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4/12/08 09:20:45수정됨
Name   삼유인생
Subject   그럼에도 불구하고, 내가 차가운 거리로 나서는 이유
아래 당근매니아님의 글을 보고, 참 많은 공감을 했습니다. 이 불법계엄 내란 사태 이전까지 저도 거의 같은 생각이었죠.

1997년, 한보비리와 김현철의 전횡에 맞선 대학생들의 거리시위가 제 인생 첫 집회였습니다. 중간 중간 여러 상황이 있었고, 시시때때로 집회와 시위에 참여해 살던 '40대 진보대학생'의 전형이랄까요.

당연히 미선이효순이 사건과 촛불시위, 광우병 집회, 박근혜 탄핵 집회는 거의 대부분을 참여했지요. 그리고 박근혜 탄핵 집회 시기에는 애가 없었습니다. 자발적 딩크족이었지요.

애키우는 아빠가 주말에 어딜 갑니까? 아무리 명태균이가 어쩌고, 선거 여론조작이 어쩌고, 쪼그마한 파우치가 어쩌고 해도 '뭐 잘못 투표한 책임을 국민들도 느껴야 하고, 언론도 박살나야 한다'라는 생각에 굳이 집회에 참여할 생각이 없었습니다. 그리고 탄핵이라는 게 그리 쉽게 되지도 않고 되어서도 안된다는 생각도 했지요.

그런데, 나라가 잠시 몇 시간 동안 권위주의 독재 정권으로 회귀했다가 돌아온 사건 이후에는 매일 밤 잠을 이루기가 어려웠습니다. 적어도 제가 중고등학교를 다니던 시절 이후에는 한 번도 의심해본 적이 없던 '표현의 자유', '집회 결사 출판의 자유', '자유롭고 공정한 선거'라는 그냥 선진민주주의 국가의 당연한 삶이 순식간에 박살날 뻔한 경험이 주는 트라우마겠지요.

꿈에서 가끔 계엄이 펼쳐지기도 하고 늘 뒤숭숭하고 푹 잠들지 못합니다. 딸램과 평화롭게 9시쯤 잠들었다 연구소 행정실장의 새벽 1시 반 전화를 받고 깬 이후에는 계속 그렇습니다.

저는 괜찮습니다. 국격 개판나도 그냥 한국에서 살면 되고, 번듯하고 좋은 직장 다니고 연봉도 괜찮고 자산도 있습니다. 어찌저찌 30년 정도 더 살면서, 말년에는 책읽고 글이나 쓰면서 소일하면 그만입니다. 쓰고 싶은 책 주제도 많고, 방통대에서 다니고 싶은 과정도 있습니다. 그런 거 하고 살면 됩니다.

근데, 결국 딸바보한테는 딸이 문제입니다. 내 딸이 '대한민국 국민'의 국적을 갖고, 이 땅에서(외국을 다녀오든 말든) 안전하고 자유롭고 행복하게 살아야 하는데, 그게 흔들린다는 것. 그걸 도저히 견딜수가 없습니다.

연구소 전망실 소속 동료와 내란 사태 직후에 점심 먹으면서 이 사태가 한국 경제에 미칠 영향에 대해 대화를 나눴는데(저랑 동갑인 경제학 박사), '항구적 데미지'를 입기는 할 것 같다는 것에 동의를 했습니다. 그래도 우리의 회복력을 믿어볼 수 밖에요. 그 회복탄력성의 탄성에 0.0000x라도 도움이 되자는 심정, 어쩌면 어제 그 추운데 혼자 나가는 마음의 한 켠을 차지하던 마음의 조각이 아니었을까 싶기도 합니다.

아마 다음 주나 다다음주는 나가기가 어려울 겁니다. 미리 잡혀 있는 일정들이 있어서요. 육아 아빠의 삶이란 게 7년전 때 처럼 주말마다 당연히 운동화 끈 묶고 핫팩 챙겨서 나갈 수 없게 만드니까요.

그래도 어떻게든 짬을 내서 나갈 겁니다.

'이 짓을 또 하게 되다니...'

그런데 뭐 저 정도면 충분히 선진민주국가 자유시장경제의 혜택을 받고 살아온 사람이고, 이는 산업화 세대의 땀과 눈물, 민주화 세대의 피의 댓가였다는 걸 알고 있으니, 이건 그 다음인 우리 세대에게 주어진 '안정화 임무'로 인식합니다.

어차피 근대국가 형태로 굴려온지 100년이 안되는 나라입니다. 초고속 압축 성장에 누군가는 댓가를 지불해야지요. 그나마 우리세대가 내는 비용은 그리 비싼편은 아니네요.

여담이지만, 어제 여의도 한복판에서 서 너명의 젊은 여성이 돌아다니면서 외치는 걸 들었습니다. "저희는 탄핵에 반대합니다.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를 지켜야 합니다!" 사람들은 관심조차 주지 않았지만, 제 관심은 끌었습니다. 화나지 않고 웃겼지요. 지금 늬들이 막 떠들 수 있는 그 권리 하나 만들자고 죽어간 사람들이 몇인 줄이나 아냐 라는 생각이 들었지만, 그 다음에는 이런 생각으로 이어지더군요.

'그래 내가 늬들의 황당한 사고체계를 바꿀 수는 없겠지만, 사는 동안 만큼은 그 얼토당토 않은 사고방식이 세상을 망치지 않게 상쇄하는 숫자 1로는 살아야겠다'

당근매니아님. 그동안 고생 많으셨습니다. 저는 조금만 더 고생하겠습니다.



40
  • 같이 고생합시다


수고하셨습니다
1
수고하셨습니다. 계속 힘내보아요!
1
카르스
어느 정도의 항구적 데미지는 못 피한다고 해도, 위기 극복 속도와 항구적 데미지의 수준은 우리가 정하겠죠.
더 나아가, 이 사태가 수습되고 재발방지책을 위한 개헌과 민주당의 진보적 어젠다(연금개혁, 밸류업 등) 등이 속전속결로 통과된다면, 도리어 한국의 강한 회복탄력성만 강하게 인증하고 더 발전하는 계기가 될 거라 기대해봅니다.

수고 많으셨고, 힘든 시기를 같이 이겨봅시다. 이 어려운 시기가 박근혜 탄핵 후 10여년간 이어진 진보의 완성으로 후대에 기억되길.
4
수고 많으셨습니다
1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5185 정치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제2차 변론준비기일 방청기 8 시테 25/01/03 1375 25
15184 일상/생각요즘 느끼는 소소한 행복 5 큐리스 25/01/03 975 10
15183 정치한국 정치에 대해 또 다른 주제로 투표하는 미국분들 1 kien 25/01/03 1228 0
15182 기타요즘 보고 있는 예능(17) 김치찌개 25/01/02 858 0
15181 방송/연예2024 걸그룹 6/6 6 헬리제의우울 25/01/01 1146 26
15180 정치해외도박사이트의 윤석열 4월 이전 탄핵확률 추이 7 kien 25/01/01 1822 0
15178 일상/생각2024년 취미 활동 결산 메존일각 24/12/31 826 8
15176 생활체육2024년 내란모의 GOAT 운동 결산 4 danielbard 24/12/30 1183 2
15175 도서/문학마르크스가 본 1848년부터 1851년까지의 프랑스 정치사 3 카페인 24/12/30 1069 6
15174 일상/생각지옥길을 걷고 있다면, 7 호미밭의파스꾼 24/12/30 1400 38
15173 스포츠[MLB] 코빈 번스 6년 210M 애리조나행 김치찌개 24/12/30 586 0
15172 스포츠[MLB] 폴 골드슈미트 1년 12.5M 양키스행 김치찌개 24/12/30 607 0
15171 음악[팝송] 카일리 미노그 새 앨범 "Tension II" 2 김치찌개 24/12/30 570 0
15170 여행[2024 나의 이탈리아 여행기] 1. To Rome 2 Omnic 24/12/29 706 7
15169 방송/연예오겜2 짧은 후기 3 Leeka 24/12/29 872 0
15168 도서/문학밀란 쿤데라가 보는 탄핵정국 sisyphus 24/12/28 1097 1
15167 정치한강과 이영도: 사랑보다 증오가 쉬운 세상에서 2 meson 24/12/28 1058 7
15166 음악[팝송] 더 스크립트 새 앨범 "Satellites" 김치찌개 24/12/28 560 0
15165 오프모임내란 수괴가 만든 오프모임(3) 14 노바로마 24/12/28 1249 1
15164 일상/생각공부가 그리워서 적는 대학 첫 강의의 기억 10 골든햄스 24/12/27 1122 12
15163 정치검찰 김용현 구속기소 보도자료.jpg 21 매뉴물있뉴 24/12/27 1755 1
15162 일상/생각외줄과 그물 2 호미밭의파스꾼 24/12/27 833 4
15161 의료/건강코로나19 실험실 유출설 11 토비 24/12/27 1198 0
15160 육아/가정산타할아버지는 알고 계신대 후기 2 Picard 24/12/27 837 1
15159 정치10월 유신 간단정리 4 매뉴물있뉴 24/12/27 1148 2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