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5/10/01 06:59:32
Name   어른아이
Subject   How are you 공포증
미국에 처음 왔을 때 그들이 의미없이 건네는 인사가 참 부담스러웠던 때가 있었습니다.
그냥 "Hi" 하면 안 되나, 왜 굳이 "How are you?"를 하지?

"Fine, thank you, and you?"
아.. 영희와 철수도 아니고 이건 뭐람.. ㅠㅠ
하루에도 몇 번이고 뒤돌아서면서 머리 속으로 발을 동동동 구르며 "아 또! 아 또!!!" 했었습니다.

물론 틀린 답변은 아니었죠.
하지만 몇 주간 관찰해 본 결과 저 답변을 하는 사람들은 어림잡아 95% 이상 우리 나라 사람들(으로 보이는 동양인)이었습니다.
다른 사람들은 "Good", "Not bad", "Great, thanks", "Fine" 등 다양한 답변을 했지만 저런 교과서적인 말을 하는 것은 들어보기 힘들었습니다.
그래서 "Fine, thank you(, and you?)"를 하고 나면 왠지 모르게 얼굴이 화끈거리고 창피한 마음이 들었죠.

결국 저는 영희와 철수스러운 제 대답을 뜯어 고쳐 보기로 마음을 먹었고
한국인의 정서로 보기에 "Great"은 조금 오버스러운 것 같고 "Not bad"은 조금 부정적인 것 같아
저의 목표 답변을 "Good"으로 정했습니다.

음절도 한 음절! 어려운 발음도 아니고, 좋은 선택이다!
하지만 그 뒤로도 저는 한동안 조건 반사의 위대함 앞에 무릎을 꿇어야 했습니다.
분명 계산대 앞에서 줄 서 있는 내내 머리 속으로 "굿" "굿" "굿"을 수 없이 되뇌었는데 왜 "굿"을 못하냐고!!!

초조해지고 머리 속으로 생각이 많아질 수록 전에 없던 실수까지 많이 했죠.
"Fine, oh, oh, oh, no, good", "(Fine/Good 없이 다짜고짜) Thank you", ("How are you?" 듣기 전에 먼저 다짜고짜)"Good"
별 것 아닌 것이었지만, 별 것 아닌 것이었기에 큰 좌절감이 들었었습니다.
나 똑똑한데.. 이게 뭐라고 안 될까..

하지만 저는 의지의 한국인!
그렇게 수십번의 실패 이후 저는 마침내 "굿"을 해내고야 말았습니다!
엄청 기쁜 마음에 한국 친구들한테 가서 자랑도 했죠. 이번에 드디어 "굿"이라고 대답했다고.
'뭐지 저 또라이는?' 하는 듯하던 친구들의 반응도 기억이 납니다.
하지만 뭐 어때요.
전 제 첫 영어 퀘스트를 완료했고 그 순간 만큼은 저 스스로가 엄청 대견했습니다.
곧 원어민처럼 될 수 있을 거란 착각도 했었죠.
물론 그 꿈은 이루어지지 않았고, 무한한 반복 학습 끝에 저는 이제 "굿"밖에 모르는 바보가 되었지만요.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어른아이님의 최근 게시물


    Beer Inside
    저도 같은 질문을 영어선생에게 했더니...

    Fine 정도도 좋고,,, Nada도 좋다고 하더군요.
    어른아이
    오홋~ Nada는 뭐죠? 모르는 선택지가 있었네요~
    천무덕
    익숙함을 버리는게 제일 어렵지요. 특히 우리나라 교육방식 자체가 반복학습, 주입식 교육이 일상화되어 있어서 거의 자동반사처럼 딱딱 튀어나오게 만드니 의도적으로 새로운걸 받아들이기가 굉장히 어려워요. 그래도 해내셧다는 것에 일단 축하를..(..) 한번 해내셧으니 다른걸로 바꾸려 하실때 좀 수월하시지 않을까 싶습니다.
    다음에는 Not Bad로..(..)
    어른아이
    네~ 이제는 답변의 다양화를 좀 추구해 보고 싶은데, 왜 하나의 질문에 하나의 대답밖에 준비를 못하는 걸까요 ㅠㅠ
    F.Nietzsche
    Good~ How are you? 정도면 훈훈하게 끝나는데, 의식하고 말하다가
    How are you? Good~ 이러고는 민망해 한다는...ㅠ
    어른아이
    제가 이런 류의 답변을 많이 했어요! 의식하고 말하다가는 오히려 자꾸만 꼬이더라구요.
    How are you?에는 1초의 갭도 없이 바로 How are you로 갚아 주는 것이라고 배웠습니다
    어른아이
    엇 역시 최선의 방어는 공격인가요~
    저는 그래서 so so라는 답변을 몇 번 했는데 그 때 마다 why? 라는 반응이 돌아오더군요.
    그냥저냥 괜찮다는 뜻이었는데, 별로야 쯤으로 들리나 봅니다.
    Beer Inside
    몸이 아파도 Good이나 fine이라고 해야한다고 하더군요.

    그렇지 않으면 왜그런지 물어본다고... :-)
    이브나
    so so가 어감상으로는 그닥, 별로에 가까운 느낌이라서 긍정적인 말은 아니죠
    어른아이
    저도 그래서 부정적인 느낌이 조금이라도 나는 대답은 아껴두게 되더라구요.
    미국인들 생각으론, 딱히 별일 없다 = 괜찮은 하루 = fine > so so = 그냥 그래(시무룩) 인거 같아요.
    그래서 \"안녕하세요?\" 했는데 \"그저 그렇네요\"라는 답변이 오는 느낌인가 보다 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흐흐
    어른아이
    네 딱 그 뉘앙스인거 같아요!
    까페레인
    so so 는 거의 부정적으로 별로 좋지 않아...이럴 때 많이 쓰는 것 같아요. 그래서 바로 상대가 물어보지요...왜 그래 뭔일있어? What\'s up? 이런식으로요.
    눈부심
    저는 한 가지 소원이 있는데 엘리베이터 이런 데서
    \'How are you?\'
    \'I\'m fine. Thank you, and you?\'
    \'I\'m great and yourself?\'
    \'Doing well and you as well?\'
    이렇게 이어지게 농담따먹기하는 거예요.
    어른아이
    농담 따먹기는 최종 보스 같아요. ㅠ
    한 번이라도 외국인들을 말(발음, 억양 따위가 아닌, 재치있는)로 웃겨 보는 게 소원입니다.
    하지만 현실은.. 나의 버벅이는 영어를 참을성 있게 듣고 있는 그들의 눈빛을 보고, 자신감 잃고, 재치 따위는 뇌내망상이.. 흑흑 ㅠㅠ
    파란아게하
    베리베리굿
    어른아이
    땡큐 앤쥬?
    사나운나비
    오.. 생각보다 저렇게 많이 물어보나보군요. 외국물 못먹어본 토종 한국인은 지금껏 배워온 영어가 서글퍼집니다.
    어른아이
    제 체감 상으론 한 마디라도 대화를 해야 하는 상황이 오면 열에 여덟~아홉은 건네는 인사 같아요.
    친한 사람끼리 하는 인사라기 보다는 주로 마트 계산대 같은 데에서 듣게 되는 인사인지라 정말 형식적인 질문인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그냥 지금부터 \"아임 파인 땡큐 앤쥬?\"를 버리고 \"긋, 땡스\"를 주입해 보세요.
    외국물 먹은 것 같은 착각이 들지도 몰라요~
    레지엔
    대학때 미국에서 온 친구랑 좀 붙어다닐 일이 있었는데 아침에 볼 때마다 \'What\'s up dog?\'이라고 묻는 버릇이 있어서 \'Grrrr\'로 답해주던 기억이 납니다(..)
    어른아이
    와썹은 완전 또 다른 영역이죠! 이건 그나마 주입된 답변도 없어서 처음엔 멋쩍은 웃음으로 받아 넘기다가 이제 겨우 \"Hey~\" 하고 받아 넘기는 수준이 되었습니다.. 흑
    사나운나비
    Grrr........크크크크크 센스있는 답인데요!
    *alchemist*
    저건 세뇌 수준이라 외국에서 2년째 생활중인 현재도 누가 how are you 하면 답변이 자동으로 나옵니다..
    전 피곤하고 스트레스 받아서 죽겠는 지경인데도 말이지요... ㅠㅠ
    어른아이
    정말 무서운 것 같습니다. 사실 생각을 거치기도 전에 입이 먼저 움직이죠. ㅠ 그래서 그렇게 바꾸기 힘들었나 봅니다.
    짤리면뭐하지
    전 대충 눈치보니 \'안녕하세요?\' 같은 건가보다 해서 하와유? 하면 하와유?로 그냥 받았는데 흐흐.
    (우리가 안녕하세요? 한다고 \'네 전 안녕합니다. 그 쪽은 안녕하신가요?\' 하고 받지는 않잖아?)라는 생각이었어요ㅠ
    말그대로 너 어떠냐는, 즉 당신은 안녕하고 있냐는 말이라서요. 우리도 안녕하세요? 라고 물어볼때 구구절절 대답하진 않으니까요. 근데 저도 하우아유는 낫배드로, 왓업은 나띵 머치로 거의 공식화해서 대답했었네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티타임 게시판 이용 규정 2 Toby 15/06/19 33010 7
    15432 방송/연예백종원 사태에 대한 생각 15 + Daniel Plainview 25/05/07 706 13
    15431 정치덕수옹은 대체.. 14 Picard 25/05/06 1181 0
    15430 방송/연예2025 걸그룹 2/6 11 헬리제의우울 25/05/05 433 15
    15429 음악오늘 유난히도 다시 듣게 싶어지는 곡들 이이일공이구 25/05/05 359 0
    15427 육아/가정광명역에서 세 번의 목요일, 그리고 어머니 22 그런데 25/05/05 654 48
    15426 정치운석은 막을 수 없다: 정상성(Normality)의 관점에서 8 meson 25/05/05 587 13
    15425 정치내각제와 대법원 4 당근매니아 25/05/04 505 11
    15424 정치한국현대사에 파시즘 정권이 존재했는가? 10 meson 25/05/04 472 2
    15423 스포츠[MLB] 김혜성 LA 다저스 콜업 김치찌개 25/05/04 267 0
    15422 정치당연히 이재명이겠거니 하는 공유된 태도 29 명동의밤 25/05/03 2073 19
    15421 일상/생각옛생각에 저도 suno로 하나 만들어봤어요. 1 큐리스 25/05/02 471 0
    15420 정치양비론이 가소로워진 시대 1 meson 25/05/01 748 11
    15419 게임(ChatGPT게임) 2025 콘클라베 - 루이스 안토니오 타글레 시뮬레이션 똘빼 25/05/01 330 0
    15418 도서/문학백종원과 신창섭 사이에는 무슨 관계가 있을까? 2 구밀복검 25/05/01 682 6
    15417 정치오늘의 일에 부쳐 영원한웬디 25/05/01 607 3
    15416 오프모임서양근대사 세미나에 참여하실 회원을 모집합니다 3 영원한웬디 25/05/01 546 1
    15415 창작탐라를 지키는 100명의 회원들 MV 13 수퍼스플랫 25/05/01 657 11
    15414 기타노트북LM으로 만들어본 팟캐스트 16 토비 25/04/30 610 9
    15413 일상/생각나아가고 있겠죠? 9 골든햄스 25/04/29 734 27
    15412 음악탐라를 지키는 100명의 회원들 68 토비 25/04/29 1668 38
    15411 오프모임(급벙)칡이 광주에 내려온다 4.30 22 25/04/29 754 8
    15410 도서/문학쳇가씨 답정너 대담 백치 1 알료사 25/04/28 411 2
    15409 요리/음식옛 중국집에 관한 환상? 15 당근매니아 25/04/28 959 8
    15408 도서/문학'야성의부름' 감상 1 에메트셀크 25/04/27 442 5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