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21/06/06 23:55:36 |
Name | 영 |
File #1 | EC9B5501_D734_4902_92AF_DCCFE856239A.jpeg (404.5 KB), Download : 27 |
Subject | 예견된 팬데믹, <인수공통 모든 전염병의 열쇠> |
신뢰하는 분이 추천하시길래 참 저 알쏭달쏭한 제목과 표지와 카피에도 불구하고 읽어봤는데요. 그분에 대한 신뢰도가 배로 상승하였읍니다. 책 내용 설명하는 건 왜이렇게 어려운 걸까용. ㅠㅠ 이 책은 주제상으로는 전염병, 그것도 인간과 동물이 공유하는(보통 동물 종에서 인간 종으로 종간 전파되어, 엄청난 대유행을 불러일으키는) 인수공통 전염병을 다루고 있습니다. 아마 해당 주제에 관심 없으신 분들은 더더욱 관심이 없어질 법한 주제지만...몇년 전 발간된 이 책에서 너무나 명백히 ‘몇년 내로 전세계를 덮칠 전염병이 일어날 것이며, 그것은 ~~등의 바이러스일 가능성이 높다’고 강하게 주장하고 있으며 예측하는 네 개의 바이러스 안에 코로나바이러스가 있읍니다. 요 책은 상당한 사상자를 낸 인수공통 감염병(사스, 메르스, 에이즈 등)의 발발 원인을 다음으로 설명함다. 인간이 미친듯 자연을 파괴하고 동물들을 죽여나가면서, 그 동물들 몸 속에 오랜 세월 안전하게(동물에게 해를 끼치지 않으며)공생해온 바이러스들이 기생 숙주를 잃습니다. 어떻게든 살아남아야 하는 바이러스는, 동물 몸에서 인간 몸 속으로 ‘뛰어드는’ 것이죵. 그렇게 뛰어든 바이러스 중 대다수는 새로운 종의 환경에 적응하지 못하고 거의 다 죽지만...변종 딱 하나만 살아남으면 됩니다. 살아남은 바이러스와, 전염도를 설명하는 각종 변수가 우연히 맞아떨어지는 순간, 팬데믹이 되는 것이죵... 몇년 내에 인수공통 전염병으로 인한 팬대믹이 일어날 것이라는 게 이미 감염병학계 내에선 공공연하게 말해지고 있던 것이라는 게 개인적으로 참 놀라웠읍니다. 이 책이 지금 읽기에 매우 시의적절한 이유기도 하지요. 하지만 요 책의 핵심은 겨우 그런 예측을 몇년 앞서 했다는 게 아니라, 왜 그런 예측에 이르렀는지를 미친듯한 필력으로 풀어내기 때문이죵. 사스, 메르스, 에이즈 등 많은 목숨을 앗아갔던 전염병들의 기원, 양상, 전개, 원인 등... 정말 현실의 전인류를 대상으로 하는 자연의 미스테리 스릴러 추격극을 보는 것 같습니다. 바이러스 얘기하는 책이라곤 믿겨지지 않을 정도의 흡인력이... 예술입니다. 재미도 재미고. 자연(특히 개발)에 대해 새로운 관점을 던지는 책입니다. 읽어볼 가치가 아주 충분한 책이었음다. 10
|
https://youtu.be/ukr0X-_7u_I
관련해서 이 영상이 재미 있었습니다 ㅋㅋ 미국의 감염의학 프로토콜을 전수 받은 태국과 한국에서는 코비드 터지기도 전에 미리 대비를 끝내놓고 있었는데 정작 미국은 탈탈 털렸더라는 그런 이야기.
"countries around the world are embodying the american spirit better than we are"
How America Helped Stop Covid-19. Just Not in the U.S. | NYT Opinion
관련해서 이 영상이 재미 있었습니다 ㅋㅋ 미국의 감염의학 프로토콜을 전수 받은 태국과 한국에서는 코비드 터지기도 전에 미리 대비를 끝내놓고 있었는데 정작 미국은 탈탈 털렸더라는 그런 이야기.
"countries around the world are embodying the american spirit better than we are"
그럼 야생동물 다 살처분하면 편안..?
야생동물과 접촉이 많아지면 인수공통전염병 전염확률이 늘어나는것이지 자연이 파괴된다고 바이러스가 인간에게 뛰어드는 것이 아니죠.
거꾸로..야생동물과 접점이 적어졌기에 동물이 숙주인 바이러스에 대해 인간 면역체계가 미지의 바이러스에 대응을 제대로 못한다 해석해야 하지 않을런지.. 스페인/잉카처럼요.
야생동물과 접촉이 많아지면 인수공통전염병 전염확률이 늘어나는것이지 자연이 파괴된다고 바이러스가 인간에게 뛰어드는 것이 아니죠.
거꾸로..야생동물과 접점이 적어졌기에 동물이 숙주인 바이러스에 대해 인간 면역체계가 미지의 바이러스에 대응을 제대로 못한다 해석해야 하지 않을런지.. 스페인/잉카처럼요.
생존과 번영을 위해 방향성을 갖고 진화해서 결국 생존해 냈다는 서사는 참 흔한 오류인데 근절될 것 같지는 않습니다. 눈 먼 변이들에 대한 모든 종류의 선택이 이루어진 결과물이 진화인 것인데, 이런 삭막한 스토리 가지고는 장사가 어렵겠죠.
자연의 복수라는 극적인 서사와 하디-바인베르크를 주워섬기는 엄근진 다큐를 놓고 출판시장의 자연선택이 작용하면 결과는 자명한 것이 아니겠습니까 ㅋㅋㅋ
자연의 복수라는 극적인 서사와 하디-바인베르크를 주워섬기는 엄근진 다큐를 놓고 출판시장의 자연선택이 작용하면 결과는 자명한 것이 아니겠습니까 ㅋㅋㅋ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