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07/23 14:32:52
Name   ar15Lover
Subject   의도치 않게 입은 혜택에 대해서도 갚아야할 도덕적 의무가 존재할까?

갑자기 든 생각입니다.

말 그대로, 의도치 않게 어떤 혜택을 입었을 때, 그에 대해 감사하거나, 갚아주어야할 도덕적 의무가 존재하는걸까요?

"왜 부모님을 공경하고 모셔야하는거냐?"고 질문하면 흔한 대답은 "널 낳아주고 길러준 사람이기 때문."이잖아요.

"왜 군대를 가야하냐?"고 질문하면 "그건 네가 지금까지 다른 이들의 희생을 통해 평화를 누릴 수 있었으니 군복무를 통해 이를 갚는것."이라는 식으로 대답하는 경우가 많죠.

근데 생각해보면 내가 지금 부모님 밑에서 태어나고 자라고, 한국군의 보호 하에 한국인으로 지낸건 내가 원해서 선택한 것이 아니죠.

그냥 태어나보니 부모님이 있었을 뿐이고, 그냥 태어나보니 한국인이었을 뿐이죠.


"니가 누린게 있으니 감사해야/갚아야 마땅하다."는 논리는 뭐랄까

내가 가게를 차렸는데, 그 옆에 꽃가게가 있어서 거리 분위기가 좋아지고, 덕분에 내 가게 장사도 잘 됐다면

옆 꽃집 사장에게 감사하는 마음을 품거나, 더 나아가 누린 것에 대해 보답해야한다는 논리랑 비슷하게 느껴지거든요.



4
  • 춫천


녹차김밥
부모-군대 사례는 워낙 독특한 관계고 이미 이념이 강하게 결부된 분야라 언급이 복잡해질 것 같아서 패스하고..

꽃집 이야기는 내심 고마워하는 마음을 품거나 호의적으로 대하는 것이 인지상정입니다. 다른 사람들이 보기에도 내가 꽃집 사장을 호의적으로 대할 것이라는 기대를 품는(=그렇지 않으면 실망할) 것이 이상하진 않을 것 같습니다. 그렇다고 의무까지는 아니고 말 그대로 인지상정이란 얘기죠. 당연히 꽃집 사장한테 명절마다 선물이라도 해야 하는 것 아니냐고 이야기하기 시작하면 그건 의무를 씌우는 건데.. 뭐 그건 아니긴 하죠. 대인관계에 있어서 적절함이란 이렇게 어렵습니다.
ar15Lover
저도 그런 상황이면 꽃집 사장한테 내심 고마워하고 은근히 잘해줄 것 같은데, 만약 제3자 또는 당사자가 "니가 누린게 얼만데 고작 이것밖에 못해주냐?"이러면 어이없을 것 같습니다.
제목에 관해서라면 전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근데 본문에 나온 예 중에 제목에 해당하는건 꽃가게 예시밖에 없는 것 같읍니다. 첫 번째 질문은, 길러주는거는 뭐 아주 애기때는 바란게 아니라고 쳐도, 5살 정도만 되어도 기르는 과정에서 나 이거 먹고 싶어, 이거 사줘. 이런거 요구하지 않나요?? 그래서 길러준 것에 대해 난 안받고 싶었는데? 네가 준 혜택에 대해 내가 왜 갚아야돼?? 라고 하는건 어불성설 같아요. 두번째 질문과 그 답은 아예 제목과 궤가 다른 것 같읍니다. 그리고 살면서 굳이 이런 사항에 대해 의무 존재 유무를 가릴 필요는 없읍니다. 걍 하고 싶으면 하고, 안하고 싶으면 안하는 거예요. 중요한건 그에 따르는 책임들이고요.
ar15Lover
5살은 아직 자아 형성도 안됐을 때인데 도덕적 의무를 뒤집어 씌우는건 좀 무리가 있는 것 같습니다. 설령 자의식이 일찍 형성된 조숙한 5살이라 할지라도 독립할 방법이 있는 것도 아니고...
1
sooinful
넹 제 말은 5살한테도 혜택을 갚을 의무가 있다는게 아니라, 그러한 5살을 겪은(사실 뭐 5살때만 그런거 아니고 살면서 무수히 많은 것을 부모에게 요구하고 받겠지요. 안 그런 자식도 있기는 하겠습니다만 그정도 사소한 혜택도 못받은 자식에게 어떻게 부모에게 효도하라고 의무를 지울 수 있겠습니까.) 인간이 나중에 나이 먹고나서 내가 언제 키워달랬나? 할수는 없다는것이죠.
의도치 않게 입힌 피해는 보상하지 않나요?
듣보잡
그 논리로 생각해 보면 의도치 않게 망한 나라에서 태어났다고 해서 망한 나라한테 피해보상 청구할 수는 없으니까
괜찮은 나라, 혹은 가정에서 태어났다고 거기에 대해 보상해 줄 필요도 없죠.
다크쵸코
그럼 반대로 태어났기 때문에 받을 수 밖에 없었던 것에 대한 손해배상도 청구하시면 되겠죠~
ebling mis
글의 관점에서면 "도덕적"이랑 "의무"가 같이 붙어서 존재하는 표현이 될 수 있을까요..
1
듣보잡
답부터 말하면, 없다고 생각합니다. 단지 윗분 말대로 인지상정이라는 측면은 있겠죠. 의무가 아니라고 해서 그런 요소가 아예 없는 것이냐 하면 그것도 아닌 것 같습니다.
1
헬리제의우울
키울 의도가 없는데 키워야 할 도덕적 의무가 존재할까요?

그 의무만큼, 실은 그보다 적게 갚으면 됩니다
*alchemist*
경제학에서 그 뭐지... 외부효과 같은 거라고 봐야 할거 같아요
왠지 이런걸 나름 정리해놓은 철학이론이 있을거 같은데...
3
실질적 의무는 없는데 도의적 의무는 있을 수도 있죠.
어떤 친구에게 계속 밥을 얻어 먹었으면 한 두번 정도는 사야하는 수준의 의무일 수 있다고 봅니다.
1
파란아게하수정됨
절대자가 저한테 선택권을 줍니다
너 대한민국 태어날래 딴데 태어날래 - 대한민국
너 군대도 가야함 - 오케이 콜
대신 박정희 전두환은 처리해놨다 - 헉 감사합니다ㅠㅠㅠ

꽤 선진국의 평시가 얼마나 큰 혜택인지
평화에 얼마나 값비싼 댓가를 치러야 하는지 저는 알고 있습니다
지금의 숨쉬듯 당연한 민주주의가 얼마나 많은 피 위에 세워진 것인지도 알고 있습니다
저는 저 로또 맞았다고 생각합니다

내가 선택하지 않았다고 혜택이 아닌 건 아닙니다
내가 총들지 않겠다고 모두가 안 들어도 되는 건 아닙니다
저는 전쟁이 아닌 ... 더 보기
절대자가 저한테 선택권을 줍니다
너 대한민국 태어날래 딴데 태어날래 - 대한민국
너 군대도 가야함 - 오케이 콜
대신 박정희 전두환은 처리해놨다 - 헉 감사합니다ㅠㅠㅠ

꽤 선진국의 평시가 얼마나 큰 혜택인지
평화에 얼마나 값비싼 댓가를 치러야 하는지 저는 알고 있습니다
지금의 숨쉬듯 당연한 민주주의가 얼마나 많은 피 위에 세워진 것인지도 알고 있습니다
저는 저 로또 맞았다고 생각합니다

내가 선택하지 않았다고 혜택이 아닌 건 아닙니다
내가 총들지 않겠다고 모두가 안 들어도 되는 건 아닙니다
저는 전쟁이 아닌 평화를 사랑하지만 힘 없이 말만으로 생기는 평화는 없어요
1
celestine
베르나르 베르베르 <천사들의 제국> 에서 담당천사랑 윤회대상영혼간 협상에서 재밋게 그렸죵 ㅎㅎㅎ 전생 선업악업 점수 채점하고 다음생 국적/성별/환경/능력치/건강/외모..온갖 걸 밀고당기며 네고. 글타고 태어나기 전 운명이 죄다 정해진건 아니고 사람은 태어나기 전 협상으로 정해진 조건이랑 살면서 자유의지가 반반(무마니) 으로 삶을 꾸려간다는 이야기. 따지고보면 순전히 백퍼 내선택이다/백퍼 무관하다라고 말할 수 있는게 세상에 얼마나 되겠냐 싶기도 하고 ㅎ
메존일각
도덕적 의무는 없겠죠. 그런데 비슷하게 아파트에 살면서 아랫층이 누수피해를 입었으면 내가 원한 건 결코 아니었지만 내 돈 들여서 배상해야죠.
홍차의오후수정됨
도움 준 사람을 도와야 하고, 도움 준 사람에게 해를 입히면 안 된다는 것을 상호성(reciprocity)이라고 부릅니다. 영역에 따라서 도덕적 의무로 받아들이는 곳도 있습니다(예, 보건의료). 일반적인 도덕적 의무는 아닌데, 정치철학자 중에선 시민사회의 의무여야 한다고 주장하는 경우도 있습니다(롤즈주의자와 공동체주의자 일부).
ar15Lover
네, 전 상호성이란 것은 서로 간에 합의했을 경우에만 존재하는 것 아닌가, 나도 모르는 사이에 입은 혜택, 내가 원치 않았지만 입을 수 밖에 없었던 혜택에 대해서도 저런 상호성에 의한 의무를 져야하는가, 라는 의문이 들었어요.
화이트카페모카수정됨
옛부터 전해온 부모를 무조건 공경해야 한다는 말은
사회라는 집단이 자식이 부모 말 안듣고 대립 하는 순간 트러블 생기면서 균열이 생기니 부모를 무조건 공경해야 한다고 오랜 세월 길들인거나 다름 없죠
부모가 개차반이면 낳아주신 분들이여도 들고일어나야....그게 아니라 정상적인 부모님이라면 자식들도 자연스레 부모를 공경하게 된다고 봅니다
1
유튜브 채널 Kurzgesagt는 보통 감정의 기원을 생존본능에서 찾는데......그런 관점에서 보면 호의적으로 대하는게 합리적인 반응 같습니다. 꽃집 사장의 존재가 내 가게를 번창하게 만들어준다면 같이 있는게 여러모로 유리하니까요. 특별한 다른 요인이 없다면 고맙게 생각하는게 자연스럽지 않을까요? 부모에 대한 사랑도 그런 맥락에서 자연스럽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그걸 도덕적 의무라고 하면 아닌 것 같아요.
1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538 일상/생각한국인이 생각하는 공동체와 영미(英美)인이 생각하는 공동체의 차이점 14 ar15Lover 20/05/01 6059 4
10544 사회현대사회의 문제점(1) 23 ar15Lover 20/05/03 8226 9
8575 일상/생각조던 피터슨과 한국의 보수우파, 박정희. 46 ar15Lover 18/11/29 7860 1
10332 일상/생각요즘 인터넷상에서 자주보이는 논리적 오류. 회의에 의한 논증. 13 ar15Lover 20/02/28 4626 9
10438 일상/생각중국에서 미국식 연방제를 도입하기는 힘들까요? 18 ar15Lover 20/03/28 5249 0
10478 사회한국인의 미국의 총기소지 편견을 미국인이 직접 반박하는 영상을 소개합니다. 170 ar15Lover 20/04/09 10623 6
10515 정치트럼프가 바이든을 이기게 될 이유와 맥주 테스트 13 ar15Lover 20/04/19 4943 3
10587 철학/종교유교(儒敎)에 대한 비판 83 ar15Lover 20/05/14 8453 2
10637 사회조지 플로이드 사망 사건과 잇따른 시위에 관한 남아공 출신 코미디언의 의견 39 ar15Lover 20/06/01 5948 7
10809 일상/생각의도치 않게 입은 혜택에 대해서도 갚아야할 도덕적 의무가 존재할까? 21 ar15Lover 20/07/23 5644 4
11471 과학/기술(번역)지구공학의 장기적 결과 ar15Lover 21/03/06 5052 2
10858 영화조커 재감상 후기 + 조커가 악평을 받았던 이유 52 ar15Lover 20/08/14 8628 4
10957 사회게임, 영화 기록으로 병역거부자의 '양심의 진정성'을 입증하겠다는 검찰의 행태에 반대하는 이유 26 ar15Lover 20/09/14 5801 1
11143 일상/생각현대사회에서 소비를 통해 만족감을 얻기 힘든 이유. 20 ar15Lover 20/11/18 5781 4
11075 일상/생각총기금지국가 한국에서 밀리터리 컨텐츠는 제한적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20 ar15Lover 20/10/19 4565 1
11195 사회체제는 어떻게 우리를 속이는가? 25 ar15Lover 20/12/03 6320 12
11226 사회발전 vs 자유 4 ar15Lover 20/12/14 5526 1
11253 사회우리 시대를 위한 혁명가 5 ar15Lover 20/12/20 4759 5
11559 사회(번역)사회 발전은 결코 인간의 합리적인 통제의 대상이 될 수 없다 25 ar15Lover 21/04/07 6426 2
11323 사회현대사회는 어떻게 인간의 존엄성을 짓밟는가 76 ar15Lover 21/01/06 9354 4
11358 사회(번역)아픈 곳을 쳐라. 5 ar15Lover 21/01/21 3722 3
11393 사회(번역) <사이언티픽 아메리칸>지에게 보내는 편지 13 ar15Lover 21/02/03 5365 2
11397 철학/종교(번역)자크 엘륄: 우리가 자유롭다는 환상 6 ar15Lover 21/02/06 5224 6
11422 사회(발췌)기술 체계에 대한 진단. 3 ar15Lover 21/02/16 4921 3
11430 사회(번역)유나바머가 옳았나? 5 ar15Lover 21/02/19 6275 7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