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12/15 12:34:30
Name   whenyouinRome...
Subject   아이들을 싫어했던 나...

전 20대 이후로 애들을 싫어했어요.
엄청 싫어했어요. 시끄럽고 말 안 듣고 까불고 약 올리고...
특히 말 못하는 아기들 울고 불고 난리 치면 가서 한 대 쥐어 박아주고 싶단 생각도 자주 했고 애들 자체를 별로 이뻐하지도 않았어요.
제 기준으론 이뻐할 구석이 없어요. 말도 안 듣고 때만 쓰는데....
귀엽다 사랑스럽다 예쁘다 하나도 공감 못 했어요..
그냥 꼬맹이들은 어리니까 까불어도 참아준다 정도.... 갓난 아기들은 아기라 말 못하니까 참아준다..

집에 와서 어머니랑 이야기 하다 이런 저런 이야기하며 이런 이야기 하면서 진짜 짜증난다고 하면 어머니가  "아들아. 너도 애를 낳아보면 왜 그런지 이해할꺼다. 넌 아이가 없으니 아직 모르지."하고 말해주시면 전 "난 애 안낳을 거라서 이해 할 필요 없어요!"라고 대꾸하곤 했어요..

어디 장거리 갈 때 고속 버스나 기차 안에서 아기들 울고 불고 난리 피우면 왜 저렇게 안 달래나 속으로 부모들 욕하고 스트레쓰 엄청 받고...
난 애기 절대 안 낳아야지.. 생각하고 그랬죠.

결혼 하고도 생각이 안 바뀌고 아내랑 이야기 할 때도 애들 하나도 안 이쁘니까 애 안 낳고 살자고 그랬어요. 아내가 우리 닮은 애기 있으면 이뿌지 않을까? 물어봐도 시큰둥.. 어 그래 하고 말았어요..

근데 덜컥 아내가 임신을 했는데 억장이 무너지는 것 같았어요. 가뜩이나 경제적으로도 육제적으로도 힘든데 애까지 생기면 어쩌자는 거지.. 아내도 어떻게 하냐며 펑펑 울고..;;;;

1주일 정도 지나니까 마음이 좀 차분해져서 억지로 마음 다잡고 기왕 이렇게 된거 낳아서 잘 키워보자며 아내를 다독이고 위로하며 괜찮다 했지만 속으론 저도 미칠 것 같았어요. 앞으로 너무 불안하잖아요. 돈도 별로 없고 집도 좁고 애도 싫어하는데 내가 잘 할 수 있을까?? 너무 걱정 됬어요.. 근데 시간이 지나면서 아내는 아이에 대한 애착이 생기고 너무 소중하게 느끼더라구요. 전 크게 감흥이 없었는데 아내가 너무 소중하게 여기니까 조금씩 소중하게 생각하려고 노력했죠.
또 임신중에 아내가 너무 너무 입덧이 심해서 거의 9개월을 누워있다시피 하고 먹고 마시는거도 힘들어 해서 가끔 괜히 임신되게 만들어서 이쁜 아내 고생한다고 후회도 많이 했어요. 자연 유산 되버리면 좋겠다고 나쁜 생각 한 적도 있어요. 그래서 아내한테 엄청 혼나기도 했습니다.
근데 애가 태어나고 나니까  바뀌었어요. 그냥 한 순간에 바뀌더라구요.
병원에서 애기 태어났다고 간호사분이 안고 나오는데 쭈그리처럼 웃긴데 이뻐보이더라구요.
아내는 출산 후에도 임신 기간 있었던 병 때문에 출산 후에도 2달을 더 병원에 입원해서 치료를 받아야 했어요.
그 기간 동안 아기를 저랑 어머니랑 돌봤는데 애기가 울기만 해도 맘이 아파요.. 갑자기 내 애가 생기니까 아이들이 너무 예뻐요..

내 애 뿐만이 아니라 다른 어린 아가들 어린이들이 다 그냥 다 예뻐져요..;;;;
저도 속으로 뭐 이런 놈이 다 있지.. 라고 생각했을 정도로 그냥 확 바뀌더라구요..
그 뒤론 애들이 이쁘고 사랑스럽고 안쓰러워요.

아가들이 울면 배가 고픈가 엄마한테 안아달라고 하나 뭐가 불편한가 먼저 걱정이 들고 딴 친구들이 왜 저러냐고 짜증내면 애들은 원래 저런다고 이야기 하고 있어요..;; 친구들 중 하나가 절 잘 아는데  뭐 이런 놈이 다 있냐고 뭐라 하더라구요.  사람이 왜 그러냐고.. 자기 아들 낳으니까 그 싫어하던 애들이 갑자기 이뻐보이냐고 사람이 왤케 쉽게 바뀌냐고..;;;

근데 진짜 이 감정을 배우고 느끼게 되니까 다 이해가 되고 그럴 수 있다고 생각이 들더라구요..
물론 도가 지나치게 버릇없거나 한 아이들은 이쁘게 안 보일 때도 있지만 보통은 아이보단 부모 욕을 하게 되더라구요..
예전에는 애들 욕 했는데 그게 부모의 지도가 얼마나 중요한지 알게 되니까 애들은 그냥 안타깝고 짠해보여요..

세월호가 침몰 했을 때도 너무너무 힘들었어요.. 눈물이 나고 가슴 아프고.. 불쌍한 아이들이 그렇게 허무하게 이 세상을 떠난다는게 너무 괴로웠어요. 근데 그 때 아이 없는 친구들하고 대화를 하면 확실히 말이 잘 안 통한다는 느낌이 많이 들더라구요. 이게 슬픈 일이지만 내 일은 아닌 감정과 슬픈 일이고 내 일이 될 수 있는 정말 내 일 같은 감정과는 좀 거리가 있는...

지금은 아이들 좋아하려고 노력합니다. 다른 사람이 내 아이를 보며 예전의 나 같은 감정을 가지고 있다는 걸 부모로서 알게되면 너무 너무 힘들고 가슴 아플거 같아요. 그래서 저도 다른 아이들 보면서 항상 예쁘고 사랑스럽게 생각하려고 합니다.

정말 아이 하나 생기는게 많은 걸 바꿔 놓았어요.
단순히 2+1이 아니라 2+1+a 가 되더라구요. 더 많은 걱정과 더 많은 책임 더 많은 슬픔과 더 많은 아픔 그리고 그걸 아득히 넘어서는 행복과 사랑 그리고 시야를 가지게 만들어줬어요..
아이를 양육하는 건 정말 힘든 일입니다. 모든 것이 다 바뀌게 되죠.
근데 그건 결혼할 때도 마찬가지예요. 혼자였다 둘이 되는 것 역시 많은 걸 바꿔야하죠. 하지만 사랑하니까 감수하고 서로 변화를 인정하고 이해하며 맞춰나가는 거죠.
아이를 낳는 것 역시 그렇습니다. 대부분의 것을 바꿔야 합니다. 어려운 일이죠. 하지만 대부분의 부모들은 바꾸더라구요.
전 제가 이렇게 아이들을 사랑하게 될 줄 생각도 못 했습니다..
너무 예쁘고 사랑스럽고 안아주고싶죠.
아이가 아프면 함께 아프고 아이가 기쁘면 함께 기뻐요.

제 아들이 소중하니 다른 아이들도 소중해져요. 다 밝고 예쁘게 자라면 너무 좋겠단 생각을 하죠.
이건 정말 경험하지 않으면 알 수가 없어요.

정말 부모분들은 다 동의 하실텐데 뭔가 지금까지 감춰져있던 신비로운 것 하나를 알게 된거죠...

그렇다고 내 모든 걸 포기하는 건 아니예요. 남편과 아내가 서로 협조하고 노력하면서 함께 양육하면 되요.
전 코로나 전까지 아이 세 살부터 함께 여행도 엄청 다녔고 어린이집 갔을 때 아내랑 영화도 보러 다녔고,
예쁜 카페 가서 커피도 즐겨 마셨고, 여름엔 축구도 했고 겨울엔 스키장도 자주 다녔어요.
아이랑 함께 할 때도 있었고 없었을 때도 있었죠. 함께 못 했을 때는 아이랑 같이 못 와서 마음이 아팠고, 미안했고,
또 한 편으로는 아내랑 둘 만의 시간을 보내서 즐겁기도 했죠.

아이를 양육한다는 건 많은 걸 바꿔놓습니다. 저 같은 경우는 굉장히 긍정적으로 바뀌었죠..
제가 일생에 잘 한 일이 두 가지 있는데 첫 번째는 제 아내를 만나 결혼한거고 두 번째는 제 아들을 낳은거죠.
아이들 꼬맹이들이라면 치를 떨며 도망갈 정도였는데 지금은 너무 좋으니까요.

지금 혹시 자녀 계획 때문에 걱정하시는 분들이 계시다면 잘 생각해보세요.
몹시 극적인 변화이기 때문에 고민도 많고 두려움도 많으실 겁니다.
하지만 단언하건데 아이를 낳는 기쁨은 인생을 걸고 도전하고 경험해 볼만한 가치가 있습니다.
진짜로요..

계획이 없으시다구요? 그럼 피임 철저히 하시면서 지금의 삶을 누리세요.  

전 그럼 이만.. 처자식 먹여살리려면 일 해야해서....

그럼 다음에 또 만나요~ 안뇽~



33
  • "하지만 단언하건데 아이를 낳는 기쁨은 인생을 걸고 도전하고 경험해 볼만한 가치가 있습니다."
  • 아이들이라기에 (여자)아이들인줄 알고 들어온 사람, 저밖에 없나요? - Cascade
  • 좋은글 감사드립니다
  • 선생님 둘째 가셔야죠.
  • 글에 매우매우 공감합니다 (다만 저희 부부는 양육의 댓가로 많은 것을 포기해야 했어요)
  • 춫천!!
  • 셋째를 가면 아이들이 3배 좋아지겠군요!
  • 이런 분에게 딸이 있어야 놀리는 맛이 더할텐데요..


사십대독신귀족
전 20후반 쯤 되면서 부터 애들이 그리 이뻐지더라구요. 같이 산 조카 두 명은 그냥 제 딸 같습니다.
whenyouinRome...
같이 살면 더 그렇게 되죠.
프랄린
제가 존경하는 형님께서 하는 말하고 너무 똑같아서 깜짝 놀랐읍니다.
whenyouinRome...
헛.. 신기하네요
헬리제의우울
머지 사모님이 가입하셨나
whenyouinRome...
사모님이 감시중일지도...
그렇지 않은 사람도 있습니다. 꼭 그런것은 아닙니다.
1
whenyouinRome...
네. 그럴수 있다고 생각하겠습니다.
Cascade
https://youtu.be/sf3gCFsjL5M
(여자)아이들 ((G)I-DLE) - LATATA(라타타) 무대교차편집


아이들 많이 사랑해주세요~
2
whenyouinRome...
이런 아이들 좋아하면 마눌한테 혼남요.
7
본문에 말씀해주신 "일생에 잘 한 일 두 가지" 에 저도 크게 공감합니다.
사람이 살아가면서 상도 타고 합격도 해보고 뭔가를 만들어내고 목표를 달성하고 이런 저런 성취가 있었지만,
그 중에서 저에게 가장 가치있었고 잘한 일이 무엇인가 생각해보면... 아이들을 낳아서 키운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제가 만들어낸 어떤 성취보다, 무럭무럭 커나가는 저 두 사람과 비교할 수가 없네요.
젊었을 때에는 왜 키우지? 돌려받지도 못할 노력을 왜 하는거지? 라고 생각했었는데,
이제는 이래서 키우는구나. 싶어요.
whenyouinRome...
낳아보면 이유를 알게되죠
어떤 느낌인지 너무 잘 알 것 같아요.
다 비슷한 경험을 하는 건 아니겠지만,
적어도 저는 선생님과 결이 비슷한 감정으로 일련의 과정을 지나온 것 같습니다.
whenyouinRome...
늘쩡님두요?? 저같은 사람 많군요ㅋ
소원의항구
둘째 가셔야죠.?
whenyouinRome...
에헤이... 그라믄 안돼요
사이시옷
셋째 가즈아!!!!! 좋은 글 감사합니당
whenyouinRome...
넵 사이시옷님 화이팅!!
옹 신기하네요.
저도 아이들은 예쁘긴 하지만 전후가 크게 다르진 않거든요.

뭐든 사랑이 많아지는 건 좋은 방향의 변화인거 같습니다.
아이와 함께 계속 행복하시길 바래요
whenyouinRome...
토비님도 행복하세요!
야크모
내 애 뿐만이 아니라 다른 어린 아가들 어린이들이 다 그냥 다 예뻐져요..;;;;
저도 속으로 뭐 이런 놈이 다 있지.. 라고 생각했을 정도로 그냥 확 바뀌더라구요..

2222
켈로그김
저는 여전히 그리 싫지도 좋지도 않고
그냥 애들 같이 있으면 힘들어요 ㅋㅋㅋㅋ
whenyouinRome...
전 하나도 힘들.....
기아트윈스수정됨
애들이 부모를 부모로 만들죠. 부모가 된 후 세상을 보면 달라보이는게 레알 한두가지가 아니지만 저 개인적으로 제일 달라보였던 건 엄빠였어요.

뭐랄까ㅋㅋㅋ 아 ㅋㅋㅋㅋ 엄빠도 별 수 없이 (나처럼) 흔한 인간 1 이었고 ㅋㅋㅋㅋ 걍 암것도 모르다가 덜컥 부모 되버린 거고 ㅋㅋㅋㅋ 이제 너도 부모고 나도 부모니까 동급이다 ㅋㅋㅋㅋ 이런 신기한 느낌 ㅋㅋㅋ

엄빠도 별 거 없고 나랑 같은 동료시민 1이라는 관점이 확립되었다는 것은 엄빠를 향한 애증이 희석되어 밍밍해졌다는 거고, 애증이 밍밍해졌다는 건 내가 드디어 정서적 애착의 끈을 끊고 단독자로서 이 세상에 홀로 선 성인이 되었다는 거겠죠. 애가 어른을 어른으로 만든다는 말에 틀린 거 하나 없....
2
whenyouinRome...
애가 어른을 어른으로 만든다.. 저도 많이 들은 말이네요ㅋ
전 어릴적부터 아이들 너무 좋아했는데 조카가 생기니까 정말 너무너무나 이쁘더라구요. 저 보고 웃어주는 모습이 일상 생활 속에서도 순간순간 생각나서 웃게될 정도에요. 아직 결혼은 안했는데 조카 보니까 결혼하고 싶다는 생각도 들고요. 아이를 양육한다는 것이 많은 걸 바꿔놓았다는 말이 와닿네요. 긍정적인 변화 넘 보기 좋아요. 앞으로도 좋은 아빠로써 힘차게 살아가시길 응원할께요!
whenyouinRome...
네. 감사합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1343 일상/생각즐거운 1/N 5 가이브러시 21/01/16 3773 3
11342 일상/생각졸업앨범 따위 필요없어 22 Cascade 21/01/16 4619 13
11341 일상/생각눈 가리고 아웅아웅 1 사이시옷 21/01/15 4922 7
11332 일상/생각홍차넷을 소개하는 글 8 Dookong 21/01/10 5976 3
11324 일상/생각지금 이대로도 완전할까 7 right 21/01/07 5250 8
11322 일상/생각단칸방 라이프 32 꿀래디에이터 21/01/05 6403 6
11321 일상/생각자다 말고 일어나 쓰는 이야기 7 Schweigen 21/01/05 5318 23
11303 일상/생각열아홉, 그리고 스물셋 14 우리온 21/01/01 5096 37
11299 일상/생각올해의 마지막날을 호스피스에서 보내고 있습니다. 15 bullfrog 20/12/31 5074 24
11298 일상/생각한 예비대학원생의 2020년 결산. 14 샨르우르파 20/12/31 5103 14
11279 일상/생각온라인 쇼핑세를 도입해야하는거 아닐까? 65 과객A 20/12/26 5440 1
11276 일상/생각어느 택배 노동자의 한탄 11 토비 20/12/26 5129 32
11266 일상/생각2030세대는 공정에 민감하다? 54 이그나티우스 20/12/23 6763 7
11259 일상/생각여러분의 마흔은 안녕한가요 27 bullfrog 20/12/21 5533 23
11249 일상/생각2020년 내가 산 전자기기들 돌아보기 4 루아 20/12/18 4397 1
11247 일상/생각전문가는 무엇인가? 3 2막4장 20/12/18 5576 3
11245 일상/생각추억 되살리기 - 오래된 피쳐폰 데이터 다운로드 받기 5 자크 20/12/18 11671 1
11234 일상/생각아이들을 싫어했던 나... 28 whenyouinRome... 20/12/15 5203 33
11228 일상/생각우울증과 나 1 머랭 20/12/15 5218 11
11223 일상/생각아버지께서 긴 여행을 가실 거 같습니다 10 bullfrog 20/12/14 4882 7
11211 일상/생각사이버 네크로맨시 6 타키투스 20/12/10 4884 0
11209 일상/생각책들(슈독 vs 규칙없음) 1 2막4장 20/12/10 4926 1
11206 일상/생각푸념.. 2 당나귀 20/12/09 5162 1
11201 일상/생각논리의 모순성. 일관성에 대한 고찰 8 sisyphus 20/12/08 5415 1
11196 일상/생각아이폰 12 미니 2주 사용기 12 copin 20/12/05 5195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