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1/04/29 23:03:08
Name   Leeka
Subject   올해 7월, 내년 7월에 각각 대출한도가 크게 변경됩니다.
* DSR은 대출 심사 때 차주의 모든 대출에 대해 원리금 상환 부담을 계산하는 지표다. 주택담보대출뿐 아니라 신용대출과 카드론을 포함한 모든 금융권 대출 원리금 부담을 반영한다. (소득대비 상환비율로, 연봉이 높을수록 DSR 수치는 높아집니다.)

기존에 DSR 40%가 적용되는 기준


1 - 투기 지구/투기 과열 지구에서 9억 이상 주택을 구입

or

2 - 연소득 8천만 이상이 '1억 이상 신용대출' 을 받을 때


-> 신용대출의 경우 10년 상환 기준으로 계산



올해 7월부터 DSR 40%가 적용되는 기준


1 - 규제지역에서 6억 이상 주택을 구입

or

2 - 1억 이상 신용대출을 받을 때


-> 신용대출의 경우 7년 상환 기준으로 계산



내년 7월부터 DSR 40%가 적용되는 기준

 

1 - 규제지역에서 6억 이상 주택을 구입

or

2 - 1억 이상 신용대출을 받을 때

or

3 - 총 대출금의 합이 2억이 넘어갈 때


-> 신용대출의 경우 5년 상환 기준으로 계산



으로 변경되며.  실질적으로는 내년 7월부터는 신용대출 기준으로 반토막만 대출이 나오게 됩니다. 

원래 5~6월까진 비수기인데. 이 정책이 다시 불을 지를거 같다는 생각이..



1


    매뉴물있뉴
    문외한이라 그런지,
    [실질적으로는 내년 7월부터는 신용대출 기준으로 반토막만 대출이 나오게 됩니다.] 말고는 이해를 못한것 같습니다.
    제대로 이해한건가요?;
    자세한 내용은 보도자료 읽어보시면 됩니다.
    https://www.fsc.go.kr/no010101/75831

    간단하게 실생활에 어떤 영향을 미치냐면
    근로소득만 있는 맞벌이 직장인의 영끌이 불가능해졌습니다.
    근로소득 5천인 사람의 최대 대출이 4억 대출 정도만 나온다는거죠.
    DSR은 맞벌이의 소득합산도 안해줍니다.

    좀더 참고하시려면 아래 기사 참고하시는게 나을듯요
    ... 더 보기
    자세한 내용은 보도자료 읽어보시면 됩니다.
    https://www.fsc.go.kr/no010101/75831

    간단하게 실생활에 어떤 영향을 미치냐면
    근로소득만 있는 맞벌이 직장인의 영끌이 불가능해졌습니다.
    근로소득 5천인 사람의 최대 대출이 4억 대출 정도만 나온다는거죠.
    DSR은 맞벌이의 소득합산도 안해줍니다.

    좀더 참고하시려면 아래 기사 참고하시는게 나을듯요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sec&oid=001&aid=0012363372&isYeonhapFlash=Y&rc=N
    맞벌이 소득 합산이 안되나요??
    상환 능력인데... 왜 가계 소득이 아닌거죠? ㅠㅠ..
    그러게요...DSR 계산은 개인별이더라고요
    이런부분까지 보완해서 내놨으면 좋았을텐데 말이죠
    조지 포먼
    감사합니다
    나코나코나
    이 정부가 이해가 되는 일을 벌이는 게 그렇게 많지는 않았지만 최대한 정치적 해석을 할 수 있는 정책을 내놨던 거 같은데
    어떻게 서울 부산시장 참패 후 대선을 앞두고 이런 정책을 펼 수 있는지 이해가 안갑니다.
    이건 대놓고 젊은 층(결혼 포기한 여성 제외)한테 지금부터 내가 니들 엿먹일거니까 제발 우리 편 뽑지 말아달라는 거잖아요.
    안희정 김경수 아웃되고 이낙연 정세균 당선될 가능성 없고 이재명은 마음에 안드니까 재창출은 포기하고 그냥 깽판치는건가요?
    10
    원인은 부동산 가격이 안잡히니까?
    공급은 더럽게 안해주고, 수요 억제 방법이 자금줄 죄는거뿐..
    LTV 제한해서 신용대출 풍선나오니까 신용대출 제한, 그래도 안되니까 DSR 차주별 적용

    그래도 생색은 내려고 40년 모기지 내놨어요. 미래 근로소득 증가분도 인정해줄꺼라고 하고.
    근데 진짜 생색이죠.
    작년에 영끌한 맞벌이들 당장 신용대출 갱신 걱정하게 생겼습니다.
    분쟁유발성 표현에 대해 이용정지 4일 드립니다.

    '결혼 포기한 여성 제외'를 언급하신 부분은 본문의 이슈와 무관한 양성갈등 분쟁 유발성 발언으로 판단합니다.
    지속적으로 제재를 드리고 있음에도 계속해서 제재사유가 반복되어 유감입니다. 주의해주시기 바랍니다.
    순수한글닉
    저는 결혼 포기한 여성인데 저도 저 정책에 불이익을 봅니다.
    떡라면
    신용대출이면 마이너스통장도 한도가 깎이나요?
    현재 한도가 1억 4천만인데 2천만도 안 쓰고 있거든요.
    바뀌기 전에 한도 끌어다 쓰면 나중에 빨리 상환하라고 독촉 오나요?
    독촉이 아니라 DSR 계산으로 떡라면님의 근로소득의 40% 만큼만 원리금 상환 금액 환산해서 대출 가능합니다.
    1억 4천짜리 신용이면 당장 7월부터 적용이니까 주담대 + 신용 대출의 1년 상환금액이 소득의 40%가 넘는다면 마통의 갱신이 안되겠죠. 보통 1년씩 10년 갱신이었는데 은행에서 갱신 불가하니까 상환하라고 하겠죠
    떡라면
    어렵군요...
    사실상 최대 한도보다 훨씬 적게 사용할 수 있다고 이해가 되는데,
    대출 한도치가 의미가 별로 없어진다면 말장난도 아니고 짜증나네요.
    근데 뭐..마통 1.4억 나올정도 소득인데 현재 주담대 금액이 크지 않다면 크게 신경안쓰셔도 될듯합니다.
    신규만이 아니라 갱신을 막는다고요..??

    이런건 어떻게 계산이 되는건가요?....

    참 알수가 없군요...
    Brown&Cony
    그냥 정권 한번만 하고 갈아치워지는것으로 진작 확정되었다고 생각합니다.
    부동산 어지간히 삽펐어야지...

    그런데, 오세훈 시장 되고나서 관련 뉴스 보면 국힘으로 갈아치워지면 안될것같지만... 그렇다고 제3지대도 딱히 뭐가 없는것같고..ㅠ.ㅠ
    이해안가는 정책을 낸다?
    -> 아직도 집값 더 오를까봐 걱정한다는 뜻.
    여친없음
    맘대로 달리라 할랍니다. 대선때 교체되고 어찌되나 봅시다. 수사할게 너무 많을거예요
    신용대출없이 주담대만 받는다고 가정하면 지금과 큰 차이가 없을거 같고 주담대+신용대출 합쳐서 영끌못하게 막는 규제같아요. 문제는 1억넘는 고액이 아니라도 직장인들 마통 조금 있는 경우 많은데 그걸 다 없애야 주담대가 한도대로 나온다는 점에서 체감이 확 될듯.
    Regebogen
    소급되려나요?
    주담대는 소급안할거 같은데 마통같은 신용대출은 1년마다 연장이라 어떻게 될지 모르겠어요.
    윤지호
    아니 미국에서 돈을 찍어내서 금리가 떨어지니깐 전세계 실물자산 가격이 올라가는건데 그걸 왜 수요억제를 하려고 하는건지 ...
    저분들은 분명 저같은 어중이떠중이가 아닌 전문가들일텐데.. 다 알면서 그러는거라고밖에는 생각이 안드네요
    지와타네호
    공급안함, 임대차규제함, 세금올림 => 집값 올라감 => 더오르기 전에 대출받아서 사고싶어서 수요증가 => 집값오름 => 집못사게 대출규제함 => 걍 월세나 살아라 테크인데

    대출이자 비싸니 마니해도 월세 부담이 훨씬 크지 않나요? 진짜 빈부격차 늘리기론 단기간 성과가 어마어마한거 같긴해요. 요즘 친구들 만나면 다들 결혼 적령기다보니 집얘기 나오는데 사실상 다들 '집이 없는데 결혼은 할수 있겠냐?' 상태에요. 주변에 결혼하는 커플들 보면 다 집이 해결이 되니까 하는거더군요. 사실상 결혼도 "집만 해결되면 다른건 어떻게든 된다" 인데 그걸 박살을 내놨으니 답이 없네요.
    1
    할로윈차차
    월세로의 전환이 기득권층이 가고자 하는 방향이니까요
    정권이 바뀌어도 변함 없을 겁니다. 게다가 찐 기득권층은 저 쪽이 더 많죠.
    땔감이 부족하면 불이 더 크게 안나겠지 하는 것 같은데...
    제가 부동산 지식이 미천한데.. 엠비나 근혜때는 하우스 푸어 이야기 많이 나왔던것 같거든요.
    결국 서민은 대출 잇빠이 받고 하우스 푸어 or 대출도 못 받고 월세살이...의 굴레에서 못 벗어나는건가요.
    J_Square
    대충 훑어보니 ltv는 조금 풀어주고 dsr(내지 dti)를 조이는 거 같네요.
    이제 와서..
    순전히 부동산 상승을 억제하려는 목표와 그것을 위해 대출을 억제하자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정책이네요.
    사실, 부실화 위험만 없다면 저금리시기에 대출을 늘려주고, 고금리 시기에 대출을 감소시키는게 전체 경제적으로는 효용성이 좋은데요.. 그런데, 어차피 예견된 수순이었지요.. 부동산 상승으로 난리친다->부동산 억제책 내논다 -> 대출을 조인다. 의 흐름이 1~2차원적인 사고흐름이니까요.. 보통 훌륭한 정책자는 특정 행위의 결과의 결과의 결과까지(즉 3차원적 영향력) 예측해서 정책을 내겠지만... 그런데, 공무원중에 그... 더 보기
    순전히 부동산 상승을 억제하려는 목표와 그것을 위해 대출을 억제하자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정책이네요.
    사실, 부실화 위험만 없다면 저금리시기에 대출을 늘려주고, 고금리 시기에 대출을 감소시키는게 전체 경제적으로는 효용성이 좋은데요.. 그런데, 어차피 예견된 수순이었지요.. 부동산 상승으로 난리친다->부동산 억제책 내논다 -> 대출을 조인다. 의 흐름이 1~2차원적인 사고흐름이니까요.. 보통 훌륭한 정책자는 특정 행위의 결과의 결과의 결과까지(즉 3차원적 영향력) 예측해서 정책을 내겠지만... 그런데, 공무원중에 그 정도로 생각할 수 있는 사람도 거의 없겠지만, 있다고 하더라도 보통의 대중은 1차~1.5차 정도가 보통의 이해력이기때문에 이해시키기 힘들거고 받아들여지기도 힘드니까 하기가 힘들고.. 또한 그런 고차원적인 영향까지 반영하여 정책을 하기엔, 원래 정책에는 불확실성을 그렇게 높게 반영하여 실험적인 정책은 하지 않으니까요..
    제 말은 정책을 옹호하는게 아니라, 정책이 잘못된건 맞는데, 현재 상황의 흐름상 가장 마찰이 적은 선택에서 나올수 밖에 없는 정책인것 같다는 얘기입니다.
    1
    jnote0504

    나만 무슨 소리하는지 모르는 것 같다 ㅎㅎㅎㅎ
    이해 못했으믄 그냥 포기하고 살라는 뜻일까요
    1
    대충 대출조이기 전에 집사면 된다는 얘기?
    1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1988 경제코로나로 인한 부동산 가치의 변동 22 right 21/08/18 4918 1
    11963 경제지구본 연구소-농업편(농업이 진정한 선진국 사업인 이유) 22 copin 21/08/05 4972 1
    11900 경제하반기 부동산은 파멸적 상승을 보여줄 것인가 51 Folcwine 21/07/20 6205 8
    11801 경제GTX-C을 현대건설이 짓게 되었습니다. (노선도 확정) 4 Leeka 21/06/18 4397 1
    11798 경제양도소득세 법령적용 가이드 맵 5 다군 21/06/18 4681 1
    11740 경제무주택자의 주택구입 혜택이 개선됩니다. 7 Leeka 21/05/31 4584 0
    11663 경제금일, 동탄 청약 경쟁률이 역대급을 달성했습니다. 8 Leeka 21/05/11 4717 2
    11655 경제NFT, 제 2의 루나 엠버시인가? 7 lonely INTJ 21/05/08 6064 6
    11643 경제최근 부동산 둘러본 소감. 13 moqq 21/05/05 5910 2
    11635 경제퇴거위로금의 세무처리 - 홍남기 부총리의 경우 5 불타는밀밭 21/05/02 4814 8
    11631 경제삼성가 상속의 세부 안이 나왔습니다. 8 Leeka 21/04/30 4664 2
    11630 경제한국 증시에 다가오는 대폭락의 전주곡(신용공여잔고) 23 쿠팡 21/04/30 5436 4
    11628 경제올해 7월, 내년 7월에 각각 대출한도가 크게 변경됩니다. 30 Leeka 21/04/29 4258 1
    11626 경제머리와 가슴의 불일치. 킹받는다 25 Jack Bogle 21/04/29 5107 6
    11603 경제한국 홈쇼핑/백화점/대형마트/쇼핑몰/온라인 수수료 정리 1 Leeka 21/04/21 5044 1
    11598 경제코로나 1년 뒤, 유통업들의 현 상황은 어떨까? 2 Leeka 21/04/20 4443 1
    11555 경제이마트, 2020년 역대 최고 매출 달성 17 Leeka 21/04/06 4333 1
    11554 경제2020년 백화점, 마트, 아울렛 3대 업체별 매출 TOP3 7 Leeka 21/04/06 4403 1
    11513 경제지역별 매출 1위 백화점들 8 Leeka 21/03/22 4470 1
    11510 경제180만원 20년 복리는 약 1억... 6 Hi 21/03/21 5434 2
    11495 경제똘똘한 한채를 만든 현재 보유세 정책 35 Leeka 21/03/15 5283 2
    11441 경제빅 아이디어 2021 by ARK INVEST 3 lonely INTJ 21/02/22 3880 4
    11407 경제HUG, 22일부터 분양가를 주변시세의 85~90%로 변경 확정 7 Leeka 21/02/09 4206 0
    11382 경제2020년 전국 백화점 매출 순위 9 Leeka 21/01/28 7352 2
    11379 경제전통 자동차 브랜드는 파운드리를 꿈꾸는가? 6 lonely INTJ 21/01/25 5151 4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