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22/10/18 15:54:45 |
Name | Leeka |
Subject | 아이폰의 성능이 그렇게 좋아져서 어디에 써먹나요?.. |
요즘 스마트폰 쓰는 사람들에게 핵심을 찍으라고 하면 - 디스플레이 - 카메라 - 배터리 3개일텐데요.. 이미 고사양 게임 안하면 몇년전 폰으로도 '유튜브 카톡 웹서핑은 아무 문제없이 잘 되는데' 여기서 스펙이 더 오르는게 뭔 의미가 있을까요?... 라는 생각을 가지는 분들이 있어서.. 1. 배터리 시간 '스펙이 좋아지면서'.. '전성비' 가 좋아지는데 전성비란 '같은 일을 했을 때 배터리 얼마나 쓰냐?' 인데' 과거에는 유튜브를 1초만에 트는데 배터리를 100을 썼다면 뉴 아이폰은 유튜브를 1초만에 트는데 배터리를 30 쓰는거죠.. 최근 압도적인 스펙으로 전성비를 개선한 아이폰 13 프로~14 프로 라인은 배터리 지속시간에서 이미 경쟁 스마트폰이 없습니다 -.-; 솔직히 말이 안되게 증가함.. 아이폰 12 또는 그 이하 라인하고 비교했을때 1.5배~2배 가까이 배터리 시간이 늘어났습니다. (웹서핑, 노래듣기, 카톡, 유튜브&넷플릭스 정도만 할경우) 2. 카메라 성능 '물리적인 카메라가 백날 좋아져봤자' 스마트폰의 크기에서 결국 렌즈의 한계가 있기 때문에 원래 일반 카메라들과 차이가 커야 정상인데 (실제로 과거에 차이가 꽤 났고) 아이폰은 그 높아진 성능으로 '카메라로 사진을 찍고 저장되는 그 찰나'의 순간에 엄청난 연산으로 보정을 다 때려서 넣습니다. ProRes 로 찍을때는 '그 고용량 사진을 스펙빨로 바로 저장합니다' 아이폰만 4k 시네마틱, 돌비, 기타 최신 촬영기술들 다 지원하는게 '깡스펙빨' 이 젤 큼.. 3. 디스플레이 최신 스마트폰 플래그십들은 60주사율 -> 120 주사율을 넘어서 가변 주사율을 통해 '정적일땐 주사율을 1까지 내려서 배터리를 지키고 디스플레이 수명을 늘립니다(번인) 그 좋아진 스펙으로 '주사율 1~120 가변에 다이나믹 아일랜드 + 전체 화면 AOD'를 쓰는게 현재 아이폰인데 다이나믹 아일랜드가 그렇게 부드러운 이유중 하나는 '그것만 연산을 따로 할 정도' 로 칩을 세분화했기 때문에.. 4. 결론 고사양 게임을 안한다면 보통 가장 많이 신경쓰는건 디스플레이 / 카메라 성능 / 배터리 타임.. 3가지인데 이 3가지가 '사실 깡성능'과 결국 관련이 있기 때문에.. 좋아지는 성능은 저쪽에 몰빵됩니다.. 하지만 팀쿡형은 돈미새라 최신 기술들은 죄다 프로라인에만 넣었기 때문에.. 일반라인 사면 체감 못함.... 1
이 게시판에 등록된 Leeka님의 최근 게시물
|
발전하는 기술 자체가
'더 최적화된 보정' 으로 발전하고 있기 때문에..
몇년 사이에만 해도
'인물사진으로 자동으로 만들기 / 레이어 구분해서 편집으로 보정 더 쉽게 만들기 / 손떨림 방지 지속적 개선
/ 영상 찍으면서 움직여도 안흔들리게 해주는 액션모드 / 야간에서 과거보다 훨씬 잘 찍힘'
같은게 깡스펙빨로 개선되었고.. 이런건 몇년사이에 폰카 쓰는 분들은 많이 체감하는 변화일꺼에요.
저런걸 더 잘하기 위해 결국 깡스펙을 쓰는거라..
그 외에는 '영통/ 화상' 할때 실시간으로 찍어서 보여주는 기술이 발... 더 보기
'더 최적화된 보정' 으로 발전하고 있기 때문에..
몇년 사이에만 해도
'인물사진으로 자동으로 만들기 / 레이어 구분해서 편집으로 보정 더 쉽게 만들기 / 손떨림 방지 지속적 개선
/ 영상 찍으면서 움직여도 안흔들리게 해주는 액션모드 / 야간에서 과거보다 훨씬 잘 찍힘'
같은게 깡스펙빨로 개선되었고.. 이런건 몇년사이에 폰카 쓰는 분들은 많이 체감하는 변화일꺼에요.
저런걸 더 잘하기 위해 결국 깡스펙을 쓰는거라..
그 외에는 '영통/ 화상' 할때 실시간으로 찍어서 보여주는 기술이 발... 더 보기
발전하는 기술 자체가
'더 최적화된 보정' 으로 발전하고 있기 때문에..
몇년 사이에만 해도
'인물사진으로 자동으로 만들기 / 레이어 구분해서 편집으로 보정 더 쉽게 만들기 / 손떨림 방지 지속적 개선
/ 영상 찍으면서 움직여도 안흔들리게 해주는 액션모드 / 야간에서 과거보다 훨씬 잘 찍힘'
같은게 깡스펙빨로 개선되었고.. 이런건 몇년사이에 폰카 쓰는 분들은 많이 체감하는 변화일꺼에요.
저런걸 더 잘하기 위해 결국 깡스펙을 쓰는거라..
그 외에는 '영통/ 화상' 할때 실시간으로 찍어서 보여주는 기술이 발전했고 (움직임 자동 트랙킹과 포커싱 같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폰카로 끝내지 +@를 안쓰는 시대고. 그럼 그 폰카로 찍을때 이슈가 되는걸 개선하는쪽으로 발전하는..
어차피 전문가가 제대로 사진찍거나 사진 취미가 깊은 분들은 폰카로 끝이 아닌 메인 장비를 쓰겠지만..
'더 최적화된 보정' 으로 발전하고 있기 때문에..
몇년 사이에만 해도
'인물사진으로 자동으로 만들기 / 레이어 구분해서 편집으로 보정 더 쉽게 만들기 / 손떨림 방지 지속적 개선
/ 영상 찍으면서 움직여도 안흔들리게 해주는 액션모드 / 야간에서 과거보다 훨씬 잘 찍힘'
같은게 깡스펙빨로 개선되었고.. 이런건 몇년사이에 폰카 쓰는 분들은 많이 체감하는 변화일꺼에요.
저런걸 더 잘하기 위해 결국 깡스펙을 쓰는거라..
그 외에는 '영통/ 화상' 할때 실시간으로 찍어서 보여주는 기술이 발전했고 (움직임 자동 트랙킹과 포커싱 같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폰카로 끝내지 +@를 안쓰는 시대고. 그럼 그 폰카로 찍을때 이슈가 되는걸 개선하는쪽으로 발전하는..
어차피 전문가가 제대로 사진찍거나 사진 취미가 깊은 분들은 폰카로 끝이 아닌 메인 장비를 쓰겠지만..
물리법칙을 넘는건 아니지만.. 의미가 없다고 보진 않습니다..
몇년전 폰카만 해도 야간 사진을 못찍는 수준이였는데
이젠 어느정도는 찍을수 있는 단계고
동영상도 움직이면서 찍어도 떨림이 없어서 별 이슈가 없어지는 등의 큰 개선들이 이루어지고 있으니까요.
과거엔 줌인하면 다 깨졌지만.. 이젠 '카메라를 여러개 달아서' 일정 수준 줌인까지는 안깨지도록 개선된거처럼
일상적인 사용 용도에서 이슈가 되던 부분들
-> 사진 찍을때 흔들려요 / 동영상 흔들려요 / 저녁만 되도 사진이 안찍혀요 / 줌인을 좀만 해도... 더 보기
몇년전 폰카만 해도 야간 사진을 못찍는 수준이였는데
이젠 어느정도는 찍을수 있는 단계고
동영상도 움직이면서 찍어도 떨림이 없어서 별 이슈가 없어지는 등의 큰 개선들이 이루어지고 있으니까요.
과거엔 줌인하면 다 깨졌지만.. 이젠 '카메라를 여러개 달아서' 일정 수준 줌인까지는 안깨지도록 개선된거처럼
일상적인 사용 용도에서 이슈가 되던 부분들
-> 사진 찍을때 흔들려요 / 동영상 흔들려요 / 저녁만 되도 사진이 안찍혀요 / 줌인을 좀만 해도... 더 보기
물리법칙을 넘는건 아니지만.. 의미가 없다고 보진 않습니다..
몇년전 폰카만 해도 야간 사진을 못찍는 수준이였는데
이젠 어느정도는 찍을수 있는 단계고
동영상도 움직이면서 찍어도 떨림이 없어서 별 이슈가 없어지는 등의 큰 개선들이 이루어지고 있으니까요.
과거엔 줌인하면 다 깨졌지만.. 이젠 '카메라를 여러개 달아서' 일정 수준 줌인까지는 안깨지도록 개선된거처럼
일상적인 사용 용도에서 이슈가 되던 부분들
-> 사진 찍을때 흔들려요 / 동영상 흔들려요 / 저녁만 되도 사진이 안찍혀요 / 줌인을 좀만 해도 깨져요
같은것의 개선이 도토리 키재기라고 볼 작은 차이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당
쓰기 힘들던 상황들에서 쓸수있는 수준으로 싹 변하고 있는거라.
실제로 몇년전하고 비교해서 계속 개선되는건 '폰카가 정상적으로 못찍던' 상황들에 대한걸 개선하는쪽으로 발전하는거랑
인물사진 모드처럼 '사람들이 원하는 보정을 바로 넣어주는' 편의성 모드 쪽으로 크게 발전하고 있으니까요.
이미 물리적인 한계가 있어서 스텐다드한 상황에서의 퀄리티는 한계에 한번 도달한지 꽤 되었지만
그 외의 상황들은 깡스펙으로 계속 개선이 가능하니까..
몇년전 폰카만 해도 야간 사진을 못찍는 수준이였는데
이젠 어느정도는 찍을수 있는 단계고
동영상도 움직이면서 찍어도 떨림이 없어서 별 이슈가 없어지는 등의 큰 개선들이 이루어지고 있으니까요.
과거엔 줌인하면 다 깨졌지만.. 이젠 '카메라를 여러개 달아서' 일정 수준 줌인까지는 안깨지도록 개선된거처럼
일상적인 사용 용도에서 이슈가 되던 부분들
-> 사진 찍을때 흔들려요 / 동영상 흔들려요 / 저녁만 되도 사진이 안찍혀요 / 줌인을 좀만 해도 깨져요
같은것의 개선이 도토리 키재기라고 볼 작은 차이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당
쓰기 힘들던 상황들에서 쓸수있는 수준으로 싹 변하고 있는거라.
실제로 몇년전하고 비교해서 계속 개선되는건 '폰카가 정상적으로 못찍던' 상황들에 대한걸 개선하는쪽으로 발전하는거랑
인물사진 모드처럼 '사람들이 원하는 보정을 바로 넣어주는' 편의성 모드 쪽으로 크게 발전하고 있으니까요.
이미 물리적인 한계가 있어서 스텐다드한 상황에서의 퀄리티는 한계에 한번 도달한지 꽤 되었지만
그 외의 상황들은 깡스펙으로 계속 개선이 가능하니까..
사실 그거 하나 보고 가는겁니닼ㅋㅋㅋㅋ 12미니 쓸때 제일 빡쳤던 부분이 외출만 할려고 하면 보조배터리를 챙겨야 한다는건데 이제 그게 없으니 너무 좋읍니다.
다만 에어팟프로->에어팟맥스로 오면서 가벼워진건 아닌게 함정이지만ㅋㅋㅋㅋㅋ
다만 에어팟프로->에어팟맥스로 오면서 가벼워진건 아닌게 함정이지만ㅋㅋㅋㅋㅋ
저는 아직도 여행 다닐 때 렌즈교환식 디지털카메라를 가지고 다니기는 하는데, 언제까지 그럴지는 모르겠네요.
미러리스 카메라의 장점
그래도 아직은 비교우위의 결과물, RAW파일의 높은 보정관용도, 다양한 렌즈 활용 가능성, 많은 양의 사진 촬영과 저장에 용이함
스마트폰의 장점
가벼운 무게, 즉각적인 보정, 간편한 저장과 활용
특히 지금도 일반적인 화각에서 주간 광량이 충분할 때 결과물 차이는 거의 없다시피해서, 무거운 카메라를 들고 여행다니는 건 언젠가 정말 한때의 추억 같은 걸로 남게 될지도 모르겠습니다..
미러리스 카메라의 장점
그래도 아직은 비교우위의 결과물, RAW파일의 높은 보정관용도, 다양한 렌즈 활용 가능성, 많은 양의 사진 촬영과 저장에 용이함
스마트폰의 장점
가벼운 무게, 즉각적인 보정, 간편한 저장과 활용
특히 지금도 일반적인 화각에서 주간 광량이 충분할 때 결과물 차이는 거의 없다시피해서, 무거운 카메라를 들고 여행다니는 건 언젠가 정말 한때의 추억 같은 걸로 남게 될지도 모르겠습니다..
아이폰은 참 성능도 저만치 앞서가고 만져보면 참 부들부들하고 마감도 좋고 참 좋은데 너무너무 무거워요.
스테인리스 재질 좀 버렸으면 좋겠다 싶은ㅋㅋㅋ
스테인리스 재질 좀 버렸으면 좋겠다 싶은ㅋㅋㅋ
전 아직 6s 만족스럽게 사용중인데, 그래서 내년 여름-가을쯤 se2 or 3 정도로 갈아타려고 합니다.
ios 업뎃만 지원해주면 고성능이 필요가 없네요...
미니도 생각해봤지만 아내가 미니를 쓰는데 좀 두꺼운 느낌이더라구요.
사실 5s가 제일 좋았는데 그 크기는 이제 안나오니...se2나 3...원츄!!
ios 업뎃만 지원해주면 고성능이 필요가 없네요...
미니도 생각해봤지만 아내가 미니를 쓰는데 좀 두꺼운 느낌이더라구요.
사실 5s가 제일 좋았는데 그 크기는 이제 안나오니...se2나 3...원츄!!
뭐 성능 좋아진거야 말해 무엇하겠습니까만 말씀하신 깡성능이 아무리 좋아져 봤자 못 느끼는 계층은 못 느끼죠.
예를들어 사진이 잘찍혀요...라고 하면 사진을 잘 안 찍는 사람도 많으니까요.
예를들어 사진이 잘찍혀요...라고 하면 사진을 잘 안 찍는 사람도 많으니까요.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