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3/04/12 16:46:15
Name   비물리학진
Subject   대학입시 제도를 어떻게 하는 게 좋을까요?
저는 잘 모르겠습니다. 수능 위주가 좋은지, 아니면 지금처럼 내신과 학종 위주로 가는 게 좋은지, 그것도 아니면 옛날처럼 학력고사나 대학별 본고사 위주로 가는 게 좋은지......

일본의 어떤 대학은 입시에 IQ도 반영한다는 카더라도 들어봤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이것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의료기관의 정신건강의학과(또는 임상심리전문기관)에서 1대 1 방식으로 시행한 웩슬러 지능검사 결과만을 인정한다면 말이죠. (저는 개인적으로 웩슬러 검사 결과 130 이상이면 가산점을 줘도 무방하다고 생각합니다)

일단 네이버 뉴스 댓글을 보면, 수능 위주로 가는 걸 가장 선호하는 여론이 강세인 것 같습니다. 학력고사에 대한 선호도도 높더군요.



0


    revofpla
    수능이 기본 베이스에 일부 유형을 위한 수시/학종 정도의 밸런스를 맞추는게 가장 좋지 않나 봅니다.
    1
    비물리학진
    확실히 수능 위주를 선호하는 분들이 많은 것 같네요.
    revofpla
    결국 전 세계 어디를 봐도 시험으로 순서를 매긴 다음 대학을 가는것이 보편적이니까요. 미국도 SAT/ACT가 있고, 우리나라는 수능이 있고, 영국은 A Level이 있죠. 그나마 예외라면 프랑스의 바칼로레아 정도가 있으려나요.
    1
    노바로마
    입시이야기 나와서 생각나는건데, 마이클 샌델은 능력주의의 과잉을 막기 위한 방안으로 성적을 기준으로 입학후보자를 5배수~10배수 정도 뽑은 뒤 추첨을 하자는 제안을 하기도 했습니다. 본인도 세계 최고 명문이라는 하버드대의 교수인데 놀라운 제안이라고 느끼긴 합니다만, 가끔씩 사회의 학벌주의 같은걸 보면 유의미한 지적일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물론 한국에 도입이 가능할지에 대한 여부 문제도 그렇고, 이 방식에도 많은 지적이 있을 수 있겠습니다만...
    3
    비물리학진
    그 방법도 나쁘진 않겠지만 대한민국에 도입할 수 있을지....가 의문이겠군요..
    우연한봄
    샌델의 내용들을 상당히 관심있게 봐오다가 추첨 얘기는 저도 충격이었습니다.
    추첨에서 떨어지면 공정성 문제가 대두 되지 않을까.
    열심히 해도 나는 운이없어 라는..
    요즘 군대는 모르겠지만 옛날 군입대 보직은 추첨이 추첨이 아니기도 했던 기억도 나고 그랬었습니다.
    노바로마
    해당방식에 대한 가장 유의미한 지적은 입시가 가챠게임화 되는 것도 정당한 방식이냐? 일겁니다.

    뭐 네덜란드 의대 등에서는 실제로 입시에 추첨제를 도입하기도 한다고 하니 뭐 아주 현실성 없는 이야기는 아닐수 있습니다만
    우연한봄
    딜레마죠.

    마침 다른 분의 게시글에서도 hr계의 딜레마= 능력주의다 vs 아니다 가 보여서.
    그 딜레마도 결국엔 노력, 보상, 공정성, 공평성의 문제들이었거든요.

    옛날에 본 책들 끄적이고 있었습니다.
    아. 자야 하는데 월요일을 이렇게 맞다니요 ㅋ
    그저그런
    학벌메타에서 금수저메타로 넘어가서 요즘 이 논의에 대한 사회적인 열의가 많이 식은 느낌입니다 ㅎ
    3
    비물리학진
    그렇군요..
    저도 대한민국 사회가 너무 고착화되어가지않았으면 하는데,, 또 요즘 분위기는 그냥 그게 제일 공정? 하다보는건가 싶기도 합니다
    아이큐 메타는 제일 최악인것 같습니다.
    이건 금수저논란 이전에 사람이 태어난 이후에 쌓아올 모든걸 부정하는 루트입니다.
    4
    비물리학진
    하긴... 현실적으로 대한민국에서 IQ 가산점 제도를 도입하면 대규모 반대시위가 일어나도 이상하지 않을 거라 봅니다. 미국 같은 나라는 가능할지 몰라도요(미국은 실제로 IQ 138이상 - 상위 0.6% - 인 사람만 입학할 수 있는 영재학교도 있다고 하네요)..
    캡틴실버
    한국인들의 신분상승욕구가 꺾이기 전에는 입시제도를 정상화하는 건 불가능합니다. 점수로 줄세우는 제도가 불합리하다고 난리쳐서 바꾼 결과가 결국 등급으로 줄세우는 제도죠. 사교육비는 계속 증가하는 추세고요. 아이큐를 입시에 반영하면 아이큐 테스트 학원이 생기고 사교육비가 더 증가하겠죠.
    4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4480 사회업무개시명령의 효력 및 수사대응전략 8 김비버 24/02/21 2707 15
    14467 사회세상에 뒤쳐진 강경파 의사들과 의대 증원 44 카르스 24/02/18 4235 14
    14465 사회한 소아청소년과 전공의의 사직서 115 오쇼 라즈니쉬 24/02/17 4963 5
    14436 사회10년차 외신 구독자로서 느끼는 한국 언론 32 카르스 24/02/05 3309 12
    14380 사회점심 밥, 점심 법(1) - 임대차계약이 종료된 경우 임대인의 임대차보증금반환채권과 임차인의 원상회복의무가 동시이행의 관계에 있는지 및 그 범위 3 김비버 24/01/05 2681 9
    14337 사회한국 철도의 진정한 부흥기가 오는가 31 카르스 23/12/16 3016 7
    14321 사회대한민국 부동산(아파트)문화를 풍자한 영화, 웹툰을 보고 느낀점 right 23/12/09 2566 1
    14223 사회(인터뷰 영상)상대도 안되는 하마스가 이스라엘을 친 진짜 이유는? 2 치즈케이크 23/10/25 2431 0
    14092 사회개평이 필요하다 19 기아트윈스 23/08/05 3731 62
    14082 사회한국 가사노동 분담 문제의 특수성? - 독박가사/육아 레토릭을 넘어서 24 카르스 23/08/01 3616 14
    14077 사회아동학대 관련 법제 정리 및 문제점과 개선방안('주호민 사건' 관련 내용 반영하여 수정) 김비버 23/07/30 2977 8
    14054 사회학생들 고소고발이 두려워서, 영국 교사들은 노조에 가입했다 3 카르스 23/07/21 2995 20
    14043 사회소년법과 형사미성년자 제도에 대한 저의 개인적 의견입니다. 10 컴퓨터청년 23/07/14 3712 0
    14036 사회지금은 거대담론이 구조적으로 변동하는 시기인가 18 카르스 23/07/12 3310 8
    13947 댓글잠금 사회의료/의사/의과대학에 관한 생각들 38 Profit 23/06/04 4757 11
    13886 사회5세 남아, 응급실 사망 사건.. 필수의료의 문제는 정말 수가인가 38 JJA 23/05/20 3357 12
    13882 사회한국인들은 정치적 자유와 경제적 기회 수준을 어떻게 인식하는가 13 카르스 23/05/19 3244 8
    13873 사회5.18의 숨은 피해자 - 손자까지 대물림되는 5.18 산모 스트레스 3 카르스 23/05/18 2403 15
    13844 사회반사회적인 부류들이 꼬이는 사회운동의 문제 4 카르스 23/05/13 2907 9
    13758 사회프랑스 국민들이 연금개혁에 저항하는 이유 6 여우아빠 23/04/16 2949 0
    13748 사회의치한약수 열풍은 언제부터 극심해진 걸까요? 28 비물리학진 23/04/12 5288 0
    13747 사회대학입시 제도를 어떻게 하는 게 좋을까요? 14 비물리학진 23/04/12 2535 0
    13699 사회대한민국 사회의 가장 시급한 문제는 지나치게 높은 징집률이라고 생각합니다. 15 강세린 23/04/01 3413 0
    13684 사회법적으로 심신미약자의 죄는 감경하거나 면제한다는데... 17 강세린 23/03/29 2682 0
    13683 사회미국 이민가도 지속되는 동아시아인의 저출산 패턴 27 카르스 23/03/28 3913 14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