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1/10/29 08:27:23
Name   매뉴물있뉴
Subject   손석희와 김어준은 어떤 언론인인가
손석희 “지배적 시스템 지키려 기득권된 언론의 모습”
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0329

손석희 JTBC 사장이 어제 한국언론진흥재단 저널리즘 주간에서 기조연설자로 나서 발언했습니다.
손사장님의 문장은 역시 하나하나가 유려합니다. 글 잘쓰고 말 잘하는 사람임에는 틀림없는듯?

현재의 미디어 불신에 대해 손사장은,
과거에나 지금에나 언론을 향한 비판과 불신은 항상 존재했으며,
예전에는 매스미디어에 대한 비판만이 있었던것에 반해
지금은 대중이 유튜브라는 저항수단을 갖고있다는 차이점 정도가 있을 뿐이라고 생각하는것 같습니다.

게이트키핑이라는 언론의 기능은 아직도 유효하며, 힘든일이지만 분명 가치가 있다.
정론 저널리즘은 분명히 지금의 사회에서도 지켜져야한다.
는 내용 정도를 이야기했다고 요약할수 있을것 같습니다.



‘김어준의 뉴스공장’ PD가 말하는 ‘정치적 편향성’ 논란
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0094

이 기사는 지난 18일 있었던 한국언론학회 학술대회에서 있었던 김어준의 뉴스공장에 대한 토론을 소개하는 기사입니다.
뉴스공장의 양승창 PD가 발제자로 나섰고, 이후 다른 패널들의 다른 의견과 비판들이 이어졌습니다.

양승창 PD는 뉴스공장이 성과를 거둔 이유에 대해
"공영방송이 장악되고, 언론이 총파업과 해직 사태를 맞는 등
제대로 된 언론 활동이 안 되는 상황에서
‘뉴스공장’이 기울어진 운동장의 균형을 맞추려 노력했다"라고 말했지만,

한겨레의 김완기자는
“삼성 문제에 대해 김어준식 세계관에선 삼성을 비판하지 않는 언론 뿐이지만
실제로는 삼성의 노동권을 말하는 언론도 있다.
이 것이 공론장을 공정하게 바라보는 태도인지 의문이다."
라고 비판하면서도
“뉴미디어 시대 신념에 따른 뉴스 소비가 지상파에서 경쟁력이 있다는 사실을 ‘뉴스공장’이 입증했다”
“뉴스를 신념으로 소비하게 만드는 가장 큰 스피커라는 점에서 언론이 어떻게 받아들여야 되는가 고민이 든다”
라고 고민을 말했습니다.

성민규 울산과학기술원(UNIST) 교수는 ‘뉴스공장’을 ‘정파언론’으로 규정하며 비판했는데
지난 9월23일 김어준 진행자가 화천대유 문제를 다루는 보수언론의 의도를 가리켜 “선거에 영향을 주기 위해”라고 발언한 대목을 지적하며 “보다 구체적인 근거를 제시해야 한다. 가설을 세웠다면 적절한 근거를 찾기 위한 보다 구체적인 근거를 제시할 필요가 있다. 그것이 없을 때 언론의 책무가 사라진다”고 지적했습니다.
다만, “뉴스공장만이 문제의 원인이라고 보지는 않는다. 하지만 정파언론 문제에 있어 ‘뉴스공장’이 어느 만큼 거리를 둘 수 있는가를 끊임없이 고민할 필요가 있다”라는 숙제를 던졌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뉴스공장에 대해, 김동원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강사가 말한 부분이 제일 눈길이 갔는데,
“‘뉴스공장’ 문제는 ‘뉴스공장’만 비판한다고 풀린다고 보지 않는다.
우리는 ‘뉴스공장’에 대한 평가를 하기 전에 지난 10년여 세월에서 우리는 어떠한 민주주의를 필요로 하고 있는가,
이를 위해서는 어떠한 언론이 필요한지부터 물어야 하지 않을까”
라고 발언한 부분에 제일 공감이 갔습니다.



정론 언론과 정파 언론의 경계가 뭐 그렇게 무 자르듯 분명한것이 아니기는 합니다.
뉴스공장도 자기 스스로는, 정파언론이 되는것을 경계하고 있다고 말하고
정파언론으로써의 한계를 돌파하려 노력하지만 그것이 쉽지 않다고도 말합니다.
하지만 여당지지자든 야당지지자든, 그 누구에게 물어봐도 뉴스공장은 정파언론이죠;

뉴스공장이 정파언론이라고 비판하는건 사실 너무 쉽습니다.
너무 쉬워서, 뉴스공장이 왜 정파언론인지를 서술하는건 거의 의미가 없을 정도에요.
다만 저는 왜 우리사회에서 뉴스공장이 성공하고 있는가,
뉴스공장만 비판하면 문제가 해결되는가 정도는 깊이 고민해볼 가치는 있다고 생각합니다.
김어준은 십수년 전부터도 저런 방송인이었고 저런 언론인이었고 저런 시사해설자였어요.
왜 김어준이 성공적인 언론인이 된 [시점이 지금인가]는 고민해볼 가치가 있지 않나 하는 생각을
평소에도 해왔는데요,

마침 열흘 간격을 두고 있었던 한국언론진흥재단 저널리즘 주간과 한국언론학회 학술대회에서
이 문제가 깊이있고 의미있게 다루어진것 같아서 소개해드리려고 가져왔습니다.
정론 저널리즘 바닥에서 가장 의미있는 언론인과
정파 저널리즘 바닥에서 가장 핫한 언론인이
열흘 간격을 두고 다뤄졌다고? 이건 못참치!



5
  • 정론과 정파 라임이 맞네요, 잘 읽었습니다.


과학상자
저는 정파 언론을 논할 때 뉴스공장만 다뤄지는 게 좀 불만인데, 사실 기존의 가장 강고한 정파 언론이 조중동이거든요. 이들은 정론 언론의 탈을 쓰고 있지만 분명히 정파 언론이죠. 사용하는 단어와 문장, 화법이 뉴스공장의 그것과 느낌이 다를 뿐이지 철저하게 한쪽의 입장을 대변하는 것에서는 차이가 없어요. 그래서 본질적으로 조선일보를 보는 사람과 뉴스공장을 듣는 사람은 차이가 없다고 봅니다.
지금 와서 왜 김어준이 뜨는가는 민주당이 여당이 된 게 크다고 봅니다. 10년간 조중동이 새누리당 정권 빨아주던 세월동안이야 김어준이 그냥 저항수단 정도 역할 했지만, 여야 바뀌고 김어준이 공중파 채널 확보해서 민주당 크게 빨아주니 조중동과의 대립이 더 부각되어 보이는 거라고 생각해요.
7
구글 고랭이
조중동의 각종 가짜 뉴스 + 혹은 가짜가 아니더라도 충분히 편향된 논조를 볼때 과연 김어준이 이들에 비해 무엇이 못한가.. 서로 견제하면서 보완재 역할을 하지 않나 싶습니다.

보수 언론은 아직도 힘이 너무 세요. 정론지라고 이야기하기 창피할 수준의 보도를 하고 있고요.
과학상자
여야와 비슷하게 김어준과 조중동도 적대적 공생관계죠.
김어준을 음모론자라고 하면서 조중동도 마찬가지로 음모론을 떠들죠. 과거만은 못하지만 훨씬 더 정제되고 세련된 방식으로 말이에요. 김어준은 투박한 방식으로 말하니 좀 더 두들겨 맞기 좋은 거고요.
2
구글 고랭이
이어 몇 년 전 알랭 드 보통과 인터뷰에서 그가 ‘편향을 무서워해선 안 된다, 완벽한 무편향은 있을 수 없으니 좋은 편향이 어떠냐’고 제안했다면서 “이미 문지기에 의해 편향은 발생한다. (나는 보통의 제안에) 일정 부분 동의한다”고 밝혔다. ‘좋은 편향’을 위해선 ‘좋은 의문’이 필요하고, 좋은 의문을 위해선 인본주의와 민주주의를 언론이 주요 가치로 삼아야 한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손석희는 “예전에 토론을 진행할 때 ‘저는 좌우 상관없이 인본주의자가 되고 싶다’고 하니까 ‘인본주의가 좌파의 기본’이라 하더라. 그래서 내가 ‘우파도... 더 보기
이어 몇 년 전 알랭 드 보통과 인터뷰에서 그가 ‘편향을 무서워해선 안 된다, 완벽한 무편향은 있을 수 없으니 좋은 편향이 어떠냐’고 제안했다면서 “이미 문지기에 의해 편향은 발생한다. (나는 보통의 제안에) 일정 부분 동의한다”고 밝혔다. ‘좋은 편향’을 위해선 ‘좋은 의문’이 필요하고, 좋은 의문을 위해선 인본주의와 민주주의를 언론이 주요 가치로 삼아야 한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손석희는 “예전에 토론을 진행할 때 ‘저는 좌우 상관없이 인본주의자가 되고 싶다’고 하니까 ‘인본주의가 좌파의 기본’이라 하더라. 그래서 내가 ‘우파도 기본은 인본주의’라고 이야기했다. 민주주의도 마찬가지다. 이 두 가지를 지키는 게 쉽지 않다”고 전했다.

각 언론사마다 자신의 편향을 당당히 드러내는 게 옳다고 봅니다. 평가는 독자가 여러 편향된 언론사들의 기사를 종합해서 하면 될 일이고..

마이너 언론사, 유튜버 - 묻힐 만한 뉴스에 첫 문제제기
조중동, 한경오, 지상파 - 뉴스에 공신력을 실어줌

현 미디어 세태가 역할이 이렇게 분화된다고 봅니다.
소위 정파로 분류되는 이들은 정보를 잘못 전달하고 나서 사과를 하는 부분이 부족하지 않나 싶네요. 김어준 더 플랜 사과는 했나요? 또 그와 별개로 김어준은 얼리 어답터 같은 거죠. 인터넷 시대에서 기자란 직업의 진입 장벽이 어떻게 사라지는지 빨리 캐치하고 발 빠르게 움직여 성공한 사람.
1
매뉴물있뉴
더 플랜은, 김어준이라는 사람을 비판하는데는 쓸수 있으나 뉴스공장을 비판하는데 쓰기는 조금 어렵다는게 제 생각이에요.

더플랜이 뉴스공장에서 언급된게 수차례 있습니다만, 사실 제가 들은 것중에는, 야당인사들에 의한 공격의 수단으로 활용된것 밖에 없었기도 해요. 뉴스공장내에서 제가 들었던 김어준의 대답은 K값이 지나치게 높은것이 특이하니, 다른 선거에서도 이런 일이 반복되는지 아니면 17대대선, 박근혜 후보에게만 국한되어 벌어진 일인지는 볼필요가 있다. 그리고 설사 그런 사례가 박근혜에게만 일어난다고 해도 그게 17대 대선이 부정... 더 보기
더 플랜은, 김어준이라는 사람을 비판하는데는 쓸수 있으나 뉴스공장을 비판하는데 쓰기는 조금 어렵다는게 제 생각이에요.

더플랜이 뉴스공장에서 언급된게 수차례 있습니다만, 사실 제가 들은 것중에는, 야당인사들에 의한 공격의 수단으로 활용된것 밖에 없었기도 해요. 뉴스공장내에서 제가 들었던 김어준의 대답은 K값이 지나치게 높은것이 특이하니, 다른 선거에서도 이런 일이 반복되는지 아니면 17대대선, 박근혜 후보에게만 국한되어 벌어진 일인지는 볼필요가 있다. 그리고 설사 그런 사례가 박근혜에게만 일어난다고 해도 그게 17대 대선이 부정선거라는 뚜렷한 증거는 아니다. 정도로 언급하는걸 들은 기억도 있습니다.
제가 더 플랜을 애초에 시청해본 입장도 아니고 김어준의 발언을 다 기억하는것도 아니기는 하지만, 김어준은 확실히 더 플랜 영화를 기초로 17대 대선을 부정선거라고 몰아가려고 하는 그런 입장은 아닙니다.
1
리모기
더 플랜을 kbs mbc sbs 등의 방송사나 기타 신문사에서 만들었다고 가정했을 때, 이들이 이로 인한 논란에 대해 전혀 책임지지 않고 넘어가는 미래는 상상이 잘 안돼요. 이런 차이가 분명히 있다는 생각입니다.
1
매뉴물있뉴
김어준도 더플랜을 TBS 방송국 리소스를 사용해가며 만들었다면 지금처럼 어물쩡 넘어가진 못했을 겁니다 ㅎ
리모기
메이저 방송사는 이 정도 물의를 일으키고 어물쩡 넘어가는 패널을 더 이상 활용하지 못하죠.
김어준은 헛발질을 차도 사과를 잘 안하는 사람이죠.
4
언론의 정파성, 편향성은 현실적으로 존재하고 인정해야죠.. 아닌척 할 필요가 있나 싶습니다.
아닌척 하는 것도 결국 목적이 있는거니까요.

다만, 선은 안넘었으면 좋겠습니다. 김어준, 김용민을 끊은게 작년 박원순이 비겁하게 죽음으로 도망친걸 쉴드 쳐주는걸 도저히 들어줄 수 없었기 때문이었습니다.
비슷하게 TV조선도 안보고요. 채널A는 볼때도 가끔 있고, JTBC는 그나마 종편3사중 많이 보는 편이지만요.
1
구글 고랭이
jtbc가 대장동과 고발사주를 같이 때리는 걸 보고 jtbc가 제일 정론에 가깝다 싶었습니다.
kbs 역시 언론노조가 셋 있는데 하나는 여당 성향이고 둘은 야당 성향이라 그런지 덜 편향되었다고 보고요.
그저그런
좋은편향, 뭐 좋은 환단고기 같은거죠.
편향은 어쩔수 없지만 그걸 합리화 하는 순간 내로남불은 피할수 없으니까요.
뉴스공장뿐 아니라 저는 비판에 앞서 '왜?'를 들여다봐야 할일은 세상에 대부분이라 생각합니다.
다른일에는 너무 쉽게 비판하는 사람들이
뉴스공장에는 '왜?'를 들이대야할 주제라고 생각하니 와닿지 않는것이고
정말 '왜?'를 들여다 보기위해 하는 말이라고 생각되지 않는것이고요
김어준 씨가 정파라뇨!
말이 됩니까.

이 분은 사파입니다!
1
매뉴물있뉴
아랫분과 무슨 사이십니까
1
정파언론이 계속 나오길래 사파언론은 언제 나오나 했습니다만 안나오네요.
매뉴물있뉴
윗댓글분과 매우 친밀한 사이이신분... 메모메모..
rustysaber
뇌절칩니다. 마교는요?
1
당근매니아
조중동이 민정당계열을 수십년간 밀어왔고, 한경오가 그 반대편에서 정의당을 미는 와중에, 김어준만 특별히 정파언론이라고 꼬리표가 달려야 하는 이유를 잘 모르겠습니다. 당의정을 입혔느냐 아니냐 정도의 차이 아닌지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2743 사회군대 월급 200만원에 찬성하는 이유 29 매뉴물있뉴 22/04/20 5013 3
12742 사회현대 청년들에게 연애와 섹스가 어렵고 혼란스러운 결정적인 이유 56 카르스 22/04/19 6619 16
12704 사회[뇌내망상]당연했던 것들이 당연하지 않게 될 것이다 4 주식못하는옴닉 22/04/08 4794 7
12669 사회국회미래연구원 - 2022 이머징 이슈 15 소요 22/03/24 4892 28
12638 사회요식업과 최저임금 7 파로돈탁스 22/03/17 4825 0
12622 사회홍차넷의 정치적 분열은 어떻게 변해 왔는가? - 뉴스게시판 정치글 '좋아요'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67 소요 22/03/13 7206 67
12564 사회좋은 상품이 있어 알려드리려 합니다 13 치킨마요 22/03/02 4278 11
12547 사회러시아와 우크라이나, 3개월의 기록들 3 조기 22/02/25 3605 11
12540 사회조재연 대법관 기자회견과 사람의 기억왜곡 18 집에 가는 제로스 22/02/23 4823 12
12503 사회지하철에서 게임하다 고소당하면 겪는 일 13 주식하는 제로스 22/02/09 5746 7
12487 사회한국 아동·청소년 정신건강의 역설 - 행복해졌는데 자살, 자해가 증가? 7 카르스 22/02/03 3677 4
12473 사회고립위기 청년을 돕는 푸른고래 리커버리센터 4 토비 22/01/27 5962 9
12469 사회택배노조 파업으로 택배가 오지않는 이유.jpg 10 cummings 22/01/26 3936 1
12441 사회오미크론 시대에 대한 준비 18 재규어 22/01/14 4209 5
12370 사회미혼커플. 혼인신고안하는 게 이득 38 moqq 21/12/22 6474 1
12315 사회한국에서 서비스하는 OTT들의 최고 요금제 비교 7 Leeka 21/12/01 4603 1
12262 사회‘비트코인 시장’ 에릭 아담스 뉴욕시장의 이모저모 2 오쇼 라즈니쉬 21/11/10 4784 3
12249 사회최순실로 인해 불거진 ODA 문제는 해결되었는가 5 정중아 21/11/08 4029 14
12240 사회왜 근로자가 근로자성을 증명해야 하는가? 12 J_Square 21/11/04 5404 7
12228 사회정신나간 쇼핑사이트를 발견하여 소개드려봅니다. 10 보리건빵 21/11/01 8528 3
12218 사회검단신도시 왕릉 아파트 추가(개발공고) 24 Picard 21/10/29 5459 0
12217 사회손석희와 김어준은 어떤 언론인인가 20 매뉴물있뉴 21/10/29 4889 5
12213 사회검단신도시 장릉아파트에 대한 법개정을 추적해 봤습니다. 8 Picard 21/10/28 4434 7
12196 사회[댓꿀쇼] '전두환은 경제를 잘했는가' & '여론조사/국힘경선 판세를 어떻게 해석할것인가' 11 매뉴물있뉴 21/10/23 4771 2
12188 사회다시 보는 사법농단 8 과학상자 21/10/19 4191 17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