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15/11/01 14:08:00 |
Name | 마르코폴로 |
Subject | 와인 속에 별을 담다 - 돔 페리뇽 |
아래 선비님의 조각글을 읽고 난 후, 마인드 맵처럼 별에 관련된 와인 얘기가 생각이 나서 소개해봅니다. ![]() 17세기 후반 프랑스의 베네딕토회 수도원의 피에르 페리뇽(1638-1715)은 샹파뉴 지방의 유명한 발포와인인 ‘상파뉴(샴페인)’을 만들어냅니다.(돔 페리뇽의 돔은 베네딕트 수도사에게 붙이던 존칭입니다.) 1680년경 오빌레 수도원의 출납계 겸 술 창고계원이었던 피에르 페리뇽은 어느 날 와인 창고를 순회하던 중 포도주 한 병이 ‘펑’ 하고 터지는 장면을 목격합니다. 때는 겨울에서 봄으로 넘어가는 시점. 겨우내 매서운 추위 탓에 발효를 멈춘 와인이 날이 풀리면서 스스로 2차 발효를 시작했고, 병 속 온도가 높아지면서 탄산가스의 압력과 맞물려 결국 유리병이 깨져버린 것이었습니다. 깨진 와인에서 흘러나온 와인을 먹어보니 그야말로 절묘한 맛이었습니다. 그는 감격한 나머지 ‘마치 하늘의 별을 마시는 것 같다’고 중얼거렸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후에 ‘삼페인’이라고 불리게 되는 명주가 이렇게 등장한 것이지요. 아이러니 하게도 피에르 페리뇽은 애초에 와인에서 거품을 일으키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거품을 없애려 했습니다. 예전에는 와인을 만들면 발효가 덜 끝나서 와인 병 속에 남아 있던 당류를 재료로 미생물이 자라 병 속에서 2차 발효가 일어나는 경우가 자주 있었습니다. 상파뉴 지방에서는 와인을 가을에 담기 때문에 겨울 동안에는 발효가 멈추고, 조건이 맞으면 봄에 와인이 다시 발효를 개시하는 경우가 있었기 때문이었습니다. 그리고 이로인해 발생한 이산화탄소가 기포 상태로 와인 병 안에 쌓이게 되어 맛이 이상해지고 병이 폭발해 버리는 일들이 벌어졌습니다. 피에르 페리뇽은 이같은 일을 막기 위해 2차 발효를 막고 병 안에 이산화탄소 거품이 쌓이지 않게끔 하는 방법을 찾고 있었습니다. 그러던 중 깨진 와인 병에서 기포가 든 뛰어난 맛을 지닌 와인을 접하게 되고, 그에 영감을 얻어서 발포와인에 대한 연구를 시작하게 됩니다. 피에르 페리뇽은 그 후에도 병이 깨지는 위험을 무릅쓰고 발포 와인을 계속 만들다가 생을 마쳤습니다. 무사히 병이 깨지지 않고, 완료된 것이 60% 정도였기 때문에, 항상 손실과 부상의 위험이 따랐던 술 제조 방식이었습니다. 그는 이후 일생을 풍미가 다른 포도를 조합해 샴페인의 질과 맛을 향상하는 일에 노력했으며, ‘와인에 처음으로 거품을 넣은 마술사’라는 찬사를 가슴에 안고 세상을 떠났습니다. ![]() 2
이 게시판에 등록된 마르코폴로님의 최근 게시물
|
일단 상파뉴 지방의 스파클링 와인이 샴페인이라고 불리는 건 맞습니다. 이 샴페인의 제조방식을 \'상파누아즈\'라고 하는데 보통 프랑스의 다른 지역이나 다른 국가의 고급 스파클링 와인들도 이와 같은 방식으로 만들어집니다. 예를 들어 보르도의 스파클링 와인을 \'클레망\'이라고 부르는데 와인을 만드는 포도의 종류나 배합은 다르지만 제조방식은 샴페인과 같습니다. 이탈리아에도 롬바르디아 지방에 \'프란치아코르타\'라고 하는 고급 스파클링 와인이 있습니다. 이탈리아의 샴페인이라고도 부르는 와인이죠. 이 종류도 상파뉴의 샴페인 제조와 그 방식... 더 보기
일단 상파뉴 지방의 스파클링 와인이 샴페인이라고 불리는 건 맞습니다. 이 샴페인의 제조방식을 \'상파누아즈\'라고 하는데 보통 프랑스의 다른 지역이나 다른 국가의 고급 스파클링 와인들도 이와 같은 방식으로 만들어집니다. 예를 들어 보르도의 스파클링 와인을 \'클레망\'이라고 부르는데 와인을 만드는 포도의 종류나 배합은 다르지만 제조방식은 샴페인과 같습니다. 이탈리아에도 롬바르디아 지방에 \'프란치아코르타\'라고 하는 고급 스파클링 와인이 있습니다. 이탈리아의 샴페인이라고도 부르는 와인이죠. 이 종류도 상파뉴의 샴페인 제조와 그 방식이 같습니다.
일반적으로 고급 스파클링 와인은 기포를 발생시키는 2차 발효가 병입한 상태에서 이뤄집니다.(샴페인이 이 방식입니다.) 반면에 우리가 흔히 먹는 이탈리아의 중저가 와인들의 경우 대규모 스테인레스 통에서 2차 발효가 이뤄집니다. 이 방식을 \'샤르마\'라고 하는데 병 속에서 2차 발효가 진행되는 샴페인이 거품의 입자가 곱고 섬세한 반면에 샤르마 방식은 거품의 입자가 크고 거칩니다. 그리고 풍미도 떨어진다고 하더군요. 샴페인과 이탈리아의 일반적인 스파클링 와인은 이름뿐만 아니라 제조방식, 포도의 종류와 배합 등이 모두 다 다릅니다.
일반적으로 고급 스파클링 와인은 기포를 발생시키는 2차 발효가 병입한 상태에서 이뤄집니다.(샴페인이 이 방식입니다.) 반면에 우리가 흔히 먹는 이탈리아의 중저가 와인들의 경우 대규모 스테인레스 통에서 2차 발효가 이뤄집니다. 이 방식을 \'샤르마\'라고 하는데 병 속에서 2차 발효가 진행되는 샴페인이 거품의 입자가 곱고 섬세한 반면에 샤르마 방식은 거품의 입자가 크고 거칩니다. 그리고 풍미도 떨어진다고 하더군요. 샴페인과 이탈리아의 일반적인 스파클링 와인은 이름뿐만 아니라 제조방식, 포도의 종류와 배합 등이 모두 다 다릅니다.
돔페리뇽, 사람들이 하도 이야기하길래 제주도 갔다가 오는 길에 한 병 사서 먹었습니다. 제주도 면세점 기준으로 20만원 조금 넘었던 걸로 기억하네요. 비싸요. 전에 빌라무스까데라는 달달한 발포와인도 자주 먹었는데 이놈은 이마트에서 가끔 2만원대에 할인 판매해서 자주 샀어요. 달달한 발포 와인은 마트에 1만원대로 수두룩... 샴페인이라 이름은 샹파뉴 지역에서 나는 발포와인만 쓸 수 있다더라구요. 다른 지역 예를 들어 빌라무스까데는 이탈리아산이라서 맛과 형태는 샴페인같은데 샴페인이란 이름을 못쓴다고...탄산도 좀 적은 것 같기도 하구요.
돔페리뇽은 상대적으로 덜 달고 가격 때문인지 경건한 마음으로 먹었더니 빨리 취하더라구요. 같이 마신 사람이 술 좀 먹는 사람인데 한 병 먹고 횡설수설했어요.
돔페리뇽은 상대적으로 덜 달고 가격 때문인지 경건한 마음으로 먹었더니 빨리 취하더라구요. 같이 마신 사람이 술 좀 먹는 사람인데 한 병 먹고 횡설수설했어요.
영화 \'사이드웨이\'의 대사를 빌리자면 특별한 날에 돔페리뇽을 마시는 것이 아니라 돔페리뇽 정도의 와인을 마시는 날이 특별한 날인거죠. 흐흐흐
저도 빌라엠 같이 달달하고 도수가 낮은 와인들을 여름철에 시원하게 해서 먹는 걸 좋아합니다.
아무래도 비싼 와인이 거품의 입자가 고와서 느낌이 더 좋을 겁니다. 돔페리뇽 드실 때 그런 느낌을 받으신 것이 아닐까 합니다.
그리고 빌라무스카데보다 돔페리뇽이 도수가 더 높을 겁니다. 아마 전자가 4~7도 정도 돔페리뇽이 13도 정도의 도수 였던 걸로 기억합니다.
평소보다 도수가 높은걸 드셔서 빨리 취하신 듯 하네요.
저도 빌라엠 같이 달달하고 도수가 낮은 와인들을 여름철에 시원하게 해서 먹는 걸 좋아합니다.
아무래도 비싼 와인이 거품의 입자가 고와서 느낌이 더 좋을 겁니다. 돔페리뇽 드실 때 그런 느낌을 받으신 것이 아닐까 합니다.
그리고 빌라무스카데보다 돔페리뇽이 도수가 더 높을 겁니다. 아마 전자가 4~7도 정도 돔페리뇽이 13도 정도의 도수 였던 걸로 기억합니다.
평소보다 도수가 높은걸 드셔서 빨리 취하신 듯 하네요.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