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2/07/11 14:30:47
Name   Leeka
Subject   작년까지 나왔던 실거주 1채에 대한 잡설

언젠가 그날이 오긴 할텐데.. 했던 부동산 비수기 시즌이 슬슬 현실로 오는 느낌인데요..


작년까지.. 제가 홍차넷에도 썼던.. 실거주 1채에 대한 잡설을 넣자면.


-> 작년까진 초초초저금리.. 였기 때문에 실거주 1채가 리스크 관리에서 좋은 선택지였습니다.


1. 30년 고정금리로 1~2%... 를 받기 때문에

-> 집값이 올르면 사놨으니 어느정도 탑승

-> 집값이 횡보하면 '이사 걱정 없이 사는걸로 만족'

-> 집값이 밀린다면.. 평균적으로 금리가 1~2%가 아닌 그 이상으로 갈 확률이 높고. 그럼 '이자 고려시 실거주 안정감은 여전히 있음'
(실제로 지금 전세 금리도 꽤 오른 상태..)

3단 논리로..


이게 이사를 안한다는게

한번 이사하는데 이사할집 알아봄 + 이사준비하고 하느라 쓰는 긴 시간
+ 복비 + 이사비..+ 기타 등등하면...... 생각보다 큰 금액과 시간을 세이브 하는거라서 -.-;;

(실제로 집 사는 사람중에 원하지 않는 이사... 로 인해 사게 되는 사람들도 은근 많기도 하고)




하지만 역시 실거주 1채를 손쉽게 추천할 수 있었던건 작년까지의 초저금리.. 30년 고정이 가능하던 시대고

지금은 금리가 달라져서 상황이 많이 변하긴 했습니다 -.-;





개인적으론 지난 정부에 가장 아쉬운건.. 자주 말하긴 했는데

'초저금리 + 원자재값이 저렴' 할때 집을 왕창 지었어야 했는데......
그 시기에 틀어막아서..  이제 원자재값이 떡상.. 한 상태라는게 좀..

한국은 원자재가 나오는 나라가 아니라서.. 개인적으로는 쌀때 집을 많이 짓도록 유도하는게 가장 좋다고 생각하는데
어찌보면 민주주의는 정책을 길게보고 안하는게 단점이라..



전기차 충전할곳도 없고.. 주차할 자리도 없고.. 이래저래 불편하게 굳이 살아야 될 이유는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 사실 실거주 1채의 최대 장점은 다른게 아니라 그냥 이사를 안갈수 있는겁니다.. 이사는 너무 큰 이벤트..





0


    메존일각
    근 3~4주 고통받았던 걸 생각하면 너무 공감합니다. 그동안 내 무형적 시간 비용을 빼더라도, 교통비+식비+중개수수료+(앞으로 발생할) 이사비+@ 생각하면 되도록 안 가는 게 무조건 이득이죠. 정신적 스트레스까지.
    집주인 잘 만나서 이사 안하고 장기간 거주한분들은 못느끼는 이슈긴 한데

    이사가 사회초년생이면 몰라도 가정을 이루기 시작하면 이게 보통일이 아니라서= =;;
    무형적 시간 비용을 왜 뺍니까? ㅠㅠ
    실질적으로 드는 금액을 다 합쳐도 낭비하는 시간, 기회비용 및 늘어나는 자괴감에서 오는 고통이 더 큰 것 같습니다.
    결론나셨는지 몰라도 고생하셨습니다.
    메존일각
    돈으로 바로 보이지 않는 거라서요. 크크 어떻게든 해결은 잘 됐습니다. 감사합니다.
    원금복구제발ㅠㅠ
    집값에 원자재가 차지하는 비중이 어느정도 되는건가요?? 건설관련된건 아예 모르니 이런얘기 보면 많이 배우기도 어렵네요.... ㅠ
    그 비중은 대답이 불가능한게

    서울에 40억짜리 아파트나.. 지방에 5억짜리 아파트나.. 건설가격은 비슷합니다.. 다 땅값이라서 - -;;


    원자재가격이 위로 질주할수록 '땅값이 비싼곳이 아니면 건설하기가 더 힘들어진다'?.. 라고 이해하시면 될거에요.
    1
    명절은추석
    제가 알기로 서울 부동산은 형태를 막론하고 건설사 수지분석표에서 땅값이 전체 사업비의 절반 이상을 육박하는 경우가 태반이라 원자재 가격 쌀 시절에 서울 수도권 공급증가 이야기는 조금 안맞는 이야기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쌀때 공급하는게 그래도 국가 전체로 보면 차이가 크다고 보기 때문에.....

    유가도 사이클이 있는거처럼.. 원자재 가격도 사이클이 있으니까요..
    명절은추석
    말씀하신 것처럼 실제로 원자재 쌀 때 공급을 막고 안했냐 하면 그건 아닌 것 같거든요.

    3기신도시 발표가 2018년이었고 19년 삽떠서 뭐 24년 25년 준공 완공 발표하느니 마느니 얘기 나오고 있잖아요.

    문제는 언론 및 많은 사람들이 지적한 [입지 좋고 사람들이 실제로 수요하고 원하는 스울 아파트 부동산 공급 부족 사태]를 해결하기에는 원자재 가격의 향방은 사실 의미 없다고 보는 쪽이라는 얘기에요.
    2
    재건축을 좀 빡세게 막은게 아니라서.. 저는 어느정도는 막았다고 보는 입장인지라...

    재건축은 '소유주들이 땅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원자재값/금리등에 비중이 커지는 구조다보니..

    공급이 무에서 유를 만드는것도 있지만. 재건축/재개발도 공급이라서..
    명절은추석수정됨
    네 그 부분은 저도 동의합니다... 근데 그건 사실 중앙 정부의 실책이라기보다는 정비사업에 관한 서울시 조례가 막은 부분이 더 크다고 보여져서... 뭐 사실 그것도 크게 보면 전 정권의 산물이라고 볼 여지가 있으니 이해는 갑니다.

    다만 재건축 재개발도 무작정 풀기 힘든 시장 상황이 있었죠. 원자재 쌀 때 공급 늘리라는건 앞서 말한 신도시 개발등의 국가 자체 시행 사업의 경우에 해당될 수 있겠고 가뜩이나 유동성 풀려서 집 수요가 폭증하는 상황에서 대규모 멸실과 함께 떡상 기대감을 불러일으키는 재건축 재개발을 마구마구 풀어버리는 선택지도 솔직히 그 당시 했어야만 했는가? 그건 좀 갸우뚱 이라는 부분입니다.
    사실 전 정권에서 집값 올린 1등 공신은 박원순이긴 하죠..

    2등이 임대차3법을 필두로 한 이상한 대책들이고

    3등이 코로나로 인한 라스트 불장...
    2
    원금복구제발ㅠㅠ
    두분 댓글타래로 많이 배우게 되네요 감사합니다.
    제가 분양받은 집 기준으로 대지비가 2억 초반인데 건축비가 4억 중반입니다.... 그나마 대전이라 그렇지...
    이제 이 건축비를 인건비, 자재비로 나눠야합니다.
    건축하는 친구에게 물어보니 대충 인건비가 40%~50%, 자재비는 집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25~40% 사이라 편차가 좀 있다 합니다. 나머지는 관리비 등이라고 하네요....
    원금복구제발ㅠㅠ
    그렇군요... =_=;;
    건설사에 따라서 전용면적 기준 평당 4~500정도를 건설원가(건설사 이윤포함된 금액)로 보면 됩니다.
    근데 금융비용은 고려하지않았으니 실제로는 땅값과 금융비용이 좀 더 든다고 봐야합니다.
    최근은 저기서 약 20%정도 상승했다고 보시면 됩니다.
    Paraaaade
    건설원가 산출은 전용면적이 아니라 보통 계약면적을 쓸겁니다. 계약면적 1평당 400-500, 최근은 20% 상승이 맞습니다.

    전용 59m2 25평 아파트의 계약면적은 40평 정도 됩니다.
    공급자체는 기존정권 최고치를 찍었다고 들었습니다.
    다만 아파트란게 지어지는데 5년넘게 걸리게되고
    효과를 보려면 다음정권으로 가야한다는거죠.
    모든 토지관련정책이 그렇다고 들었어요.
    건설과 사람들이 살 수있는 인프라와 그 사람들이 모이는데 걸리는 시간 등등.
    사람들이 국평이 부족하다고 하는데 10평을 왕창 공급하면.. 유효 공급이 아니라서...

    공급에 너무 집중해서 오히려 핀트가 안맞는 공급이 많았다고 보는게 맞습니다..

    실제로 20년에 그 불장에서도 공공주택 공실도 꽤 나왔고..


    단순하게 국평 100세대 공급할걸 10평으로 쪼개면 300세대 공급이 나오니깐
    공급물량은 평수를 줄이는게 가장 많이 나오는 구조라서..



    서울에 집이 부족하다고 하는데 대구에 왕창 짓고 공급이 충분해요 하는거나
    서울에 4인가구 집이 부족하다고 하는데 (국평).. 10... 더 보기
    사람들이 국평이 부족하다고 하는데 10평을 왕창 공급하면.. 유효 공급이 아니라서...

    공급에 너무 집중해서 오히려 핀트가 안맞는 공급이 많았다고 보는게 맞습니다..

    실제로 20년에 그 불장에서도 공공주택 공실도 꽤 나왔고..


    단순하게 국평 100세대 공급할걸 10평으로 쪼개면 300세대 공급이 나오니깐
    공급물량은 평수를 줄이는게 가장 많이 나오는 구조라서..



    서울에 집이 부족하다고 하는데 대구에 왕창 짓고 공급이 충분해요 하는거나
    서울에 4인가구 집이 부족하다고 하는데 (국평).. 10평짜리 1인가구 집을 왕창 지어서 공급이 충분하다고 하면....

    실제로 이번 장에서 집값을 밀어올린건 국평인 84를 주축으로.. 미니멈 59에서 크게 보면 110 전후까지가 중심이 된거니까요
    2
    역시 이 글만 봐도 전기차는 시기ㅅㅈ....
    전기차는 본인이 밥을 줄 수 있으면 괜찮슴다... 구축은 진짜 밥주는게 미묘한거 같아요.. 전기차 충전소 자리는 있는데
    수가 적다보니 쓸수 있고 없고가 아파트마다 다 케바케라..
    네 이게 충전소 형태랑 차에 따라서도 갈립니다. 실제 굴려 보면 요즘 300km 넘는 차들은 예전 100km따리들 시절과 질적으로 달라서 충전 소요가 그렇게까지 크진 않읍니다. (그래서 그런지 포터랑 봉고들 충전소 점유 행태는 그 악명 높다는 택시기사들마저 혀를 내두를 정도죠)
    반면 예전 차일수록 충전을 더 자주 해줘야 하는데, 현실은 옛날 차들을 위한 급속충전소(차데모, ac3상)가 점점 줄어들고 점점 완속에 의지해야 하는 상황이 계속되며 거기에 구축일수록 수전 용량 때문에라도 완속이나 type 1(=220v로)에 의존해야 하니 더 어려워지지 않나 싶읍니다
    구축은 물리적으로도 충전소를 제대로 설치할수가 없다보니.....ㅜㅜ
    집에 가는 제로스
    사실 그때는 초초저금리였기 때문에 30년 저리대출을 받는것 자체만으로 쌉이익이라 진리 그자체였죠.

    집값 5억 30년 금리 2.7% / 집값3억5천 30년 금리 6.3%
    한달 부담금은..?
    그래서 실거주 진리가 막 나온건데..

    고금리 상황에서 왜 이젠 실거주가 진리가 아니냐고 하면.. 이젠 금리가 높으니까 ㅜㅜ... 라는 큰 차이가 있는데
    이해를 못하는 분들이 있던....
    명절은추석
    땅값이 어마무시한 스울에 집이 부족한데 원자재 가격 쌀때 집을 많이 지으라는 본문의 주문도 이상한 해결책이긴 합니다만...

    개인적으로 공급관련된 시그널에 있어서 실책이 있다면 같은 맥락에서 정부 실책보다는 재건축 재개발을 지독하게 막은 전 시장 실책이 더 크다고 생각합니다...
    재건축/재개발을 막은게 실책인거죠..

    재건축/재개발은 '소유주가 땅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소유주의 추가금 부담금은 금리&원자재값을 따라가니까요..


    전 시장이 다른 당이였으면 몰라도 사실 시장이 같은 여당이였으니..
    도시 계획의 방향은 집값을 아득히 넘어선 철학의 영역이 아닐까요.
    돌고래
    사실 실거주 1채가 진리든 뭐든 폭락할거라는걸 확신할 수 있으면 안사고 저점에서 줍줍하는게 맞습니다.
    각자 알아서 판단하고 본인이 책임지면 될 일.
    다만, 전 향후 10년은 계속 우상향 기조라고 봅니다. 이유는 인플레이션때문.
    10년뒤엔 꿋꿋이 버티고 부동산 늘린 사람이 웃을듯.
    사실 주식이나 부동산이나 코인이나.. 그걸 정확하게 알면 신이 아닐까..
    30년 고정금리 1~2%대로 서울 괜찮은 지역에 집을 살 수 있는 시기는 지나지 않았나 합니다.
    적격과 디딤돌 등의 한도 금액을 대부분 서울 주택이 초과했으니까요..
    서울은 18~19년에
    수도권은 20~21년에 순차적으로 가능하긴 했습니다..

    판교 출퇴근 가능한 신분당선 도보 10분이내 전용 59 아파트만 해도 21년 초까지는 보금자리론이 가능했던...
    네 이제 지난거죠 뭐......
    人在江湖
    집값을 구성하는 요인 가운데 가장 큰 땅값을 무시하고 금리와 원자재만 놓고서 집을 많이 지었어야 한다는 주장은... 네 저도 잘 모르겠습니다 (딸꾹)
    리모델링, 재건축, 재개발은 이미 소유주가 땅을 들고있어서
    사업비에 금리와 원자재 지분이 큰데요..

    왜 빈땅에 짓는것만 공급이라고 생각하시는지…

    재건축을 평생 막을것도 아니고..
    人在江湖
    아하.. 본문에 소유주가 땅을 가지고 있다는 이야기가 없어서, 그 부분을 제가 놓쳤나 봅니다.

    감사합니다. (꾸벅)
    꿀래디에이터
    남에집살이가 얼마나 스트레스인지 아는 분들만 알죠

    뭐 하나 설치하려해도 허락 받아야 하는데..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4335 경제CFO Note: 사업과 세금 (2) - 국내 수출상이 해외 수입상을 위해 대신 지급하여 준 금원이 국내 수출상 법인의 '손금'으로 산입될 수 있는지 김비버 23/12/15 2090 6
    14318 경제CFO Note: 사업과 세금 (1) - 협력업체 직원들에게 지급한 야근식대가 '접대비'에 해당하는지 1 김비버 23/12/08 2440 6
    14290 경제주식양도소득세 정리(2022. 12. 31. 법률 제19196호로 일부개정된 소득세법 기준) 7 김비버 23/11/22 3453 7
    14285 경제주식 무서워요, 예적금 못기다려요, 목돈 아니예요! 하지만 돈은 불리고 싶어요! 12 Groot 23/11/20 3207 4
    14187 경제국회의원들은 노후도시 특별법을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 19 구밀복검 23/10/12 3784 9
    14166 경제2022 상위 1% 보고서. NH투자증권 100세시대 연구소 5 moqq 23/10/02 3066 1
    14163 경제2022 중산층 서베이. NH투자증권 15 moqq 23/09/29 3099 2
    14116 경제그냥 쉬었다는 청년들 증가, 정말 노동시장 상황 악화 때문인가 3 카르스 23/08/22 3565 5
    14105 경제민간 기업의 평생 금융 서비스는 가능할까 11 구밀복검 23/08/15 2963 6
    14101 경제사업실패에서 배운 교훈, 매출 있는 곳에 비용 있다 9 김비버 23/08/12 3027 26
    14066 경제재벌개혁 관련 법제의 문제점(1) – ‘일감몰아주기’ 증여의제 과세 3 다영이전화영어 23/07/26 2778 6
    13866 경제심심풀이 5월 종합소득세 이야기 10 Soul-G 23/05/16 2233 3
    13613 경제사교육 군비경쟁은 분명 출산율을 낮춘다. 그런데... 10 카르스 23/03/02 3384 11
    13513 경제인구구조 변화가 세계 경제에 미칠 6가지 영향 13 카르스 23/01/27 4275 10
    13457 경제때늦은 2022년의 경제학 (+인접분야) 논문읽기 결산 8 카르스 23/01/04 2823 12
    13436 경제정규직보다 계약직 월급이 많아야하고, 전세는 집값보다 비싸야 한다. 19 cummings 22/12/29 3905 3
    13411 경제인플레이션이 뭘까요? 2 realwealth 22/12/19 3015 3
    13402 경제이 사건의 시작은 질게의 한 댓글이었습니다. 11 아비치 22/12/17 3253 25
    13353 경제위즈덤 칼리지 7강 Review 모임 특별편 (?) - 주간 수익률 게임! 16 Mariage Frères 22/11/26 2710 2
    13350 경제부동산에 대한 잡썰 15 Leeka 22/11/25 3586 0
    13087 경제중국경제에 대해서 드는 잡생각들 9 인석3 22/08/16 3729 0
    13062 경제멀리 가버리는 유럽의 전력가격 5 Folcwine 22/08/06 3578 0
    13015 경제가계부채에서 고정금리와 변동금리 비율은? Leeka 22/07/23 3035 0
    13008 경제코인·투자 손실금까지 변제해주는 게 맞냐? 30 Wolf 22/07/20 4327 22
    13001 경제에너지 얼마나 올랐나? 4 Folcwine 22/07/16 3577 1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