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1/04/16 21:06:10
Name   매뉴물있뉴
Subject   택배업계의 딜레마
저는 택배 업계에 정확하게 종사하는건 아니고
다만 롯데택배와 계약을 하고 매일 백여건 정도를 발송하는 업체라
택배기사님을 거의 매일 만나는 입장이고
또 친구가 택배기사일을 하고있어서 주워들은것도 있습니다.
주워들은 것을 대충 나열하는 것이기 때문에 틀린것이 어마어마하게 있을수 있습니다.
어디가서 자랑하다가 망신당하시면 제 핑계를 대시기 바랍니다.



1 택배물건들의 이동 경로

택배물건들의 이동 경로는 대략 이렇습니다.
[1 보내는 사람 --> 2택배기사가 수집 --> 3지역 대리점
---> 4택배 허브 (ex: 옥천허브)
--> 5지역대리점 --> 6택배기사 -->7받는사람]


예를들어 롯데택배라고 한다면
[롯데택배가 소유하고 있는곳은 4번의 택배 허브들 뿐]입니다.
2 6에 해당하는 택배기사들은 개인사업자
3 5에 해당하는 지역 대리점들은 직영점과 가맹이 혼재된 형태라고 보시면 편할것 같습니다.
다만 제가 직접 봤던 대리점들은 전부 가맹점들이었고
직영점을 제 눈으로 직접 목격한 적은 없습니다.

*지역 대리점들이나 택배기사들은, 자유롭게 택배회사와 계약을 맺는
(명목상으로는) 동등한 입장의 동업자 관계입니다.
로젠택배와 계약을 하고 업무를 하시던 대리점 + 택배기사들이
통째로 한진택배와 계약을 하면서 이탈하는 사건을 한번 목격한 적이 있습니다.
아마 드물게 종종 있는 일인것 같습니다.

*코로나 때문에 한창 택배기사들이 '까대기 업무'를 거부하고 파업하겠다고 나섰을때의
그 까대기 업무는 5번6번사이의 업무과정입니다.
CJ택배, 롯데택배에서 나서서 중재해줄수 있는 과정이 아닌거죠.
애초에 각 대리점들과 택배기사들이 해결해야할 문제니까요.





2 (신입) 택배기사의 고충.

택배기사들은 CJ택배 등에 고용된 직원이 아니고
자기 돈주고 산 자기 트럭, [내돈내산] 트럭으로 CJ택배의 물건들을
대리배송해주는 개인사업자들 입니다.
택배기사들은 1->2 과정의 집화 건당 **원, 6->7과정의 배달건당 **원을 받습니다.
집화보다는 배달단가가 1.5배 내지 2배 더 높습니다만,
집화는 한군데에서 수십-수백건을 줍줍하는 반면
배달은 한건한건이 다 흩어져 있기 때문에
돈을 많이 버는 유능한 택배기사들은
배달의 달인이 아닌 집화의 달인들이고
때문에 택배기사들은 집화 업무를 수주하기 위해
택배회사의 영업사원같은 역할도 겸하고 있습니다.
[집화가 돈이 됩니다. 배달은 별로 돈이 되지 않습니다.]

배달은 별로 돈이 되지 않기 때문에
신입 택배기사가 들어올 경우
배달이 쉬운 지역 - 예를들면 대단지 아파트 - 들은
이미 먼저 일하고 있던 택배기사들이 선점하고 있습니다.
때문에 신입 택배기사들은, 남는 지역 - 예를들면 엘레베이터 없는 5층건물 많은 지역 - 들을 배정받으면서 시작하게 됩니다.

뉴스에 나오는 과로사하는 택배기사분들은
보통 저런 남는지역에서 일하시는 분들인 경우가 많습니다.
저런 남는지역들은, 인기가 없는 지역들이기 때문에
한사람이 서로 굉장히 거리가 떨어져있는 지역들을 배정받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런경우 조정을 해주는 주체는, 택배회사 본사가 아닌 지역 대리점일수밖에 없습니다.
물론 대리점에서 조정을 잘 해주거나, 선임 택배기사들끼리 원만히 합의가 되면 모르겠으나
그렇지 못한 곳이라면, 신입만 죽어나가는 헬게이트가 됩니다.
신입이다보니, 훌륭한 집화처도 확보하지 못하고
훌륭한 배달처도 없다보니, 시간당 버는 단가가 떨어지니까
더더욱 장기간 노동에 내몰리는 악순환에 빠지는...



3 왜 택배기사들은 불친절한가 .feat 고덕 아파트단지
저만하는 생각이 아닐줄로 압니다.
'[왜 택배기사들은], 무료봉사도 아니고, 분명 그 댓가를 받으실텐데
왜 이렇게 [나한테 불친절한가]'

간단합니다.
[배달은 돈이되지 않으니까요.]
하루에 백건정도의 집화를 발생시키는 업자로써 당당하게 말씀드릴수 있는데
그 택배기사님들 말입니다.
'평소에 웃을줄 아는 분들입니다'
(놀라셨다면 죄송합니다.)

고덕아파트단지 요즘 한창 핫하잖아요?
아마 아파트 단지에서 따로 용역을 얻어다가
집앞배송을 맡기셔야 할겁니다.
그렇게 안한다면...? 음 글쎄요
일단 저상차량은 답이 아닙니다.
저상차량은 택배하라고 만든 차가 아니에요.
택배기사가 저상차량으로 며칠 택배하다가
못해먹겠다고 손들고 나갈겁니다.
아마 뭣도 모르는 신입이 선임들에게 낚여서 들어왔다가
몇달 못버티고 그만두고 그런 식으로 반복될거에요.

지상으로 차량이 아예 통행하지 못하게 만들면서
지하주차장은 2.7m 높이로 안만드셨다고요?
원래 다들 그렇게 건축을 하다보면, 생각못한 사소한 실수로
매달 몇천원씩 추가로 비용지출하고 하는겁니다.
어떤 사람들은 보일러를 잘못 설치해서 난방비가 ㅇㅁㅇㅁ하게 나오는것처럼
여러분들은 그냥 그렇게 지어진 아파트에 사시는 거에요.
누굴 탓하겠습니까.



4 택배 기사님들 고생하시는데 택배비 좀 올려도 되지 않나요
아까도 말씀 드렸지만
택배기사님들의 고생은 '배달'분야에만 한정되고
그것도 '불행한 배달지역을 배정받은 몇몇 택배기사님들'에 한정된 이야기이기 때문에
직접 택배업을 하지 않고, 단지 택배사의 집화 고객일뿐인 제눈으로 보기에
사실 택배비용 상승 압박은, 그렇게 커보이지 않습니다. 솔직히.
그리고 이 택배 업이라는게 사실 생각해보세요
왜 '롯데, CJ, 쿠팡'이 다 따로따로 물류망을 갖고 있는 겁니까?
그냥 한사람한테 다 몰아주면 안되나요?
예를들면 서울은 롯데 담당, 인천은 CJ담당, 수원은 쿠팡담당. 이러면 안됩니까?

그런식으로 생각해보면 사실
지금 택배회사가 넘나 많습니다.
전국 택배망을 온전히 갖고있는 택배사가 그렇게 엄청 많진 않습니다.
우체국, 로젠, 한진, CJ, 롯데까지 
(쿠팡은 수도권/일부대도시를 벗어나면 택배망이 없어서 타 대리점에 위탁합니다.)

통신회사도 딱 셋뿐이잖아요?
택배회사도 셋만 남으면 됩니다.
그래서 제 추측에는
로젠과 한진택배가 경영난으로 망하기 전에는
택배비를 올려받을수 없는 치킨게임이 계속될것만 같습니다.



맺음
저는 택배업계의 직접종사자가 아니고
옆에서 그냥 보고 주워들은 썰을 풀었을 뿐입니다.
이 내용은, 저희 업체에서 집화를 담당해주시는
택배기사님이 내용을 [전혀 검수해주시지 않으셨습니다].
바쁘신 분이거든요.
어제도 4시까지 물건 준비 못끝내드렸다고 혼났기 때문에
오늘은 두손 모아 영접했습니다 (한-껏- 공손하게)

분명 이 글을 읽으시는 분중에는
제 글의 어디어디가 틀렸으며
'이색히 ㅈ도 아는거 없네'하시는 분들이 계실겁니다.
바로 여러분 같은 분들이 게을러서, 이런 글을 먼저 써주시지 않았기 때문에
[부지런한 제가] 쓰느라
없는 지식 끌어다가 아는척하느라
얼마나 손이 벌벌벌 떨렸는지 아십니까? [(되려 큰소리)]
제 글이 어디가 틀렸는지 아시는 분은, 반성하시길 바랍니다.
...농담입니다. 부디 지적해주세요; 저도 잘 몰라요 정말;

(어제 택배로 펩시 제로 라임맛왔는데, 존맛이네요)



10


    사실관계에 오류가 조금 있네요.

    1 보내는 사람 --> 2집화 --> 3서브터미널(택배사 소유)---> 4택배 메인터미널(옥천, 곤지암 등)--> 5서브터미널(택배사 소유) --> 6택배기사 -->7받는사람

    이게 맞습니다. 집화된 화물은 메인터미널로 모이고 여기서 서브터미널로 뿌려줍니다. 예를 들면 새벽부터 옥천허브에선 25톤 날개차에 간선상차를 하고, 옥천에서 출발한 화물차가 대전둔산sub에 아침 6~7시경 도착합니다. 택배기사들은 미리 차량을 라인마다 붙여둡니다. 간선하차 작업이 시작되... 더 보기
    사실관계에 오류가 조금 있네요.

    1 보내는 사람 --> 2집화 --> 3서브터미널(택배사 소유)---> 4택배 메인터미널(옥천, 곤지암 등)--> 5서브터미널(택배사 소유) --> 6택배기사 -->7받는사람

    이게 맞습니다. 집화된 화물은 메인터미널로 모이고 여기서 서브터미널로 뿌려줍니다. 예를 들면 새벽부터 옥천허브에선 25톤 날개차에 간선상차를 하고, 옥천에서 출발한 화물차가 대전둔산sub에 아침 6~7시경 도착합니다. 택배기사들은 미리 차량을 라인마다 붙여둡니다. 간선하차 작업이 시작되면 날개차에서 컨베이어에 화물을 쏟아내고, 기사들은 컨베이어로 이동, 분류되는 물품을 쌓고 정리합니다. 이 서브터미널과 컨베이어 등 설비 모두 택배사 소유입니다. 기사 몇명 고용하고 사무실 한 칸 있는 지역대리점이 할 수 있는 규모가 아니에요.

    그러므로 분류작업은 택배사와 택배기사의 문제입니다.
    4
    매뉴물있뉴
    그.. 저희지역에 있는 한진, 롯데 지역 대리점은 확실히 택배사의 직영이 아닙니다.
    다만 저희 지역 대리점은 말씀하신 서브터미널 급이 아닌것도 확실하기 때문에
    그냥 지역차이인가도 싶네요.
    뭔가 잘못 이해하고 계신 것 같네요. 대리점들은 거의 다 직영이 아니에요. 대리점의 역할은 배송, 집화 2가지이고, 물류센터를 운영하는건 택배사의 역할이고요. 택배사가 기사를 직고용하면 그게 직영이라서 사실 직영대리점이라는 개념도 딱히 없습니다.

    대전둔산 서브터미널이 있으면 거기엔 대리점이 여러개 있을겁니다. 둔산1, 둔산2, 탄방, 월평대리점 뭐 이런 식으로요. 각 대리점마다 정해진 배송구역이 있고 이 대리점에서 기사들과 계약해서 배송구역을 나눠 배정하는거죠. 이때 택배기사들은 배송할 물품을 가지러 둔산서브터미널로 가고, 집... 더 보기
    뭔가 잘못 이해하고 계신 것 같네요. 대리점들은 거의 다 직영이 아니에요. 대리점의 역할은 배송, 집화 2가지이고, 물류센터를 운영하는건 택배사의 역할이고요. 택배사가 기사를 직고용하면 그게 직영이라서 사실 직영대리점이라는 개념도 딱히 없습니다.

    대전둔산 서브터미널이 있으면 거기엔 대리점이 여러개 있을겁니다. 둔산1, 둔산2, 탄방, 월평대리점 뭐 이런 식으로요. 각 대리점마다 정해진 배송구역이 있고 이 대리점에서 기사들과 계약해서 배송구역을 나눠 배정하는거죠. 이때 택배기사들은 배송할 물품을 가지러 둔산서브터미널로 가고, 집화도 둔산터미널에 할 겁니다. 이들 대리점을 모두 합쳤을 때 택배기사는 40명은 될거고, 둔산터미널은 적어도 1000m2 면적은 되겠죠. 택배기사들은 대리점 사무실을 안 가도 일하는데 문제가 없어요. 택배 물건이 대리점을 거치지 않습니다.
    매뉴물있뉴
    그.. 아무리봐도 지역차 아닌가 싶은데요..; 저희쪽은 한진 씨제이 롯데 세군데 택배기사님들 모두 터미널에서 대리점으로 보내주고 거기에서 물량 받아오시는 걸로 아는데..; ㅎㅎ
    월요일에 저희 집화해주시는 롯데 기사님께 한번 더 물어볼게요 ㅎ
    은하노트텐플러스
    그럼 메인터미널은 누구 소유인가요...?
    각 택배회사들은 이용료를 내는 구조인건가요?
    메인터미널도 택배회사 소유죠. 터미널 건물이나 땅을 장기 임대계약을 맺고 쓸 수도 있고요. 흔히 이야기하는 옥천, 곤지암 이런 곳들은 수천억원 자금 투입해서 부지매입하고 물류센터 만든거에요.
    Folcwine
    배송과 집화 중 무엇이 더 유리한가는 상황마다 다르긴 할겁니다. 배송은 구역에 따라 난이도 편차가 심하죠. 대단지 오피스텔(1인가구) 같은 곳이 제일 좋고, 계단식 주택가가 제일 힘들겠죠. 같은 집화여도 알뜰폰 회사에서 보내는 유심칩 같은건 꿀일거고 농수산물 등 부피 크고 무거운건 힘들죠. 그리고 집화는 몇시에 가지러 가야 한다는 시간의 제약이 있습니다. 배송물량이 많으면 배송 하다가 집화하러가고 그런 문제가 있죠. 게다가 갔는데 발송준비가 안 되어 있으면 낭패입니다. 집이 배송지 인근이면 배송 끝내고 바로 퇴근인데 집화를 하면 터미널 갔다가 퇴근해야 하는 문제도 있고 여튼 시간과의 싸움이라 항상 어떤게 유리하다고 이야기하긴 어렵긴 하죠.
    2
    집화는 주로 사업자를 말씀하시는거 같네요.
    개인 배송 집화는 돈이 안되겠죠.

    사업자들이라면 집화에 말씀하신 문제도 없을거고요.
    관찰과 대화를 통해 업계에 대한 1차적인 이해를 종합해주신 매뉴물있뉴님도, 추가적인 대화를 통해 정보를 업데이트한 folcwin님도 모두모두 감사드려용 ㅎ_ㅎ/ 덕분에 잘 배웠습니다.
    대부~ 영흥까지 배달하는 택배기사님이 있는데 섬지역이다보니 이동경로만 30km가 넘고 마을도 여기 저기 다 떨어져있죠
    밤 11시에 오시는경우도 있더군요
    엠피리컬
    배송을 하려면 최소한 트럭을 소유하고 지역 지리를 잘 아는 사람이어야만 하지 않나요? 기사분들이 관두고 배민라이더 같은거 하면 아쉬운건 택배 업체(가맹점일지 본사일진 모르겠지만)일 것 같은데 현실은 역시나 이론대로 돌아가진 않나보군요.
    구역 관리가 잘 되어있으면. 택배가 다른 라이더보다 훨씬 잘 법니다..

    라이더는 오히려 매번 동선이 달라지는게 문제라...
    1
    코리몬테아스
    2에 대해서, 지난 해 10월까지 사망한 택배기사중 20년 경력의 베테랑도 있었고, 제가 본 기사에서만 경력이 5년넘는 분들이 두 명은 더 있었어요. 그 때 까지 택배기사 사망자는 10명이었고요. 그래서 신입 택배기사 - 남는 (안좋은) 지역 배정 - 과로사의 연결고리가 맞는 건지 궁금해지는데. 혹시 사망한 기사님들의 경력이나 지역에 대해 정리하신게 있으신가요?
    매뉴물있뉴수정됨
    아뇨; ㅋㅋㅋ 제가 주워들은거 다 쏟아낸겁니다 글에다가
    저도 그냥 고객 입장이에요. 다만 중형고객일뿐;
    다만 모두가 개인 사업자인 형편이라
    증원 감원, 지역 이동, 변경 같은 일이
    일반 회사원 이동하는 것과 비교하면 확 어렵다는 정도만 어렴풋이 아는 수준입니다;

    아 글고 그 신입이 좋은지역 받기 힘들다는 썰은
    택배기사를 시작했다가 두세달만에 관뒀던
    -수도권에서 택배를 시작했던 제 친구 한명과,
    -지방에서 택배를 시작했던 아는 기사 두분에게 공통적으로 들은 얘기라
    대한민국 어디나 비슷한 얘기일수 있다고 막연하게 추... 더 보기
    아뇨; ㅋㅋㅋ 제가 주워들은거 다 쏟아낸겁니다 글에다가
    저도 그냥 고객 입장이에요. 다만 중형고객일뿐;
    다만 모두가 개인 사업자인 형편이라
    증원 감원, 지역 이동, 변경 같은 일이
    일반 회사원 이동하는 것과 비교하면 확 어렵다는 정도만 어렴풋이 아는 수준입니다;

    아 글고 그 신입이 좋은지역 받기 힘들다는 썰은
    택배기사를 시작했다가 두세달만에 관뒀던
    -수도권에서 택배를 시작했던 제 친구 한명과,
    -지방에서 택배를 시작했던 아는 기사 두분에게 공통적으로 들은 얘기라
    대한민국 어디나 비슷한 얘기일수 있다고 막연하게 추정하고 있습니다.
    지지지지
    알바식으로 상하차 해본적이 있는데..
    진짜 이쪽 업계분들 너무 고생한다는걸 절실히 느꼈습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1658 사회섬세한 담론의 중요성 : 미국의 반인종차별주의 이념 13 은머리 21/05/09 5450 19
    11637 사회흑인리버럴과 흑인보수 14 은머리 21/05/04 5769 29
    11634 사회기후위기에 대응해야 할 책임 32 최우엉 21/05/02 6307 14
    11633 사회3 과다 징병문제는 해결가능할 것인가 16 매뉴물있뉴 21/05/01 4953 2
    11622 사회2 부적합자들이 군대에 많은 이유는? 18 매뉴물있뉴 21/04/28 5003 5
    11620 사회1 군대에 오지 말았어야 할 사람들 19 매뉴물있뉴 21/04/27 5286 14
    11616 사회글은 날아갔지만 소심해지지는 않았습니다 (작은 목소리로) 27 매뉴물있뉴 21/04/26 4474 1
    11591 댓글잠금 사회한국 성차별 문제의 복잡성. 88 샨르우르파 21/04/18 8046 35
    11587 사회택배업계의 딜레마 15 매뉴물있뉴 21/04/16 4606 10
    11586 사회백화점에서, VIP 산정 기준이 따로 적용되는 명품 브랜드들은? 2 Leeka 21/04/16 4347 1
    11565 사회일본 얘기할때 너무 일본에 대해 까지만 말고 43 루이보스차넷 21/04/09 4604 2
    11559 사회(번역)사회 발전은 결코 인간의 합리적인 통제의 대상이 될 수 없다 25 ar15Lover 21/04/07 6380 2
    11528 사회(번역)바보들의 배 4 ar15Lover 21/03/28 6359 7
    11515 사회더 현대. 서울 근황 4 Leeka 21/03/23 4546 1
    11508 사회유책주의 VS 파탄주의 23 이그나티우스 21/03/21 5400 3
    11497 사회우간다의 동성애에 대한 인식과 난민사유, 그리고 알려는 노력. 18 주식하는 제로스 21/03/17 4814 23
    11487 사회[펌] LH 직원들은 똑똑한 게 아니다 15 Profit 21/03/13 5503 20
    11485 사회(번역)왜 기술 체제는 스스로 무너질 것인가. 1 ar15Lover 21/03/12 5264 4
    11464 사회수준이하 언론에 지친 분들을 위해 추천하는 대안언론들 15 샨르우르파 21/03/03 5660 20
    11451 사회위구르 난민들이 말하는 중국의 폭압 7 Curic 21/02/26 4658 2
    11443 사회자가 / 전세 / 월세 / 무상으로 거주하는 사람은 몇%일까? 2 Leeka 21/02/22 4730 0
    11439 사회섹슈얼리티 시리즈 (10) - 성노동에는 기쁨이 없는가? 36 소요 21/02/21 6043 18
    11432 사회요즘 국내외 사회 분위기를 보면 떠오르는 이야기 2 샨르우르파 21/02/20 4592 0
    11430 사회(번역)유나바머가 옳았나? 5 ar15Lover 21/02/19 6229 7
    11428 사회씨맥의 100만원 처벌은 어느정도일때 성립되는가? 6 Leeka 21/02/18 5940 1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