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2/05/18 14:53:35
Name   Picard
Subject   우리 부부는 재테크의 본능이 없나봐요
얼마전 윤통 당선 되고 '이제 집살까봐요' 라고 글을 올렸었는데요

사실 좀 본격적으로... 대출 5억, 자산 2억, 부모님한테 3억 빌려서 10억을 만들어서 집을 사자는 생각을 했어요.
부모님 대출은 어차피 돌아가시면 물려받을테니 큰 고민 안하고(그래도 갖출것은 갖춰야지만)
5억은 이거저거 따져보니 줄일거 최대한 줄이면 원리금상환 가능하지 않을까..

저희가 인서울이나 특급지 원하는 것도 아니고, 그냥 부모님이나 처부모님이랑 멀지 않은 동네에 학교 있는 곳이면 괜찮겠지 하는 나이브한 생각이었죠.

그런데, 유튜브가 또 어떻게 알았는지 부동산 방송들을 열심히 추천해주더군요.

그래서 긍정적, 부정적 의견을 다 보았는데... '금리 부담 안되면 살집은 사도 된다.' vs '지금이 피크다. 몇년 기달려라' 더군요

집값 많이 오른것 같지? 그래도 지금 사야지.. 지금 안사면 못사. 돈은 못 벌어도 손해는 안볼거야. 평생 세살이 할꺼야?

vs

리먼급 폭락 올 수 있다. 겁나지? 응? 그러니까 사지마. 금리도 오르는데 잘못하면 하우스푸어 된다.

둘다 감정에 호소하는데...

감정을 떠나서, 우린 이미 대출을 80% 받겠다는거잖아?  금리가 당연히 부담이 되지요
그래서 당분간 집사는건 포기했어요.

아내가 그러더군요. 우린 재테크는 X손이니 "해야 할것 같은데?" 라는 생각이 들어도 쉽게  결정하지 말자고..
하긴 뭐 제 보유주식창은 다 퍼런데...
코인은 안하는게 다행입니다.

P.S) 이번에 집값 알아보니 친가쪽이 교육인프라 때문에 상대적으로 처가쪽 동네보다 비싸다는 동네인데, 처가쪽 동네는 신축이 많아서 도리어 집값이 비싸더군요. 참 부동산은 모르겠습니다.




0


    개인적으로 무주택은 하락 배팅이라고 생각합니다
    자기 취향이 확고 하면 거기 가서 살면 되고 그게 아니면 남들 좋다는 곳이 좋습니다.
    분양권 추천합니다
    전 윤통이 (비싸더라도) 집사기 좋게 해줄거라고 생각 했는데.. 인수위가 꿈지럭 거리지 않았으면 은행창구 달려갔을지도요.
    공급이 없는데 대출부터 풀 순 없죠. 매물 유도했으니 나오는 거 보면서 대응하겠죠.
    Beer Inside
    뭐 그래도 하나는 있어야지요.

    노림수는 두번째 부터?
    처음도 이렇게 어려운데 이걸 또 해야 하나요.. ㅠ.ㅠ
    그건 본능이 아니고 재능... 아 아닙니다
    주식못하는옴닉
    LTV 40% 적용은 안 받는 곳인가요?
    LTV, DSR 다 따져도 5억 가능하겠더군요. 두곳 다..
    1
    주식못하는옴닉
    금리로 인한 이자부담 계산은 중요합니다.

    그거만 감당 가능하다면 전 하락장이고 뭐고 1주택은 '항상' 주천합니다.
    현 금리는 가능한데 더 오르면 불가능해서요.
    1
    주식못하는옴닉
    그러면 돈을 더 모으고 기다리는게 맞읍니다.
    금리는 무조건 오르니까요.
    그럼 지금 당장 고정금리로 땡기는게 맞지 않나요? ㅋㅋ 기다린다고 돈이 꼭 모이는건 아니니까요.
    1주택 추천할 때 보통 '살 수 있을 때 사라'고 많이 말하는것 같습니다. 갖은 핑계로 못사다보면 계속 못사게 되거든요.
    주식못하는옴닉
    고정금리가 잘 없어서...ㅠ

    여튼 저는 1주택은 타이밍이 없다고 말하는 축이긴 합니다ㅋㅋ
    먼 미래의 일이긴 하고 100% 확실치는 않습니다만, 부모님 돌아가시면 상속세 내고 물려받을 집이 있는 경우라면 어떨까요...
    주식못하는옴닉
    미래의 일은 아무도 모르므로... 저는 주로 현재에서 해결하고 미래 일은 additional하게 보는 편입니다. 이건 사람마다 다 다르니;
    집에 가는 제로스
    요새는 고정금리라는게 3년고정 5년고정 뭐 이런 식이더라고요.. 장기 고정금리가 없습니다 ;ㅅ;
    하우두유두
    힘내십시요 선생님
    과학상자
    박근혜 때 전세가 없어서 집샀다가 문재인 때 팔아서 소소하게 차액을 남겼던 사람입니다. 아무 생각 없이 필요에 따라 사고 팔았는데 저점에 사서 고점에 판 셈이 됐죠. 저도 재테크 관심없고 그냥 내가 살 집만 있으면 되는데, 누구나 그럴 수 있는 상황은 아닌 것 같더라고요. 이제 이사가 지긋지긋하기도 해서 웬만하면 집 사고 싶은데, 막상 사려니 너무 비싸네요. 근데 전세 물건은 널렸고 계속 떨어지고 있으니 지금은 아닌가보다 하고 미뤄두고 있습니다. ㅎㅎ
    원금복구제발ㅠㅠ
    상승장에서는 무주택이 숏이라는 말이 맞겠지만, 지금시점에서 무주택이 과연 숏이라고 말할수 있는것인가 모르겠어요.

    재테크, 투자 뭐 이렇게 불리우는것들은 기본적으로 경제적으로 성장할것을 전제로 하고있고 그게 틀리지도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코로나 특수성, 인플레이션, 스태그플레이션, 빅스텝, 자이언트스텝과 같은 주제가 진지하게 논하고있는 이 시점에서는 간단하게 볼 문제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어차피 오른다는 전제를 가지고 살아야한다는건 동의하지만, 1-3년 사이에 더 좋은자리가 나올 가능성이 보이는 시기이기도 합니다. ... 더 보기
    상승장에서는 무주택이 숏이라는 말이 맞겠지만, 지금시점에서 무주택이 과연 숏이라고 말할수 있는것인가 모르겠어요.

    재테크, 투자 뭐 이렇게 불리우는것들은 기본적으로 경제적으로 성장할것을 전제로 하고있고 그게 틀리지도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코로나 특수성, 인플레이션, 스태그플레이션, 빅스텝, 자이언트스텝과 같은 주제가 진지하게 논하고있는 이 시점에서는 간단하게 볼 문제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어차피 오른다는 전제를 가지고 살아야한다는건 동의하지만, 1-3년 사이에 더 좋은자리가 나올 가능성이 보이는 시기이기도 합니다.
    타겟이 10억짜리 아파트라면, 지금 타고있는 소나타 타고 들어가냐 GV80한대 추가로 계약하고 들어가냐 차이가 날수도 있어요.
    주식못하는옴닉
    무주택은 숏이 맞지요. 하락장은 롱이 죽고 숏이 이기는 게임이니...
    원금복구제발ㅠㅠ
    아 저는 굳이 표현하자면 횡보나 하락장에서는 무주택은 그냥 현찰 갖고있는 그대로 봐야한다고 생각합니다 ㅋㅋ
    주식 대세상승장에서 현금보유했다고 숏쳤다고 하진 않으니까요 ㅎㅎ;
    1
    괄하이드
    주식투자할때도 현금보유상태를 마일드한 숏이라고 우스갯소리로 말하기도 하지만.. 이게 사실 무주택이 숏이라고 할때 주식투자와 가장 다른 점은, [주식은 없어도 무방하지만 집은 무조건 어딘가에서든 살아야한다]라는 점 때문인것 같습니다.

    전세든 월세든 주거비용이 계속 들어야하는 상황이기 때문에 결국 1주택을 가진 상태가 오히려 부동산에 뉴트럴한 포지션에 가까운거 아니냐? 라는 비유적인 이야기인것이겠지요.
    집에 가는 제로스
    엥..상승장이든 하락장이든 무주택은 숏이지요. 상승장에서는 숏치면 손해를 보는 것이고 하락장에서는 숏치면 이득을 보는 것일뿐..
    원금복구제발ㅠㅠ
    위에 댓글 단것처럼 초 떡락장이 아니라 횡보나 보통 하락장에서 무주택은 그냥 현찰보유 정도로 봐야하지 않을까 합니다. ㅎㅎ
    절름발이이리
    엄밀히 말하면 무주식이라고 주식 숏이라곤 안하듯 무주택은 현금포지션인 정도이지 숏인 건 아닙니다. 다만 무주택자도 주거비 지출이 필수라는 점을 고려하니 더 와닿는 것 뿐..
    3
    Folcwine
    윤이 대통령 되면 집 사기 좋게 해줄 것이라는 기대는 연준이 금리인상을 안 할 것이라든지, 문이 집값 잡아줄 것이라는 기대와 유사한듯 합니다.

    투자를 하다보면 흔히 외적인 요인에 많이 집중하게 되는데 사실 그것보다 더 중요한건 내적인 요인(자산배분, 자금흐름, 지출계획, 자기자본비율 등)이 아닌가 싶네요. 외부환경도 고려하되 내가 컨트롤할 수 있는 요인이 무엇인지 고민해보시는게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일단 실거주용 10억대 아파트만 보시는건 선택의 폭이 많이 좁아보입니다.
    네온사인
    개인적인 의견이고 반박시 그리고 모든 다른분들의 의견이 옳습니다. 어지간해서는 그냥 보고 지나가는데 답답해서 적어봅니다.

    선생님 같은분들이 더더욱 1주택이 되어야합니다. 근데 길게 쓰려니까 막막하고 귀찮아지네요...

    1. 큰돈이잖아요? 최소한 유투브든 뭐든 1000시간은 본다는 생각으로 유투브를 보든 책을 읽던 해보세요.

    2. 일단 리먼이랑 우리나라 현재 상황이랑 비교해보세요. 아 그리고 단골소재인 일본 도쿄와의 비교, 잃어버린 30년과의 비교, 인구감소얘기등도 정확하게 파악해보세요. 뭐가 다른지 스스로 얘기할 정도... 더 보기
    개인적인 의견이고 반박시 그리고 모든 다른분들의 의견이 옳습니다. 어지간해서는 그냥 보고 지나가는데 답답해서 적어봅니다.

    선생님 같은분들이 더더욱 1주택이 되어야합니다. 근데 길게 쓰려니까 막막하고 귀찮아지네요...

    1. 큰돈이잖아요? 최소한 유투브든 뭐든 1000시간은 본다는 생각으로 유투브를 보든 책을 읽던 해보세요.

    2. 일단 리먼이랑 우리나라 현재 상황이랑 비교해보세요. 아 그리고 단골소재인 일본 도쿄와의 비교, 잃어버린 30년과의 비교, 인구감소얘기등도 정확하게 파악해보세요. 뭐가 다른지 스스로 얘기할 정도는 되어야합니다.

    그리고 그정도되면 그 유투버는 거를겁니다.

    3. 그래서 고정금리로 대출을 하려고 하는겁니다.

    4. 모르면 서울 500세대 이상, 경기도 1000세대 이상을 우선순위로 찾아보세요. 아파트요.

    5. 가격이 오르기를 원하시나요? 잃지만 않으면 되나요? 이런거에 따라서 추천이 조금씩 달라집니다. 스스로 고민해보세요.

    6. 주식과 달리 아파트는 정말 쉽습니다. 거래된 가격에 여러 요소들이 다 녹아있는겁니다. 입지에 대한 가치나 상품에 대한 가치나 여러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적용되어있고 아주 명확합니다.

    적을 얘기들이 더 많고 많지만 걱정이 많은 타입이라 이정도로 마치겠습니다...
    주니파
    [인서울이나 특급지 원하는 것도 아니고, 그냥 부모님이나 처부모님이랑 멀지 않은 동네에 학교 있는 곳]
    이라면 지금은 관망하는 것이 맞습니다.
    하지만 만약 떨어진다면 사실 수 있겠어요? 관망이란 말은 가격이 떨어지든 오르든 아무짓도 하지말라로 인식하는 분들이 많아서... 어떻게 보면 하락장에 매수하는게 훨씬 더 어렵습니다...
    원하는 지역 부동산 가서 상담하고 또 거기에 낚여서 바로 덜컥 계약하지 마시고 여기저기 분위기 보고 상담하고 최소 몇달 또는 1년 이상 그렇게 넷상 오프라인상으로... 더 보기
    [인서울이나 특급지 원하는 것도 아니고, 그냥 부모님이나 처부모님이랑 멀지 않은 동네에 학교 있는 곳]
    이라면 지금은 관망하는 것이 맞습니다.
    하지만 만약 떨어진다면 사실 수 있겠어요? 관망이란 말은 가격이 떨어지든 오르든 아무짓도 하지말라로 인식하는 분들이 많아서... 어떻게 보면 하락장에 매수하는게 훨씬 더 어렵습니다...
    원하는 지역 부동산 가서 상담하고 또 거기에 낚여서 바로 덜컥 계약하지 마시고 여기저기 분위기 보고 상담하고 최소 몇달 또는 1년 이상 그렇게 넷상 오프라인상으로 모색해 보시다가 진짜 급매 나오면 신중하게 생각하시고 접근하세요.
    10억짜리 집을 온라인에서 3만원짜리 물건 사듯이 고를 수는 없잖습니까...
    다만 현재는 금리가 너무 올랐고 오르고 있고 주식, 해외주식, 채권 등 자산시장이 워낙 약세라 부동산은 상대적으로 늦게 반영된다는것을 감안했을때 급하게 살필요가 없는 구간이죠. 그래도 인서울 핵심지, 학군지는 지금도 돈있으면 사라고 합니다.
    하지만 애매한 수도권이나 지방 같은 경우는 상당한 하락이 나올 수도 있으니까 기다려 보시되 어차피 1주택이고 실거주면 시세대비 괜찮은 물건이 나오면 사시는게 좋습니다.
    무조건 많이보고 길게 고민하고 결정하세요. 단, 제일 안좋은것은 아무것도 안하고 그냥 무작정 안사기입니다.
    1
    주니파
    얘기를 시작한 김에 조금 더 쓴소리 드리면
    [이번에 집값 알아보니 친가쪽이 교육인프라 때문에 상대적으로 처가쪽 동네보다 비싸다는 동네인데, 처가쪽 동네는 신축이 많아서 도리어 집값이 비싸더군요. 참 부동산은 모르겠습니다.]
    이렇게 알아보신건 알아보신게 아니에요. 알아보시지 않았으니 모르시는 겁니다.
    우선 지역을 비교할땐 유사한 연식의, 세대수, 용적률, 같은 평수를 생각해서 아파트를 잡고 비교를 해야합니다. 그래야 그 지역의 가치를 정확하게 비교할 수 있고 여기에 신축아파트를 보고 신축 ... 더 보기
    얘기를 시작한 김에 조금 더 쓴소리 드리면
    [이번에 집값 알아보니 친가쪽이 교육인프라 때문에 상대적으로 처가쪽 동네보다 비싸다는 동네인데, 처가쪽 동네는 신축이 많아서 도리어 집값이 비싸더군요. 참 부동산은 모르겠습니다.]
    이렇게 알아보신건 알아보신게 아니에요. 알아보시지 않았으니 모르시는 겁니다.
    우선 지역을 비교할땐 유사한 연식의, 세대수, 용적률, 같은 평수를 생각해서 아파트를 잡고 비교를 해야합니다. 그래야 그 지역의 가치를 정확하게 비교할 수 있고 여기에 신축아파트를 보고 신축 프리미엄이 얼마나 붙었는지를 계산해야 합니다. 사실 10억 정도의 금액을 움직이신다면 엄청난 부자가 아니고서야 이런 자료를 액셀로 정리해서 비고란에 장단점 까지 생각해 두고 리스트업을 하셔야 합니다. 본업도 그정도 노력은 하시잖아요.
    대충 주변사람들 말만 듣고 부동산 말만 듣고 네이버 부동산 정도만 보고 결정을 하니까 결과가 안좋으면 운이 없다로 귀결됩니다. 제대로 알아보고 조사하고 나름의 최선의 선택을 하면 설사 가격이 떨어져도 후회가 안남습니다.
    3
    저 어릴때 부모님이 너네 교육 시켜야 하니까.. 하면서 8학군 전세 사시다가 저희 대학가고나서 '이제 끝이구나' 하고 경기도로 빠지신 분이라, 저도 그냥 필요하면 이사가고, 필요가 끝나면 또 이사가고 그러는게 당연한줄 알았지 뭡니까..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3081 일상/생각왼쪽 ,,, 어깨가 너무 아픈데 ,,, 14 네임드 22/08/13 3252 0
    13080 일상/생각서부간선 지하도로는 왜 뚫었을까요 13 copin 22/08/13 4203 0
    13079 일상/생각물 속에서 음악듣기 16 *alchemist* 22/08/12 3604 8
    13073 일상/생각(치과) 신경치료는 이름부터 바꿔야 하지 않을까요? 17 OneV 22/08/10 5078 3
    13067 일상/생각한자의 필요성을 이제서야 느끼고 있습니다. 23 큐리스 22/08/08 4713 2
    13063 일상/생각우영우 12화 이모저모 (당연히 스포) 34 알료사 22/08/06 6130 18
    13058 일상/생각출근하기 전 가족들이 자는 모습을 보면 행복감이 느껴집니다. 13 큐리스 22/08/05 3870 20
    13057 일상/생각에바종 먹튀로 피해본 썰.. 11 비형 22/08/05 4821 29
    13053 일상/생각[영양無] 양심이 무뎌지면... 7 Picard 22/08/04 4012 8
    13052 일상/생각외로움이란 무엇일까? 7 큐리스 22/08/04 4136 2
    13045 일상/생각체중 감량 결과 입니다. 17 Liquid 22/08/03 3536 12
    13030 일상/생각기록하는 도구에 대한 욕망… (2) 30 *alchemist* 22/07/27 4886 11
    13029 일상/생각(영양無) 나는 어쩌다 체조를 끝내고 레전드로 남았는가 12 Picard 22/07/27 3912 14
    13028 일상/생각(영양가없는 이야기) 출퇴근 시간가지고 참... 20 Picard 22/07/26 4647 2
    13012 일상/생각나의 멘토들 15 SCV 22/07/21 4733 17
    13010 일상/생각 6 하마소 22/07/21 3847 19
    13009 일상/생각정보가 너무 많아서 힘들어요 15 여울 22/07/21 4778 1
    13003 일상/생각생애 첫 컴퓨터 업그레이드 후기 6 수박 22/07/17 4149 2
    13000 일상/생각딸아이는 자스입니다. 13 세상의빛 22/07/15 6319 140
    12981 일상/생각좌천 6개월차 5 Picard 22/07/08 3536 4
    12976 일상/생각어느날의 상담 사례 기록 - 01 2 dolmusa 22/07/07 3782 18
    12975 일상/생각최악의 채용 경험에 대한 투덜썰 51 옐빠 22/07/07 5648 16
    12972 일상/생각[회상] R.A.T.M 그리고 틱광득 소신공양 18 사이공 독거 노총각 22/07/06 5588 11
    12969 일상/생각아이스크림 마이따 아이스크림 (50개월, 말문이 터지다) 68 쉬군 22/07/05 5245 84
    12955 일상/생각농촌생활) 6월 - 콩파종 20 천하대장군 22/06/27 4306 19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