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4/04/02 04:33:31수정됨
Name   소요
Subject   감사의 글
1.

학위논문 디펜스를 끝냈어요. 눈물을 주륵- 흘리거나 하지는 않았어요. 감정적인 파고는 적당한 수준이에요. 심드렁하기보다는 여러 감정들이 섞여서 오히려 절묘하게 균형을 유지하고 있어요.

이런 느낌은 다른 한 편으로는 쌓여있는 일거리들이 많아서도 커요. 여전히 굴러가는 프로젝트가 2개, 수정해야 하는 논문들이 2개, 쓰다가 멈춰둔 논문이 3개, 다음 주에 전미교육학회에서 발표하러 필라델피아로 가야하고, 학위논문 수정사항에도 대응해야 하고, 여름에 쪼개서 어디 내보려면 데이터도 확장해야 하고 흠... 무엇보다도 구직에 더 시간을 많이 써야하고요.

2.

유학을 떠나기 전에 홍차넷에 글을 올리며 원양어선에 탄다고 적었어요. 지금도 생각은 비슷해요. 타보니 통통배에 선장 하나 선원 하나인건 함정이기는 한데... 생선 잡아서 회도 좀 뜰 줄 알았더니 선장님이 "사실 여태까지 회는 동료가 떴어^^"하며 매운탕만 끓일 줄 아는 것도 함정이기는 한데... 어찌어찌 둘이서 멸치 좀 잡고, 가끔 참치도 잡고 하면서 우당탕탕 잘 지내왔어요. 코로나라는 파도가 한 번 몰아치기는 했지만, 저만 겪었던 것도 아니고 전 별 스트레스 없이 넘겼었어요.

왜 안정적이었는가를 돌이켜보면, 어선 타려고 준비할 때 정서적이든 인지적이든 많은 경험을 했어서 그래요. 주관적으로 느끼기에는 불안정한 정도가 컸었어요. 그 불안정성이 다양한 경험의 원인인지 결과인지는 모르겠어요. 그 과정들을 겪어내면서 우리가 삶에서 마주할 수 밖에 없을 필연적인 실패와 고통들에 대한 생각을 많이 했어요. 그게 힘든 마음들을 덜어주지는 않아요. 하지만 실패와 고통 앞에서 흔들리는 나나, 타자나, 혹은 관계 그 자체를 보다 긍휼한 마음으로 바라보는데 10g 정도는 도움이 되더라고요.

3.

불안정한 시기에 나와 타자의 삶들을 이해하기 위해 서사로 묶고 풀어보는 작업을 많이 했었어요. 일기를 쓰면서 나는 왜 이랬을까, 너는 왜 그랬을까 하는 일들이요. 그 안에서 의미를 찾아보려는 일들은 결국 미메시스(Mimesis)로서의 세계를 구축하는 작업일 수 밖에 없었어요. 이미 문화화 된 경험 자체를 다시금 타자에게 공유하기 위해 코드화 하는 과정 속에서 도려지는 작은 감정과 순간들이 많았어요. 하지만 그런 감정과 순간들을 버리는 것이 윤리적으로 옳지 않다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그래서 어느 정도 되었으면 다시 풀어버리고 또 다시 묶어버리고 하다가, 그저 마음 한 구석에 이름 붙이지 않고 가능한 오래 남겨두기로 한 감정과 순간들이 생겼어요.

영문학을 전공한 선배는, 불편하고 갑갑한 마음들에 익숙하도록 해주는 것이 문학의 힘이 아닐까 하는 이야기를 했어요. 삶은 우리가 막연히 기대했던 것 이상의 모습들을 보여주고, 우리가 계측할 수 있는 이상의 복잡성을 드러내며, 자신과 타자는 스스로가 믿는 그 이상으로 모순적인 존재일 수 밖에 없음에, 세계 내에서 살아가는 우리에게 불가해한 순간들은 언제나 주어져요. 그 불가해함이 고통스러운 누군가는 상징적으로 자신을 죽이거나 타자를 죽이거나 하는 식으로 마음을 지킬 방법을 찾아요. 그것이 '말이 그렇다는 거지~' 수준으로, 본인도 이 순간을 넘기기 위한 일시적인 마음의 행위라는 걸 알면 다행인데, 어떤 경우에는 그 죽음이 영구해서 생각보다 오래도록 상처를 입히더라고요. 그러니 우리는 불편하고 갑갑한 순간들에 익숙해져야 하는 것이 아닐까. 마음의 근육이란 불가해한 모순을 그대로 바라보는 힘을 주는 것이 아닐까. 이해할 수 없고 답답한 감정들을 길어내주는 문학의 일부가 그런 면에서 우리의 삶에 필요한 게 아닐까. 그런 생각을 종종 했어요.

4.

내가 나에게 건네는 내적 말에 어떤 서사를 담아야 할지도 종종 고민했어요. 언제나 그랬었는지 현대만 그러한지 모르겠지만, 주변은 자기연민의 서사로 가득차 있고, 그 연민이 자신을 벗어나 타인에게로 넘어가는 범위는 생각보다 좁더라고요. 저도 그런 자장에 항상 놓여있고요. 하지만 기왕이면 다른 서사를 - 그것이 설령 어떤 면에서 기만일지라도 - 만들어가는 것이 낫지 않나 싶어요.

2018년 여름이 너무 더웠어서 노가다 뛰다가 이건 물리적으로 죽겠다 싶었던 날들이 있었어요. 원양어선에서 일하던 처음에는 그 때 죽을만큼 더웠던 기억을 많이 썼어요. 아무리봐도 그 때랑 비교하면 지금이 천국 아닌가? 하는 마음이었죠 ㅋㅋ

하지만 점점 시간이 지나면서는 다른 기억과 경험들로 힘을 채워야겠다는 생각을 했어요. 교환학생 시절 프랑스 교수님이 유학 준비 때 뭐가 되든 자기가 도와줄 수 있는 것을 알려달라던 순간, 대학도 안 나온 동네 친구들이 멀리로 박사하러 간다니 모두 모여 고기를 구워주던 순간, 할머니 교수님이 어설픈 영어로 적은 과거의 성찰들에 감동했다고 칭찬해주던 순간, 어드바이저가 열심히 논문 작업 같이 하고 나서 5천만큼 고마워~라고 메일에 적어주던 순간, 오랜만에 한국 들어오면 다들 버선 발로 달려나와 회포를 풀고 얘기를 나누던 순간, 박사 학생회 친구들이랑 풀밭에서 고기 구워먹던 순간, 이제는 하늘로 간 친구랑 맥주 마시며 젠더 이슈나 박사생활에 대해 토론하던 순간, 어머니가 힘들면 언제든지 때려쳐도 된다고 하다가도 지금 과정이 석사니? 헷갈려해서 웃었던 순간, 동생들이 어색어색해하며 사랑한다고 힘내라고 하는 순간, 아내가 밥 안해주냐고 찡찡거리다가도 요리하다 피가 나니 울려고 하는 순간, 아내가 대학원에 합격해서 같이 댄스댄스 추던 순간 등등이요.

그런 기억들은 대부분 뜨겁기보다는, 따뜻한 감사의 순간들이었어요.

5.

그래서인가 논문 통과해서 축하받을 때보다, 오히려 학위논문 앞머리에 헌사와 감사의 글을 적을 때 눈물이 살짝 나더라고요. 그리고 감사의 대상 중 하나로 여기 홍차넷도 적었습니다. 다른 몇몇 모임들과 함께 소속감과 연결감을 제공해준 것에 감사하다고요. 님들은 이제 ProQuest Dissertations & Theses Global의 한 페이지의 한 줄로 들어가게 되신겁니다.

아무것도 모르고 유학 준비할 때 서류 작성 도와주시고 사람들을 소개해주신 기아트윈스님,
요리 레시피 알려주시고 연애 상담도 해주시고 항상 응원해주신 문학소녀님,
이래저래 불안하던 시절부터 서로 응원하면서 30대 초를 보낸 거소님께 특히 감사하다는 말을 남깁니다.
함께 몇 년 동안 일한 운영진 분들에게도 감사하다는 말을 남깁니다.

그리고 종종 과정을 공유할 때 응원해주셨던 회원님들과, 제가 하나씩 아이디를 적지는 못하지만 (본인도 예측 못하시겠지만) 마음으로 애정하는 많은 분들 ㅋㅋㅋㅋ, 어찌되었던 이 작은 공간에서 지지고 볶으며 함께 시간을 보내온 모든 분들에게 감사드려요.

그 작은 감사한 순간들이 쌓이고 쌓여 무사히 학위논문까지 마치게 되었어요. 박사 끝낸거야 작은 일이겠지만, 주변에 감사하는 마음은 그보다 더 컸으면 좋겠어요.



74
  • 소박한 소박사 축하!
  • 닥터!
  • 독타!
  • 박사는 추천
  • 박사님!!!
  • 수고하셨습니다!
  • 마참내!!
  • 축하드립니다 닥터!
  • 축하드립니다!
  • 추카추카추!!!!!!!


이것은 가문의 영광..!
샤라웃!
라임오렌지나무
축하드립니다!
ㅎㅎㅎ 감사합니다. 언젠가 한국에서 뵐 날이 있었으면 좋겠네요.
박사님 축하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박사님 :) 지난 번 한국 갔을 때 꼭 들렸어야 했는데!
1
앞으로 펼쳐질 삶도 진심으로 응원 드리며- 아름다운 글과 연구로 세계를 풍성하게 해주시리라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미국에서든 한국에서든 어디서든 뵐 수 있는 날 즐겁게 기다리겠습니다-^^
축하드려요!!! 멋지십니다.
1
항상 응원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오오 닥터 소요레인지...
멀티버스에서는 교육학 말고 다른 전공으로 박사를 ㅋㅋㅋㅋ
그동안 수고 많으셨습니다! 꽃길만 걸으십시오.
쇠약해져버린 건강부터 회복하고 싶읍니다 ㅎㅡㄱ흑
1
곤살로문과인
척척박사!
하지만 점점 더 아무것도 모르겠습니당...
오오 샤라웃(?) 감사합니다.
다시한번 츄카츄카 드리며 그런 의미에서 오늘은 맛난거 드십시오
치킨과 막걸리라면 해피해피
메존일각
마참내!! 축하드립니다 축하드립니다!!
항상 응원해주셔서 감사합니다!
1
메존일각
한국에 오시거든 뵐 수 있기를. :)
홍차넷의 축하를 며칠 동안 뽑아가고 있습니다 ㅋㅋ
1
하마소
축하드리읍니다. 앞으로의 바다는 더 넓을 거예요. 그래도 오랜 시간을 함께 할 동반자가 있으니 잘 헤쳐나가시리라 믿읍니다. 행복하세요!
앞으로도 잘 헤쳐나가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골든햄스
닥터!
햄스햄스!
집에 가는 제로스
축하드립니다!
항상 응원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애정합니다 ㅋ_ㅋ
이건마치
어느새 이 많은 시간과 이야기가! 축하드려요!
기억으로는 찰나인데, 몸과 마음에 쌓인 시간들은 꽤나 무거워서 시간을 계속 떠오르게 만드네요 ㅎㅎ 감사합니다!
휴리스틱
축하드립니다, 박사님! 박사님께서 종종 티타임에 올려주시던 글들이 홍차넷의 보석과도 같이 소중한 글들이라 생각했답니다. 이제는 한숨 돌리시고 마구마구 행복해지시길!!
4
감사합니다! 연재를 이어가야 하는데, 우선 졸업까지 남은 일들부터 호다닥 ㅋㅋㅋㅋ
서포트벡터
웰컴 투 박사월드! 환영합니다 회원님 ㅋㅋ
1
따라갑니다 선배님들 ㅋㅋㅋㅋ
1
스피드 음주학 박사님?ㅋ
축하드립니다
박사하면서 건강이 쇠약해져서 이제는 불가능합니다 ㅋㅋㅋ 감사합니다!
kaestro
제 이름이 없어서 비추드립니다ㅋㅋ
척척박사가 되신걸 축하드립니다. 앞으로의 여정도 폭풍우가 몰아치고 우당탕탕일 수 있겠지만, 포기하지 않고 묵묵하게, 그렇지만 주변의 위로도 받으면서 이를 해쳐나가시길 기원합니다.
에잉 아시면서 ㅋ_ㅋ 묵묵한 노력과, 요란하게 위로를 구하는 사이에서 균형을 잘 잡고 싶습니다 ㅎㅎ
박사님 축하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박사 생활의 완성도를 누가 묻는다면 8할이라 해야겠습니당
린디합도그
앞으로도 쭉 잘 사세요 화이팅
여유가 나면 댄스댄스도 배워보고 싶습니당
경계인
박사님 축하드립니다. 당시에는 길고 긴 외로운 시간이었던 것 같은데, 그래도 사람이라고 서서히 잊혀지더라고요. 화이팅입니다.
감사합니다! 돌이켜보니 순식간이네요 ㅎㅎㅎ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3000 일상/생각딸아이는 자스입니다. 13 세상의빛 22/07/15 5858 140
10267 일상/생각아들놈이 대학병원에서 ADHD 판정을 받았습니다 59 아나키 20/02/06 6789 134
10237 일상/생각엄마 덴마크가 나 놀렸어요 ㅜㅠ 67 구밀복검 20/01/29 17764 115
8895 요리/음식영국 음식이 맛이 없는 과학적인 이유 115 문학소녀 19/02/22 9830 113
12688 오프모임분홍차넷 졸업과 새로운 입학의 건 172 Profit 22/04/01 7724 108
8839 사회지금 일어날 수도 있는 일 40 엘라 19/02/05 10049 103
15348 경제[개업인사] 법률사무소 간성 김태웅 변호사 개업인사 135 김비버 25/03/31 1759 102
9526 일상/생각[단상] 결혼을 수선하다. 35 다람쥐 19/08/08 6840 91
12969 일상/생각아이스크림 마이따 아이스크림 (50개월, 말문이 터지다) 68 쉬군 22/07/05 4785 84
8177 사회강제추행으로 법정구속되었다는 판결문 감상 - 랴 리건.... 29 烏鳳 18/09/07 69757 83
9541 일상/생각떠나며 56 호라타래 19/08/13 6985 82
8188 창작고백합니다 42 파란아게하 18/09/09 7767 82
10880 일상/생각타임라인에서 공부한 의료파업에 대한 생각정리 40 거소 20/08/25 9396 77
8855 사회북한은 어떻게 될까 - 어느 영국인의 관점 83 기아트윈스 19/02/12 8122 77
14571 일상/생각감사의 글 44 소요 24/04/02 2606 74
11865 일상/생각귀여운 봉남씨가 없는 세상 35 문학소녀 21/07/09 4895 74
9660 일상/생각[펌] 자영업자의 시선으로 본 가난요인 32 멍청똑똑이 19/09/13 12273 72
13386 육아/가정포스트 아포칼립스물의 세계관 최강자가 66 문학소녀 22/12/09 4454 71
13100 일상/생각자폐 스펙트럼과 일반인의 경계에서 살아온 사람의 이야기 14 카르스 22/08/21 7363 71
12439 기타[홍터뷰] 예고편: 영업왕 다람쥐 44 토비 22/01/14 5704 71
10195 경제홍차넷 50000플 업적달성 전기 78 파란아게하 20/01/17 7230 71
12597 일상/생각동생의 세계 21 하얀 22/03/09 5880 70
12376 일상/생각구박이는 2021년에 무엇을 어떻게 먹었나 61 구박이 21/12/23 6223 70
12464 기타[홍터뷰] 다람쥐 ep.1 - 영화광 다람쥐 36 토비 22/01/25 5851 69
12622 사회홍차넷의 정치적 분열은 어떻게 변해 왔는가? - 뉴스게시판 정치글 '좋아요'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67 소요 22/03/13 7193 67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