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02/02 08:48:49수정됨
Name   Zel
Subject   입국거부에 대한 움직임 변화
가장 먼저 염두에 둬야 할 것은 이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한 정보는 너무나 빨리 시시각각으로 바뀌기 때문에 최신 상황을 따라가지 않으면
아무 의미가 없습니다.

기존의 상식, 전례 따위는 헌신짝처럼 던져야 하고, 소위 말하는 전문가들도 계속 생각들이 바뀌고 있습니다. 따라서 언론을 통한 정보들도
언제 쓴 기사인지 확인하고 2-3일 전 기사만 해도 이미 일어난 일 아닌, 언론사들의 추정이나 정리는 이미 오류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지금 보면 초창기 정보들의 일부는 웃음벨 수준입니다.

1. 국제적 중국체류자 입국거부 및 국경페쇄 현황

북한, 필리핀, 러시아, 이태리, 말레이시아, 홍콩, 대만, 트리니다드 토바고, 미국, 파키스탄, 마카오, 케냐, 싱가포르, 이스라엘, 몽골, 에콰도르, 호주, 일본 , 뉴질랜드 등이 CNN을 통해서 확인된 나라이고 수위는 후베이성 출신-중국국적전체-중국경유 관광객 전체-국경폐쇄 등으로 다양합니다.

항공사들의 운항정지는 정부와는 별개로 움직이는게 많습니다. EU는 국가는 이태리 정도이나 대표적 항공사인 루프트한자와 브리티시에어가 중국발 운항중지를 선언했습니다. 그 외에도 Air Asia, Cathay Pacific, Air India, IndiGo, Finnair 등이 비행편을 극도로 줄이거나 완전 중지를 예고하였습니다. 특이하게, 세계적 크루즈 운항회사인 프린세스 크루즈도 최근 중국에 체류한 경력이 있는 탑승객 거부조치를 시작하였습니다.

2. 국내 전문가들 의견 변화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sec&oid=001&aid=0011371569&isYeonhapFlash=Y&rc=N

메르스때 주로 언론을 탄 교수들이 엄중식 (당시 강동성심, 현재 가천길), 이재갑, 김우주, 김홍빈, 김성한 교수 정도입니다. 이 중 가장 수장격으로 역할도 많이 하고 일도 많이 한 분이 엄중식 교수입니다. 전문가들은 기존에는 입국거부에 좀 부정적인 의견이었습니다. 그러나..

2일 엄중식 가천대 길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방역체계의 전면적 개편이 필요하다"며 "이제는 정황상 입국제한을 결정해야 하는 때가 됐다"고 주장했다.

이재갑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교수도 "이제는 (입국제한을) 고민해야 할 때지만 외교적으로 감당할 수 있는 수준에서 진행돼야 할 것"이라며 "외교적 이유로 어렵다면 실질적으로 입국자 수를 줄일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 정도면 전문가들 의견이 수렴되고 있는 수준 (이고 사실상 정리) 이라고 봐야 합니다. 기사 읽어보면 현 방역시스템의 한계 같은 것도 느껴집니다.

3. 미국은 홍콩발 입국자도 거부하였습니다. (수정: 이건 오류고 American airline이 홍콩발 노선의 운항을 정지시켰습니다)

국익과 경제마찰 등은 당연히 생각해야 할 문제지만, 국민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겠다는게 단순한 캐치프레이즈가 아닌 지 증명해야 할 시간이 왔습니다. 그럴려고 있는게 정치 외교 아닙니까.

4. 홍콩은 현재 중국과 부분국경폐쇄를 하고 있습니다.

홍콩 보건의료연합 -간호사, 의사, 의료기사 등은 홍콩정부에게 중국과의 국경 전면폐쇄를 시행 하지 않을 경우, 다음 주 파업을 예고했고, 압도적인 표수차이로 투표를 통과시켰습니다.

(The Hospital Authority Employees Alliance has 13,000 members. Of those members who voted on Saturday night, 3,123 voted yes for the strike action, 10 against and 23 abstained. 8,825 members signed an online petition saying they will go on strike next week if demands to close border are not met.)

의료인의 한 명으로서 이들의 용기와 전문성 그리고 책임의식에 경의를 표하며 제 자신과 한국 상황이 부끄럽습니다.



31


    이제는 경제 문제로도 접근 가능해졌죠. 더 큰 손해를 막기 위해 어쩔 수 없는 비용 지불로 생각해야 할 시점이 아닌가 합니다.
    1
    기존의 정설은 국경을 막으면 밀입국 한다는데, 현재는 국경을 안막아서 우리나라가 국제 방역의 백도어로 작용하는 수준입니다. 한국이 단독으로 결정하기 힘들면 공조하여야 합니다. 한일관계가 거지같아도
    12
    개인적으로 동의하기 힘든 주장이 바로 그 '막으면 밀입국한다'입니다.
    그 주장을 하는 분들이 보건/의료쪽 전문가일지는 모르겠으나, 과연 국경관리 쪽에 대한 전문성은 얼마나 있는지 알 수 없는 분들이라서요.

    중국에서 우리나라로 밀입국이 없는 것은 물론 아닙니다. 그렇다고 '입국거부해? 그럼 밀입국하지 뭐' 수준은 절대 아니거든요.
    밀입국을 비롯한 불법체류도, 나름의 이해타산 과정을 거쳐서 결정됩니다. '중국에 있으면 얼마쯤 버는데, 한국 가서 뭐하면 얼마 벌 수 있다'는 걸 따져보고 결정하죠(그래서 불체와 가장 밀접한 것이... 더 보기
    개인적으로 동의하기 힘든 주장이 바로 그 '막으면 밀입국한다'입니다.
    그 주장을 하는 분들이 보건/의료쪽 전문가일지는 모르겠으나, 과연 국경관리 쪽에 대한 전문성은 얼마나 있는지 알 수 없는 분들이라서요.

    중국에서 우리나라로 밀입국이 없는 것은 물론 아닙니다. 그렇다고 '입국거부해? 그럼 밀입국하지 뭐' 수준은 절대 아니거든요.
    밀입국을 비롯한 불법체류도, 나름의 이해타산 과정을 거쳐서 결정됩니다. '중국에 있으면 얼마쯤 버는데, 한국 가서 뭐하면 얼마 벌 수 있다'는 걸 따져보고 결정하죠(그래서 불체와 가장 밀접한 것이 경제상황입니다)-돈으로는 도저히 따질 수 없는 어떤 다른 사정이 없는 한.

    개인이 외국으로 갈 수 있는 가장 쉬운 수단이 뭘까요. 당연히 기존에 정해진 항공/선박편입니다.
    밀입국을 하려는 순간, 그 모든 걸 이용할 수 없고 다른 수단을 써야 합니다. 밀입국이 가능한 지역으로 가서, 밀입국을 시켜줄 사람을 찾아야 합니다. 그 사람이 돈만 받아먹고 나를 바다에 던져버려도 아무도 모릅니다. 탈북하다가 몹쓸 일 당하는 여성 탈북자들 이야기 한번 쯤은 들어보셨죠? 다른 밀입국은 다를까요? 한국 땅 밟은 뒤에도 어디로 가서 어떻게 해야할 지 다 정해놔야 합니다. 그 말은 입국에 들어가는 비용이 뛴다는 소리이고, 겪어야 하는 위험이 커진다는 뜻이죠. 밀입국자/불체자는 당연히 좋은 일자리를 못 구할테고, 그건 한국에 와서 기대할 수 있는 이익이 줄어든다는 뜻입니다.
    그 모든 걸 무릅쓰고서라도 한국으로 오려는 사람은 확 줄죠.

    여러분들이 어떤 나라에서 입국거부 된다고 합시다. 그러면 아무렇지도 않게 '그럼 밀입국하지 뭐' 하시나요?
    다른 나라 사람들도 똑같습니다. 결국 밀입국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지만, 아무나 하는 것도 아닙니다.
    14
    이그나티우스
    이런 글이 언론에 소개되어야 할 것 같습니다. 무슨 우리나라가 육상 국경이라 폴짝 뛰어넘으면 되는 그런 나라도 아닌데, 개나소나 밀입국 할 것처럼 이야기하는 데서 위화감을 느끼긴 했었습니다. 설명 감사드립니다.
    3
    그러네가 말입니다. 금지하면 왠만하면 못하는 건데..
    우리나라 총기 금지인데 대부분 몰래 가지고 다니는 것도 아니고.
    이렇게 말하면 좀 웃기지만 이번정부는 쪼다?같이 포지션바꾸는게있어서 주변에서 우리도금지할래가 늘고 국내여론이 그걸따라가면 지금 바꾸면 명분있는거지? 호다닥.. 이럴거같긴한데 내일부터 당장 워킹데이니 뭐라도 얘기가 나와야하지않나싶은.... 총선앞이라고 이러나..
    1
    지금 공수처니 총선이니 이야기 나오는거 보면 하아 안일합니다. 당장 비상사태에 검역수준 최고단계 올려야 하는데.. 하지도 못할 총선 이야기 하면 참
    10
    별빛사랑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는 제 할일 할텐데 공수처, 총선 이야기 나오면 안되나요? 서로 제 할일 하는건데.
    1
    아 그말씀은 맞는데 우선순위의 문제라고나 할까요. 뭐 제가 오버하는거라면 저도 좋겠습니다.
    별빛사랑
    양쪽 모든 일을 다 할 수 있을때 우선순위를 따지는 것 아닌가요? 서로 할일을 하는데 우선순위라고 표현하는 것은 맞지 않습니다.
    1
    개인적으로 드는 생각이...어차피 일하는 사람들은 현장에 있고, 공수처/총선과는 상관없는 분들일 겁니다.
    공수처/총선 어쩌구 하는 사람들은 계속 그 얘기나 하면서 신경 꺼주는게, 현장에서 뛰시는 분들께는 오히려 편할지도 몰라요.
    높은 양반들이 신경쓰면, 현장에는 이것저것 보고하라는 지시만 쏟아집니다. 일해도 모자랄 시간에 쓸데없는 보고서 만드느라 머리빠지는 일.... 저 동네라고 다를 것 같지가 않네요.
    3
    별빛사랑
    공수처, 총선 얘기는 국회의원, 법무부, 검찰이 관련되어있는 일인데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와는 상관도 없으니 그건 그거대로 진행되는 일이죠. 기사 찾아보니 자유한국당에서 민주당 보고 이런 시국에 공수처 얘기한다고 시비걸든데, 국회의원 나부랭이들이 날뛰어봤자 걸리적거리기만 합니다. 자유한국당이 그런 말 한다고 거기에 옳소 옳소 하는 건 너무 시야가 좁은거죠.
    1
    revofpla
    일본발 소부장 이야기 나왔을 때 경험이지만 그냥 높으신 분들은 그냥 자기 할일 하는게 좋습니다.
    괜히 요즘 이슈되니까 전~혀 상관 없는 인물들이 요구자료부터 방문할테니 의전까지 하라 하니까 빡치더군요.
    화이트카페모카
    상당한 쪼다라서 남들 입국금지 할때에 비로소 입국금지 실행하겠죠
    그저그런
    그러게요. 우리가 중국인을 안막으면 다른나라들이 우리를 막겠네요. ㅠㅠ
    4
    소문대로 우리나라가 중국인들 입출국 변경지로 계속 쓰인다면 위험합니다. 본문에 오류가 있어 수정하였습니다.
    귀차니스트
    정부가 빠르게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기를 바랍니다만, 그렇지 않거나 너무 늦은때에 받아들일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더 빠르기도 힘들었을거라고 일반인의 한 사람으론 생각하긴 하는데 오늘 중이라도 의사결정이 되었으며 ㄴ하네요.
    o happy dagger
    아직도 명분이 모자란다고 생각하면 틀린거겠죠. 명분은 충분하니 빠르게 행동하는게 맞을듯 싶어요. 의료계에서도 정부에 좀 더 강하게 건의 할 수 있으면 했으면 하고요.
    1
    감사합니다. 의협회장이 괜히 정치질을 해서 더더욱 진의가 전달이 안되는게 안타깝습니다. 그래서 애시당초 이 양반이 아니길 바랐지만
    o happy dagger
    최대집이 아직 의협회장인가요?

    미국에서 NIH, FNA, CDC등이 권위를 가지는 제일 큰 이유는 너무 정치적이지는 않은것이라고 생각하는데, 의협의장이 저러면 무척 피곤하네요. 정치적이지 않은듯 하면서도 정치적인게 필요한 자리인데...

    다른 방식으로라도 의견이 강하게 전달 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서 정부가 선택을 하지 않을 수 없도록 했으면 하네요.
    한국적인 특수한 상황이 있긴 합니다. 미국도 사실 AMA는 이런데 크게 관여 안하지요. 한국은 KCDC, KFDA에 의사가 너무 적다 보니 상대적으로 의협이란 기구가 더 권위가 있을 수 밖에 없는 세탕이었죠.
    o happy dagger
    네. 저도 AMA는 언급안한게 CDC나 FDA쪽의 역할이 커서 그런건데, 구조상 정치적이기 힘들기는 하죠. 평소 너무 정치성을 드러내면 이런일이 생기면 상당히 곤란한거 같아요. 전문가 단체들은 개인적으로야 정치적인면이 강한거야 상관없지만 단체자체로는 그런게 적게 드러나는게 중요한거 같아요. 앞으로도 그런 방향으로 진행이 되었으면 싶네요.
    의협 대의원들까지 가세한 탄핵 움직임이 있었는데, 이번 사태로 잠시 소강상태라고 알고 있읍니다
    알료사

    늦었죠.. 늦었습니다.. ㅋㅋ
    이그나티우스
    "아!! 막아도 막은게 아니에요!!" <-- 제발 이렇게 안 되었으면 합니다.
    코페르니쿠스
    https://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9&aid=0004510076

    [방역당국 "중국 입국제한 관련 국민 우려 있어…전문가 의견 수렴 중"]

    전문가 의견은 충분히 나오지 않았나...
    o happy dagger
    제가 몰라서 그런데 정부에 공식적인 루트로 전달된게 어떤게 있는지요?
    의협만 해도 성명을 서너차례 낸걸로 알고 있습니다.
    어제도 전면 중단 안되면 상위 다섯개 도시라도 막으라고. 언론엔 잘 안나오죠
    o happy dagger
    그렇군요. 사실 성명이 나온것 자체를 언론에서 접하기가 힘드니까요.

    성명이 아니라 정부와 직접적인 연결고리를 가지고 의견을 전달 할 수 있는 방법자체가 필요한듯 싶네요. 이번일을 계기로 그런 부분이 개선될 수 있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예 협의체구성 이야기가 있긴 하지만, 문케어 같은거 할때도 일방적 고시를 당하던 한국
    의료계라 쉽지 않네요. 토사구팽의 전력도 너무 많고. 저만해도 양가감정이 있긴 있습니다.
    1
    사나남편
    '야이 x친놈들아 빨리하라고'...수준인거군요.
    앞으로 일주일 간의 추세만 보면 어디로 흘러갈지 감이 좀 올거 같긴 합니다만.. 외국 감염된 사례들이 어이없는 지역내감염들이 많아 사태 끝까지 의료기관내 감염이었던 메르스와 전파력이 비교가 안됩니다. 일반인들은 이 차이를 이해하기 함들긴 합니다.
    사나남편
    국내사망자가 아직 안나와서 그런거 정부에서 미온적이군요. 우린 방학이라 천만 다행이군요
    심지어 진행이 늦어 음압병상서 퇴원도 안해요. 1번환자 아직도 퇴원 못했읍니다. 병상 다 차면 그 담엔 일반병상으로 넘칠텐데. 의료진 보호장비라도 수량이 제대로 있는 지. 다른 환자들은, 보호자들은.. 유중상 중국인들 늦게 집단 방문할때는,
    [속보] "필리핀서 신종코로나 사망자 발생" <신화>
    https://m.yna.co.kr/view/AKR20200202027800009

    속보라 내용은 없지만,

    해외 첫 공식 사망자가 나왔습니다. 44세 남성으로 우한 거주자입니다.
    이 감염자와 사망자의 해석에 있어서, 현재까지 대부분의 우한외 감염자는 여행객들입니다. 상대적으로 30-50대, 그리고 사업관련으로 남자들이 많이 여행하므로 이 연령대의 사람들이 주로 감염이 되고 있습니다. 우한에서의 사망자는 노년층이 많고 이는 지역사회감염으로 인해서 기저질환이 있거나 하여 사망률이 높아진 것 같습니다. 중국 외 사망율이 낮은 것도 이와같은 환자군의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보이고, 반대로 지역사회감염이 2,3 차감염 이상의 유행으로 번지면 고령자의 감염이 많아 사망율은 증가할 수 밖에 없습니다. 특정 성별이 많이 걸린다는 것도 바로 이 이동성의 차이를 감안해야 할 겁니다.
    4
    방사능홍차
    정권 막론하고 저는 기본적으로 똑똑한 인간들이 모이고, 대통령이 503정도로 어영부영하지 않는 이상 들어가야할 결정권자들에게 정보는 다 들어갔다고 봅니다. 아마도 실시간 정보도 우리가 받는 것보다 빠를거구요. 다만 의료 쪽 의견, 정치외교 쪽 의견 등등 정보는 이미 다 취합하고 저울질하고 고심하는 것 같은 생각이 들어요. 마치 우리는 모르지만 그들끼리 의사소통이 활발할 것 같긴한데, 다만 그 숙고의 시간이 길어져서 적절한 타이밍을 놓치진 않았으면 합니다.
    1
    비슷한 생각입니다. 이런 의견의 결정에 있어서 여태까지 보건의료쪽 결정이 타 영역의 의견에 대해 자주 밀렸던걸 많이 본 기억이 있어서 더더욱 애가타긴 합니다.
    3
    Cascade
    알고보니 우리나라가 동고르트 공화국이였던거임...
    대통령은 오후 간담회를 하겠다는데.. 중국 대사는 WHO 방패삼아 입국제한에 반대한다고 의견 밝히고. 이건 내정간섭으로 까지 느껴지는데...

    아 진짜 WHO는 이 사태 끝나면 인류로 부터 돌맹이 한개씩 맞아야 할 겁니다.
    4
    주지육림
    https://news.v.daum.net/v/20200202124347174

    오늘 오후에 입국금지에 대해 총리가 발표한다네요. 이미 정부 입장은 정해졌다고. 근데 알려졌다 전해졌다라서 뭔가 기사 신뢰도는 ? 인듯
    미국은 TSA를 강화해서 새로운 가이드라인 준비중입니다.

    'Airlines operating in the United States will be required to ask all passengers booked on flights from outside the US if they’ve been to mainland China in last 14 days.'

    모든 항공승객에 대해서 최근 14일 간 중국에 있었는 지를 묻는 수준으로까지 올렸습니다. 중국민은 타국 경유해도 입국 거부될 것이라고도 하였습니다.
    1
    화이트카페모카
    우리나라가 입국금지 때리면 중국 반응은 어떨려나요
    혼돈의정신병자수정됨
    초반에 입국금지 거론됐어요. 거의 모든 사람들이 말도 안된다며 북한이니까 가능한 대처라고 웃고 지나갔지요...저도 처음에 뉴스 접할때부터 무서워서 입국금지 시키면 좋겠다고 생각했고요. 하지만 다른 사이트에서는 거의 모든 분들이 입국금지 말 나오자마자 말도 안된다며 난리쳐서 금방 묻혔습니다.그 분위기에서 입국금지 언급하는 순간 이기적이고 무식한 인간 될까봐 입도 뻥긋 못했네요..
    예 저도 알고 있습니다만 그때는 전문가들 부터 나서서 입국금지 까진 안된다고 인터뷰 하던 와중이라서 그런 의견이 전달되긴 어렵지 않았나 싶습니다.
    절름발이이리
    https://news.v.daum.net/v/20200210091503304 여기선 이렇다는데 뭐가 맞는건가요
    음 이건 어제 나온 이야기군요.
    이 글 자체가 1주일도 더 된글이라서 이제 업데이트가 좀 필요합니다만. 입장차이가 있지 않나 싶습니다.
    앞서 성명서를 낸 사람들은 임상의사고, 직접 환자를 치료하는 입장이고, 이쪽은 정책쪽이지요. 아마도 WHO와 같은 스탠스를 취하지 않나 싶습니다. 현재 코로나 바이러스가 우한외에서는 사망률이 높지 않고 무증상기와 경증 기간이 아주 긴 사례도 나오니 말이지요. 어쨌거나 많은 나라들이 지금 입국제한을 걸었고 실제적으로 돌아가고 있는 상태이고, 한국에서도 타국에 대한 검역기준을 높이고는 있고 이걸로 컨트롤 된다고 생각하나 봅니다.
    절름발이이리
    그렇군요. 답변 감사합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253 의료/건강입국거부에 대한 움직임 변화 49 Zel 20/02/02 7784 31
    10251 의료/건강세계 보건안전 인덱스 6 다군 20/02/01 5405 4
    10245 의료/건강코로나 바이러스 뉴스 모음 39 Zel 20/01/31 8101 10
    10243 의료/건강문제의 '세번째 확진자' 덕에 질병관리본부가 열일하는걸 알게되네요 17 호두 20/01/30 5944 9
    10241 의료/건강신종코로나바이러스(우한폐렴)이 겉잡을 수 없이 퍼지는군요. 22 대왕소 20/01/30 6043 1
    10234 의료/건강부정적인 생각 멈추기 14 들풀처럼 20/01/29 5879 9
    10230 의료/건강BBC의 코로나바이러스 Q&A 14 Zel 20/01/27 6818 30
    10228 의료/건강 감염병 위기경보 단계“주의→경계”격상 다군 20/01/27 5672 2
    10210 의료/건강건강검진은 비싼 물건이다 11 아이폰6S 20/01/21 6060 0
    10052 의료/건강꽃보다 의사, 존스홉킨스의 F4(Founding Four Physicians) 11 OSDRYD 19/12/06 5903 20
    9979 의료/건강의사는 어떻게 사고하는가 - 3. 치료 13 세란마구리 19/11/12 6395 17
    9923 의료/건강마음의 병에도 골든 타임이 있습니다. 7 김독자 19/10/31 5565 41
    9865 의료/건강최고령 의사 히노하라 시게아키(日野原重明, 1911-2017) 5 OSDRYD 19/10/20 5396 7
    9826 의료/건강허리에 좋은 운동과 나쁜 운동이라고 합니다... @.@ 8 홍당무 19/10/13 5781 0
    9803 의료/건강에이즈 환자 전액 국가지원을 이제는 고쳐야 하지 않을까요. 7 tannenbaum 19/10/09 5436 1
    9771 의료/건강Ready to go ANDIBES. 1 집에가고파요 19/10/04 4595 3
    9645 의료/건강2차 임상 들어갑니다. 11 집에가고파요 19/09/09 5298 8
    9551 의료/건강세상에서 가장 이기적인 환자 10 Jace.WoM 19/08/15 5257 31
    9447 의료/건강문득 생각난 약국 이야기 6 켈로그김 19/07/17 5633 5
    9428 의료/건강문득 생각난 파스 고르는 팁 18 켈로그김 19/07/11 6150 19
    9354 의료/건강치약에 관한 잡다한 이야기 2편 化神 19/06/27 4713 4
    9252 의료/건강저희는 언제 새로운 시작을 할 수 있을까요.. 18 Zel 19/05/30 7538 66
    9243 의료/건강오후 두 시 6 The xian 19/05/29 4659 4
    9185 의료/건강90년대~00년대 미세먼지 보도(영상 다수) 5 구밀복검 19/05/12 5590 10
    9089 의료/건강오늘 받은 정관수술 후기 19 미스터주 19/04/17 8419 34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