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23/04/06 23:25:09수정됨 |
Name | 뛰런 |
Subject | 과연 한동훈 장관은 달변가일까? 괘변론자일까? |
지난달 3월 27일에 법사위 전체회의가 있었습니다. 거기서 이른바 검수완박과 관련한 헌법재판소 판결, 아들의 학교폭력 논란으로 낙마한 정순신 국가수사본부장 인사참사 관련해서 주된 질의가 있었습니다. 그 질의와 한동훈 장관의 답변을 보면서 한동훈 장관의 답변이 처음부터 끝까지 궤변과 억지로 일관하다고 있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그래서 한동훈 장관의 답변의 문제점에 대해서 정리해보았습니다. https://youtu.be/HiaBLuOrfPw ‘재판관 4명은…’ 헌재 판결에 한동훈의 계속되는 아전인수격 해석... 박주민 “내가 질문한 건 그게 아니잖아!” 첫번째는 박주민 의원과 한동훈 장관의 질문, 답변입니다. (30초부터 시작) 박주민 "최근에 보면 국민의힘에서 이 결정 자체가 일부 헌법재판관들의 편향된 결정이다란 취지로 자꾸 이야기해요. 오늘 장관님도 듣다 보면 4명의 장관님의 편을 들어준, 주장에 동의하는 그런 재판관님들의 굉장히 의미를 두시는 반면에 5분의 결정에 대해서는 존중을 한다고 하시면서도 여러가지 아쉬운 점을 토로하는 등 표현을 하고 계십니다. 제가 이전의 헌재 결정례들을 찾아봤더니 민변, 국제법학회, 우리법연구회 출신 재판관 뿐만 아니라 박근혜 대통령 몫으로 임명된 재판관 그 이전에는 검사 출신이거나 보수적이라고 평가받는 민사판례연구회 출신인 재판관들도 동일한 취지의 판단을 해요. 그러면 국민의힘 의원님들이 이야기하는 거처럼 일부 민변이나 우리법연구회나 국제법연구회 출신 재판관들에게만 한정된 결정이라고 볼 수 있습니까?" 한동훈 "지금 핵심을 잘못 이해하고 계신데요. 취지가 지금 이거는 왜 그분들이 아예 판단을 안하고 각하했냐의 문제거든요. 저희는 이 답을 듣기 위해서 여러가지 가능한 법적 구성을 했던 겁니다." 박주민 "장관님 제가 질문한 거는 민변 또는 국제법 또는 우리법연구회 재판관들만 그런 취지로 판단했다는 주장이 있는데 그게 아니지 않냐라고 여쭤보는 거에요." 한동훈 "제가 말씀 드린 것에는 적격의 문제에 대해서는 다양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그리고 위원님 말씀하신 것처럼 저를 편을 들었다고 하는 것은 그분들에 대한 모욕 같습니다." 박주민 의원의 질문은 검사의 수사권이 헌법상 보장된 권리가 아니라 국회가 입법으로 결정할 수 있는 입법사안이라는 판례가 이미 기존에도 있었고 그 판단은 검사 출신 재판관이나 박근혜 대통령 몫 재판관도 동일하게 내리지 않았느냐, 민변 같은 이른바 진보적인 재판관들만 그런 취지로 판단한게 아니지 않냐는 내용이었습니다. 그런데 한동훈 장관은 이에 대해서 답을 하지 않습니다. 심지어 박주민 의원이 제발 제가 묻는 질문에 답을 해달라고 요청하는데도 이에 대한 답은 하지 않습니다. 그러고는 박주민 의원이 질문하는 과정에서 한동훈 장관의 입장에 동의한 재판관을 장관님의 편을 들어준 재판관이라고 표현한 지극히 지엽말단적인 부분을 꼬투리 잡아서 질문의 취지와는 관계 없는 답변을 하고 있습니다. https://youtu.be/gh2yJIeprUI “깡패·마약 수사 왜 검찰이 못하게 하냐고?” 한동훈 주장 뭉개버린 최강욱의 ‘논스톱’ 발언 6분 두번째는 최강욱 의원과 한동훈 장관의 질의응답입니다. (3분 39초부터 시작) 최강욱 "정순신 아들 학폭 관련해서 대한민국 공영방송 메인뉴스에서 보도한 사건이고 정순신이란 실명이 등하지 않고 익명으로 나온 보도였다고 하더라도 누구나 다 이 사람이 누구였는지 짐작할 수 있는 일이었고 통상 법무부와 대검의 관행상 그런 보도가 있으면 그게 누군지를 확인합니다. 2020년 봄에 부산 고검차장 한동훈, 법무부 대변인 권순정, 대검 수사정보기획관 손중성 세 사람의 단톡방(채널A 사건 관련 단톡방)이 문제가 된 있어요. 그 때 대변인이 왜 여기 끼어있냐고 하니까 대변인은 주요사건이 발생했을 때 그 당사자와 관련해서 사실관계를 파악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그 단톡방에 포함돼 있었다고 대답했습니다. 그 때 보도에도 윤석열 최측근이라고만 나왔지 한동훈의 한 자도 실명은 나오지 않았습니다. 그럴 때는 그렇게 열심히 수백차례 단톡방을 만들어서 했다는 사람들이 이 건에 대해서는 우리는 알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나는 그 때 당시 근무했지만 몰랐다 이런 이야기를 하면 국민들이 설득력 있게 받아들여주지 않습니다" 한동훈 "이미 무고로 드러난 채널A 사건을 그것도 그 시간으로 기소된 최강욱 의원님께서 지적하시는 것이 놀랍습니다." 최강욱 의원의 질의는 최강욱 의원과 한동훈 장관 둘 사이에 있었던 채널A 사건의 내용 그 자체에 대해서 언급한 것이 아닙니다. 현직 검사와 관련한 문제가 되는 보도가 나오면 대검은 그 당사자가 누군지 확인하는 과정을 거친다는 사례로 채널A 사건을 제시한 겁니다. 채널A 사건때도 한동훈이란 이름은 직접적으로 나오지 않고 윤석열 최측근 검사라고만 나왔지만 대검 대변인까지 단톡방을 만들어서 사건을 파악했다는, 익명보도였기 때문에 정순신 아들 관련한 학폭 논란을 몰랐다는 한동훈 장관에 주장에 대해서 반박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런데 한동훈 장관이 이에 대한 답을 전혀 하지 않은 체 최강욱 의원이 채널A 사건으로 기소되었다는 이야기를 꺼내며 질문의 본질을 왜곡하고 프레임 전환을 시도하고 물타기를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https://youtu.be/_44XGHlDS-I 헌재 판결 ‘불복’은 아니지만 ‘공감’은 안 된다는 한동훈...권칠승 “말이 계속 달라지네?” 세번째는 권칠승 의원과 한동훈 장관의 질의 답변입니다. (1분 9초부터 시작) 권칠승 "2009년 미디이법 때도 헌법재판소는 지금과 똑같은 판단(절차상 일부 하자가 있지만 법률의 효력을 무효로 할 정도는 아니다라는 판단)을 내렸습니다." 한동훈 "그것도 잘못된 판단이죠. 그것 때문에 이게 괜찮다고 말씀하시면 안 될 거 같은데요." 권칠승 "그 판결이 맞냐, 틀리냐를 물어보는 게 아닙니다. 2020년 5월달에 선거법 패스트트랙 관련한 판결이 있었습니다. 그 때도 여기에 대해서 헌재가 똑같은 판단을 했거든요. 그래서 저는 이번에 내리는 헌법재판소 판결이 새롭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기존 입장을 재확인한거다라는 거에 대해서 동의하십니까? " 한동훈 "저는 그러면 앞으로도 위장탈당 해서 입법하시겠다는 말씀인지 묻고 싶습니다." 2009년 미디어법 통과를 두고 여야가 격렬하게 대립하던 시기 당시에 지금 국민의힘의 전신인 한나라당은 대리투표까지 해가면서 미디어법을 통과시켰습니다. 민주당 의원들과 몸싸움 중이던 상황에서 정족수를 채우기 위해 몸싸움 중인 한나라당 의원들의 투표를 다른 한나라당 의원이 대신 대리투표를 해서 논란이 된 바가 있습니다. 그 당시에도 헌법재판소는 대리투표가 있었고 이는 국회의원의 심의표결권을 침해한 것이지만 이것이 미디어법의 효력을 무효로 할 정도는 아니라는 판단을 내렸습니다. 권칠승 의원의 질문은 위장탈당이든, 대리투표든 그러한 일부 절차적 하자가 있더라도 그것이 법률의 효력을 무효로 할 정도는 아니다라는 식의 헌법재판소 판결은 그 이전에도 수차례 있어왔지 않느냐는 질문을 한 겁니다. 그런데 한동훈 장관은 이에 대해서 앞으로도 위장탈당 해서 입법을 하시겠다는 거냐라고 이야기합니다. 전혀 질문과 상관없는 비본질적인 정치공세와 물타기로만 일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물타기, 억지, 인신공격으로 점철된 궤변론자의 저열한 말싸움' 일부 보수언론이 그렇게 찬양해 마지 않는 한동훈 장관의 스피치에 대해 저는 저렇게 밖에 결론을 내리지 못할 거 같습니다. 0
|
사실 한동훈의 언변이라는 게 전혀 논리적이지 않았습니다. 처음에 민주당 의원들이 어설프게 달려들었다가 한동훈이 있는대로 받아치니까 당황해서 자멸한 거지 항상 핵심을 비껴간 뒤 상대를 역공해서 전세를 역전시키는 모습의 반복이었어요. 한동훈도 이탄희 의원의 질의에는 고양이 앞의 쥐가 됩디다. 사실 이탄희 의원의 질의 방법도 그냥 정석적일 뿐 특별할 게 없는데 말이죠. 이제는 한동훈 파훼법(?) 같은 게 학습이 됐는지 점점 안 통하는 것 같은데 저는 의원들의 수준에도 너무 실망했습니다.
저는 박주민 이름를 보자마자 임대차3법 내로남불 먼저 떠오르네요. 거지갑이 먼저 떠오르던 시절도 있었는디.. 궤변의 상대자가 박주민이라니... 참...
저 부분에 대해서는 비판할 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방송에서 패널들이 나와서 이야기하는 상황에서도 자기 불리한건 쏙 빼고 돌리는 행위는 여야를 가지리 않고 행하던 일입니다. 그사람의 양심에 털난것도 있지만 유시민이 이야기했듯이 티비에 나와서 우리 진영 패널이 하는 이야기들을 가지고 일반 사람들도 논리를 활용하라는 역할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섣불리 인정하게끔 허용되지 않습니다.
얍삽하게 물타는 발언이 있는 부분을 지적하셨고 그런 부분은 인정하는게 옳지만 그렇다고 저것만가지고 저게 저사람이 멍텅구리다 라고 말할수 있는가. 자신의 ... 더 보기
얍삽하게 물타는 발언이 있는 부분을 지적하셨고 그런 부분은 인정하는게 옳지만 그렇다고 저것만가지고 저게 저사람이 멍텅구리다 라고 말할수 있는가. 자신의 ... 더 보기
저 부분에 대해서는 비판할 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방송에서 패널들이 나와서 이야기하는 상황에서도 자기 불리한건 쏙 빼고 돌리는 행위는 여야를 가지리 않고 행하던 일입니다. 그사람의 양심에 털난것도 있지만 유시민이 이야기했듯이 티비에 나와서 우리 진영 패널이 하는 이야기들을 가지고 일반 사람들도 논리를 활용하라는 역할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섣불리 인정하게끔 허용되지 않습니다.
얍삽하게 물타는 발언이 있는 부분을 지적하셨고 그런 부분은 인정하는게 옳지만 그렇다고 저것만가지고 저게 저사람이 멍텅구리다 라고 말할수 있는가. 자신의 불리한 점에 대해서 솔직하게 아 그건 제가 잘못한게 맞네요 라고 인정하는 정치인은 그럼 누가 있는가 이런 질문을 하면 딱히 떠오르지 않는다는 생각부터 듭니다. 저기서 한동훈에게 지적하는 박주민씨도 그런 면에서 자유롭지 않은 부분도 있고요.
더군다나 지적하신 말을 돌리고 교모하게 물타고 이런 행위는 너무 비일비재하게 일어나는 일이라 저것가지고 까는거는 그냥 원래 한동훈이 싫었기 때문이지 한동훈이 아주 몹쓸 놈인게 만천하에 드러나서는 아닌것 같습니다.
얍삽하게 물타는 발언이 있는 부분을 지적하셨고 그런 부분은 인정하는게 옳지만 그렇다고 저것만가지고 저게 저사람이 멍텅구리다 라고 말할수 있는가. 자신의 불리한 점에 대해서 솔직하게 아 그건 제가 잘못한게 맞네요 라고 인정하는 정치인은 그럼 누가 있는가 이런 질문을 하면 딱히 떠오르지 않는다는 생각부터 듭니다. 저기서 한동훈에게 지적하는 박주민씨도 그런 면에서 자유롭지 않은 부분도 있고요.
더군다나 지적하신 말을 돌리고 교모하게 물타고 이런 행위는 너무 비일비재하게 일어나는 일이라 저것가지고 까는거는 그냥 원래 한동훈이 싫었기 때문이지 한동훈이 아주 몹쓸 놈인게 만천하에 드러나서는 아닌것 같습니다.
토비님께서도 말씀하셨지만 저 자리는 장관이 국회 법사위의 피감기관장으로 나온 자리입니다. 원래 국회가 행정부 견제를 위해 '너네 우리가 입법한 대로 일 똑바로 하고 있냐'고 따져 묻는 게 목적인 자리에요. 그래서 다른 장관들은 국회의원들 앞에서 기꺼이 '을'이 되어왔고 수준낮은 정치공세성 질문에도 고개를 숙이는 게 일반적인 태도였습니다. 의원이 지나치게 행정부의 일원을 몰아세우는 것도 눈살을 찌푸리게 하니 정당한 항변은 오히려 장관을 돋보이게 할 수도 있지요. 처음에는 약간 그런 모습이 있었는지 몰라도 이후 한동훈의 화법은 그것과는... 더 보기
토비님께서도 말씀하셨지만 저 자리는 장관이 국회 법사위의 피감기관장으로 나온 자리입니다. 원래 국회가 행정부 견제를 위해 '너네 우리가 입법한 대로 일 똑바로 하고 있냐'고 따져 묻는 게 목적인 자리에요. 그래서 다른 장관들은 국회의원들 앞에서 기꺼이 '을'이 되어왔고 수준낮은 정치공세성 질문에도 고개를 숙이는 게 일반적인 태도였습니다. 의원이 지나치게 행정부의 일원을 몰아세우는 것도 눈살을 찌푸리게 하니 정당한 항변은 오히려 장관을 돋보이게 할 수도 있지요. 처음에는 약간 그런 모습이 있었는지 몰라도 이후 한동훈의 화법은 그것과는 거리가 멀다고 생각합니다. 한동훈은 나는 왜 질문하면 안되냐고 하지만 정당한 질문이라기보다는 의원들이 정치질을 하고 있을 때 한동훈도 정치질로 응수했습니다. 여느 장관에서는 볼 수 없는 모습이거든요. 아마도 본인의 포지션을 정치인으로 두고 있기에 가능한 일일 겁니다. 이런 사람에게 쏟아지는 보수언론의 찬사는 부적절하다고 보기에 원글에서 그 점을 지적하신 것 같습니다.
그분들이야 애초에 정치인이었고, 그래서 장관답지 못하다고 많이 비판도 받았지요. 그꼴 보기 싫다고 한동훈이 기대를 받은 것인데, 어째 더 공격적인 것 같긴 합니다. 정치인보다 더 정치적인 검사출신 장관이지요.
뭐 저는 장관이 꼭 의원에게 고분고분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냥 통상적인 경우에 갑을 관계가 형성된다는 것이지 내용적으로만 충실하다면 의원에게 들이받는 것은 별로 나무랄 게 못됩니다. 그래서 한동훈이 그런 통상의 구도를 깨는 장면을 연출하는 것 자체는 문제가 없고 설사 정치질 목적이라고 해도 저는 그것만으로 문제될 일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의원뿐 아니라 장관도 정치질 할 수 있어요. 다만 좀더 어려운 포지션이니까 많이 안하는 것이라고 생각하고요.
근데 이 글의 주제는 논리적이면서 일 잘한다고 찬사를 받는 한동훈의 언변... 더 보기
근데 이 글의 주제는 논리적이면서 일 잘한다고 찬사를 받는 한동훈의 언변... 더 보기
뭐 저는 장관이 꼭 의원에게 고분고분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냥 통상적인 경우에 갑을 관계가 형성된다는 것이지 내용적으로만 충실하다면 의원에게 들이받는 것은 별로 나무랄 게 못됩니다. 그래서 한동훈이 그런 통상의 구도를 깨는 장면을 연출하는 것 자체는 문제가 없고 설사 정치질 목적이라고 해도 저는 그것만으로 문제될 일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의원뿐 아니라 장관도 정치질 할 수 있어요. 다만 좀더 어려운 포지션이니까 많이 안하는 것이라고 생각하고요.
근데 이 글의 주제는 논리적이면서 일 잘한다고 찬사를 받는 한동훈의 언변이 실제로는 그렇지 않고 궤변에 가까움을 지적한 것이었습니다. 사실 그가 이런 궤변으로 응답할 수 밖에 없었던 이유는 그의 행보가 온통 모순에 기반해 있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그는 이른바 '검수완박법'은 검찰의 수사권을 뺏는 것이므로 검사의 권한이 침해됐다며 헌재에 심판을 청구하면서도 '검수원복' 시헁령을 만들어 바뀐 법 하에서도 얼마든지 수사가 가능하다고 했으니까요. 그는 모순적 행동을 하면서도 모순을 인정할 줄 모르는 사람이거든요.
그렇지만 이글의 어디에도 한동훈이 몹쓸놈이라는 게 만천하에 드러났다는 취지의 언급은 없습니다. 그냥 세간의 평가와 달리 한동훈이 비논리적이라는 지적을 한 것 뿐인데 그걸 지나치거나 부당하게 공격을 받은 것처럼 여기시는 것 같아서 좀 의아하기도 했습니다. 다른 정치인들도 예외없이 말을 잘못하면 비판을 받거든요.
근데 이 글의 주제는 논리적이면서 일 잘한다고 찬사를 받는 한동훈의 언변이 실제로는 그렇지 않고 궤변에 가까움을 지적한 것이었습니다. 사실 그가 이런 궤변으로 응답할 수 밖에 없었던 이유는 그의 행보가 온통 모순에 기반해 있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그는 이른바 '검수완박법'은 검찰의 수사권을 뺏는 것이므로 검사의 권한이 침해됐다며 헌재에 심판을 청구하면서도 '검수원복' 시헁령을 만들어 바뀐 법 하에서도 얼마든지 수사가 가능하다고 했으니까요. 그는 모순적 행동을 하면서도 모순을 인정할 줄 모르는 사람이거든요.
그렇지만 이글의 어디에도 한동훈이 몹쓸놈이라는 게 만천하에 드러났다는 취지의 언급은 없습니다. 그냥 세간의 평가와 달리 한동훈이 비논리적이라는 지적을 한 것 뿐인데 그걸 지나치거나 부당하게 공격을 받은 것처럼 여기시는 것 같아서 좀 의아하기도 했습니다. 다른 정치인들도 예외없이 말을 잘못하면 비판을 받거든요.
국회에서의 질의는 일단 (의원 질의 - 장관 답변)의 구도죠. 그리고 질문을 하는 사람이 공격권을 먼저 갖고 있다고 봐도 됩니다. 따라서 “어떤 질문을 하느냐”는 “어떻게 공격하느냐”의 의미를 갖는 아주 중요한 문제입니다. 그리고 보통 의원의 질문에 곧이 곧대로 답을 하게 되면 장관이 말릴수 밖에 없도록 질문을 구성합니다.
여기서 장관의 파훼법은 보통 그래서 “딴소리 하기” 가 됩니다. 아예 딴 소리는 아니지만 의원이 원하는 대로 질문이 흘러가지 않도록 흐름을 깨는 거죠.
한동훈 장관이 잘했다고 하는건 아니고, 구도상 전략상 그렇게 흘러갈수밖에 없는 측면이 있다는 말씀을 드리는 겁니다. 의원의 질문에 맞는 대답을 하면 듣는 사람 입장에서는 똑똑해 보이지만 결과적으로는 의원에 말리게 되거든요
여기서 장관의 파훼법은 보통 그래서 “딴소리 하기” 가 됩니다. 아예 딴 소리는 아니지만 의원이 원하는 대로 질문이 흘러가지 않도록 흐름을 깨는 거죠.
한동훈 장관이 잘했다고 하는건 아니고, 구도상 전략상 그렇게 흘러갈수밖에 없는 측면이 있다는 말씀을 드리는 겁니다. 의원의 질문에 맞는 대답을 하면 듣는 사람 입장에서는 똑똑해 보이지만 결과적으로는 의원에 말리게 되거든요
어쩌다 유튜브에서 한동훈 패러디 쇼츠가 떠서 봤는데 정말 딱 이렇게 답변하는것같아서 엄청 웃겼네요.
https://youtu.be/chTRyXmKRH0
https://youtu.be/chTRyXmKRH0
편의점에 간 한동훈(feat.박영식)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