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1/05/02 16:16:04수정됨
Name   최우엉
File #1   2030년_감축목표.jpg (50.2 KB), Download : 24
File #2   oecd_1.jpg (29.4 KB), Download : 26
Subject   기후위기에 대응해야 할 책임




뉴스 게시판에 올라온 조선일보 뉴스(https://kongcha.net/pb/pb.php?id=news&no=24111)를 보고 생각이 많아져서, 기후변화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들을 조사해서 글을 써 봅니다.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는 지금과 같은 추세로 지구온난화가 지속된다면 2030년에서 2052년 사이에 1.5℃ 상승에 도달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합니다. 지구온난화가 자연계와 인간계에 미치는 영향은 이미 관측되고 있으며, 육상 및 해양 생태계 대부분과 ‘그들이 제공하는 일부 서비스’들은 지구온난화에 의해 이미 변화되고 있다고 말합니다.


평균온도가 1.5℃ 상승할 경우, 70~90%의 산호가 멸종하게 되고 2℃ 상승의 경우 99%의 산호가 멸종한다는 것이 IPCC의 예측입니다. 육상동물들도 다량이 멸종 위기에 처하고 식물들도 기후변화에 따른 재적응에 실패하여 여러 종들이 멸종위기로 내몰릴 것이라고 IPCC는 예측합니다. 기후변화는 특정 기상현상에 취약한 여러 개발도상국에 더욱 치명적으로 작용해서 빈곤과 대규모 이주를 만들어내고 이미 사회에 존재하는 불안정 요소를 더욱 자극할 것으로 보입니다. 1.5℃ 이하로 기후변화를 통제하기 위해서는 2030년까지 탄소배출량을 45% 이상 감축하고, 2050년까지 순배출량이 제로인 net zero에 도달해야 합니다.


IPCC 1.5도 특별보고서에 포함된 이런 내용들은 국제적으로 합의되었고, 한국에서도 채택된 내용입니다.


한국의 탄소배출량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기사들이 나와 있어요. 한국의 탄소배출량은 전 세계 1.7%에 불과하지만, 인구대비 배출량으로 계산하면 상황이 달라집니다. KBS의 보도에 따르면 한국인의 1인당 탄소배출량은 세계 6위에 해당합니다. Our World in Data의 자료를 통해 봐도, 소규모 산유국을 제외할 경우, 1인당 탄소배출량 최상위권에 랭크되어 있습니다. 기후변화에 대한 한국인의 책임은 세계 최상위권에 속합니다. 한국인의 GDP 순위나 1인당 국민소득 순위보다 온실가스 배출량 순위가 더 높다는 점도 주목할만 합니다.


KBS가 소개한 Enerdata yearbook 자료에 따르면 한국은 20년간 탄소배출량 증가속도가 OECD 국가 가운데 가장 빠릅니다. 2009년 이명박 정부에서 수립되었던 온실가스 총배출량 증감률 하향 목표는 2010년 대비 2017-2019의 총배출량이 오히려 늘어나면서 무산됐습니다. 재생에너지 전환율 역시 2.64%에 불과하고 중국(8.7%), OECD 평균(11.8%)과 비교해도 낮습니다. 독일(29%), 영국(24%)에 비교하기 무색합니다.


매경이 2019년 UNEP 보고서를 소개한 바에 따르면, 한국은 현재 전망치와 2030년 목표치의 차이가 현저합니다. 2010년 대비 20%를 감축해야 하는 목표치에 반해, 전망에 따르면 2010 대비 배출량이 10%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물론 20% 감축이라는 것도 국내에서 설정한 자체 목표일 뿐 IPCC가 제시한 목표 감축량에 비할 수 없습니다.


여러 언론이 탈원전 정책의 실패를 한국의 탄소배출량 과다의 주요 원인으로 꼽습니다. 2019년 자유한국당 한 의원이 주장하는 대로라면 원전 발전량은 2016년 대비 17.6%정도 줄었고 화석연료 발전량이 14.1% 늘었습니다. 그런데 2020년에는 2018년 발전량과 비교해 발전량이 20% 증가했고, 원자력 발전비중도 25%에서 29%로 증가했습니다(한겨레 보도). 그러므로 한국의 원전 발전량 변동이 현재의 탄소배출량에 즉각적으로 반영되고 있다고 생각하기는 어렵고, 앞으로의 기후변화 대응 로드맵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이해해야 할 것 같습니다. UNEP 2019년 보고서에서의 지적 역시 GHG 배출량 로드맵에서 문재인 정부의 원자력 정책에 기인한 전력 부문의 배출 감축량 목표 수정이 있었다는 점을 지적합니다. (64.5MtCO2e per year에서 23.7MtCO2e per year로, 8.8GW 규모의 신규 원전건축 프로젝트 취소에서 기인). 그러나 추가할 수 있는 감축량이 40MtCO2e이든, 그 이상이든, 2030년까지 45%를 감축해야 한다는 IPCC 목표에 비하면, 턱없이 모자랍니다.


2050년 탄소중립 전략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2030년까지 총배출량의 24.4%만을 감축하겠다고 말합니다. 이는 IPCC가 제시하는 2030년 45% 감축목표에 비하면 매우 낮습니다. 한국이 작년 말에 제출한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보고서에 대해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은 목표치를 다시 작성해서 내라고 요구했습니다. UNFCCC는 현재의 여러 국가들의 목표대로라면 2030년 온실가스 배출은 2010년 대비 0.5%밖에 감축되지 않습니다.


WHO에 따르면 현재 기후변화로 죽어가는 사람들은 매년 15만명 이상입니다. 기후변화는 인류가 당면한 현재적인 문제입니다. 1.5도씨 이내로 기후변화를 통제하기 위한 예산은 이제 7-8년치밖에 남지 않았는데, 한국 사회에서도 좀 더 본격적인 이야기들을 나눠야 합니다. 한국은 저출산으로 기후변화 대응에 모범적으로 기여하고 있다는 농담이 돌아다니는데, 인구감소에는 시간이 걸리므로 즉각적으로는 별다른 의미가 없습니다. 2030-2050년이라는 기후위기의 중대한 변곡점에 맞춰 배출량을 감축해야 하는데, 저출산이 얼마나 즉각적으로 배출량을 감축할 수 있을지 알 수가 없습니다. 탄소포집기술이나 태양광 반사 에어로솔에 기대하면서 현재의 생활습관을 유지하기에는 기술발전의 개연성이 몹시 불확실합니다. 2030-2050까지 기후위기를 해결할 기술들이 출현할지 알 수 없습니다.


1인당 탄소배출량 최상위권의 국가에 사는 한국인이 다른 핑계를 대면서, 기후위기 대응을 미루는 것은 이상한 일입니다.


따라서 국가에게는 본격적으로 대응할 것을 촉구하고, 개인 역시 할 수 있는 노력을 해야 합니다. 에너지 사용량 절감, 저탄소 생활습관, 채식/육식저감이 모두 중요한데, 이런 대응들이 ‘긴급하지 않다’거나 ‘효과가 별로 없다’고 주장하는 보수언론들의 보도가 나오고 있어서 유감입니다. 어딘가에서는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의 실패를 공격하고, 도서 서평에서는 기후변화가 긴급하지 않으며 채식이 소용 없다는 타이틀을 달아서 기사를 내고 있으니, 환경에 대한 보수언론의 시각이 정치적으로 편향되어 있다는 의심을 지우기가 어렵습니다. 채식이나 육식저감이 탄소배출량 저감에 중요한 기여를 한다는 전과정평가(LCA) 기반의 대규모 메타분석은 J.Poore, Nemecek의 논문(https://science.sciencemag.org/content/360/6392/987)을 참고하실 수 있습니다. 다양한 식습관에 따라 지역별로 탄소저감이 어떻게 이루어질지에 대해서 살기 좋은 미래를 위한 존스 홉킨스 센터의 연구진들이 발표한 연구도 참고할만 합니다.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0959378018306101#) 식품부문 배출량 추정치가 서로 다르게 계산되는 이유에 대한 설명은 Our World In Data의 상세한 설명(https://ourworldindata.org/greenhouse-gas-emissions-food)을 참고하실 수 있습니다.


탄소예산이 7-8년밖에 남지 않은, 매우 중요한 시기입니다. 이런 시기에 사람들이 더 적극적으로 논의에 참여했으면 좋겠습니다. 언론들도 더 책임있는 보도를 해야 할테고요.






출처 자료의 링크 :
IPCC 1.5도 특별보고서 - https://www.gihoo.or.kr/portal/kr/community/data_view.do?p=1&idx=18546&column=&groupname=data&groupid=&f=1&q=
‘탄소 불량국가’ 한국의 ‘내일 없는 경제’? -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5065059
세계 어디에서 사람들이 가장 많은 CO2를 배출합니까? - https://ourworldindata.org/per-capita-co2
유엔의 경고…"탈원전 한국 온실가스 줄여라" - https://www.mk.co.kr/news/it/view/2019/11/991349/
에너지소비 줄고, 원자력 비중 늘어…그래서 탈원전 정책이 모순? - https://www.hani.co.kr/arti/society/environment/987119.html
2050 장기저탄소발전전략(LEDS) - http://www.me.go.kr/home/web/policy_data/read.do?pagerOffset=60&maxPageItems=10&maxIndexPages=10&searchKey=&searchValue=&menuId=10276&orgCd=&condition.deleteYn=N&seq=7633
WHO climate change - https://www.who.int/heli/risks/climate/climatechange/en/
유엔 “한국 등 온실가스 감축목표 다시 내라” - https://www.hani.co.kr/arti/science/science_general/984729.html



14
  • 너무 감사한 글이에요. 절.대.환.경.지.켜!


전세계 어느나라도 탄소배출량 감축목표 지키는건 못할걸요
교토의정서만 봐도 다 탈퇴해서 허울만 남았는데
최우엉
교토의정서 시절과는 많이 다를 겁니다. 참여국가들의 온실가스 배출량 총합의 측면에서도 그렇고, 과학적으로 합의된 긴박성의 수준도 다른 것 같고요. 바이든이 파리협약에 복귀하기로 한 것도 희망적인 부분인 것 같고요.
은하노트텐플러스
마지막 유엔 기후 변화 회의에서 만들어진 파리 협정의 경우
강제력이 없다는 가장 큰 한계점을 지니고 있었습니다.

아직 장소가 정해지지 않은 다음 기후 변화 회의에서는
강제력 또는 구속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합의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참고로 그 기후 변화 회의를 유치하는데에
서울도 한 발 걸친 상태입니다.
오쇼 라즈니쉬

미국의 역할이 중요하겠죠. 좋은 글 감사합니다.
최우엉
이런 시계들도 운영되고 있었네요. 한국에도 하나 필요한 것 같은데...
더스키더스키
좋은 글 감사합니다.
이와 별개로, 개인적으로 인류 단위에서 탄소중립이 가능할지 잘 모르겠습니다. 현재 인류가 탄소를 100만큼 배출했을 때 약 50 가량이 해양/육지로 흡수되고 나머지 50만큼 이 대기 중에 잔류하는 상태입니다. 탄소 중립을 달성하려면 배출량을 50% 가량 감축... 인간활동을 절반으로 억제해야 할 정도로 크게 줄여야 하는 것인데... 가능하련지... 물론 국가 단위에서 탄소중립 달성 여부에 따라 무역 관세가 부과될 수 있기 때문에, 탄소 중립은 달성하기 어렵더라도 탄소 배출량을 큰 폭으로 감축할 필요는 있을 것 같습니다.
최우엉
Pass or Fail로 끝나는 게 아니라, 낙제에도 다양한 수준이 있어서 문제인 것 같습니다. IPCC 5차 보고서에서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네 개로 분류해서 세팅했는데(4개의 RCP 시나리오) 실패의 수준에 따라서 파국의 수준이 크게 달라지니까요.
1
카사르
결국 원전이 답이군요.

원전이 답이라고 볼 근거가 없습니다. 탈원전이 잘못됐다는 진단은 있을 수 있지만, 원전이 임박한 기후위기를 해결하리라는 판단은 완전히 별개의 문제입니다. 계획부터 승인까지, 원전 건축에 소요되는 시간만 10년 이상입니다. 그 정도면 탄소예산은 다 소모된 상태일 겁니다. 긴급하게 건축한다고 해도 체르노빌과 후쿠시마에서 봤던 것처럼, 감당하기 어려운 다른 부작용들도 문제고요. IPCC가 제시한 목표를 충족하려면 탄소배출량을 감축시킬 수 있는 적극적인 실천이 필요합니다.

(이미지 : IPCC가 평가한 자료로, 개인의 육류 소비량 감축이, 경우에 따라 전세계 원전 사용으로 인한 방출량 회피와 동등한 이익... 더 보기
원전이 답이라고 볼 근거가 없습니다. 탈원전이 잘못됐다는 진단은 있을 수 있지만, 원전이 임박한 기후위기를 해결하리라는 판단은 완전히 별개의 문제입니다. 계획부터 승인까지, 원전 건축에 소요되는 시간만 10년 이상입니다. 그 정도면 탄소예산은 다 소모된 상태일 겁니다. 긴급하게 건축한다고 해도 체르노빌과 후쿠시마에서 봤던 것처럼, 감당하기 어려운 다른 부작용들도 문제고요. IPCC가 제시한 목표를 충족하려면 탄소배출량을 감축시킬 수 있는 적극적인 실천이 필요합니다.

(이미지 : IPCC가 평가한 자료로, 개인의 육류 소비량 감축이, 경우에 따라 전세계 원전 사용으로 인한 방출량 회피와 동등한 이익을 가져다 줄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 외의 배출량 저감을 이끌 수 있는 개인의 행동변화에 관해서는 이런 자료도 있습니다 : https://rare.org/wp-content/uploads/2019/02/2018-CCNBC-Report.pdf)

https://media.nature.com/original/magazine-assets/d41586-019-02409-7/d41586-019-02409-7.pdf
https://www.ipcc.ch/srccl/chapter/chapter-5/5-5-mitigation-options-challenges-and-opportunities/5-5-2-demand-side-mitigation-options/5-5-2-1-mitigation-potential-of-different-diets/figure-5-12/
카사르
아 결국 채식하자는 거군요. 제가 본문을 오해했네요.
1
최우엉
따로 답 안 드릴게요.
윤지호
그래서 지금 국가에서 멀쩡히 잘 굴러가는 경유차들 폐차시키고 있죠.
전기차 LPG차 보조금도 주고있고 태양광사업에도 지원 많이 하고있고(투명성은 떠나서..)
근데 하필 지금 탈원전은 대체 왜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큰 틀에서 탈원전 정책에 동의하고는 있지만 여러가지로 미심쩍은 부분은 있습니다. 그렇지만 탈원전에 대한 논쟁이라는 정치적/이데올로기적 블랙홀에 휘말리면서 탄소배출량 목표치 미달의 책임이 정권에게 덮어씌워지는 경향은 있는 것 같습니다. 개인의 책임을 부정할 수 없는데도요.
해볼 수 있는 것은 다 해봐야 하지 않겠읍니까
최우엉
매우 그렇습니다...
[이런 대응들이 ‘긴급하지 않다’거나 ‘효과가 별로 없다’고 주장하는 보수언론들의 보도]에 대해서는 저 또한 유감입니다. 비관적인 분들은 저 탄소예산 따위는 허상이고 이미 몇 년 전에 터닝포인트를 넘었다고 주장하시더라구요. 물론 그 의견이 주류가 아닌 것은 알고 있고 그 정도는 아니라도 탄소중립 목표를 2050년으로 잡은 것은 너무 멀지 않나 싶읍니다
근데 발전과 채식 이야기만 하신 것 같아 조금 섭섭하긴 합니다 ㅎ (=전기차 이야기도 기대했읍니ㄷ.....)
에너지는 워낙 비중이 크고, 채식은 개인적인 관심분야인지라 언급이 쏠려 있습니다ㅠ 국가, 기업, 개인이 전기차 분야에 쏟는 에너지와 관심은 상당히 큰 것 같은데, 유사한 방출억제 잠재력을 지닌 육식저감 분야는 무시되는 경향이 있기도 하고요. 한국의 경우 중장기 저감계획에서 아예 언급도 안 되는 점도 아쉽습니다. 미국도 폭스뉴스가 바이든이 햄버거를 뺏어갈 거라고 비난하는 걸 보고 있으면 비슷한 상황인 것 같고요.

전기차 분야에 대해 잘 아시는 분이 의견을 보충해주셔도 좋겠지만, 위에 댓글로 남긴 RARE라는 단체의 보고서에 담긴... 더 보기
에너지는 워낙 비중이 크고, 채식은 개인적인 관심분야인지라 언급이 쏠려 있습니다ㅠ 국가, 기업, 개인이 전기차 분야에 쏟는 에너지와 관심은 상당히 큰 것 같은데, 유사한 방출억제 잠재력을 지닌 육식저감 분야는 무시되는 경향이 있기도 하고요. 한국의 경우 중장기 저감계획에서 아예 언급도 안 되는 점도 아쉽습니다. 미국도 폭스뉴스가 바이든이 햄버거를 뺏어갈 거라고 비난하는 걸 보고 있으면 비슷한 상황인 것 같고요.

전기차 분야에 대해 잘 아시는 분이 의견을 보충해주셔도 좋겠지만, 위에 댓글로 남긴 RARE라는 단체의 보고서에 담긴 내용을 통해 약간이나마 보충해둡니다. 이 내용은 개인의 행동 변화가 이끌 수 있는 연간 방출량 감소의 잠재력입니다. 기가톤 단위로 설명되어 있는데, 80기가톤이 2018년 전 세계에서 원전으로 회피할 수 있었던 방출량이라는 IPCC의 설명을 참고하시면 가늠이 쉬울 것 같습니다. (RARE는 개인 행동 변화로 인한 온실가스 방출량의 억제 잠재력 총합을 19.9-36.8%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

전기차 Electric vehicles / Driving battery and plug-in vehicles instead of conventional vehicles
10.8-52.4 기가톤

대중교통 Mass transit / Using public transportation for commuting in cities instead of individual vehicles
6.6-26.3 기가톤

지붕 태양전지 Rooftop solar / Installing rooftop photovoltaic systems under one megawatt
24.6-40.3 기가톤

음식물쓰레기 저감(공급 체인 - 수확과 소비의 전 영역에서) Reduced food waste / Minimizing food loss and wastage throughout the food supply chain from harvest to consumption
70.5-93.7 기가톤

식물성 식단 Plant-rich diets / Eating more plant-based foods and fewer animal proteins and products (e.g., meat, dairy)
66.1-87.0 기가톤
1
아 rare 보고서 내용 여기저기서 얻어 들은 덕분에 대충은 알고 있읍니다 ㅎ
근데 ev도 한국서는 관심은 있지만 선진국에 비하면 관심[만] 있는 수준이긴 합니다. 캘리나 eu같이 제조사들로 하여금 전환을 강제하는 수준이 아니기도 하구요.
차 말고도 나열해주신 것 중에서 개인적으로 솔라패널에 관심이 많은데 -탄소배출 말고도 전기요금 감면이라던지 재난 대비용 (redundancy) 역할로도 좋다고 생각합니다- 이번 정권 들어서 태양광에 대한 인식이 엄청나게 나빠졌고 무엇보다 아파트에선 쉽지 않읍니다 흑흑...
2
이담아담
우리나라는 다른나라에 비해 연교차,일교차가 커서 쓰는 에너지가 많을 수 밖에 없다는 글을 본 기억이 있는데 이 쪽이 차지하는 비중은 아무래도 미비한 편인가요?
저는 연교차가 국내 에너지 소모량 총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연구한 자료를 찾을 수가 없었습니다ㅜ 장기적으로 기후변화가 냉난방 에너지 소모량을 증가시킬 것이라는 연구들은 여럿 보이는데, 현재 한국의 연교차로 인한 에너지 소모량의 영향 폭이 어느 정도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샨르우르파
다행히 2019년에는 배출량이 국가 단위건 1인당이건 감소했답니다. 이게 지속적인 트랜드였으면 좋겠습니다.
https://www.hani.co.kr/arti/society/environment/973978.html

바로 윗분도 말했지만, 한국은 극심한 연-일교차로 냉난방 에너지소모가 많고, 제조업이 선진국 중 이례적으로 발달한 나라라 온실가스 감축엔 불리합니다. 지금보다 더 책임있는 태도를 보여야하는 건 맞습니다만, 온실가스 감축 정책을 세울 땐 이를 고려할 필요가 있지요.
2
최우엉
국가 단위의 계획을 세울 때라면, 정책입안자들이 당연히 고려해야 할 사항 같습니다. 높은 제조업 의존도로 인해 배출량 감축시 비용인상 압박이 심하다는 기사도 자주 나오고 있고요. 오히려 그런 제한요소 때문에, 한국은 개인의 행동 변화가 배출량 감축을 위해서 더 중요하지 않나 생각하게 됩니다. 말씀해주신 트렌드는 일단은 보기 좋네요. 방송도 요즘에 기후 얘기를 자주 하는 것 같은데... 변화가 조금 더 가속됐으면 좋겠네요.
2
꿀래디에이터
기승전채식 ㄷㄷ합니다

킹치만 갓한민국은 어차피 세계 최저의 출산율로 친환경에 기여하고 있는걸..
최우엉
추가로 답 안 드릴게요. 하신 말씀에 대한 언급이 본문에 있으니 참고하세요.
꿀래디에이터
그럼 리플을 잘 써주세요
본문에서도 채식이야기 꺼내다가, 리플에서는 더더욱 채식이야기를 많이 하시던데

그냥 이런저런 이유로 채식을 강조/강요하고 싶다가 논지 아닌가요?
최우엉
본문에서 정확하게 주장했는데요. 물으신 바에 대한 답변도 본문과 댓글에 모두 정확하게 포괄되어 있습니다. 본문 하단부의 개인의 책임에 대한 언급 참고하세요. 출산율에 대한 언급도 그 근처에 있습니다. 리플을 잘 써달라는 게 어떤 뜻인가요?
꿀래디에이터
원전 이슈를 꺼낸분에게도 고기줄이자는 그림표를 첨부하시잖아요
그러니까 제가 보기에는 기승전채식이죠

그리고 이미 답글이 달린것에 코멘트를 바꾸지 마세요 '글이나 잘 읽으라'는 식으로 쓰셨던 리플을 수정하니까
거기에 맞게 답글을 단 제 라임이 이상해지잖아요ㅎㅎ
최우엉
원전이 답이라는 주장에 대하여, 원전으로 IPCC 목표를 달성할 수 없기 때문에, 원전에 준하거나 그 이상의 저감량을 보여주는 개인의 행동변화 실천, 특히 그중에서도 저감량이 큰 채식 등이 중요하다고, IPCC 데이터를 통해 주장했어요. 선생님이 글을 어찌 읽으시건 선생님 자유입니다만, 제게 선생님의 독해를 승인받으려는 태도는 당혹스럽습니다. 제가 뭘 어찌 해드리면 될까요?
공격적 댓글 작성에 대해 시정권고 드립니다.

본문으로 인해 발생한 분쟁에 대해서는 글쓴이에게 책임이 있습니다.
주장하신 내용에 대한 반론에 감정적으로 대응하시는 것은 삼가주시기 바랍니다.
최우엉
댓글에 감정이 섞였네요... 주의하겠습니다.
분쟁유발성 댓글 작성에 대해 이용정지 4일 드립니다.

감정소모적 논쟁을 삼가주십시오.
지속해서 제재를 드리고 있어 가중조치합니다. 주의 바랍니다.
헌혈빌런
저는 한심하게도 삶에 여유가 없어서 저기까지 시야가 안닿네요. 멋지십니다

하이브리드차 타고 일회용품 최대한 안쓰고 분리수거 열심히 하고...딱 이정도 ㅋㅋ
2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1658 사회섬세한 담론의 중요성 : 미국의 반인종차별주의 이념 13 은머리 21/05/09 5450 19
11637 사회흑인리버럴과 흑인보수 14 은머리 21/05/04 5769 29
11634 사회기후위기에 대응해야 할 책임 32 최우엉 21/05/02 6307 14
11633 사회3 과다 징병문제는 해결가능할 것인가 16 매뉴물있뉴 21/05/01 4953 2
11622 사회2 부적합자들이 군대에 많은 이유는? 18 매뉴물있뉴 21/04/28 5007 5
11620 사회1 군대에 오지 말았어야 할 사람들 19 매뉴물있뉴 21/04/27 5288 14
11616 사회글은 날아갔지만 소심해지지는 않았습니다 (작은 목소리로) 27 매뉴물있뉴 21/04/26 4475 1
11591 댓글잠금 사회한국 성차별 문제의 복잡성. 88 샨르우르파 21/04/18 8047 35
11587 사회택배업계의 딜레마 15 매뉴물있뉴 21/04/16 4607 10
11586 사회백화점에서, VIP 산정 기준이 따로 적용되는 명품 브랜드들은? 2 Leeka 21/04/16 4348 1
11565 사회일본 얘기할때 너무 일본에 대해 까지만 말고 43 루이보스차넷 21/04/09 4604 2
11559 사회(번역)사회 발전은 결코 인간의 합리적인 통제의 대상이 될 수 없다 25 ar15Lover 21/04/07 6382 2
11528 사회(번역)바보들의 배 4 ar15Lover 21/03/28 6360 7
11515 사회더 현대. 서울 근황 4 Leeka 21/03/23 4547 1
11508 사회유책주의 VS 파탄주의 23 이그나티우스 21/03/21 5400 3
11497 사회우간다의 동성애에 대한 인식과 난민사유, 그리고 알려는 노력. 18 주식하는 제로스 21/03/17 4814 23
11487 사회[펌] LH 직원들은 똑똑한 게 아니다 15 Profit 21/03/13 5503 20
11485 사회(번역)왜 기술 체제는 스스로 무너질 것인가. 1 ar15Lover 21/03/12 5265 4
11464 사회수준이하 언론에 지친 분들을 위해 추천하는 대안언론들 15 샨르우르파 21/03/03 5661 20
11451 사회위구르 난민들이 말하는 중국의 폭압 7 Curic 21/02/26 4659 2
11443 사회자가 / 전세 / 월세 / 무상으로 거주하는 사람은 몇%일까? 2 Leeka 21/02/22 4730 0
11439 사회섹슈얼리티 시리즈 (10) - 성노동에는 기쁨이 없는가? 36 소요 21/02/21 6043 18
11432 사회요즘 국내외 사회 분위기를 보면 떠오르는 이야기 2 샨르우르파 21/02/20 4593 0
11430 사회(번역)유나바머가 옳았나? 5 ar15Lover 21/02/19 6230 7
11428 사회씨맥의 100만원 처벌은 어느정도일때 성립되는가? 6 Leeka 21/02/18 5940 1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