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23/04/12 20:10:40 |
Name | 비물리학진 |
Subject | 의치한약수 열풍은 언제부터 극심해진 걸까요? |
대한민국에서 가장 입학 커트라인이 낮은 의대도 연세대나 고려대 공대보다 들어가기 어렵다고 합니다. 이건 진짜 엄청난 것 같은데, 의치한약수(의대, 치대, 한의대, 약대, 수의대) 열풍이 대체 언제부터 이렇게 심해졌는지 모르겠습니다. 교대 및 사범대는 저출산으로 인기가 사그라드는 것 같습니다만 의치한약수는 전혀 그럴 기미가 안 보이더군요. 소위 지방 삼룡의(순천향대 의대, 인제대 의대, 한림대 의대)에 가려면 적어도 수능 이과 상위 0.6% 안에는 들어야 도전할 수 있었다고 하더군요. 한림대 의대는 상위 0.2~0.3%, 순천향대 의대는 0.5%...... 이 정도면 서울대 공대의 대부분 학과를 노려볼 만하다고 합니다. 빅 5 의대(서연성카울 - 서울대, 연세대, 성균관대, 카톨릭대, 울산대 의대) 입시는 상위 0.05~0.1% 정도에서 커트라인이 형성된다고 하네요... 이러다 대한민국의 영재 천재 십중팔구는 의치한약수의 길을 걷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마저 드는 요즘입니다. 대체 언제부터 이렇게 심해졌으며, 언제나 되어야 이 열풍이 가라앉을까요? 0
|
그 시점이 궁금하고 그걸 모르겠으면 찾아서 본인의 의견이 담긴 글을 써보시는 걸 어떨까 생각이 듭니다.
언론에서도 이러한 문제 제기는 굉장히 많이 됐고, 거기에 따른 대안 제시도 있었습니다. 최근에 동아일보에서도 이러한 문제점 분석한 기사가 나갔습니다. 언론뿐 아니라 학계 논문, 정부 보고서 등에서도 수없이 논의된 사례 같네요. 링크 하나 남겨드립니다.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230216/117906680/1
언론에서도 이러한 문제 제기는 굉장히 많이 됐고, 거기에 따른 대안 제시도 있었습니다. 최근에 동아일보에서도 이러한 문제점 분석한 기사가 나갔습니다. 언론뿐 아니라 학계 논문, 정부 보고서 등에서도 수없이 논의된 사례 같네요. 링크 하나 남겨드립니다.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230216/117906680/1
학부 + @ 의 20대 경력 만으로 고소득과 안정성이 보장되는 거의 유일한 직군이라서 아닐까요? 심지어 고소득을 조금 희생하면 업무강도도 챙길 수 있으니까요. 학부 + 수련/대학원 때 갈려 나가는건 대체로 매한가지라 ㅠ.
저는 의대로 빠질까하다가 버틴 케이스인데, 수입은 비교가 안됩니다. 인정. 다만 다시 돌아가도 의대 안 갈거냐 물어보면....안 갈거 같아요.
01-02부터 입니다 imf 터지고 국가 성장 멈추고 평생 직장 사라지고 그게 입시까지 인식으로 이어진게 저때죠 그때도 의치한 강세였다가 점점 약수까지 이어진건 좀 더 걸렸고
imf때 부터 심해졌는데 점점 심해지는 것 같긴 합니다. 확실히 저 때랑도 의대 위상이 다른 것 같아요. 아니면 이제 학부모 입장이라서 그런지...
요즘엔 다시 아이티 붐이 와서 좀 그렇긴 한데, 의대 지망이 많은 것은 흔한 현상으로 알고 있어요. 세계에서 가장 공부 잘하는 학생들이 모인다고 할 수 있는 국제 올림피아드에서도 교수들이 그런 소리 하던데.. 다만 한국 정도로 심하게 쏠리는 것은, 한국 의료제도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겠죠. 의사 고점은 낮고 저점이 올라가는 방식인듯 합니다.
요즘엔 다시 아이티 붐이 와서 좀 그렇긴 한데, 의대 지망이 많은 것은 흔한 현상으로 알고 있어요. 세계에서 가장 공부 잘하는 학생들이 모인다고 할 수 있는 국제 올림피아드에서도 교수들이 그런 소리 하던데.. 다만 한국 정도로 심하게 쏠리는 것은, 한국 의료제도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겠죠. 의사 고점은 낮고 저점이 올라가는 방식인듯 합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