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19/12/23 23:27:28 |
Name | ![]() |
Subject | 자낳대, 팀게임은 어디가고 티어만 남았던 대회 |
자낳대는 전통적으로 탑이 멸시받는 대회다. 탑에 배치받는 사람들이 가장 티어가 낮은 사람들인 경우가 대부분이고, 탑은 버티라는 식의 피드백을 받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런데, 이번 대회는 그 정도가 도를 넘어섰다고 생각이 들어 보면서 분노를 느꼈다. 나는 탑으로 게임을 가장 오래 즐긴 편이고 탑에 배치받은 선수들의 플레이는 팀게임의 탈을 쓴 탑솔러 멸시 피드백의 결과로 보이는 부분이 너무나 많이 보였기 때문이다. 이 대회에서 내가 이를 팀게임이 아니라고 주장하게 된 이유에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이를 다 풀어내기에는 글솜씨가 모자라 칸을 예시로 내가 생각하는 올바른 탑솔러의 팀플레이에 대해 이야기하고, 내가 자낳대의 코칭 능력에 아쉬워하는 두 가지 장면을 결승전에서 뽑아서 이야기하려한다. 탑솔러는 기본적으로 스플릿 푸셔의 역할을 받고, 텔레포트를 들고, 상대를 뚫거나 막아내는 역할을 하면서 본대가 할 수 없는 일을 도맡아 하는 역할이다. 대부분의 경우 중반 이후 탑솔러는 시야가 밝혀진 본대와는 다르게 시야가 어두워져있는 지역을 플레이하고 이 때 판단력, 시야장악력이 팀게임에서 탑솔러가 가진 가장 중요한 능력 중 하나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이것이 내가 칸을 개인적으로 세계 최고의 탑솔러로 꼽는 이유다. 그는 라인전 능력과는 별개로, 내 개인적인 생각으로, 시야에 대한 이해도가 가장 높고 팀 게임적으로 자신이 해야하는 플레이를 완벽하게 수행한다. 많은 사람들이 이번 SKT가 클리드를 잃은 것을 최대 실수라 생각하지만 개인적으로 나는 칸을 잃은 것이 더 크다 생각한다. 내가 이런 생각을 하는 계기가 된 경기는 2018 스프링 락스 vs 킹존 2세트이다. 흔히 칸이 리븐으로 펜타킬을 한 경기로 더 많이 기억하지만, 나는 이 경기에서 칸이 가진 시야장악 플레이에 더 감탄을 했었다. 그가 이런 시야를 잡기 전에 상대 아래 정글에 시야는 그렇게까지 심각하게 침범당하지 않았지만 저 플레이 이후 락스는 아래 지역에 대한 완벽한 장악력을 확신할 수 있게 되고 이것이 칸이 가지는 최대 장점이자, 탑솔러가 보여줄 수 있는 가장 이상적인 플레이 중 하나라고 생각한다. 이에 반면 내가 이번 자낳대가 팀게임이 아니라고 생각하게 된 첫번째 장면은 레넥톤의 말도 안되는 합류다. 위 장면에서 블루팀은 상대 아래 정글에 대한 훌륭한 시야를 보유한 상태에서 레넥톤이 적 블루버프에 핑크를 꽂는 순간에 완벽한 시야를 확보한다. 동시에 적 본대는 미드에 전부 뭉쳐있는 상태고 블루팀의 바텀웨이브는 몰려들어가는 상황이다. 이 대치가 조금 유지가 되기만 해도 탑솔러는 적 바텀 웨이브를 타워에 밀어넣고 타워를 공략하거나, 적 정글을 빼먹으면서 적 탑솔러를 바텀으로 부르고, 적의 뒤를 노리는 플레이를 할 수 있다. 퍼플사이드는 아래 정글에 시야가 전무하기 때문에 문도는 자기 정글을 통과해 가지 못하고 뒤로 돌아가야하는 팀게임 측면에서 최악의 상황이다. 그리고 레넥톤은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판단을 한다. 적 블루버프에 와드를 꽂고는 걸어서 미드로 합류한다. 이 순간 레넥톤의 텔레포트는 돌아있는 상황이다. 레넥톤이 미드에 보이는 순간 아래 정글에 공을 들여 잡아놓은 시야가 가져다주는 이득은 아무것도 없다. 그냥 돈 낭비, 장신구 쿨타임 낭비다. 그리고 레넥톤이 미드에 보인 순간 문도는 안심하고 바텀으로 내려가야한다. 자신이 바텀으로 내려가는 데 아무런 장애물이 없고, 당겨지는 라인을 받아먹을 수 있는 최선의 상태를 레넥톤이 갖다 바쳐준 상태니까. 그리고 문도는 아무런 이유 없이 미드로 걸어오고, 문도가 바텀에서 웨이브를 받아먹으면서 탑솔러가 게임을 캐리할 수 있었던 기회는 타워에 그대로 박히며 날아간다. 이처럼 자낳대 코칭은 탑솔러가 해야할 역할은 신경쓰지 않고 갖다버리고 게임 승리를 5:5로 뭉쳐서 운좋게 벌어지는 한타에만 기댄다. 이것이 내가 자낳대를 팀게임이 아니라고 부른 첫 번째 이유다. 탑솔러 관점에서 벗어나, 내가 생각하는 팀게임이란 무엇인지에 대해 한 가지 더 이야기하면 각각의 역할을 부여받은 사람들이 게임 내에서 자신이 이기기 위한 롤이 무엇인지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자낳대 결승전 3세트에서 리신의 동선은 말 그대로 실망스럽고, 팀게임과 조합에 대해 아무것도 이해하지 못한 최악의 플레이이자 코칭의 실패이다. 이 게임에서 TSM은 레넥톤 리신 럼블 / 케이틀린 노틸러스 를 HPX는 문도 자르반 초가스 / 시비르 벨코즈 를 픽한다. 그리고 TSM은 적 레드 버프를 향해 5인이 들어가 문도의 플래쉬를 뺀다! https://youtu.be/h8fYNMz0DYk?t=7902 자낳대 결승전 대회영상 그리고 아무것도 안 하고 뒤로 뺀다. ...? 나는 솔직히 TSM이 5인 인베이드로 적 레드 버프를 들어간 순간 이것이 팀게임의 정수고 완벽한 코칭이라 생각했다가 크게 실망을 하지 않을 수 없었다. 왜냐하면 이 게임은 위아래로 정글이 갈라먹기를 하는 순간 HPX가 이길 방법이 존재하지 않는 조합차이가 나는 게임이었기 때문이다. TSM이 해야할 플레이는 5명이서 적 정글을 마저 파고든 뒤, 윗 정글 시야를 장악하고 리신이 적 레드 버프 스타트를 해서 수직 정글링(vertical jungling)을 하는 구도를 만드는 것이었다. 이런 구도가 생겼을 때 HPX의 상하체는 모든 측면에서 조합적으로 대처할 방법이 없다. 자르반 벨코즈 시비르라는 조합으로 케이틀린 노틸러스 상대로 다이브를 선택할 수도 없고, 자르반이 이미 자기 위쪽 정글 시야 장악이 완료된 상태에서 윗 정글을 선택할 수도 없다. 문도, 초가스라는 초반에 주도권하나 갖지 못하고 다이브에 취약한 조합을 쥐어쥔 상태에서 문도가 할 수 있는 플레이는 레넥톤이 빅웨이브를 쌓은 뒤 리신과 탑에 다이브하는 것에 죽는 것 뿐이다. 그런데 TSM은 5인 인베이드로 적 윗 정글에서 주도권을 잡은 상태에서 적 자르반이 레드버프를 챙기는 것을 허용하고 자신 레드 버프를 챙긴 뒤 윗동선을 잡는다. 그 과정에서 처음에 주도권을 가지면 뒤집기 힘든 상성인 노틸 / 케틀이 벨코즈 / 시비르에게 시작하자마자 스킬에 얻어터져서 반피가 된 상태로 복구 불가능한 수준으로 라인전이 망가진 것은 덤이다. 나는 절대 인섹이 내가 알고 있는 것을 몰라 치킨쿤이 저런 동선을 선택했으리라 생각하지 않지만, 2주라는 시간동안 저런 조합을 연습하면서 동선을 숙지시키지 않은 것은 미드라이너의 기량에만 기대하고 하늘에 기도만 하는 수준을 크게 벗어났다는 이야기를 듣지 않을 수 없다 생각한다. TSM에서 코칭을 통해 받은 5인의 역할은 단 하나였다고 생각한다. 미드는 캐리하고, 나머지는 버스 터뜨릴 생각만 하지 말라는 것이다. 이것을 과연 팀게임이라 할 수 있을까? 전 프로 선수들이 이렇게 많았는데도 이 정도 밖에 코칭이 될 수 없었던 것에 너무도 아쉬움이 많이 남는다.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kaestro님의 최근 게시물
|
프로급 운영이 아니라 레넥톤 리신을 고르는 픽밴을 할거라면 우리 리신이 윗 정글을 장악하도록 코칭을 하는 것은 굉장히 기본 중에 기본이라 생각합니다.
심지어 리신을 픽한 치킨쿤은 자낳대에서 가장 티어가 높은 다이아 정글러였죠.
탑솔러들이 스플릿을 하나도 하지 않고 계속해서 미드로 합류하려는 경향이 굉장히 심했고 이건 자낳대 전반적으로 코칭이 스플릿으로 뭐 하려하지 말고 그냥 미드로 모여 위주로 돌아가기 때문이었다고 생각합니다.
저격밴은 저격밴이고 자기가 해야할 일은 자기가 해야할 일이죠.
제가 원하는 건 절대 ... 더 보기
심지어 리신을 픽한 치킨쿤은 자낳대에서 가장 티어가 높은 다이아 정글러였죠.
탑솔러들이 스플릿을 하나도 하지 않고 계속해서 미드로 합류하려는 경향이 굉장히 심했고 이건 자낳대 전반적으로 코칭이 스플릿으로 뭐 하려하지 말고 그냥 미드로 모여 위주로 돌아가기 때문이었다고 생각합니다.
저격밴은 저격밴이고 자기가 해야할 일은 자기가 해야할 일이죠.
제가 원하는 건 절대 ... 더 보기
프로급 운영이 아니라 레넥톤 리신을 고르는 픽밴을 할거라면 우리 리신이 윗 정글을 장악하도록 코칭을 하는 것은 굉장히 기본 중에 기본이라 생각합니다.
심지어 리신을 픽한 치킨쿤은 자낳대에서 가장 티어가 높은 다이아 정글러였죠.
탑솔러들이 스플릿을 하나도 하지 않고 계속해서 미드로 합류하려는 경향이 굉장히 심했고 이건 자낳대 전반적으로 코칭이 스플릿으로 뭐 하려하지 말고 그냥 미드로 모여 위주로 돌아가기 때문이었다고 생각합니다.
저격밴은 저격밴이고 자기가 해야할 일은 자기가 해야할 일이죠.
제가 원하는 건 절대 프로급 운영이 아니라 자기들이 준비한 픽밴 내에서 자신이 뭘 할지에 대한 이해 수준인데 그냥 체급차로 너네 뭐 안해도 이기니까 아무것도 하지마 밖에 안 보이더군요.
선수로 출전하는 스트리머들은 굉장히 공을 많이 들인 것에 비해 연습의 방향성을 잡아줘야하는 코칭 스텝들이 팀 게임에 대한 이해를 시키기를 전 그냥 포기했다고 생각한 수준이었다고 생각합니다.
니들 브골실이니까 그냥 그 정도 하면 됐지. 니들이 하면 얼마나 하겠냐, 버스나 터뜨리지 말아라라는 생각이 굉장히 노골적으로 드러나는 게임 양상들이었다고 생각해서 굉장히 화가 났습니다.
그럴거면 코치가 왜 필요해요? 그건 코치 없어도 알아서 다 합니다
심지어 리신을 픽한 치킨쿤은 자낳대에서 가장 티어가 높은 다이아 정글러였죠.
탑솔러들이 스플릿을 하나도 하지 않고 계속해서 미드로 합류하려는 경향이 굉장히 심했고 이건 자낳대 전반적으로 코칭이 스플릿으로 뭐 하려하지 말고 그냥 미드로 모여 위주로 돌아가기 때문이었다고 생각합니다.
저격밴은 저격밴이고 자기가 해야할 일은 자기가 해야할 일이죠.
제가 원하는 건 절대 프로급 운영이 아니라 자기들이 준비한 픽밴 내에서 자신이 뭘 할지에 대한 이해 수준인데 그냥 체급차로 너네 뭐 안해도 이기니까 아무것도 하지마 밖에 안 보이더군요.
선수로 출전하는 스트리머들은 굉장히 공을 많이 들인 것에 비해 연습의 방향성을 잡아줘야하는 코칭 스텝들이 팀 게임에 대한 이해를 시키기를 전 그냥 포기했다고 생각한 수준이었다고 생각합니다.
니들 브골실이니까 그냥 그 정도 하면 됐지. 니들이 하면 얼마나 하겠냐, 버스나 터뜨리지 말아라라는 생각이 굉장히 노골적으로 드러나는 게임 양상들이었다고 생각해서 굉장히 화가 났습니다.
그럴거면 코치가 왜 필요해요? 그건 코치 없어도 알아서 다 합니다
티어가 돼야 역할을 수행한다는게 아니라 자기 역할이 무엇인지에 대해 인지하지 못한다는 것이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그 역할이 뭔지를 알려주려는 노력자체를 안한다는 것이 문제라고 생각하구요.
3세트는 리신을 고르고 게임을 이겼는데 저런식으로 정글 동선을 선택할거면 리신이 아니라 어떤 챔피언을 골랐어도 게임을 이기는데 문제가 없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계속해서 이야기하지만 저는 높은 티어 수준의 게임이 나오지 않은 것에 불만을 표하는 것이 아니라 코칭 방식이 각각의 구성원들에게 자기 라인에서 할 수 있는 최선의 역량을 끌어올... 더 보기
그리고 그 역할이 뭔지를 알려주려는 노력자체를 안한다는 것이 문제라고 생각하구요.
3세트는 리신을 고르고 게임을 이겼는데 저런식으로 정글 동선을 선택할거면 리신이 아니라 어떤 챔피언을 골랐어도 게임을 이기는데 문제가 없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계속해서 이야기하지만 저는 높은 티어 수준의 게임이 나오지 않은 것에 불만을 표하는 것이 아니라 코칭 방식이 각각의 구성원들에게 자기 라인에서 할 수 있는 최선의 역량을 끌어올... 더 보기
티어가 돼야 역할을 수행한다는게 아니라 자기 역할이 무엇인지에 대해 인지하지 못한다는 것이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그 역할이 뭔지를 알려주려는 노력자체를 안한다는 것이 문제라고 생각하구요.
3세트는 리신을 고르고 게임을 이겼는데 저런식으로 정글 동선을 선택할거면 리신이 아니라 어떤 챔피언을 골랐어도 게임을 이기는데 문제가 없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계속해서 이야기하지만 저는 높은 티어 수준의 게임이 나오지 않은 것에 불만을 표하는 것이 아니라 코칭 방식이 각각의 구성원들에게 자기 라인에서 할 수 있는 최선의 역량을 끌어올리려는 노력을 하는 방향으로 진행되는 것이 아니라, 아무것도 안하면 게임 이기니까 아무것도 하지 말라는 식으로 진행되는 것에 불만입니다.
그런건 팀게임이 아니라 1명에 업혀가는 4명의 짐덩어리밖에 안되니까요
그리고 그 역할이 뭔지를 알려주려는 노력자체를 안한다는 것이 문제라고 생각하구요.
3세트는 리신을 고르고 게임을 이겼는데 저런식으로 정글 동선을 선택할거면 리신이 아니라 어떤 챔피언을 골랐어도 게임을 이기는데 문제가 없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계속해서 이야기하지만 저는 높은 티어 수준의 게임이 나오지 않은 것에 불만을 표하는 것이 아니라 코칭 방식이 각각의 구성원들에게 자기 라인에서 할 수 있는 최선의 역량을 끌어올리려는 노력을 하는 방향으로 진행되는 것이 아니라, 아무것도 안하면 게임 이기니까 아무것도 하지 말라는 식으로 진행되는 것에 불만입니다.
그런건 팀게임이 아니라 1명에 업혀가는 4명의 짐덩어리밖에 안되니까요
룩오라 경기가 대표적으로 팀원이 스플릿에 대한 이해도가 떨어져서 터진 게임이죠.
기본적으로 스플릿 푸셔가 원하는건 팀원이 자기쪽으로 붙어주는게 아니라 자기가 일대일로 상대를 뚫을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는겁니다.
대형 오브젝트가 장로, 바론 둘 다 있는 상태에서 미드 대치하면서 시야 내주고 상대를 위쪽으로 끌고 가 주면 되는데 룩쌍너지옥이 선택한건 피오라 있는 곳에 헤쳐모여죠.
스플릿 푸셔 입장에서 팀원들이 했을 때 최악의 플레입니다. 심지어 피오라는 텔레포트도 있는데요.
평소에 연습할때 룩삼이 스플릿 푸셔를 해본적이 있긴 한건가 싶은 움직임이더군요.
기본적으로 스플릿 푸셔가 원하는건 팀원이 자기쪽으로 붙어주는게 아니라 자기가 일대일로 상대를 뚫을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는겁니다.
대형 오브젝트가 장로, 바론 둘 다 있는 상태에서 미드 대치하면서 시야 내주고 상대를 위쪽으로 끌고 가 주면 되는데 룩쌍너지옥이 선택한건 피오라 있는 곳에 헤쳐모여죠.
스플릿 푸셔 입장에서 팀원들이 했을 때 최악의 플레입니다. 심지어 피오라는 텔레포트도 있는데요.
평소에 연습할때 룩삼이 스플릿 푸셔를 해본적이 있긴 한건가 싶은 움직임이더군요.
저도 스트리머분들이 노력을 많이 하시는 모습이 되게 보기 좋고, 그렇기 때문에 더 안타깝다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개인적으로는 단순히 스크림을 계속 돌리는 것이 아니라, 게임을 통해 자신이 어떤 플레이를 개선해야하는지에 대한 방향성을 정확히 짚어주는 것이 코칭 스텝이 존재하는 이유라고 생각합니다.
그런 점에서 코치 감독들의 역할은 제가 느낄 때 스크림 잡아주고, 옆에서 응원하는 수준을 벗어나지 못했던 것 같아요.
특히나 이번에 어쩔 수 없이 정글러로 기용된 동수칸 같은 경우는 솔로랭크로 정글을 플레이하면서 골드로 강등... 더 보기
개인적으로는 단순히 스크림을 계속 돌리는 것이 아니라, 게임을 통해 자신이 어떤 플레이를 개선해야하는지에 대한 방향성을 정확히 짚어주는 것이 코칭 스텝이 존재하는 이유라고 생각합니다.
그런 점에서 코치 감독들의 역할은 제가 느낄 때 스크림 잡아주고, 옆에서 응원하는 수준을 벗어나지 못했던 것 같아요.
특히나 이번에 어쩔 수 없이 정글러로 기용된 동수칸 같은 경우는 솔로랭크로 정글을 플레이하면서 골드로 강등... 더 보기
저도 스트리머분들이 노력을 많이 하시는 모습이 되게 보기 좋고, 그렇기 때문에 더 안타깝다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개인적으로는 단순히 스크림을 계속 돌리는 것이 아니라, 게임을 통해 자신이 어떤 플레이를 개선해야하는지에 대한 방향성을 정확히 짚어주는 것이 코칭 스텝이 존재하는 이유라고 생각합니다.
그런 점에서 코치 감독들의 역할은 제가 느낄 때 스크림 잡아주고, 옆에서 응원하는 수준을 벗어나지 못했던 것 같아요.
특히나 이번에 어쩔 수 없이 정글러로 기용된 동수칸 같은 경우는 솔로랭크로 정글을 플레이하면서 골드로 강등까지 됐는데 이번 대회가 끝날때까지 정글링의 기본조차 안 잡혔어요.
그리고 저는 그게 동수칸의 잘못이 아니라 그를 제대로 지도해준 사람이 없었던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해당 스트리머는 게임하는데 스트레스도 엄청 많이 받고 각종 비난에 노출됐는데 정글은 어차피 못하니까라는 생각에 제대로된 피드백도 안 해주는 것 같다는 인상을 지우기가 힘들더군요.
동수칸이 정글 도는 개인화면을 정글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있는 사람이 3분만 쳐다봐도 굉장히 사소하지만 향상할 수 있을 법한 디테일들이 굉장히 많았습니다.
개인적으로는 그리고 동수칸이 게임하는 걸 보면서 굉장히 절망했던 것 중 하나는 왜 정글을 안 해본 사람들이 게임이 망했다하면 정글러 탓을 하는지 어느 정도 이해하게 되더라구요.
그래도 플레티넘도 달아보고, 게임도 굉장히 오랫동안 많이 플레이했던 사람조차 정글에 대해 아주 기초적인 수준의 이해도 못할거라고 저는 이 자낳대를 보기 전까지는 상상도 못했거든요.
개인적으로는 단순히 스크림을 계속 돌리는 것이 아니라, 게임을 통해 자신이 어떤 플레이를 개선해야하는지에 대한 방향성을 정확히 짚어주는 것이 코칭 스텝이 존재하는 이유라고 생각합니다.
그런 점에서 코치 감독들의 역할은 제가 느낄 때 스크림 잡아주고, 옆에서 응원하는 수준을 벗어나지 못했던 것 같아요.
특히나 이번에 어쩔 수 없이 정글러로 기용된 동수칸 같은 경우는 솔로랭크로 정글을 플레이하면서 골드로 강등까지 됐는데 이번 대회가 끝날때까지 정글링의 기본조차 안 잡혔어요.
그리고 저는 그게 동수칸의 잘못이 아니라 그를 제대로 지도해준 사람이 없었던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해당 스트리머는 게임하는데 스트레스도 엄청 많이 받고 각종 비난에 노출됐는데 정글은 어차피 못하니까라는 생각에 제대로된 피드백도 안 해주는 것 같다는 인상을 지우기가 힘들더군요.
동수칸이 정글 도는 개인화면을 정글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있는 사람이 3분만 쳐다봐도 굉장히 사소하지만 향상할 수 있을 법한 디테일들이 굉장히 많았습니다.
개인적으로는 그리고 동수칸이 게임하는 걸 보면서 굉장히 절망했던 것 중 하나는 왜 정글을 안 해본 사람들이 게임이 망했다하면 정글러 탓을 하는지 어느 정도 이해하게 되더라구요.
그래도 플레티넘도 달아보고, 게임도 굉장히 오랫동안 많이 플레이했던 사람조차 정글에 대해 아주 기초적인 수준의 이해도 못할거라고 저는 이 자낳대를 보기 전까지는 상상도 못했거든요.
진지하게 시작하는 순간 지는 스트리머 이벤트를 너무 열심히 분석하셨네요. 딱 자낳대 수준에서 분석은 (라인전 - 실력&챔프 상성), (중반 이후 교전 당시 위치 - 스킬 활용은 잘하면 칭찬) 이정도가 정석입니다. 서로 몇 번 씩 주고 받으며 비벼지는 전형적인 하위티어 게임이죠.
별개로 제가 다시 읽어도 더럽게 못 쓴 글이라는 생각이 들지만, 제가 이야기하고 싶은 티어만 남은이란건 코칭에서 가장 높은티어에게 모든 것을 올인하고 나머지는 아무것도 하지 말라고 하는 것이 느껴진다는 부분이었고 그 부분이 강조하고 싶었어요.
제가 느낄 땐 자낳대의 플레이어들이 축구로 따지면 너는 멀쩡한 패스, 슛 못하니까 그냥 쟤한테 패스만 넣고 상대 뛰어오면 붙기만 해라는 코칭을 받았다는 느낌이었거든요.
근데 그 비유에서 생각을 좀 더 나아가서 근데 만약 저 팀게임을 축구 그대로 비유해서 생각해서 3부리그에 메시가 하... 더 보기
제가 느낄 땐 자낳대의 플레이어들이 축구로 따지면 너는 멀쩡한 패스, 슛 못하니까 그냥 쟤한테 패스만 넣고 상대 뛰어오면 붙기만 해라는 코칭을 받았다는 느낌이었거든요.
근데 그 비유에서 생각을 좀 더 나아가서 근데 만약 저 팀게임을 축구 그대로 비유해서 생각해서 3부리그에 메시가 하... 더 보기
별개로 제가 다시 읽어도 더럽게 못 쓴 글이라는 생각이 들지만, 제가 이야기하고 싶은 티어만 남은이란건 코칭에서 가장 높은티어에게 모든 것을 올인하고 나머지는 아무것도 하지 말라고 하는 것이 느껴진다는 부분이었고 그 부분이 강조하고 싶었어요.
제가 느낄 땐 자낳대의 플레이어들이 축구로 따지면 너는 멀쩡한 패스, 슛 못하니까 그냥 쟤한테 패스만 넣고 상대 뛰어오면 붙기만 해라는 코칭을 받았다는 느낌이었거든요.
근데 그 비유에서 생각을 좀 더 나아가서 근데 만약 저 팀게임을 축구 그대로 비유해서 생각해서 3부리그에 메시가 하나 끼어있다면 애초에 코치들이 코칭을 할 때 그런 방향으로 나가는게 당연하겠다는 생각도 닿더라구요.
결국엔 팀게임이란게 의미가 없을 정도로 개인 실력차가 나는데 뭔놈의 코칭이고 뭔놈의 팀게임이냐가 맞는 판단이었던 것 같더라구요.
실제로 자낳대 마지막 경기는 해설들이 tam의 한타력 승리로 포장했지만 그냥 지수소녀의 개인기량으로 하위구간 버스끌고가는 쇼였죠...
그냥 제 기대가 허황됐던거 같아요ㅋㅋ
말씀하신 트롤로 연패하고 여포짓하는 사람은 누가 있었을까요? 전 다들 딱 자기 티어만큼 게임하는 것 같던데.
지금 현티어 플레고 실제로도 플레수준으로 게임하는데 자기는 다이아라고 근본이 다르다면서 계속 쓰로윙하는 재넌 빼구요
제가 느낄 땐 자낳대의 플레이어들이 축구로 따지면 너는 멀쩡한 패스, 슛 못하니까 그냥 쟤한테 패스만 넣고 상대 뛰어오면 붙기만 해라는 코칭을 받았다는 느낌이었거든요.
근데 그 비유에서 생각을 좀 더 나아가서 근데 만약 저 팀게임을 축구 그대로 비유해서 생각해서 3부리그에 메시가 하나 끼어있다면 애초에 코치들이 코칭을 할 때 그런 방향으로 나가는게 당연하겠다는 생각도 닿더라구요.
결국엔 팀게임이란게 의미가 없을 정도로 개인 실력차가 나는데 뭔놈의 코칭이고 뭔놈의 팀게임이냐가 맞는 판단이었던 것 같더라구요.
실제로 자낳대 마지막 경기는 해설들이 tam의 한타력 승리로 포장했지만 그냥 지수소녀의 개인기량으로 하위구간 버스끌고가는 쇼였죠...
그냥 제 기대가 허황됐던거 같아요ㅋㅋ
말씀하신 트롤로 연패하고 여포짓하는 사람은 누가 있었을까요? 전 다들 딱 자기 티어만큼 게임하는 것 같던데.
지금 현티어 플레고 실제로도 플레수준으로 게임하는데 자기는 다이아라고 근본이 다르다면서 계속 쓰로윙하는 재넌 빼구요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