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15/11/08 15:48:04 |
Name | F.Nietzsche |
Subject | 남규한의 사진 레시피 - 비오는 밤 |
사진 갤러리에 사진을 올리다 저의 사진 작업 방식을 공유하고 싶은 생각이 불현듯 들었습니다!! 사진을 선별하는 작업부터 보정하여 최종 이미지를 만드는 것까지 제가 작업하는 컴퓨터 옆에 의자를 하나 두고 지켜보는 듯한 느낌으로 전체 과정을 볼 수 있는 강좌입니다. 일단 짧은 걸로 하나 올려보고 여러분들의 피드백을 보고 계속 진행할지 결정하겠습니다 으흐흐흐흐흐 이왕 시작해 보는거 좀 길게 했으면 좋겠습니다. 퍼가기나 좋아요를 많이 눌러 주시면 작성자에게 힘이 될 것 같습니다!! 6
이 게시판에 등록된 F.Nietzsche님의 최근 게시물
|
예전에 맥북 쓰던 기억을 더듬어 보면, Ctrl 키를 누르고 마우스 휠을 돌리면 화면 확대/축소가 되던 걸로 기억합니다.
https://support.apple.com/kb/PH11488?locale=ko_KR
https://support.apple.com/kb/PH11488?locale=ko_KR
제가 서울말을 못하는 관계로 좀 부끄부끄 합니다... 크크
디지털 사진에서의 보정은 필수입니다. 프로들의 사진도 당연히!! 보정을 거친거구요.
좀 어렵지만 기술적으로 들어가면, 카메라의 센서(CCD)는 픽셀마다 RGB값을 다 따로 받아들여서 보간(interpolation)을 거쳐 색을 조합해 냅니다.
(물론 시그마에서 사용하는 포비온 센서는 필름처럼 한 픽셀에 RGB를 동시에 받기도 합니다만)
그래서 보통은 뿌연 이미지가 나오게 되구요. 또한 이런 뿌연 원래 이미지는 보정을 염두에 둔다면 더 좋은 상황입니다.
이미 한쪽으로... 더 보기
디지털 사진에서의 보정은 필수입니다. 프로들의 사진도 당연히!! 보정을 거친거구요.
좀 어렵지만 기술적으로 들어가면, 카메라의 센서(CCD)는 픽셀마다 RGB값을 다 따로 받아들여서 보간(interpolation)을 거쳐 색을 조합해 냅니다.
(물론 시그마에서 사용하는 포비온 센서는 필름처럼 한 픽셀에 RGB를 동시에 받기도 합니다만)
그래서 보통은 뿌연 이미지가 나오게 되구요. 또한 이런 뿌연 원래 이미지는 보정을 염두에 둔다면 더 좋은 상황입니다.
이미 한쪽으로... 더 보기
제가 서울말을 못하는 관계로 좀 부끄부끄 합니다... 크크
디지털 사진에서의 보정은 필수입니다. 프로들의 사진도 당연히!! 보정을 거친거구요.
좀 어렵지만 기술적으로 들어가면, 카메라의 센서(CCD)는 픽셀마다 RGB값을 다 따로 받아들여서 보간(interpolation)을 거쳐 색을 조합해 냅니다.
(물론 시그마에서 사용하는 포비온 센서는 필름처럼 한 픽셀에 RGB를 동시에 받기도 합니다만)
그래서 보통은 뿌연 이미지가 나오게 되구요. 또한 이런 뿌연 원래 이미지는 보정을 염두에 둔다면 더 좋은 상황입니다.
이미 한쪽으로 치우쳐 버린 이미지는 보정 관용도가 떨어지거든요.
누군가가 그려놓은 스케치북보다 깨끗한 흰 스케치북에 자유롭게 그림을 그리는 것이 훨씬 편하다는 것과 비슷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디지털 사진에서의 보정은 필수입니다. 프로들의 사진도 당연히!! 보정을 거친거구요.
좀 어렵지만 기술적으로 들어가면, 카메라의 센서(CCD)는 픽셀마다 RGB값을 다 따로 받아들여서 보간(interpolation)을 거쳐 색을 조합해 냅니다.
(물론 시그마에서 사용하는 포비온 센서는 필름처럼 한 픽셀에 RGB를 동시에 받기도 합니다만)
그래서 보통은 뿌연 이미지가 나오게 되구요. 또한 이런 뿌연 원래 이미지는 보정을 염두에 둔다면 더 좋은 상황입니다.
이미 한쪽으로 치우쳐 버린 이미지는 보정 관용도가 떨어지거든요.
누군가가 그려놓은 스케치북보다 깨끗한 흰 스케치북에 자유롭게 그림을 그리는 것이 훨씬 편하다는 것과 비슷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제가 예~~~전에 작성한 후보정에 대한 고찰도 한 번 읽어 보세요 흐흐
http://cy.cyworld.com/home/25421739/post/4C0BDDEC7015743A5BE88401
http://cy.cyworld.com/home/25421739/post/4C0BDDEC7015743A5BE88401
무보정을 일종의 미학으로 삼으시는 작가들도 있긴해요. 필름때부터 이어져오는건데 필름때 가장 쉬웠던 보정 중 하나는 사진을 크롭시켜서 사진 가장자리에 불필요한 것들을 사후에 삭제시켜 사진속 주제에 더 집중할 수 있도록 구도 보정을 많이 했거든요.
보정을 안한 사진들은 프레임 끝자락이 칼처럼 깨끗하게 끝나지 않고, 마치 물들여 놓은 것처럼 프레임 가장자리가 뿌옇게 끝나게 됩니다. 거기서 칼로 잘라야 우리가 흔히 보는 사진 처럼 프레임 가장자리가 깨끗하게 되는데, 일부 무보정임을 표시하고 싶었던 작가들은 일부러 사진 가장자리를 자... 더 보기
보정을 안한 사진들은 프레임 끝자락이 칼처럼 깨끗하게 끝나지 않고, 마치 물들여 놓은 것처럼 프레임 가장자리가 뿌옇게 끝나게 됩니다. 거기서 칼로 잘라야 우리가 흔히 보는 사진 처럼 프레임 가장자리가 깨끗하게 되는데, 일부 무보정임을 표시하고 싶었던 작가들은 일부러 사진 가장자리를 자... 더 보기
무보정을 일종의 미학으로 삼으시는 작가들도 있긴해요. 필름때부터 이어져오는건데 필름때 가장 쉬웠던 보정 중 하나는 사진을 크롭시켜서 사진 가장자리에 불필요한 것들을 사후에 삭제시켜 사진속 주제에 더 집중할 수 있도록 구도 보정을 많이 했거든요.
보정을 안한 사진들은 프레임 끝자락이 칼처럼 깨끗하게 끝나지 않고, 마치 물들여 놓은 것처럼 프레임 가장자리가 뿌옇게 끝나게 됩니다. 거기서 칼로 잘라야 우리가 흔히 보는 사진 처럼 프레임 가장자리가 깨끗하게 되는데, 일부 무보정임을 표시하고 싶었던 작가들은 일부러 사진 가장자리를 자르지 않고 뿌옇게 남겨두어서 해당 사진이 크롭되지 않은 원본임을 표시하곤 했습니다.
제 개인적으로는 무보정을 고집하는 작가들이 나쁠 것도 없지만, 자신은 촬영 현장에서 바로 이런 예술적인 장면을 포착할 능력이 갖추었다는 약간의 허세끼가 담겨있다고 생각합니다.
2000년대 초반 디지털 도입과, 날이 갈수록 쉬워지는 후보정으로 예전에 넘기 힘들었던 프로의 벽이 허물어지고, 프로와 아마의 경계가 옅어지면서 이런 프로들의 \'너네 아마들은 현장에서 이런거 바로 찍을 수 있는 사진 스킬없이 다 보정빨이지?\' 허세끼있는 모습이 그 당시에 자주 보였었는데, 사실 후보정과 각종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기존에는 볼 수 없었던 아름다운 효과와 진기한 촬영방식들이 사진 표현의 폭을 넓혀주어서 갈수록 보정의 비중은 커지고 있습니다.
보정을 안한 사진들은 프레임 끝자락이 칼처럼 깨끗하게 끝나지 않고, 마치 물들여 놓은 것처럼 프레임 가장자리가 뿌옇게 끝나게 됩니다. 거기서 칼로 잘라야 우리가 흔히 보는 사진 처럼 프레임 가장자리가 깨끗하게 되는데, 일부 무보정임을 표시하고 싶었던 작가들은 일부러 사진 가장자리를 자르지 않고 뿌옇게 남겨두어서 해당 사진이 크롭되지 않은 원본임을 표시하곤 했습니다.
제 개인적으로는 무보정을 고집하는 작가들이 나쁠 것도 없지만, 자신은 촬영 현장에서 바로 이런 예술적인 장면을 포착할 능력이 갖추었다는 약간의 허세끼가 담겨있다고 생각합니다.
2000년대 초반 디지털 도입과, 날이 갈수록 쉬워지는 후보정으로 예전에 넘기 힘들었던 프로의 벽이 허물어지고, 프로와 아마의 경계가 옅어지면서 이런 프로들의 \'너네 아마들은 현장에서 이런거 바로 찍을 수 있는 사진 스킬없이 다 보정빨이지?\' 허세끼있는 모습이 그 당시에 자주 보였었는데, 사실 후보정과 각종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기존에는 볼 수 없었던 아름다운 효과와 진기한 촬영방식들이 사진 표현의 폭을 넓혀주어서 갈수록 보정의 비중은 커지고 있습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