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2/11/25 09:45:20
Name   Leeka
Subject   부동산에 대한 잡썰

- 항상 싸이클이긴 한데.. 진짜 싸이클마다 오를때 로케트 쏘고 내려갈때 고속으로 내려옴..

버블세븐때랑 리만때도 오르고 내리는 속도가 어마무시했는데.....
오르고 내리는건 괜찮은데 좀 각도가 이뻤으면 좋겠는데 현실은 이쁜 각도가 아니라 늘 다이렉트...



- 부동산이 뭔 짓을 해도.. 수요가 없는 곳 (시골처럼 이미 빈집들이 나오는) 이 아닌 다음엔

결국 전월세랑 비교해서 '어느정도 선' 에서 멈추게 되는게 국룰인데요..
역대 부동산 하락장 모두 전월세보다 집사는게 더 나은 선까지 가면 멈추고 횡보했던게 특징이라..



- 전세 하방선을 계속 내려주는 금리 인상 효과

전세금 1억에 금리 2%
전세금 5천에 금리 4%

하면 세입자 기준으론 실 부담금이 똑같은데 (어차피 전세금은 돌려받는거니깐)
부동산 가격 기준으로 하방은 훨씬 낮아지다보니 집값이 더 내려갈만한 요소로는 충분하기도 하고..

그래서 전세금이 내려가는것과 별개로 전월세 사는 분들의 부담이 줄어드는건 아닌데 (실부담금은 더 늘고 있고)

집값의 하방선을 맞춰주는 전세가 기준으로는 전세가가 내려가면서 하방을 더 내리는 효과가 있긴 하니..


금리 인상이 한번 멈춰야 하방 마지노선 계산이 좀 쉽지 않을까 싶긴 합니다.  
보통 전세가 기준으로 '얼마까진 내려간다' 잡고 들어갈 수 있는데..    이게 아직 안되는 분위기






- 실거주 정말 고민 많이하고 직주근접/주변환경/ 향후 신축물량.. 다 고려해서 들어왔더니

그래도 아직까지는 생각보다 덜... 떨어지고 있긴 한데
(동탄이나 세종, 대구처럼 누가봐도 ?!?!? 이거 아닌데 하던 곳은 정말 다이렉트로 내려가는 중)

이게 전국적으로 거래량이 너무 적어서 오히려 하락폭이 적어보이는 느낌이라.. 참 미묘하네요..

거래가 없어서 사실 매일 하락하는 %가 의미가 없는 느낌...   이정도로 거래가 없는 시기가 있었나.



하루에 10건 거래되는 주식의 시세같이 그냥 그날 거래한 소수가 얼마 쳤느냐로 와리가리 하는 % 수준이라..




- 전세 구하시는 분들은 정말 조심조심 하세요

이정도로 집값이 내리박으면 갭투자라던가.. 그런 물건들이 죄다 폭탄으로 터질수 있어서...
전세금 대신 집 받아도 더 비싸게 사는 꼴이 될 확률이 꽤 있기도 하고
보증보험을 든다고 '2년뒤에 돈을 바로 돌려주는게 아니라 텀이 있기 때문에'...  꽤 골치아플 수 있습니다.


주변 분들에게도 요즘은 전세는 추천 안하고 월세 추천하기도 하고

시장이 이 분위기를 읽었는지 역대 월세비율 최고를 찍고 있긴 함..


근데 이렇게 월세가 늘어나니 더 갭투자 한 사람들이 못버텨서 던지고 하면서 사이클이 반복되는 느낌적인 느낌인데.. 




0


    서포트벡터(허락해주세요)
    집값이 제가 살 수 있을때까지 떨어지길 원하지만
    한국 경제가 망할 속도로 떨어지진 않았으면 하네요 ㅠㅠ
    오르고 내리고는 괜찮은데 항상 속도가 중간이 없는...
    잠봉뵈르
    질게에 올릴까하다가 부동산 글 올라온김에 질문 남겨봅니다.

    잠실 대단지들은 왜이리 많이 떨어졌나요?? 왜 똘똘한 한 채 취급 받지 못하는지 궁금합니다.
    잠실쪽 상황은 잘 몰라서?...

    단지 집값 자체는 상승기던 하락기던 키맞추기... 가 어느정도 동작하기 때문에 그쪽 위주로 보시면 쉬울겁니다.


    예를 들면 판교 -> 분당 -> 수지 이런식으로는 연결되는 곳인데
    (분당 가고 싶은데 돈이 부족하면 수지로 가니까..)

    분당 가고 싶은 사람이 돈이 부족하다고 일산을 가진 않기 때문에 키맞추기라는게 '같은 라인끼리의 급으로 연결되고'
    분당 가격의 N% 정도가 수지 적정가다.. 이런식으로 해서 상호 %를 어느정도 상급지~하급지가 유지하면서 가는 경향이 있... 더 보기
    잠실쪽 상황은 잘 몰라서?...

    단지 집값 자체는 상승기던 하락기던 키맞추기... 가 어느정도 동작하기 때문에 그쪽 위주로 보시면 쉬울겁니다.


    예를 들면 판교 -> 분당 -> 수지 이런식으로는 연결되는 곳인데
    (분당 가고 싶은데 돈이 부족하면 수지로 가니까..)

    분당 가고 싶은 사람이 돈이 부족하다고 일산을 가진 않기 때문에 키맞추기라는게 '같은 라인끼리의 급으로 연결되고'
    분당 가격의 N% 정도가 수지 적정가다.. 이런식으로 해서 상호 %를 어느정도 상급지~하급지가 유지하면서 가는 경향이 있습니다.


    잠실은 하남이랑 그런 지역들로 쭉 연결될텐데.. (잠실 가고 싶은데 돈없으면 하남같은곳을 갈테니..)
    라인 전체의 가격 변화랑 서로간의 %를 보면 될것도 같네요..

    둔촌주공이 잠실에 영향을 주는지는 잘 몰르겠기에.. (가까운듯 먼듯..)
    1
    Beer Inside
    똘똘한 한채가 되려면 학군이 중요한데, 그 학군이라는 것이 대치동으로 모여서 그렇것 같습니다.

    물론 잠실 대단지 가격 결국 다시 복구할 겁니다.

    대단지 일 수록 물량이 많아서 가격 반영이 잘 되는 것도 원인일 수 있습니다.
    절름발이이리
    특별히 잠실이 더 떨어진 게 아니라 모두 많이 떨어지고 있습니다. 다만 잠실은 토지거래허가구역 이던게 조금 더 작용했다고 볼 수도 있겠습니다.
    마술사
    대단지
    토지거래허가구역
    고덕+개포+둔촌주공 입주리스크
    부모님 집값이 상속세 안내도 될 만큼 떨어졌으면 좋겠습니다.
    이정도 속도면 오른 속도에 비하면 잘 조절되고 있지 않나요? 박근혜 탄핵때 7억짜리가 문통때 16억 찍었다가 지금 14억쯤 된 느낌인데..
    Paraaaade
    아직 14억이면 거래가 안되서일 확률이 매우 높...

    제 체감은 11억 정도 온거같아요
    최근 거래가 14억이더라고요 ㅋㅋ 더 떨어질거같긴합니다
    Paraaaade
    어딘지 모르겠지만 거기가 잘 버티는듯(?) 싶네요. 대략 보기엔 -20% ~ -50% 선정도 왔던데
    지역별로 편차가 좀 있는거같습니다. 서울 일부 외곽이랑 강남말고 대부분은 요런 느낌..
    어느지역이냐에 따라 다를거 같아요. 저는 분당에 사는데 이쪽은 땡땡님의 말에 공감합니다. 홀드 가능하면 그 가격인거죠 뭐
    분당은 절대불패할 지역중 하나니까요.
    저도 분당에서 만 20년 살았는던 분당보다 살기 좋은데를 못 가봤습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4374 경제CFO Note: 사업과 세금 (3) - 법인이 공동으로 사업을 경영하는 경우 손금불산입되는 공동경비 김비버 24/01/01 2152 4
    14335 경제CFO Note: 사업과 세금 (2) - 국내 수출상이 해외 수입상을 위해 대신 지급하여 준 금원이 국내 수출상 법인의 '손금'으로 산입될 수 있는지 김비버 23/12/15 2105 6
    14318 경제CFO Note: 사업과 세금 (1) - 협력업체 직원들에게 지급한 야근식대가 '접대비'에 해당하는지 1 김비버 23/12/08 2455 6
    14290 경제주식양도소득세 정리(2022. 12. 31. 법률 제19196호로 일부개정된 소득세법 기준) 7 김비버 23/11/22 3464 7
    14285 경제주식 무서워요, 예적금 못기다려요, 목돈 아니예요! 하지만 돈은 불리고 싶어요! 12 Groot 23/11/20 3221 4
    14187 경제국회의원들은 노후도시 특별법을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 19 구밀복검 23/10/12 3795 9
    14166 경제2022 상위 1% 보고서. NH투자증권 100세시대 연구소 5 moqq 23/10/02 3073 1
    14163 경제2022 중산층 서베이. NH투자증권 15 moqq 23/09/29 3113 2
    14116 경제그냥 쉬었다는 청년들 증가, 정말 노동시장 상황 악화 때문인가 3 카르스 23/08/22 3578 5
    14105 경제민간 기업의 평생 금융 서비스는 가능할까 11 구밀복검 23/08/15 2977 6
    14101 경제사업실패에서 배운 교훈, 매출 있는 곳에 비용 있다 9 김비버 23/08/12 3036 26
    14066 경제재벌개혁 관련 법제의 문제점(1) – ‘일감몰아주기’ 증여의제 과세 3 다영이전화영어 23/07/26 2796 6
    13866 경제심심풀이 5월 종합소득세 이야기 10 Soul-G 23/05/16 2241 3
    13613 경제사교육 군비경쟁은 분명 출산율을 낮춘다. 그런데... 10 카르스 23/03/02 3403 11
    13513 경제인구구조 변화가 세계 경제에 미칠 6가지 영향 13 카르스 23/01/27 4289 10
    13457 경제때늦은 2022년의 경제학 (+인접분야) 논문읽기 결산 8 카르스 23/01/04 2833 12
    13436 경제정규직보다 계약직 월급이 많아야하고, 전세는 집값보다 비싸야 한다. 19 cummings 22/12/29 3918 3
    13411 경제인플레이션이 뭘까요? 2 realwealth 22/12/19 3020 3
    13402 경제이 사건의 시작은 질게의 한 댓글이었습니다. 11 아비치 22/12/17 3265 25
    13353 경제위즈덤 칼리지 7강 Review 모임 특별편 (?) - 주간 수익률 게임! 16 Mariage Frères 22/11/26 2722 2
    13350 경제부동산에 대한 잡썰 15 Leeka 22/11/25 3599 0
    13087 경제중국경제에 대해서 드는 잡생각들 9 인석3 22/08/16 3739 0
    13062 경제멀리 가버리는 유럽의 전력가격 5 Folcwine 22/08/06 3588 0
    13015 경제가계부채에서 고정금리와 변동금리 비율은? Leeka 22/07/23 3047 0
    13008 경제코인·투자 손실금까지 변제해주는 게 맞냐? 30 Wolf 22/07/20 4337 22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