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10/19 17:46:37수정됨
Name   ar15Lover
Subject   총기금지국가 한국에서 밀리터리 컨텐츠는 제한적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평소에 해왔던 생각을 최근의 가짜사나이2 논란을 계기로 적어봅니다.

현대에 들어와서 가장 기본적인 개인화기는 자동소총이고

실제로 사람들이 '군인'하면 제일 먼저 떠올리는게 총들고 있는 보병이죠.

그런데 한국의 밀리터리 컨텐츠들 보면 항상 저 '총'이라는 요소가 빠져있죠.

총 없는 밀리터리 컨텐츠라고 하면

비유하자면 마치 앙꼬 없는 찐빵, 카페인 없는 커피, 김빠진 콜라 같은 느낌이라고 할까요.

물론 이유는 분명하죠. 한국은 민간의 총기 보유, 소지, 판매, 제작을 철저하게 금지하고 있는 나라니깐...

뭐 따로 국방부의 협조를 통해 저런 요소를 채울 수도 있겠지만 일단 국방부의 협조를 얻는 순간부터 순수한 민간 컨텐츠라고 보기는 힘들어지죠.

결국 '총'이라는 요소가 빠진 이상 한국의 밀리터리 컨텐츠는 극기훈련, 구급법, 생존술 정도의 컨텐츠로 제한될 수 밖에 없습니다.

그런데 신체단련 정보는 넘쳐나는 스포츠, 건강 관련 매체들의 하위호환이고

정신적인 단련 정보는 자기계발 채널, 스님들의 명상채널, 템플 스테이의 하위호환이고

구급법, 생존술 관련 정보 역시 의학채널, 생존주의 채널들의 하위호환이죠.


사실 담배 냄새는 지독하고 커피는 쓴맛이 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이 담배를 피우고 커피를 마시는 이유는 결국

니코틴과 카페인이 주는 쾌감 때문인건데,

만약 담배에 니코틴이 없고, 커피에 카페인이 없다면 담배, 커피 중독자들의 숫자는 급격히 사라질 것입니다.

마찬가지로 '총'과 관계된 요소들이 빠진 이상 남는건 군대 특유의 극단적인 위계서열과 신체적, 정신적 스트레스 밖에 남지 않습니다.

한국에는 저런 요소에 트라우마를 가진 사람들이 매우 많다는 특수성이 있고

결국 그런 컨텐츠가 비난받는건 정해진 수순 아니었나 싶습니다.

한 때 한국에 난립하던 사설 해병대 캠프, 수련회 등이 비난 받고 사라져간 것의 연장선상이라고 생각합니다.


제가 쓴 글을 보고 제가 가짜 사나이의 종영을 옹호한다고 생각하지 않으셨으면 합니다. 물론 저런 컨텐츠를 즐기고 싶은 분들이 있을 것이고, 전 그런 분들 역시 존중받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1


    알료사
    적당히만 했으면 극성 팬들 실드 받아가며 쭉쭉 잘나갔을거라 생각하는데 왜 적당히를 모르니..
    "결국 '총'이라는 요소가 빠진 이상 한국의 밀리터리 컨텐츠는 극기훈련, 구급법, 생존술 정도의 컨텐츠로 제한될 수 밖에 없습니다."
    여기에는 전혀 동의할 수 없읍니다
    밀리터리 컨텐츠가 저런 전장 체험류가 다가 아닐텐데요...
    전략/전술이나, 전사, 무기체계, 밀리터리 유물 같은 분야를 너무 무시하시는 듯 합니다
    실제로 국내 유튜브에서 가짜사나이 이전에 가장 흥했던 밀리터리 컨텐츠도 전사쪽이었죠.
    괜히 토전사랑 그 아류들이 흥한게 아닙니다
    2
    ar15Lover
    글 쓰면서 지적하신 부분 역시 생각해보긴 했는데, 그쪽은 역사학, 고고학의 하위 카테고리라고 생각하고 제외했습니다.
    https://youtu.be/aK7SLP_2Q9c
    강력한 전차 순위 TOP 10 / 우리나라 K-2 흑표는 몇 위? [지식스토리]

    https://youtu.be/GxVclskDoGk
    입맛Tv(my taste tv) 전투식량 맛을 뭐라고 표현을 해야될까요.....(feat.행보관님 전화연결)

    https://youtu.be/fqsMOkOOExE
    킬 체인, 안보 위협을 사전에 차단한다! [개진상 IF]

    예를 들어 이런 컨텐츠가 고고학은 아니지요
    ar15Lover
    저런 컨텐츠를 두고 고고학이라고 한 적은 없습니다. 어쨋든 무슨 의도로 하시는 말씀인지는 잘 알겠습니다.
    TheLifer
    최병장 유튜브 하고 있었군요.
    썸네일만 봐도 대사가 나올 듯.
    맥주만땅
    총기자유화와 밀리터리 컨텐츠는 상관이 없죠.

    한국은 총기자유화를 하지 않지만 총기와 전차를 다량으로 생산하는 국가입니다.

    그리고 사격장도 전국 각지에 있구요.
    ar15Lover
    총기자유화와 밀리터리 컨텐츠가 상관이 없을 수가 없죠.
    당장 한국 정부가 무술, 격투기는 범죄에 악용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민간의 일체의 무술, 격투기 수련을 금지한다고 하면 한국의 관련 시장에 큰 영향을 끼칠 겁니다.
    한국이 총기와 전차를 다량으로 생산하는거 누가 모르나요. 어차피 민간 컨텐츠 제작자는 국방부 협조 없이는 구경해보기도 힘들 물건이죠. 사격장이 전국에 있긴 한데 극도로 통제되어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본격적인 컨텐츠 제작은 힘들듯 합니다.
    화이트카페모카
    민간인이 다니는 사격장은 K2 같은게 없는거 같은데
    그래서 안갑니다....예비군 끝날때 가장 아쉬웠던게
    앞으로 살면서 k1이나 k2로 사격을 못한다는게 생각났었네요
    2
    ar15Lover
    핀란드, 스위스 같은 징병제 국가들은 국민 사격실력 향상 겸 제식소총 사격대회도 열고 하는거 같던데, 한국은 대단히 병영화된 나라인데도 의외로 이런건 안하더라고요.
    화이트카페모카
    다른 징병제 국가는 그러하군요
    우리나라도 그러면 재밌을텐데 말이죠...
    굳이 하려고 하면 예비군 훈련에서도 사용하는 서바이벌 형식을 할 수도 있겠죠. 이건 실제 총이 아니라도 가능할테구요. 단지 사격 잘 하는 게 밀리터리물의 정수는 아닌 것 같습니다.
    1
    꿈꾸던돼지
    좋은 글 감사합니다 저도 비슷한 생각을 했었습니다

    아무래도 한국에서는 총기가 엄격히 제한되기 때문에 한계점이 있을수 밖에 없다고 생각합니다

    실은 제가 그 누구보다 호신용으로 정당방위용으로 실탄 총기 소지를 원하거든요, 별의별 이유로 얻어맞은 적이 많아서요.
    하지만 총기 소지도 나이프 소지도 불법이기에 허탈합니다 말 그대로 앙꼬 없는 찐빵이죠.
    허준이 하는 유튜브에 에어소프트건 리뷰 재미있더군요
    지나가던선비
    건들건들같은 유투브도 있는데 말하시려는건 그런 유투버도 한계가 존재할수밖에없다는 건가요
    네, 분명 건들건들 같은 채널들도 밀리터리 컨텐츠로서 의미가 있고 민간인의 총기 접근이 가능한 미국에서도 그런 채널 운영하는 사람들 있습니다. 하지만 결국 한국의 밀리터리 컨텐츠는 다른 나라들에 비해 그 한계가 명확하다고 할까요. 비유하자면 한국의 에로 영화 업계와 일본의 AV 업계의 차이 수준이라고 생각합니다. 한국의 성인물은 남녀 정사의 가장 핵심(??)적인 부분을 규제하니 에로 영화 수준에서 머무르겠죠. 뭐 그 수준에서 만족하는 분들도 많겠지만 많은 한국인들이 거기에서 만족 못하겠으니까 음지를 통해 일본 AV와 서양 포르노들을 소비하는 것 아니겠습니까?

    그리고 저는 '컨텐츠에 한계가 있다.'고 했지 '컨텐츠 제작이 불가능하다.'고 말한적 없는데 몇몇 분들이 '컨텐츠 제작이 불가능하다.'로 오독해서 답변해주시네요...
    DogSound-_-*
    우리나라 특유의 [다 큰 어른이...] 이와 같은 체면을 중시하는 마인드가 있기 때문에 힘들것입니다.
    제 생각에는 한국이라서를 넘어서, 이건 미국이 아니면 안 되겠다 싶은 지점이 있더군요. 전세계에서 얼마 안 남은 총기라고 소개하면서 쏴보기까지 하는 수집가들은 미국 밖에 없을거 같아요.
    겨울삼각형
    너튜브에서 히스토리체널에서 제작한 방탄조끼단 이라는
    실제 총을쏘며 리뷰하는 예능(?)이 있었습니다.
    10편을 채 못찍고 끝났지만..
    리모기
    https://youtu.be/8mIeRFLLiuE
    Throwing a grenade inside an ATM machine


    목숨거는 매콤한 맛이 없기는 하죠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538 일상/생각한국인이 생각하는 공동체와 영미(英美)인이 생각하는 공동체의 차이점 14 ar15Lover 20/05/01 6034 4
    10544 사회현대사회의 문제점(1) 23 ar15Lover 20/05/03 8210 9
    8575 일상/생각조던 피터슨과 한국의 보수우파, 박정희. 46 ar15Lover 18/11/29 7835 1
    10332 일상/생각요즘 인터넷상에서 자주보이는 논리적 오류. 회의에 의한 논증. 13 ar15Lover 20/02/28 4603 9
    10438 일상/생각중국에서 미국식 연방제를 도입하기는 힘들까요? 18 ar15Lover 20/03/28 5218 0
    10478 사회한국인의 미국의 총기소지 편견을 미국인이 직접 반박하는 영상을 소개합니다. 170 ar15Lover 20/04/09 10577 6
    10515 정치트럼프가 바이든을 이기게 될 이유와 맥주 테스트 13 ar15Lover 20/04/19 4929 3
    10587 철학/종교유교(儒敎)에 대한 비판 83 ar15Lover 20/05/14 8432 2
    10637 사회조지 플로이드 사망 사건과 잇따른 시위에 관한 남아공 출신 코미디언의 의견 39 ar15Lover 20/06/01 5922 7
    10809 일상/생각의도치 않게 입은 혜택에 대해서도 갚아야할 도덕적 의무가 존재할까? 21 ar15Lover 20/07/23 5613 4
    11471 과학/기술(번역)지구공학의 장기적 결과 ar15Lover 21/03/06 5021 2
    10858 영화조커 재감상 후기 + 조커가 악평을 받았던 이유 52 ar15Lover 20/08/14 8593 4
    10957 사회게임, 영화 기록으로 병역거부자의 '양심의 진정성'을 입증하겠다는 검찰의 행태에 반대하는 이유 26 ar15Lover 20/09/14 5776 1
    11143 일상/생각현대사회에서 소비를 통해 만족감을 얻기 힘든 이유. 20 ar15Lover 20/11/18 5763 4
    11075 일상/생각총기금지국가 한국에서 밀리터리 컨텐츠는 제한적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20 ar15Lover 20/10/19 4552 1
    11195 사회체제는 어떻게 우리를 속이는가? 25 ar15Lover 20/12/03 6299 12
    11226 사회발전 vs 자유 4 ar15Lover 20/12/14 5512 1
    11253 사회우리 시대를 위한 혁명가 5 ar15Lover 20/12/20 4732 5
    11559 사회(번역)사회 발전은 결코 인간의 합리적인 통제의 대상이 될 수 없다 25 ar15Lover 21/04/07 6404 2
    11323 사회현대사회는 어떻게 인간의 존엄성을 짓밟는가 76 ar15Lover 21/01/06 9331 4
    11358 사회(번역)아픈 곳을 쳐라. 5 ar15Lover 21/01/21 3709 3
    11393 사회(번역) <사이언티픽 아메리칸>지에게 보내는 편지 13 ar15Lover 21/02/03 5350 2
    11397 철학/종교(번역)자크 엘륄: 우리가 자유롭다는 환상 6 ar15Lover 21/02/06 5210 6
    11422 사회(발췌)기술 체계에 대한 진단. 3 ar15Lover 21/02/16 4903 3
    11430 사회(번역)유나바머가 옳았나? 5 ar15Lover 21/02/19 6252 7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