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3/11/14 13:44:27
Name   kaestro
Subject   주도권과 대응, 블루와 레드 간의 공방
이번 패치 버전에 왜 블루가 밴픽이 더 유리한 거예요?

라는 질문을 듣고 이에 대답하려고 글을 쓰는 과정에서 나는 이 개념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말을 쓰면 쓸수록 내가 하는 말에 모순이 있고 게임에 대한 이해에 한계가 있어 설명할 능력이 부족하다는 결론에 도달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그래, 그럼 키워드를 통해 내가 이해할 수 있는 한계 안에서만 설명하도록 노력해보자.라는 생각을 통해 내린 결론은

[주도권]의 블루, [대응]의 레드간의 이 균형이 깨졌기 때문에 이번 패치 버전은 블루가 더 강력하다는 것이었습니다.

물론 허점도 많고 이에 반하는 사례, 다른 관점에서 블루가 강한 부분도 많고 제가 이를 이해하지 못했거나 글로 풀어내 설명할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의견을 허심탄회하게 말씀해주시면 경청하도록 하겠습니다. 다른 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는 지가 궁금해서 써본 방구석 10년차 롤붕이의 헛소리니까요.




저는 밴픽에서 블루를 주도권, 공격자의 입장이고 레드는 대응, 수비자의 입장이라고 관점을 설정하고 이해하기로 했습니다. 그렇다면 공격자가 유리한 전장은 무엇이고 반대로 수비자가 유리한 곳은 어떤 곳일까, 이것이 이번 밴픽의 유불리를 이해하는 핵심이라고 생각합니다.

공격자의 이점은 전장을 선택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가령 t1 vs jdg에서 일명 1티어 챔피언으로 꼽히는 '오리아나, 럼블' 두 챔피언이 열려있는 상태에서 t1은 오리아나를 선택했습니다. 우리는 미드에서 상대보다 유리한 고점을 차지하고 전투를 임하겠다라는 자세이고, 이에 대해 jdg는 수비적이면서 기회를 엿보는 아칼리를 선택함과 동시에 럼블을 꺼내들었습니다. 상대의 공세에는 수비적으로 대응하고, 자신들이 더 강하게 나갈 지점을 선택하는 형태라고 할 수 있겠죠. 이에 대해 t1은 정글 주도권을 가져와서 미드의 공세를 강화할 수 있는 렐과 럼블을 상대로 수비적으로 대응 가능한 아트록스를 뽑아 자신들의 공수를 마무리하고, jdg는 바이를 뽑아 상대의 공세에 맞대응할 수 있는 수단을 꺼내듭니다. 동시에 아칼리 + 바이는 사이드에서 약점을 가진 오리아나를 상대로 언제나 한번의 수가 존재한다는걸 보여줘왔죠.

이런 일련의 과정들이 주도권과 대응이 밴픽에서 보여지는 형태라고 생각합니다. 오리아나(공격) -> 아칼리(수비), 럼블(공격) -> 아트록스(수비), 렐(공격) -> 바이(수비)로 완벽하게 표현은 가능하지만 분명 틀린 부분이 많을 이 설명은, 얼추 그럴싸하게 포장해서 제 이론이 맞아 보이게 여러분을 현혹할 수 있단거죠.

그렇다면 전장을 선택하는 공격자의 이점에 반해 수비자의 이점은 무엇일까요? 전통적인 전쟁의 관점에서 수비자의 이점은 상대보다 유리한 지형에서 상대가 오는 것을 기다린 뒤, 이를 받아칠 수 있다는 점일 것입니다. 물체로 표현하면 성벽이 있는 수비자가 공격자에 비해 유리하단거죠. 그런데 성벽이 존재하지 않은 수비자는 공격자에 비해 유리하다고 할 수 있을까요?(물론 제가 전쟁론을 제대로 공부해본 적이 없어 있는걸 모르는 부분이 많습니다만) 저는 그것이 이번 패치 버전에서 픽밴의 유불리를 따질 때 일반적으로 블루가 유리한 원인이라고 생각합니다.

좋아, 성벽이라고 이야기했는데 밴픽에서 성벽이 뭐야? 에 대해 대답하기 위해 저는 성벽이 왜 상대에 비해 답해야하고, 고민 끝에 우선 성벽이 있으면 왜 전투에서 유리한지로 눈을 돌리기로 했습니다. 제가 내린, 성벽이 전쟁에서 전장의 유리함을 가져다 주는 이유는, 상대가 가지고 있는 전장 선택 주도권을 부정한다는 부분입니다. 네가 먼저 때리려고하면 뭐해, 그래봤자 싸울 곳은 내가 원하는 곳에서 싸워야하는데? 그리고 이곳은 내가 더 유리하도록 준비가 다 돼있는걸?

그렇다면 밴픽 싸움에서 상대가 가진 공격 주도권을 부정하고 자신의 영역에서 싸우도록 끌어들이는 요소는 롤이란 게임에서 무엇일까요? 전 그것이 카운터 픽이라고 생각합니다. 이 부분은 좀 말이 되게 사기치고 싶었는데 제 혓바닥이 모자라서 매끄럽게 혀를 놀리지 못하겠네요. 그냥 예를 들어 설명을 해보겠습니다.

t1 vs jdg의 4세트에서 징동은 블루의 이점을 살려 블루 3픽에 아트록스라는 챔피언을 세팅해 두었습니다. 공격자의 주도권을 살리려면 t1은 이에 대응하기 힘들어야하는데 t1은 오히려 이를 요네라는 챔피언을 선택해서 본인들에게 유리한 전장이 되도록 만들었죠. 이와 유사한 것이 gen.g vs blg의 블루 1픽 잭스에 대응하는 레드 5픽 아트록스가 되고요. 이처럼 카운터 픽이라는 것은 상대가 선택한 전장이, 사실은 자신이 원하는 형태로 싸울 수 있는 곳이 되도록 바꾸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공격자의 주도권을 수비자가 뺏어온다는 시점에서 일종의 성벽과 같은 역할을 한다고 표현했습니다.




서론이 굉장히 길었는데, 제 최면 어플에 넘어가 위의 전제에 동의하게 되신 분들이라면 블루가 레드에 비해 현재 밴픽에서 유리를 점한다는 것이 '레드에서 카운터를 칠 수 있는 챔피언의 수가 적기 때문이다'라고 제가 주장하려한다는 것을 눈치채셨을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렇다면 정확하게 어느 라인에서 상대를 카운터치기 힘들기 때문에 블루가 레드에 비해 유리할까요? 전 그것이 미드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이를 단적으로 증명하는 것이 페이커 선수가 이번 월즈에서 사용한 챔피언이 '오리아나, 아지르, 사일러스' 단 세가지밖에 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를 증명한다 생각합니다.

현 패치버전에서 사용할 수 있는 미드 챔피언의 숫자가 적다고 이야기하는 이유는 미드 챔피언 간 성능의 격차가 너무 많이 나기 때문이고 이를 대표하는 챔피언들은 '오리아나, 니코, 아지르, 사일러스'라고 생각합니다. 많은 사람이 인지하듯 롤은 미드가 제일 중요한 게임이고, 미드 격차가 날 경우 게임을 이기기가 다른 라인에 비해 굉장히 힘듭니다. 그런 상황에서 가용 가능한 챔피언이 단 넷밖에 안되는데, 심지어 니코 오리아나를 상대할 때 후자의 둘은 굉장히 고생한다는 것까지 감안하면 레드팀은 밴픽에서 굉장한 페널티를 안고 경기를 진행한다고 이야기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추가적으로 이번 월즈에서 오리아나를 상대로 승리한 아지르는 페이커 선수 뿐이란 것을 감안하면 상대에게 오리아나/니코를 줄 경우 t1을 제외한 모든 팀은 성벽 없는 허허벌판에서 상대가 공격해 들어오는 것에 벌벌 떨어야하는 취약한 상태가 된다고 이야기할 수 있겠죠.




"나 롤 안해"라고 말하고 다니는 이제 손롤은 놓은지 좀 된 방구석 롤붕이가 대회 보면서 입롤하고 싶어서 헛소리 좀 길게 늘어놔 봤습니다. 최면어플에 함락당하신 분이시라면 추천을, 저항하셨다면 댓글이란 형태로 비난과 의견 개진을 해주시면 작성자에게 큰 힘이 됩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1


    당근매니아
    특정한 라인 내에서 쓸만한 챔피언풀이 제한되거나, 해당 라인에서 1티어와 2티어 챔피언의 격차가 너무 큰 경우에 발생하는 문제 같습니다. 그런 식으로 제한된 챔피언풀 내의 챔피언 숫자가 몇개인가도 매우 영향이 커보이구요. 이번 롤드컵은 미드라인에서 쓸만한 게 아지르를 제외한 셋 뿐인데, 페이커만이 아지르로 역상성 오리아나를 잡아먹는 특이한 상황을 만들어낼 수 있어서 밴픽 싸움에서 상당히 유리한 게 아닌가 싶습니다.
    kaestro
    네 뭐 제가 말 주저리 주저리 길게 한 소리지만 짧게 말하면 같은 소리가 되긴 하죠 ㅋㅋ
    레디미르
    도타 대회 같은 경우 진영과 선후픽 선택권을 보통 나눠먹는데, 롤에 적용되면 어떨지 궁금하긴 합니다. 롤의 상성이 도타 대비 둥글둥글한 면이 있어 막픽의 가치가 선픽에 비해 너무 낮은게 선후픽 벨붕요소인것 같아요. 조합적 대비가 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대 5픽 하나의 존재만으로 게임이 터지는 조커픽이 없다보니 선픽권을 가진 쪽이 메타픽을 좀 더 마음 편하게 가져가고, 1티어를 상성빨로 찍어누르는 2티어 픽이 없다보니 1.5티어로 맞춰가게 되기도 하고요.
    kaestro
    말씀대로 이 게임이 그정도 가치가 있는 경우가 잘 없긴 한데 제가 도타를 해보지 않아서 잘 모르겠네요ㅋㅋ 사실 롤 역사상 블루가 레드에 비해 불리했던 적은 있나 싶기도 하고
    듣보잡
    잘 모르겠읍니다. 저는 압도적 OP챔이 하나일 때에는 블루가 유리하다고 생각하고, 나머지 경우에는 대응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플레이어들의 수준이 떨어질수록 블루가 우세하게 흘러갈 확률이 높다고는 생각합니다.

    어차피 롤알못이라 제 의견이 뭐가 중요하겠냐만, 블루망겜이니 징동 레드픽 가지고 시작부터 망한 것 같이 떠들었던 여론에는 아무리 생각해도 동의가 안 되네요. 블루가 유리한 것에 대한 어떤 논리를 들어도 어느 정도 납득은 갈 수 있어도 명백하게 그게 유리한 이유인지는 모르겠읍니다.

    굳이 예를 들면 예전에 FD빌드 개사기라 못 막겠다 이 정도 수준으로 들립니다. 당시에 개사기가 맞긴 맞았죠 막을 줄을 몰랐으니까...
    kaestro
    말씀대로 이게 뭐 한가지로 축약해서 설명할 수 있는 부분은 아니고, 그나마 제가 잘 이해하는 것으로 설명하는 좁은 소견을 내자면 이정도란 소리라ㅋㅋ

    fd가 잘나가던 시절 스타를 보지는 않아서 이 부분은 아쉽긴하네요
    듣보잡
    FD 말고도 (구) 사우론 빌드, 최근의 111 빌드 뭐 이런 거로 대입하시면 무슨 말인지 대충 이해는 되실 겁니다. 어차피 롤알못 의견이니 무시하셔도 됩니다. 결국은 그냥 제가 제 논리 맞다고 우기는 꼴이라... 저는 제가 강팀 감독이면 레드 고를 것 같아요.

    다른 글에서 레드 1, 2픽에서 우리팀 컨셉이 먼저 드러난다는 부분은 확실히 그럴 듯 하긴 했읍니다. 그거는 경우에 따라 좀 클 거 같긴 하네요.
    kaestro
    저도 롤알못에 자기 주장 우기는 것은 같지 않겠습니까ㅋㅋ
    분명 한동안 스타 열심히 봤던거 같은데 전 우물안 개구리였단 생각만 드는군요
    그 글은 링크가 어떻게되나요? 읽어보고싶네요
    kaestro
    잘 읽었읍니다감사합니다
    으라차차 쵸비 요네는요 흑흑
    kaestro
    그거야 밴픽 유리한 부분도 못살리는 개똥같은 밴픽으로 코치진이 삽질한거죠 뭐...
    티원이 구사하는 플레이는 1티어 가능한 닫고 유리한 구도 만드는건데 젠지는 니들이 뭘 해도 쵸비가 더 잘해 하고 니들 하고 싶은거 다 해라고 한거니까
    무엇을 해도 이기면 서로가 베스트가 아닌 상태에서 하는게 더 강했을거라고 생각합니다
    롤알못이라 영상을 아무리 돌려봐도
    거대한 흐름이 찰나에 지나갔다는 것만 느끼며
    우와~ 우와~! 우~와~!!!!!! 연신 감탄사만 내뱉는게 전부였습니다.
    자세한 설명 덕분에 어느정도 이해가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소곤소곤)픽밴이 자연스럽게 숨어있습니다.
    kaestro
    ㅋㅋ
    많이 모자란 글인데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게임 보는데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네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894 게임[불판] LoL 월드 챔피언십 - 8강 1일차 168 kaestro 19/10/26 6175 0
    9898 게임[불판] LoL 월드 챔피언십 - 8강 1일차(2) 176 kaestro 19/10/26 5938 0
    9899 게임[불판] LoL 월드 챔피언십 - 8강 1일차(3) 65 kaestro 19/10/26 5381 0
    9916 게임내 인생 최고의 다전제 24 kaestro 19/10/29 5154 1
    10041 게임또 한 명의 선수를 보내며... 6 kaestro 19/11/30 4565 0
    10110 게임자낳대, 팀게임은 어디가고 티어만 남았던 대회 15 kaestro 19/12/23 5206 0
    10336 게임[lol]점수 올리는 5가지 팁 - 1.정글러는 근본캐리가 안된다. 18 kaestro 20/03/01 10679 5
    10346 게임[LOL] 위닝 플랜과 시야 활용 능력의 부재, 한화생명 15 kaestro 20/03/05 5458 8
    10353 게임[lol]점수 올리는 5가지 팁 - 2.이 게임은 팀 운 게임이다. 6 kaestro 20/03/07 8014 0
    10412 영화아무리 강력해도 정체성을 찾아가는 하나의 인간일 뿐, 아이언맨 3 2 kaestro 20/03/21 6941 10
    10433 게임[lol] 디테일이 모자랐던 초반 설계, DRX 10 kaestro 20/03/26 6333 5
    10434 게임엑시트 더 건전 12시간 플레이 장/단점 정리 2 kaestro 20/03/26 6465 0
    10464 문화/예술[스포포함] 억압받는 수인 세상에서 살아남기, BNA(Brand New Animal) 4 kaestro 20/04/06 6836 1
    10750 여행게임 좋아하는 5인이 체험한 가평 소나무 펜션 11 kaestro 20/07/05 10096 0
    10765 스포츠2020 lck summer split 남은 일정 구글 캘린더 1 kaestro 20/07/10 4554 6
    11207 IT/컴퓨터화상으로 알고리즘 스터디를 시작할까합니다. 6 kaestro 20/12/09 4749 1
    12510 게임[마스터 듀얼]엘드리치로 플레1 달았습니다!(엘드리치 덱 소개) 6 kaestro 22/02/11 7622 0
    14637 일상/생각합격보다 소통을 목표로 하는 면접을 위하여(1) - 20번의 면접을 통해 느낀 면접 탐구자의 소회 4 kaestro 24/05/01 1565 4
    14028 게임스태퍼 케이스, 잘 만든 추리 소설 13 kaestro 23/07/10 2296 4
    14137 게임[PC](이미지 다수) 60시간 뉴비의 아머드코어6 3회차 후기 및 사용한 어셈블리와 팁 2 kaestro 23/09/10 3307 2
    14362 게임2023 플레이한 게임 총정리 17 kaestro 23/12/27 2049 3
    14192 게임[PC] 늦깎이 뉴비 헌터의 몬스터 헌터 라이즈: 썬 브레이크 체험기 20 kaestro 23/10/13 2750 1
    14218 게임게임이란 원래 이런 것이다. 놀라움으로 가득한 게임,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 원더 12 kaestro 23/10/22 2460 4
    14273 게임주도권과 대응, 블루와 레드 간의 공방 14 kaestro 23/11/14 2105 1
    14314 게임[PC] 격찌가 검증한 스파6 진짜 뉴비 친화적인가 6 kaestro 23/12/06 2405 2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