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2/11/25 08:55:46
Name   realwealth
Subject   금리가 뭔지 궁금하신 분 계실까요??
전자과 출신 친구와 동네 산책 중 문득 금리가 뭐냐?

전혀 몰라서 물은 것은 아니겠지만,
가물가물 하지만, 대략 예전에 경제학 시간에 배웠던 거 생각나는대로 알려줬습니다.
나름 재밌어 하더라고요.

아무튼
아.. 금리가 뭔지 궁금할 수도 있겠구나…
해서 한 번 적어봅니다.

금리(金利)

쇠 금은 돈을 말합니다.
이로울 리는 이자를 말합니다.

돈에 붙는 이자
이자율입니다.
돈을 빌리는 가격입니다.

가격이라는 점에서
기본적으로 가격결정은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됩니다.  

수요는 빌릴 사람들이 얼마나 많은지가 되고, 공급은 빌려줄 사람이 얼마나 많은지가 됩니다.

예를 들면,
경제 성장기에는 빌릴 사람이 많고, 빌려줄 사람이 적으니 이자율이 높습니다.
반대로 선진국은 성장률이 낮고, 이자율도 낮습니다. 보통 선진국에서 개발도상국으로 돈을 빌려주죠.
요즘 같은 세상에는 국가 간 자본의 이동이 자유롭기 때문에 금리는 환율에도 직접적으로 영향을 줍니다.
물론 투자, 인플레이션, 성장률 등등 에도 여러 경로로 직간접 영향을 줍니다.

기본적으로
수요 공급에 의해 시장에서 결정된다고 보지만,
정부는 여러 수단을 통해 시장에 개입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중앙은행은 보유하고 있는 현금을 시장에 풀어서 (국채를 사들여서) 돈의 공급을 늘리기도 하고 거두어 들여서 (국채를 팔아서) 줄이기도 합니다.
돈의 공급이 늘어나면 금리는 떨어지고, 줄어들면 올라가죠.

이런 수단들이 몇 가지 더 있는데,
어쨌든 중앙은행이 현재의 이자율이 너무 낮다고 생각하면 이자율을 올리고, 높다고 생각하면 이자율을 내립니다.  
이 때 관리의 목표 수준이 기준금리가 됩니다.
기준금리를 정해서 그 수준까지 맞추는 방법으로 돈을 풀고 조이고 하는 거죠.

참고로 중앙은행의 목표는 일반적으로 물가상승(인플레이션)을 잡는 겁니다.
물가상승이 높다고 판단(경기과열이라 판단)하면 이자율을 올리고, 반대면 내리는 방식이죠.

Fed, FRB, FOMC 등이 많이 언급되는데
미국의 중앙은행제도의 일부입니다.
그냥 미국 중앙은행에서 기준금리를 정하는구나 봐도 됩니다.
사실 상 달러화가 세계의 기축통화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에 전세계에 막대한 영향을 끼칩니다.

우리나라 중앙은행은 한국은행이고, 영국 중앙은행은 잉글랜드 은행, EU 중앙은행은 유럽중앙은행입니다.
이렇게 이름을 했으면 훨씬 이해가 쉬웠을텐데요.

BP는 0.01%p의 이자율을 말합니다. 100bp면 이자율 1%p이죠.
basis point, 금리 조절의 가장 기본 단위 입니다.



5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3543 일상/생각갑자기 스도쿠가 땡겨서 만들어봤습니다. 7 큐리스 23/02/05 3125 0
    13537 일상/생각보글보글에 얽힌 추억^^ 5 큐리스 23/02/03 2813 0
    13534 일상/생각서리태 개론 5 천하대장군 23/02/02 3364 16
    13532 일상/생각이걸 사야되나 말아야 되나 고민중이네요 5 코코몽 23/02/02 3023 0
    13531 일상/생각KTX 역방향 좌석 이야기가 나온 김에 14 그런데 23/02/02 4327 7
    13529 일상/생각한방병원을 다녀왔습니다. 2 큐리스 23/02/01 2847 5
    13527 일상/생각나 왠지 이 여자랑 결혼할꺼 같아... 10 큐리스 23/01/31 4298 5
    13525 일상/생각내 인생 가장 고통스러운 명절연휴 6 당근매니아 23/01/31 3421 32
    13522 일상/생각일주일에 한번씩 기타수업을 받고 있습니다. 7 큐리스 23/01/30 2704 4
    13517 일상/생각니트라이프 - 2. 다정함이 우리를 지켜줄 거야 2 BitSae 23/01/27 3480 8
    13516 일상/생각chatgpt 생각보다 넘 웃겨요 ㅋㅋㅋ 4 큐리스 23/01/27 2984 0
    13515 일상/생각인생에서 가장 평화로웠던 한 때 7 스라블 23/01/27 3010 16
    13514 일상/생각와 진짜 겨우 참았네요 12 코코몽 23/01/27 2952 1
    13511 일상/생각삶의 단순화, 패턴화 13 내친구는탐라뿐 23/01/26 3296 6
    13508 일상/생각햄버거 만들기입니다~~ 3 큐리스 23/01/25 2776 1
    13507 일상/생각아무리 해도 어려운 집안일중 하나.^^ 5 큐리스 23/01/25 2971 1
    13505 일상/생각20/30대 새로운 직업 찾기에 대한 생각. 2 활활태워라 23/01/25 3931 1
    13503 일상/생각와이프의 신비한 능력?? 10 큐리스 23/01/23 3658 0
    13500 일상/생각Lunar New Year는 안쓰는/없는 말일까? 55 그저그런 23/01/23 4869 4
    13498 일상/생각니트라이프 - 1. 새로운 땅에 한 발을 내딛다. 4 BitSae 23/01/22 2979 14
    13495 일상/생각해가 바뀌고 조금 달라진 전장연의 시위 54 Ye 23/01/20 4082 6
    13494 일상/생각runtime 오류로 혼났습니다. 15 큐리스 23/01/20 2894 2
    13493 일상/생각아이돌 응원 문화와 스포츠 응원 문화와의 공통점과 차이, 그리고 괴리 20 OneV 23/01/19 3609 0
    13492 일상/생각다세대 주인집 할아머지의 손자에 대한 기억 3 nothing 23/01/19 3299 4
    13488 일상/생각글이 너무 깁니다. 티타임게시판에 쓸까요? 7 몸맘 23/01/17 3149 3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