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07/10 15:10:25수정됨
Name   기아트윈스
Subject   자제력, 지배력, 그리고 이해력
옛날 사람들은 자신의 마음을 땅으로 즐겨 비유했습니다. 어떤 사람은 자기 마음=땅에 대한 지배력이 높은데 다른 사람들은 그건 모르겠고 자기 마음=땅에 대한 이해력이 높습니다.

지배력이 높은게 뭐 나쁜 건 아닙니다. 이 세상은 하기 싫지만 해야 하는 것들이 참 많은데 그때그때 자기 마음 주민들을 다 설득해서 만장일치로 일하려고하면 힘들죠. 그냥 냅다 계엄령 때리고 KGB요원 풀어서 감시하면 그럭저럭 마음을 다잡고 월요일 아침에도 출근하고 등교할 수 있습니다. 대신에 완벽한 감시망이란 없기 때문에 반드시 무언가가 조금씩 샙니다. 조금 새면 그냥 넘어갈 수 있지만 줄줄 새면 돌이키기 힘들지요.

이해력이 높은 사람은 동물의숲 플레이타임 1000시간을 넘긴 고인물처럼 자기 마음=땅 구석구석을 픽셀단위로 샅샅이 압니다. 그래서 얼핏보면 울퉁불퉁하고 장애물이 많지만 눈감고 돌아다녀도 걸려넘어지지 않습니다. 지배력타입이 이런 이해력타입을 보면 철저하지 못하다라고 불평하기 쉽습니다. 니네 집 앞마당에 있는 돌뿌리는 왜 놔두냐. 뿌리를 뽑아야지. 이해력타입은 대체로 이렇게 대답합니다. '뽑을 만한 돌뿌리는 다 뽑고 남은 게 그거야 ㅇㅇ 남아있는 저 돌뿌리는 보기엔 얕아도 사실 엄청 깊은거라 뽑겠다고 덤볐다간 집 무너져. 하지만 저게 저자리에 있다는 것만 자각하고 있으면 걸려넘어질 일이 없지.'

물론 ㅋㅋㅋ 이해력타입이라고 걸려 넘어지는 일이 아예 없냐하면 그렇진 않죠. 술 마시고 비틀거리다 안방 문지방에 턱 걸려 넘어지기도 해요. 그래도 어쨌든 두 타입은 분명히 다르고, 우리는 모두 평상시에 이 두 가지를 적당히 섞어씁니다. 3:7이라든가. 6:4라든가. 다들 자기만의 비밀 칵테일이 있음.

사시도 붙고 선거전도 몇번이나 치르고 그렇게 자제력이 쩌는 사람들이 왜 고작 저걸 자제를 못하고 몰락하는지 궁금하다는 어떤 분의 말을 듣고 어젯밤에 곰곰히 생각해보다가 적어봤어요. 마음지배와 마음이해는 다른거고, 지배에 능숙한 사람일수록 오히려 바로 그때문에 이해에 소홀할 수 있어요. 지배가 이렇게 잘먹히는데 뭐하러 애써 이해력을 기르겠어요. 여러분은 그러지 마시고... 김정호가 된 심정으로 여러분 마음 구석구석을 답사해서 잘 살피고 대동여지도를 만들어두세요. 넘어지면 많이 아파요.



28
  • 지도는 역시 티맵.
  • 나비소련따우
  • 따숩읍니다. ㅠㅠ
  • 나도..나도.. 이런 필력으로 글을 쓰고 싶읍니다.
  • 비유를 인사이드 아웃 느낌으로 귀엽게 바꿔주시면 안 됩니까
  • 띵글이네요


구박이
네비게이션을 쓰면 안 될까요?
딱 주변에 생각나는 사람이 하나하나 확 떠오르네요. 좋은 글 감사합니다
좋은 글 감사드려요-
1
알료사
그래서 피지배층이 은근 이해력 높습니다. 이해 못하면 개처맞거든요.
12
이해력 (물리)
맥주만땅
지배력이 높은 가장 기아트윈스니무...
세인트
연애글도 아닌데 따땃하니 달달하네요. 요 글이 모두에게 위로가 되었으면.
1
사나남편
몇번 넘어졌는데 정면돌파가 최고고 그로인한 아픔은 제가 가지고 가야될것이더라고요.
고기먹고싶다수정됨
안희정도 그렇고 박원순도 그렇고 광역지자체장을 오래하다보니 지배력에 취해서 예전의 자신과도 좀 달라지고 일반인들이랑은 더 멀어지고 그래서 이런일이 벌어지지 않았나 싶습니다.
1
마카오톡
안희정은 평범한 사람아닌가요?
평범한 사람이 했다고 해서 잘못이 아니란게 아닙니다. 평범한 사람은 당연히 잘못을 하는 존재입니다.
다만 지배력에 취해서 그게 잘못인지도 모르고 행동을 했다 이런 이야기에 의아함이 든겁니다.
얘기하신데로, 권력의 자리에 있으면 누구나 존중과 환대를 과하게 받는데, 거기에 익숙해지면 당연한 줄 알고 자신의 개인적 매력이 강한쥴 착각하는 문제가 잇는것 같습니다. 이런 요인이 애초 권력욕이 없거너 가치를 별로 두지 않던 사람들에게 더 쉽게 발생하는거 같습니다.
"마음은 이성이 알지 못하는 그 자신만의 이유를 가지고 있다." (파스칼, 팡세)

자기 자신을 갑이나 을이나 병으로 봄은 이해력일 테지요, 그것도 고상한.

그는 그래도 적폐를 담박에 뉘우치고 업장 소멸에 나설 수 있었던, 난 사람이라고 여겨집니다, 물론 이차적 획득이 아마도 있을 터이나.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819 철학/종교속초, 강릉 여행 가볍게(?) 정리 30 수영 20/07/27 6093 9
10810 철학/종교반대급부라는 도덕적 의무감과 증여 사회 sisyphus 20/07/23 5023 6
10766 철학/종교자제력, 지배력, 그리고 이해력 12 기아트윈스 20/07/10 5637 28
10587 철학/종교유교(儒敎)에 대한 비판 83 ar15Lover 20/05/14 8424 2
10423 철학/종교한국 개신교와 '일부' 11 토끼모자를쓴펭귄 20/03/23 4924 5
10344 철학/종교"증거장막"이란 단어의 본래 의미 5 소원의항구 20/03/04 6413 7
10204 철학/종교역사적 유물론과 행위자 연결망 이론(완) - 시너지: ‘계약서에 서명하기’를 매개의 실천으로 읽기 호라타래 20/01/20 4927 3
10191 철학/종교역사적 유물론과 행위자 연결망 이론(4) - 두 이론을 함께 생각하기 2 호라타래 20/01/17 5235 4
9306 철학/종교소앙 조용은의 '육성교'와 '대동종교' 치리아 19/06/12 6835 7
8877 철학/종교자유의 역설 2 right 19/02/18 4734 1
8798 철학/종교탐구하지 말아야 할 지식 17 녹차김밥 19/01/25 5686 1
8752 철학/종교율법주의 : 최후의 유혹 32 구밀복검 19/01/11 7795 26
8620 철학/종교인생은 아름다워 22 기아트윈스 18/12/08 6229 41
8383 철학/종교은탄환의 딜레마 12 메아리 18/10/16 6427 19
8254 철학/종교7가지 사소한 너무 대답하기 어려운 문제들 4 파랑새의나침반 18/09/20 6221 0
8191 철학/종교0.999...는 어디서 왔는가? 0.999...는 무엇인가? 0.999...는 어디로 가는가? 19 파랑새의나침반 18/09/09 8193 16
8054 철학/종교대형교회를 처음 가게 됬습니다. 18 태정이 18/08/14 5866 0
7764 철학/종교칸트 전집 번역 논쟁은 왜때문에 생겼나. 75 기아트윈스 18/06/28 9267 16
7470 철학/종교마구잡이로 쓰는 종교이야기 - 이단과 사이비 3 기쁨평안 18/05/02 5529 1
7452 철학/종교저항으로서 장자 8 메아리 18/04/28 5510 8
7424 철학/종교적대적 현실 하에서 全生을 실현하려는 실천의 하나 : 무(武) - 2 1 메아리 18/04/22 3806 4
7423 철학/종교적대적 현실 하에서 全生을 실현하려는 실천의 하나 : 무(武) - 1 메아리 18/04/22 4582 4
7260 철학/종교감동(感動) 18 기아트윈스 18/03/22 5473 21
7258 철학/종교간략하게 알아보는 희년 이야기 10 기쁨평안 18/03/21 6053 14
7234 철학/종교대치동 서울교회 박노철목사측 불법용역들의 폭력적 진입영상 10 jsclub 18/03/14 6613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