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21/10/01 12:52:33 |
Name | Picard |
Subject | 주4일제를 하면 급여를 깎아야 할까? |
안녕하세요. 365일 24시간 돌아가는 제조업 관리자입니다. 다음주부터 대체휴무로 2주 연속 4일근무네요. 점심을 먹다가 뻘생각이 들었습니다. 1. 저희 회사 생산직은 시급제입니다. 근무연차에 따라 호봉이 정해지고 포상을 받으면 특별승호가 부상으로 따라오기도 하고, 호봉에 따라 시급이 정해집니다. 4조3교대라서 일주일 168시간이고 4조로 나누면 주 평균 42시간을 근무하죠. 여기서 초과 2시간은 1.5배로 쳐주기 때문에 급여명세서에 찍히는 근무시간은 43시간이 됩니다. (연장근무 1.5배, 휴일근무 1.5배, 휴일+야간은 2배) 하지만, 이분들도 연차도 쓰고, 교육도 받아야 하고, 아프기도 하고 하니까 실제로는 대근이 들어갑니다. 몇년전에 '일주일은 5일' 이라고 해석하는 꼼수를 없애는 법개정을 하는 것 때문에 발칵 뒤집혀서 인사팀에서 조사를 해보니 현장분들 평균 근무시간은 주 49시간.. 맥스 찍는 사람들은 70시간 가까이 된다고 해서 부랴부랴 조치를 했습니다. (제가 알기로 현장분들 급여는 이 조치 전에 연장근로, 휴일근로 가산 붙어서 168시간이 아닌, 250~300시간 정도 찍혔던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 한 10년전에 현장을 시급제에서 월급제로 바꾸려고 했는데 노조가 반대해서 못했어요. 노조는 '월급제로 바꾸면 사무직들처럼 연근수당을 제대로 못 받을거다. 은근히 연근시키고 돈 안줄거다' 라고 했습니다. 실제로 공장 사무직들은 왠만하면 연근수당 신청을 못하고요. 24시간 돌아가는 공장이다 보니 라인 트러블로 새벽까지 퇴근을 못한다거나, 주말인데 불려 나오는 경우에나 겨우 올릴까 말까 합니다. 일반적인 사무업무가 밀려셔 아근했다고는 수당을 못 올려요. 올려도 팀장이나 공장장이 깝니다. '근무시간에 뭐했어?' 그러다가 팀장이나 파트장 달면 연근 올리면 공장장이 한심하게 보니까... '장' 붙으면 연근 안올리는게 관례... 2. 단순하게 생각해서 주5일 일하다가 주4일 일하면 급여를 20% 깎아야 할 것 같잖아요..? 그런데 말입니다. 내가 시급제로 일하는 현장 분들도 아니고... 나에게 주어진 과업은 내가 하루 8시간을 풀로 다 일만 하던, 3시간 일하고 5시간 월급루팡하던, 과업을 달성하기만 하면 되거든요. 현장분들은 근무시간만 채우면 생산성 목표를 초과하던 미달하던, 합격률 목표를 초과하던, 미달하던, 클레임이 들어오던 말던 내 시급에는 변화가 없습니다. 하지만, 사무직(=관리자)들은 연봉을 받고 평가를 받으니 내 라인의 합격률이 박살나면 연봉이 깎이죠. 초과하면 평가를 잘 받으니 연봉이 오르고요. 즉, 홍차넷을 보시는 대부분의 월급/연봉제 분들은 일하는 시간하고 급여는 별 상관이 없어요. 나에게 주어진 과업을 달성하고 목표를 해냈느냐가 상관이지. 매출 100인 회사가 주4일제를 한다고 매출 80이 되는건 아니잖아요. 주5일제에서 주4일제를 한다고 사람을 더 뽑아줄리도 없고요. (물론, 저희같은 제조업은 현장 사람 더 뽑아야 합니다만.. 주56시간에서 52시간으로 최대근로시간이 바뀔때 어떻게 했는지는 예전에 한번 쓴적이 있습니다.) 주5일제에서 주4일제로 바뀌었다고 나에게 주어지는 과업의 양이나 목표가 줄어들리도 없습니다. '너에게 주어진 과업을 달성하기 위해 근로시간이 초과했다고? 남들은 다 해네는데 너는 왜 못해?' 라고 하겠죠. 그래서... 주7일 돌아가는 서비스업이나 저희 같은 제조업에서 시간 따져가며 일하시는 분들이 아닌, 평범한 월급/연봉제 직장인이면, 주4일제 한다고 급여부터 깎는건 불합리한 것 아닌가? 하는 생각을 약 15분동안 밥먹으면서 생각했습니다. 제가 홍차넷을 비롯한 여기저기서 월도짓 많이 하지만, 그런다고 제 평가에 영향 받을 정도로 일을 태만하게 하는건 아니거든요. P.S) 예전에 제가 다니는 회사가 망하네 말때 할때 당시 CEO가 전사원을 (모든 사업장 화상 연결) 모아놓고 일장 연설을 하신적이 있습니다. 어디 연구에 의하면 하루 8시간 근무하는데 실제 일에 집중하는 시간은 서너시간에 불과하다고 한다. 회사가 어려운게 경영진의 오판일수도 있지만, 경영진의 결정이 성공하도록 여러분들이 열심히 했는가를 생각해봐라. 블라블라.. 저희 회사가 망한게 최고경영진이 50 투자하는 A 루트(안정적)와 100 투자하는 B루트(고위험)에서 B 루트를 선택하고 '우리도 대기업 소리 들어보자!' 라고 하다가 실패하는 바람에 망했거든요. 그래놓고 내가 오판한게 아니라 너네가 일을 열심히 안한거라고 하니.... 저도 속으로 'ㅅㅂ 우리탓이라고?' 라고 생각했지요. 화상 연결이 끝나고 공장장이 팀장들 급하게 모아서 회의 했는데, '사장님 말씀에 직원들 동요치 않도록 해라' 라고 했다고 하더라고요. 그리고 며칠후에 회장이 '앞으로 사장은 조회나 연설 같은거 하지 마라' 라고 했다고 합니다. 어차피 하루 8시간중 8시간을 풀로 집중해서 일하는건 인간의 집중력 한계상으로도 불가능하고 다들 화장실도 가고 차도 마시고 담배도 피고 밥도 먹고 탕비실이나 흡연실에서 노가리 까면서 네트워크도 다지고 그러는 것도 일이잖아요. 주4일제 한다고 급여 깎는다는걸 당연하게 받아들이지 맙시다. 2
이 게시판에 등록된 Picard님의 최근 게시물
|
저희 회사의 경우 주5.5일에서 주5일로 바뀔때 급여 삭감은 없었다고 합니다.
예전에 얼핏 본것 같은데 주56시간에서 52로 바뀔때 급여 감소가 미미했다는 연구자료가 있었던것 같습니다.
예전에 얼핏 본것 같은데 주56시간에서 52로 바뀔때 급여 감소가 미미했다는 연구자료가 있었던것 같습니다.
생산성과 생산량을 혼용하시면 안될것 같습니다.
공무원이나 공기업이야 TO 라도 맞춰주지만.. 사기업에서는 TO 대비 인원이 모자라는데 일이 빵꾸 안난다 = TO가 많았네? 하며 TO를 줄이죠.
개인적인 경험으로도 11명 조직이 7명으로 줄었는데도 '그래도 빵꾸 낼 순 없지' 하고 일을 하니 충원이 없고.. 도리어 사고 자주 내줘야 충원 해주더라고요.
지금 있는 부서도 제가 팀원일때는 6명이었는데, 이 사람 저사람 나가도 빵꾸 안내니까 3명으로 줄어도 충원이 없어요.. ㅠ.ㅠ
그렇다고 빵꾸 내면 여파가 너무 큰 일이라 ... 더 보기
공무원이나 공기업이야 TO 라도 맞춰주지만.. 사기업에서는 TO 대비 인원이 모자라는데 일이 빵꾸 안난다 = TO가 많았네? 하며 TO를 줄이죠.
개인적인 경험으로도 11명 조직이 7명으로 줄었는데도 '그래도 빵꾸 낼 순 없지' 하고 일을 하니 충원이 없고.. 도리어 사고 자주 내줘야 충원 해주더라고요.
지금 있는 부서도 제가 팀원일때는 6명이었는데, 이 사람 저사람 나가도 빵꾸 안내니까 3명으로 줄어도 충원이 없어요.. ㅠ.ㅠ
그렇다고 빵꾸 내면 여파가 너무 큰 일이라 ... 더 보기
생산성과 생산량을 혼용하시면 안될것 같습니다.
공무원이나 공기업이야 TO 라도 맞춰주지만.. 사기업에서는 TO 대비 인원이 모자라는데 일이 빵꾸 안난다 = TO가 많았네? 하며 TO를 줄이죠.
개인적인 경험으로도 11명 조직이 7명으로 줄었는데도 '그래도 빵꾸 낼 순 없지' 하고 일을 하니 충원이 없고.. 도리어 사고 자주 내줘야 충원 해주더라고요.
지금 있는 부서도 제가 팀원일때는 6명이었는데, 이 사람 저사람 나가도 빵꾸 안내니까 3명으로 줄어도 충원이 없어요.. ㅠ.ㅠ
그렇다고 빵꾸 내면 여파가 너무 큰 일이라 배쨀 수도 없고..
주5일제에서 3명이 하던 일이면 15M/D 인데, 4일제가 되어서 12M/D 가 되어도 일을 다 한다? 그럼 추가고용을 할 필요가 없죠.
공무원이나 공기업이야 TO 라도 맞춰주지만.. 사기업에서는 TO 대비 인원이 모자라는데 일이 빵꾸 안난다 = TO가 많았네? 하며 TO를 줄이죠.
개인적인 경험으로도 11명 조직이 7명으로 줄었는데도 '그래도 빵꾸 낼 순 없지' 하고 일을 하니 충원이 없고.. 도리어 사고 자주 내줘야 충원 해주더라고요.
지금 있는 부서도 제가 팀원일때는 6명이었는데, 이 사람 저사람 나가도 빵꾸 안내니까 3명으로 줄어도 충원이 없어요.. ㅠ.ㅠ
그렇다고 빵꾸 내면 여파가 너무 큰 일이라 배쨀 수도 없고..
주5일제에서 3명이 하던 일이면 15M/D 인데, 4일제가 되어서 12M/D 가 되어도 일을 다 한다? 그럼 추가고용을 할 필요가 없죠.
그쵸. 시급을 기준으로 급여를 책정하는 패러다임은 이제 버릴 때도 됐죠. 하나의 기준으로 모든 현장을 아우르기엔 노동의 양태도 너무 다양해졌어요.
그렇다고 그 기준마저 없애면 노동자의 상황은 더 나빠지기만 하겠죠. 자유롭고 공정한 노동시장은 관념 속에만 존재하니까요. 언급하신 현장 노조 분들의 말씀도 같은 맥락일테고요.
대공황 때 그랬듯, 한 번 더 자본주의 시스템을 대폭 정비해야 할 것 같읍니다. 일해라, 학자님들.
그렇다고 그 기준마저 없애면 노동자의 상황은 더 나빠지기만 하겠죠. 자유롭고 공정한 노동시장은 관념 속에만 존재하니까요. 언급하신 현장 노조 분들의 말씀도 같은 맥락일테고요.
대공황 때 그랬듯, 한 번 더 자본주의 시스템을 대폭 정비해야 할 것 같읍니다. 일해라, 학자님들.
- 급여 부분에서 실무적으로는 1~2년간 급여동결이죠.
애초에 주4.5일제 개념으로 하는 곳도 많고 이런 곳은 생각보다 생산성 타격이 거의 없기도 해서 사용자 입장에서는 "동결이 오히려 좋아" 스러운 곳도 있고.. 주4일제로 바로 가는 곳들도 9시간 근로하고 연장 하루 1시간씩 쳐주는 걸로 급여인상 퉁치는 곳도 있고,
양태는 다양합니다.
- 업무양 측면에서, 주4일 된다고 일이 줄지 않는다는 느낌을 받을수는 있지만, 생각보다 돌아갑니다.
그만큼 hard work하고, 쉬게 되요.
생각보다 한국 직장문화 아... 더 보기
애초에 주4.5일제 개념으로 하는 곳도 많고 이런 곳은 생각보다 생산성 타격이 거의 없기도 해서 사용자 입장에서는 "동결이 오히려 좋아" 스러운 곳도 있고.. 주4일제로 바로 가는 곳들도 9시간 근로하고 연장 하루 1시간씩 쳐주는 걸로 급여인상 퉁치는 곳도 있고,
양태는 다양합니다.
- 업무양 측면에서, 주4일 된다고 일이 줄지 않는다는 느낌을 받을수는 있지만, 생각보다 돌아갑니다.
그만큼 hard work하고, 쉬게 되요.
생각보다 한국 직장문화 아... 더 보기
- 급여 부분에서 실무적으로는 1~2년간 급여동결이죠.
애초에 주4.5일제 개념으로 하는 곳도 많고 이런 곳은 생각보다 생산성 타격이 거의 없기도 해서 사용자 입장에서는 "동결이 오히려 좋아" 스러운 곳도 있고.. 주4일제로 바로 가는 곳들도 9시간 근로하고 연장 하루 1시간씩 쳐주는 걸로 급여인상 퉁치는 곳도 있고,
양태는 다양합니다.
- 업무양 측면에서, 주4일 된다고 일이 줄지 않는다는 느낌을 받을수는 있지만, 생각보다 돌아갑니다.
그만큼 hard work하고, 쉬게 되요.
생각보다 한국 직장문화 아직도 짤데가 많습니다. (...)
주35(7x5)도 주위 보면 아무 문제 없이 잘 돌아갑니다.
금요일에 불려나오는 직장은 애초에 주말에도 불려나오던 곳이고, 그런곳은 애초에 32 35 36 40 이런게 의미없는 구린 직장문화를 가진 곳이지 32 35 36 40으로 어떤 더 구린내를 추가하게 되는 문제는 아니라 보고요.
다만 40에서 32로 압축되는 업무시간의 "농도"의 충격에서 근로자가 받아들이기 어렵기는 하고, 그래서 개인적으로는 38 36 순차적으로 줄이는 걸 추천하긴 합니다.
하자면 다 해요. 안해서 그렇지.
애초에 주4.5일제 개념으로 하는 곳도 많고 이런 곳은 생각보다 생산성 타격이 거의 없기도 해서 사용자 입장에서는 "동결이 오히려 좋아" 스러운 곳도 있고.. 주4일제로 바로 가는 곳들도 9시간 근로하고 연장 하루 1시간씩 쳐주는 걸로 급여인상 퉁치는 곳도 있고,
양태는 다양합니다.
- 업무양 측면에서, 주4일 된다고 일이 줄지 않는다는 느낌을 받을수는 있지만, 생각보다 돌아갑니다.
그만큼 hard work하고, 쉬게 되요.
생각보다 한국 직장문화 아직도 짤데가 많습니다. (...)
주35(7x5)도 주위 보면 아무 문제 없이 잘 돌아갑니다.
금요일에 불려나오는 직장은 애초에 주말에도 불려나오던 곳이고, 그런곳은 애초에 32 35 36 40 이런게 의미없는 구린 직장문화를 가진 곳이지 32 35 36 40으로 어떤 더 구린내를 추가하게 되는 문제는 아니라 보고요.
다만 40에서 32로 압축되는 업무시간의 "농도"의 충격에서 근로자가 받아들이기 어렵기는 하고, 그래서 개인적으로는 38 36 순차적으로 줄이는 걸 추천하긴 합니다.
하자면 다 해요. 안해서 그렇지.
본문과 관계없는 집중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빡집중 시간을 위해서 하루에 그만큼 일 시키는 것이라는 사실을 잊는 사람들이 너무 많습니다. 인간이 스위치가 아니에요. 아무것도 안하다가 예열도 없이 빡집중 모드로가는 건 십중팔구에 속하는 일반인들은 불가능한 영역입니다.
강용석씨가 자기가 공부할 때 빡집중한 시간은 5시간이라고 말했었고, 실제로 도서관이나 기타 등등에서 공부하는 시간을 따지면 순공부시간은 줄어듭니다. 체류하는 시간에 비해서 줄어들 수밖에 없어요.
그래도 저런 정밀한 집중을 하기 위해서는, 총량이라도 확보하고 ... 더 보기
강용석씨가 자기가 공부할 때 빡집중한 시간은 5시간이라고 말했었고, 실제로 도서관이나 기타 등등에서 공부하는 시간을 따지면 순공부시간은 줄어듭니다. 체류하는 시간에 비해서 줄어들 수밖에 없어요.
그래도 저런 정밀한 집중을 하기 위해서는, 총량이라도 확보하고 ... 더 보기
본문과 관계없는 집중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빡집중 시간을 위해서 하루에 그만큼 일 시키는 것이라는 사실을 잊는 사람들이 너무 많습니다. 인간이 스위치가 아니에요. 아무것도 안하다가 예열도 없이 빡집중 모드로가는 건 십중팔구에 속하는 일반인들은 불가능한 영역입니다.
강용석씨가 자기가 공부할 때 빡집중한 시간은 5시간이라고 말했었고, 실제로 도서관이나 기타 등등에서 공부하는 시간을 따지면 순공부시간은 줄어듭니다. 체류하는 시간에 비해서 줄어들 수밖에 없어요.
그래도 저런 정밀한 집중을 하기 위해서는, 총량이라도 확보하고 보는 일이 그래서 중요한 거고, 회사에 사람이 살다보면 생리적 현상이나 기타 리프레시 등등의 시간을 모두 확보하기 위해 근로시간이 필요한 거라는 생각이 들기도 해요.
강용석씨가 자기가 공부할 때 빡집중한 시간은 5시간이라고 말했었고, 실제로 도서관이나 기타 등등에서 공부하는 시간을 따지면 순공부시간은 줄어듭니다. 체류하는 시간에 비해서 줄어들 수밖에 없어요.
그래도 저런 정밀한 집중을 하기 위해서는, 총량이라도 확보하고 보는 일이 그래서 중요한 거고, 회사에 사람이 살다보면 생리적 현상이나 기타 리프레시 등등의 시간을 모두 확보하기 위해 근로시간이 필요한 거라는 생각이 들기도 해요.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