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12/11 11:11:45
Name   Leeka
Subject   주택문제로는 가장 성공한, 싱가포르의 주택제도 이야기

이러니 저러니 해도. 현 정부정책의 목표이자
현 국토부장관 내정자가 추구하고 있는 환매조건부 주택.


이 개념이 성공적으로 적용된 전세계 유일한 나라가 싱가포르인데요.


사실 싱가포르는 '주택 문제' 만 따지면 전세계 넘버원급의 나라긴 합니다.

저도 전문가는 아니지만 아는 선에서 짧게 쓰면



-> 싱가포르 국민의 약 85%는 국가의 환매조건부 주택. 에서 살고 있습니다.

환매조건부 주택이란

[나라에서 정해둔 정가에 집을 사고 -> 살고 싶은 만큼 살다가 -> 팔때는 다시 나라에 되팔아야 합니다. ]


-> 그럼 뭐가 좋나요?

겁나 쌉니다... 레알..

얼마나 싸길래.. 하시는데

'30평 아파트가 2500만원의 현금' 이 있으면 매매가 가능합니다

?!?!?!!?....


이유라면. '집 원가의 20%만 내면 살 수 있고, 나머지 80%는 나라에 살면서 분납하면 됩니다'
그리고 나갈때는 낸 돈만큼 다시 돌려받고 나갑니다.



-> 제한은 어느정도있나요?

: 외국인 이용 불가
: 돈 많이 버는 사람은 이용 불가 (민간이 공급하는 15%를 사면 됩니다.)
: 일생에 사용 가능한 횟수가 제한되어 있음 (이사를 자주 할 수는 없습니다.)




이게 엄청나보이긴 하는데.  사실 싱가포르 같은 도시국가만 사용할 수 있는 정책이긴 합니다.


왜냐면 '사람들이 이동하지 않는다'  라는건 바꿔말하면

제가 부산에서 태어났어요.

NC소프트에 들어가고 싶어서 공부해서 취업했습니다.

그럼 NC소프트가 있는 판교 근처에 집을 구해야 되는데

'다 실거주 중이라 들어갈 수 있는 집이 없어요'

?!?!?!?!?!

그럼 부산에서 출퇴근 해야 합니다.



농담같지만 이게 싱가포르식 제도를 도입했을때 생기는 최대 단점인데요.


그럼 싱가포르는 이걸 어떻게 해결했을까요?


정답은.. 애초에 싱가포르 전체 크기 = 서울 크기.  수준이라...

대중교통으로 1시간 이상 걸리는 곳이 없는 수준이라..  거주지 이동을 안해도 직장, 학교등 다니는데 엄청난 지장이 없습니다.. ㅠㅠ...



싱가포르라는 도시 국가에 맞게, 60년대부터 해서 적절한 시점에 나라가 모든 토지를 가지고.  잘 진행한..
부동산만 놓고 보면 엄청나게 좋은 정책이고. 대단한 정책이긴 한데

(실제로 같은 도시 국가인 홍콩의 살인적인 집값을 보면......   리콴유의 최대 업적이 부동산 정책이긴 하죠..)

이 정책은 도시국가에서나 단점이 거의 없지..  한국같은 구조에서는.......




1
  • 사람들이 피상적으로만 알고 있는데 구체적으로 장단점을 제시해주셔서 많은 도움이 될것 같습니다


적용 공간의 크기는 해결 가능한 기술적 문제로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원시적 불능은 아니라고 봐요.
오히려 더 극복 불가능한 건 토지 및 주거 공간의 사적 소유에 대한 개념 차이죠.
그건 미래에 해결이 가능한거지. 지금 당장 해결 가능한건 아니다보니...

사적 소유는 사실 싱가폴이 60년대에 했던것처럼.. 초기에 나라가 다 사버렸으면 몰라도.
지금 시점에선 이미 글르지 않았나..
2
맥주만땅
그리고 말레이시아라는 식민지.... 심지어 하우스메이드는 캄보디아에서....
2
그저그런
환매조건부 주택 도입 -> 이직을 했는데 집이 없어요 -> 그게 다 전정권과 투기꾼들 때문입니다.
어휴 보기만 해도 빡치네요
지나가던선비
거긴 육아문제도 외국인 가정부 고용하면 되는 나라죠?
2
손나은
이거 재밌게 읽었었어요ㅎㅎ
https://blog.naver.com/santa_croce/221103982652
과객A
싱가폴 친구가 그러더군요. 우스갯소리로 자기네는 청혼할때 '우리 같이 HDB들어갈까?'라고 한다고 크크크크크
개인적으로 부러운 시스템입니다만 (저같은 서민은 제 등 따숩고 배부르면 독재건 군사정권이건 상관없죠) 우리나라 규모에선 감당이 안되는 시스템이라 아쉽습니다 ㅠㅠ

P.S.항상 옆동네에 부동산 관련 좋은 글 감사드립니다. Leeka님께서 좋은 글을 써주셔서 제가 얄팍한 사명감과 알량한 지식으로 부동산글을 올리던 걸 그만해도 되게 되게 되었습니다. 꾸벅꾸벅 (^_^)(_ _)(^_^)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1485 사회(번역)왜 기술 체제는 스스로 무너질 것인가. 1 ar15Lover 21/03/12 5659 4
11464 사회수준이하 언론에 지친 분들을 위해 추천하는 대안언론들 15 샨르우르파 21/03/03 5952 20
11451 사회위구르 난민들이 말하는 중국의 폭압 7 Curic 21/02/26 4901 2
11443 사회자가 / 전세 / 월세 / 무상으로 거주하는 사람은 몇%일까? 2 Leeka 21/02/22 4960 0
11439 사회섹슈얼리티 시리즈 (10) - 성노동에는 기쁨이 없는가? 36 소요 21/02/21 6261 18
11432 사회요즘 국내외 사회 분위기를 보면 떠오르는 이야기 2 샨르우르파 21/02/20 4923 0
11430 사회(번역)유나바머가 옳았나? 5 ar15Lover 21/02/19 6546 7
11428 사회씨맥의 100만원 처벌은 어느정도일때 성립되는가? 6 Leeka 21/02/18 6206 1
11422 사회(발췌)기술 체계에 대한 진단. 3 ar15Lover 21/02/16 5258 3
11421 사회일용근로자 월가동일수 기준 축소에 반대한다 7 주식하는 제로스 21/02/16 5976 16
11416 사회남녀떡밥에 과도하게 몰입하는 사람들의 진짜 문제. 23 샨르우르파 21/02/14 5947 7
11404 사회화성 묻지마(?) 폭행 사건 영상 4 열대맛차 21/02/09 5439 0
11393 사회(번역) <사이언티픽 아메리칸>지에게 보내는 편지 13 ar15Lover 21/02/03 5700 2
11358 사회(번역)아픈 곳을 쳐라. 5 ar15Lover 21/01/21 3901 3
11352 사회국민이 되겠다는 열정 42 私律 21/01/19 4915 3
11351 사회12년간 공사한 동부간선도로 개통 결과 24 Leeka 21/01/18 5927 1
11339 사회건설사는 무슨 일을 하는가? 12 leiru 21/01/13 5816 14
11337 사회미국의 저소득층 보조, 복지 프로그램 칼웍스 5 풀잎 21/01/13 5934 5
11327 사회섹슈얼리티 시리즈 (9) - 성추행, 젠더 표현, 그리고 권력 (2) 3 호라타래 21/01/09 4299 9
11323 사회현대사회는 어떻게 인간의 존엄성을 짓밟는가 76 ar15Lover 21/01/06 9668 4
11292 사회만국의 척척석사여 기운내라 14 아침커피 20/12/29 4896 30
11265 사회홍차넷 운영 시스템에 대한 설명 10 호라타래 20/12/23 4848 26
11255 사회의류수거함 입을 수 있는 옷으로 넣어줍시다 10 과객A 20/12/21 4276 3
11253 사회우리 시대를 위한 혁명가 5 ar15Lover 20/12/20 5019 5
11242 사회섹슈얼리티 시리즈 (9) - 성추행, 젠더 표현, 그리고 권력 (1) 3 호라타래 20/12/17 4448 9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