는 명분에 의거한 일입니다. 여기서 흥미로운 점은 고구려 남진의 피해자 중 하나였던 신라가 북진 당시에는 역으로 고구려와의 친연성을 강조했다는 것입니다. 이는 14세기에 명나라가 몽골의 위상을 계승하려고 시도하고, 20세기에 중국이 청나라의 영토를 물려받으려 노력한 점을 연상시킵니다. 바로 이 맥락에서 고구려는 한국사의 서사에서 필수적인 요소가 되었으며, 발해의 멸망 이후 고구려의 계승을 표방한 국가가 한국뿐이었던 점은 [ 고구려를 삼한의 일부로 보는 인식 ]을 일반화시켰습니다. 그리하여 한국사는 고조선, 부여, 발해 등을 포괄하게 되었는데, 이들과 삼한은 물론 고구려를 통해 연결되었습니다. 그러므로 간추려 말한다면 한국사의 구조는 북방과 남방이 고구려를 매개로 결합하는 형태를 띠며, 이 관점은 신라의 ‘삼한일통’ 선언에서 기원하였고, 그 결과 한국사는 ‘삼한’이 계속 북쪽으로 확장되는 전개를 보인다고 할 것입니다. 4
이 게시판에 등록된 meson님의 최근 게시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