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3/12/14 15:23:57
Name   레이미드
File #1   Image_20231214_143449.png (185.0 KB), Download : 3
Subject   [펌] 임성근 전 사단장 진술서에 대한 해병대 생존병사 입장문


이 글을 [정치] 카테고리로 분류해야 되는 현실이 슬프네요..
  
————————————————-

   안녕하십니까, 예천 내성천 수해 현장에서 故채수근 상병과 함께 호우피해복구작전에 참여하였다가 급류에 휩쓸리는 사고를 겪고, 2023년 10월 24일 자로 만기 전역 한 해병대 예비역 병장입니다

저는 전역 이후 10월 25일에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을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에 업무상과실치상죄로 고소하였고, 고소인 조사도 받았습니다. 하지만 이후 수사가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잘 모릅니다. 임 전 사단장을 소환은 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한 달 전에는 이 사건으로 국정조사를 진행해달라는 안건이 국회 본회의에 올라갔다는

뉴스를 보았는데, 아직 국회의장이 처리를 하지 않고 있다는 소식도 들었습니다. 저나 수근이 모두 힘없고 평범한 사람들이라 우리의 피해는 대수롭지 않게 여기나보다 하는 생각에 실망감이 드는 날이 많았습니다. 제대로 밝혀지지도 않을 일, 괜히 일을 키운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기대했던 만큼 실망도 더 큽니다.

잊어보려고 노력해도 여전히 사고 당일의 기억이 떠오릅니다. 생사의 갈림길에서 가까스로 구조되었던 저는 땅을 밟자마자 아무 생각 없이 하류 쪽으로 뛰어갔습니다. 수근이를 찾아야 한다는 생각에 그랬습니다. 그러다 힘이 빠져 주저앉아 흘러가는 물을 지켜만 보던 그때의 무력감이 여전히 저를 힘들게 합니다. 현충원으로 수근이를 만나러 가려다가도 용기가 나지 않아 중간에 발을 돌린 날도 있었습니다. 우리 대원들 모두 평범하게 남들처럼 군복무를 했을 뿐인데 왜 죄책감과 미안함으로 서로를 기억해야 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그러던 중 며칠 전,

뉴스를 통해 임성근 전 사단장이 군사법원에 제출했다는 진술서를 보았습니다. 188페이지나 되는데 대부분 자신이 억울하다는 주장이었습니다. 그런데 그 진술서에는 제 이야기도 담겨있었습니다.

아무리 전역을 했다지만 제가 복무했던 부대에서 가장 높은 사람이었던 사단장을 고소하기는 쉽지 않았습니다. 명목상 임 전 사단장에게 제가 겪고 있는 PTSD 등의 피해에 대해 업무상과실의 책임을 묻고자 고소를 한 것이지만, 제가 정말 바랐던 것은 무척 자랑스럽게 생각해 온 해병대의 명예를 지키는 일이었습니다. 누구의 압력으로 인해 안전장비 하나 없이 물에 들어가는 무리한 수색이 진행된 것인지 알고 있으면서도, 수근이의 목숨을 앗아간 그 황당한 지시가 어떻게 나온 것인지 알고 있으면서도 쉬쉬하고, 숨기고, 아랫사람에게 책임을 떠넘기는 일이 해병대에서 아무렇지 않게 벌어지는 걸 지켜만 보고 있을 수가 없었기 때문입니다 저는 사고 현장에 있었던 당사자로서 진실을 밝히는 일

이 꼭 필요하다 생각했고, 그래서 사단장을 고소했습니다.

죄지은 사람이 자신을 변호하는 것까지 뭐라 할 생각은 없습니다. 그것도 그 사람의 권리라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사단장은 진술서에서 저를 맹비난했습니다. 제가 같이 작전에 투입된 다른 장병들의 숭고한 희생정신과 헌신적인 노력을

평가절하하고, 수근이의 고귀한 희생을 폄훼하는 명예훼손을 했다고 써놨습니다. 저도 그 작전에 투입되었던 사람입니다. 수해를 겪은 주민들을 위해 했던 고생과 보람을 스스로 깎아내릴 이유가 없습니다. 다만 우리의 피땀을 왜 사단장의 명예를 드높이기 위해 엉뚱한 방법으로 동원하다가 소중한

전우를 잃게 만들었는지 문제를 제기했을 뿐입니다

제가 병사라서 군대를 잘 몰라서 그런다는 말도 써놨습니다만, 다시 되묻고 싶습니다. 사단장 본인은 물에 들어가지 말라고 했는데 대대장이 이걸 어기고 물에 들어갔다고 주장하는 사단장에게 묻습니다. 사고가 난 날은 사단장이 시찰하러 온다고

다들 긴장해있었던 날입니다. 그런 날 대놓고 사단장의 명령을 어기고 무리하고 위험하게 작전을 수행하는 대대장이 존재할 수 있습니까? 사단장의 진술서가 사실이라면 사단장은 스스로 무능력하고 영향력 없는 사단장이었다는 걸 인정하는 것이나 다름 없습니다.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리려고 하지

마십시오. 지금이라도 떳떳하게 자기 책임을 인정하고, 수사를 받으십시오.

사단장은 제가 자유로운 의지에 따라 고소를 한 것이 아니라고 합니다. 취약한 제가 남에게 이용당하고 있다고 합니다. 아니요. 쉬운 결정은 아니었지만 저는 제 뜻으로 사단장을 고소했습니다.

제가 자신을 고소한 것

이 국민을 선동하고, 지휘권을 와해시키는 이적행위이고 북한의 사이버 공격의 한 형태라던데 제가 북한의 지령이라도 받고 일부러 사단장을 고소한 것입니까? 황당해서 뭐라 덧붙일 말도 없습니다만 지휘권을 우습게 만들고, 군인의 사기를 떨어뜨리며, 적을 이롭게 하는 것은 제가 아니라 임성근 전

사단장 자신이라는 말을 꼭 전해주고 싶습니다. 이 사람이 제가 사랑했던 해병대를 그만 우스꽝스럽게 만들었으면 좋겠습니다.

188페이지나 되는 진술서 어디에도 수근이의 명복을 빈다는 말이나 미안하다는 말이 없던데 참 씁쓸합니다. 아무쪼록 수사기관과 국회가 하루빨리 진실을 밝혀주시기를 간절히 바랍니다.

2023. 12. 14

해병대 예비역 병장 OOO 드림

출처 : 군인권센터 트위터 (@cmhrk) 계정



1


    세모셔츠수세미떡
    도대체 저 사단장이 뭐길래 일을 이지경으로 끌고오는건지 한심합니다 한심해.
    3
    용산 라인이죠
    3
    귤잠수함잠수중
    아하
    역겨운 것도 정도가 있어야 하는데 정말..
    2
    근데 아무리 자기 라인이라도 처음엔 덮으려고 쉴드 쳐줄지언정
    이 쯤 되면 슬슬 꼬리자르기 하지 않나요?
    저 같은 일개 소시민은 왜 이 지경이 되도록 이렇게 추악하게 끌고 가는 것인지 도저히 모르겠읍니다
    뭐 엄청난 은혜라도 입었나...
    1
    동파육
    군바리라는 존재가 어떻게 사회의 암적 존재인지 스스로 증명해주고있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복무할 때 인권교육이라고 국방대학에서 왔던 강사놈이 군인권센터 소장이 동성애자인데 감히 게이놈이 군대라는 위신 높은 조직에 대해 중상모략을 퍼붓는다고 하길래, 질문시간에 제가 그 군인권센터 후원자라고 밝히니까 갑자기 태도가 싹 바뀌더니 쩔쩔메던 한심한 모습이 기억나네요....
    1
    메존일각
    그런 의미가 아니신 건 알겠지만 의무 복무하는 병들도 다 군인입니다.
    대상을 좀 명확히 해주시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강사들도 현역은 아닐 것 같습니다.
    동파육
    병하고 간부는 구분해서 보는 편입니다.
    강사들은 현역 내지는 현역에 준하는 간부직급입니다. 실제로 파병과 관련된 정책에 관여하는 사람이더라구요.
    人在江湖
    지나친 일반화는 사람들의 이반(離反)화를 가져옵니다...
    동파육
    이반은 참 좋습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5111 정치제가 추측하는 향후 정치 방향 28 매뉴물있뉴 24/12/08 1989 1
    15110 정치국민의 힘에서 야당에 바짝 엎드리는 제안 정도는 나왔으면 좋겠네요. 8 kien 24/12/07 1579 0
    15108 정치한동훈이 내일 발표할 로드맵 유출 9 아재 24/12/07 1776 0
    15107 정치[불판] 12/7 (토) 대통령 불법 계엄 (4) 95 dolmusa 24/12/07 3769 0
    15105 정치[불판] 12/7 (토) 대통령 불법 계엄 (3) 145 swear 24/12/07 4739 0
    15101 정치[불판] 12/6 (금) 대통령 불법 계엄 (2) 130 dolmusa 24/12/06 3792 1
    15099 정치마땅히 감사해야 할 사람을 올바로 구분하는 정신 2 명동의밤 24/12/06 1354 16
    15096 정치[불판] 12/6 (금) 대통령 불법 계엄 112 dolmusa 24/12/06 3208 0
    15087 정치바이든의 사면, 하나 남은 도미노가 무너지면. 7 코리몬테아스 24/12/02 2082 9
    15069 정치이재명 위증교사 1심 판결 재판부 설명자료 5 과학상자 24/11/26 1863 5
    15046 정치이재명 1심 판결 - 법원에서 배포한 설명자료 (11page) 34 매뉴물있뉴 24/11/15 3270 1
    15038 정치머스크가 트럼프로 돌아서게 된 계기로 불리는 사건 4 Leeka 24/11/11 2101 0
    15030 정치 2기 트럼프 행정부를 두려워하며 13 코리몬테아스 24/11/07 2686 28
    15024 정치2024 미국 대선 불판 57 코리몬테아스 24/11/05 3375 6
    15004 정치명태균 요약.txt (깁니다) 21 매뉴물있뉴 24/10/28 2610 18
    14968 정치민주당계 정당의 성소수자 이슈에 대한 소극성, 어떻게 평가해야 하는가 21 카르스 24/10/08 2410 0
    14908 정치이재명 감상문 41 매뉴물있뉴 24/09/08 3063 0
    14906 정치의료 대란 - 출구전략은 없다. 43 JJA 24/09/08 2754 0
    14904 정치지금이 한국 정치사의 분기점일지도 모른다 5 meson 24/09/07 1978 8
    14900 정치요즘 세태를 보며 종종 생각하는 웃음벨 3인조 9 당근매니아 24/09/06 2519 6
    14836 정치가세연 김세의 부친상에 조화를 보낸 사람 17 당근매니아 24/08/10 3038 3
    14801 정치양당고착구도에 대한 짧은 고찰 - 제3정당들은 왜 양당에 흡수되었는가 10 카르스 24/07/22 2277 6
    14661 정치윤석열 정부 2년 국민 보고 및 기자회견 전문 (풀버전) 15 토비 24/05/09 2697 1
    14645 정치취소소송에서의 원고적격의 개념과 시사점 등 9 김비버 24/05/02 2599 7
    14644 정치경기북도로 인해 이슈가 되는 김포 14 Leeka 24/05/02 2767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