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뻘소리
이걸 그 어디서 봤더라... 아모튼 어디서 본건데
1 사람들에게 0부터 100까지의 숫자를 적어내라고합니다.
2 그리고 이렇게 사람들이 적어낸 숫자 평균의 절반을 적어낸사람에게 상을 주겠다고 제안하는 겁니다.
그러면 이 제안을 받은 사람은 이렇게 생각합니다.
1 모든 사람들이 1부터 100까지의 숫자를 랜덤하... 더 보기
이걸 그 어디서 봤더라... 아모튼 어디서 본건데
1 사람들에게 0부터 100까지의 숫자를 적어내라고합니다.
2 그리고 이렇게 사람들이 적어낸 숫자 평균의 절반을 적어낸사람에게 상을 주겠다고 제안하는 겁니다.
그러면 이 제안을 받은 사람은 이렇게 생각합니다.
1 모든 사람들이 1부터 100까지의 숫자를 랜덤하... 더 보기
#오늘의뻘소리
이걸 그 어디서 봤더라... 아모튼 어디서 본건데
1 사람들에게 0부터 100까지의 숫자를 적어내라고합니다.
2 그리고 이렇게 사람들이 적어낸 숫자 평균의 절반을 적어낸사람에게 상을 주겠다고 제안하는 겁니다.
그러면 이 제안을 받은 사람은 이렇게 생각합니다.
1 모든 사람들이 1부터 100까지의 숫자를 랜덤하게 적어낸다면 답은 25가 될것이다
2 하지만 모든 사람들이 1처럼 생각해서 전부 25를 적어낸다면 답은 12가 될것이다.
3 하지만 모든 사람들이 2처럼 생각해서 전부 12를 적어낸다면 답은 6가 될것이다.
...하는식으로 쭉쭉이어지다보면
정답은 사실 모든 사람이 0을 적어내고 모든 사람들이 평균을 맞췄으므로 모든 사람들이 상을 획득하게 됩니다.
근데 실제로 이런 실험을 해보면 보통 2에서 정답이 나온다고 합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25를 적어내고 12를 적은 소수가 상품을 얻어간다고?
저는 이걸 항상 떠올릴때가 언제나면
누가 주식시장이나 부동산 시장에서 성공하느냐는 싸움에서
이런 시장에서의 싸움은
1처럼 평균에 들어가는 사람도 지는 싸움이고
3처럼 너무 많이 생각한 사람도 지는 싸움인데
묘하게 2안을 선택해서 찾아갈줄 아는 사람들이
이 게임에서 이기는것 같다...는 생각
이걸 그 어디서 봤더라... 아모튼 어디서 본건데
1 사람들에게 0부터 100까지의 숫자를 적어내라고합니다.
2 그리고 이렇게 사람들이 적어낸 숫자 평균의 절반을 적어낸사람에게 상을 주겠다고 제안하는 겁니다.
그러면 이 제안을 받은 사람은 이렇게 생각합니다.
1 모든 사람들이 1부터 100까지의 숫자를 랜덤하게 적어낸다면 답은 25가 될것이다
2 하지만 모든 사람들이 1처럼 생각해서 전부 25를 적어낸다면 답은 12가 될것이다.
3 하지만 모든 사람들이 2처럼 생각해서 전부 12를 적어낸다면 답은 6가 될것이다.
...하는식으로 쭉쭉이어지다보면
정답은 사실 모든 사람이 0을 적어내고 모든 사람들이 평균을 맞췄으므로 모든 사람들이 상을 획득하게 됩니다.
근데 실제로 이런 실험을 해보면 보통 2에서 정답이 나온다고 합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25를 적어내고 12를 적은 소수가 상품을 얻어간다고?
저는 이걸 항상 떠올릴때가 언제나면
누가 주식시장이나 부동산 시장에서 성공하느냐는 싸움에서
이런 시장에서의 싸움은
1처럼 평균에 들어가는 사람도 지는 싸움이고
3처럼 너무 많이 생각한 사람도 지는 싸움인데
묘하게 2안을 선택해서 찾아갈줄 아는 사람들이
이 게임에서 이기는것 같다...는 생각
3
ㅋㅋㅋ 머 아모튼 저런 구조였으나
기억은 저도 잘 나지 안는다......
요즘은 근데 그런 책 읽어보고 자기 블로그에 마치 자기이야기인양 적는 사람도 많아서
아마 그런데서 주워들었을지도 모르겠읍니다
기억은 저도 잘 나지 안는다......
요즘은 근데 그런 책 읽어보고 자기 블로그에 마치 자기이야기인양 적는 사람도 많아서
아마 그런데서 주워들었을지도 모르겠읍니다
#오늘의뻘소리
저는 국가지도자란 일종의 국가 그자체가 현신(incarnate)한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세종대왕이 ㅇㅁㅇㅁ한 업적 많이 세웠으나
애초에 그 세종의 집권 시기 자체가
이런저런 이유로 국가 GDP가 급증하는 시기에 있었고
(원나라 지배로부터 독립 / 사병 혁파 / 왕권 안정 / 농업기술 발달 등등)
그 시기에... 더 보기
저는 국가지도자란 일종의 국가 그자체가 현신(incarnate)한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세종대왕이 ㅇㅁㅇㅁ한 업적 많이 세웠으나
애초에 그 세종의 집권 시기 자체가
이런저런 이유로 국가 GDP가 급증하는 시기에 있었고
(원나라 지배로부터 독립 / 사병 혁파 / 왕권 안정 / 농업기술 발달 등등)
그 시기에... 더 보기
#오늘의뻘소리
저는 국가지도자란 일종의 국가 그자체가 현신(incarnate)한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세종대왕이 ㅇㅁㅇㅁ한 업적 많이 세웠으나
애초에 그 세종의 집권 시기 자체가
이런저런 이유로 국가 GDP가 급증하는 시기에 있었고
(원나라 지배로부터 독립 / 사병 혁파 / 왕권 안정 / 농업기술 발달 등등)
그 시기에는 충녕대군이 아니라
양녕, 효령, 심지어는 연산대군이 즉위했다한들
비슷한 성과를 냈을 가능성이 꽤 있지 않나 생각하는 편입니다.
박정희가 없었으면 포항제철소 없고 경부고속도로 없었을까... 아닐것 같고
김영삼이 아니라 김대중이었으면 하나회 척결 못하고 금융실명제 못했을까... 역시 아닐것 같읍니다.
반대로 역시 김대중이었다면 IMF안왔을까? 역시 비슷하게 왔을것 같은 너낌이랄까요 ㅋㅋ
결국은 모든 것이 다 대통령 성과도 아니고 모든것이 다 대통령 책임도 아니지만
그냥 그분은 그냥 한 시대를 상징하는 현신이고 incarnate이시라
뭐 좋은 일 있으면 다 그분덕인양 칭송하고
머 나쁜 일 있으면 다 그놈탓인양 욕하는거지
그게 꼭 머 그놈 뽑아야먄 나라가 잘 굴러가고 저놈 뽑았으면 나라 망했을꺼다 할수 있는건가..
(댓글로 께속)
저는 국가지도자란 일종의 국가 그자체가 현신(incarnate)한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세종대왕이 ㅇㅁㅇㅁ한 업적 많이 세웠으나
애초에 그 세종의 집권 시기 자체가
이런저런 이유로 국가 GDP가 급증하는 시기에 있었고
(원나라 지배로부터 독립 / 사병 혁파 / 왕권 안정 / 농업기술 발달 등등)
그 시기에는 충녕대군이 아니라
양녕, 효령, 심지어는 연산대군이 즉위했다한들
비슷한 성과를 냈을 가능성이 꽤 있지 않나 생각하는 편입니다.
박정희가 없었으면 포항제철소 없고 경부고속도로 없었을까... 아닐것 같고
김영삼이 아니라 김대중이었으면 하나회 척결 못하고 금융실명제 못했을까... 역시 아닐것 같읍니다.
반대로 역시 김대중이었다면 IMF안왔을까? 역시 비슷하게 왔을것 같은 너낌이랄까요 ㅋㅋ
결국은 모든 것이 다 대통령 성과도 아니고 모든것이 다 대통령 책임도 아니지만
그냥 그분은 그냥 한 시대를 상징하는 현신이고 incarnate이시라
뭐 좋은 일 있으면 다 그분덕인양 칭송하고
머 나쁜 일 있으면 다 그놈탓인양 욕하는거지
그게 꼭 머 그놈 뽑아야먄 나라가 잘 굴러가고 저놈 뽑았으면 나라 망했을꺼다 할수 있는건가..
(댓글로 께속)
6
물론 지금 당장 현세를 살다보면 이게 다 저놈 탓인것 같고
저놈만은 다르다! 저놈만은! 을 외치고 싶은 마음이야 누구나 굴뚝 같지만
실상은 꼭 그렇지만은 않을지도..
그래서 저는 그 뭐랄까
킹쨋든 대통령이었던 사람이면 감옥 보내지 말아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명박근혜시절에 어떤 좋은 정책이 있었다한들
그 재임 대통령이 막 징역을 선고받고 감옥을 가버리거 하면
일단 그 시절 정책이면 다 나쁜 정책이다. 하는 색안경이 씌워져버리는 경향이 저는 좀 탐탁지 않달까요.
물론 현세의 당대의 저놈을 딱 보고있으면
아 딱 저... 더 보기
저놈만은 다르다! 저놈만은! 을 외치고 싶은 마음이야 누구나 굴뚝 같지만
실상은 꼭 그렇지만은 않을지도..
그래서 저는 그 뭐랄까
킹쨋든 대통령이었던 사람이면 감옥 보내지 말아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명박근혜시절에 어떤 좋은 정책이 있었다한들
그 재임 대통령이 막 징역을 선고받고 감옥을 가버리거 하면
일단 그 시절 정책이면 다 나쁜 정책이다. 하는 색안경이 씌워져버리는 경향이 저는 좀 탐탁지 않달까요.
물론 현세의 당대의 저놈을 딱 보고있으면
아 딱 저... 더 보기
물론 지금 당장 현세를 살다보면 이게 다 저놈 탓인것 같고
저놈만은 다르다! 저놈만은! 을 외치고 싶은 마음이야 누구나 굴뚝 같지만
실상은 꼭 그렇지만은 않을지도..
그래서 저는 그 뭐랄까
킹쨋든 대통령이었던 사람이면 감옥 보내지 말아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명박근혜시절에 어떤 좋은 정책이 있었다한들
그 재임 대통령이 막 징역을 선고받고 감옥을 가버리거 하면
일단 그 시절 정책이면 다 나쁜 정책이다. 하는 색안경이 씌워져버리는 경향이 저는 좀 탐탁지 않달까요.
물론 현세의 당대의 저놈을 딱 보고있으면
아 딱 저놈까지만 감옥 보내고 그 다음 놈부터 감옥 안보내는걸로 하면 안될까?
야 아모리 그래도 이놈까지만 탄핵하고 다음 놈부터는 좀 임기보장도 해주고 그러자아
하는 생각이 저도 굴뚝 같읍니다만
대충 그 머랄까 '야 딱 이 담배까지만 피우고 끊을꺼다'하는 심리 아닌가 하고 생각하고 있읍니다.
최대한, 가급적 최대한, 하... xx로마 이 xx기야
좀 잘 좀 해봐라. 진짜...
저놈만은 다르다! 저놈만은! 을 외치고 싶은 마음이야 누구나 굴뚝 같지만
실상은 꼭 그렇지만은 않을지도..
그래서 저는 그 뭐랄까
킹쨋든 대통령이었던 사람이면 감옥 보내지 말아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명박근혜시절에 어떤 좋은 정책이 있었다한들
그 재임 대통령이 막 징역을 선고받고 감옥을 가버리거 하면
일단 그 시절 정책이면 다 나쁜 정책이다. 하는 색안경이 씌워져버리는 경향이 저는 좀 탐탁지 않달까요.
물론 현세의 당대의 저놈을 딱 보고있으면
아 딱 저놈까지만 감옥 보내고 그 다음 놈부터 감옥 안보내는걸로 하면 안될까?
야 아모리 그래도 이놈까지만 탄핵하고 다음 놈부터는 좀 임기보장도 해주고 그러자아
하는 생각이 저도 굴뚝 같읍니다만
대충 그 머랄까 '야 딱 이 담배까지만 피우고 끊을꺼다'하는 심리 아닌가 하고 생각하고 있읍니다.
최대한, 가급적 최대한, 하... xx로마 이 xx기야
좀 잘 좀 해봐라. 진짜...
미묘해지는것 맞으니까 = 저도 자신 없으니까
언제든 제가 언제 그랬읍니까? 할 생각으로 적는게 #뻘소리시리즈 의 취지이긴 합니다? ㅋㅋㅋㅋㅋ
다만 그 뭐랄까
잘 보면 저사람의 성과가 아닌데도 저사람의 성과처럼 되어버리는 것이 있잖읍니까
예를들어 코로나 방역도 그게 문재인의 성과이겠읍니까 아니면 정은경질병관리본부장의 성과이겠읍니까, 하지만 다들 문재인 성과인것처럼 생각하는 그런 그 공과의 전이현상이라... 더 보기
언제든 제가 언제 그랬읍니까? 할 생각으로 적는게 #뻘소리시리즈 의 취지이긴 합니다? ㅋㅋㅋㅋㅋ
다만 그 뭐랄까
잘 보면 저사람의 성과가 아닌데도 저사람의 성과처럼 되어버리는 것이 있잖읍니까
예를들어 코로나 방역도 그게 문재인의 성과이겠읍니까 아니면 정은경질병관리본부장의 성과이겠읍니까, 하지만 다들 문재인 성과인것처럼 생각하는 그런 그 공과의 전이현상이라... 더 보기
미묘해지는것 맞으니까 = 저도 자신 없으니까
언제든 제가 언제 그랬읍니까? 할 생각으로 적는게 #뻘소리시리즈 의 취지이긴 합니다? ㅋㅋㅋㅋㅋ
다만 그 뭐랄까
잘 보면 저사람의 성과가 아닌데도 저사람의 성과처럼 되어버리는 것이 있잖읍니까
예를들어 코로나 방역도 그게 문재인의 성과이겠읍니까 아니면 정은경질병관리본부장의 성과이겠읍니까, 하지만 다들 문재인 성과인것처럼 생각하는 그런 그 공과의 전이현상이라해야하나? 암튼 그런게 막 발생해버리는 지위가 아예 없다면 저에게는 사실 최상으로 좋겠읍니다만 그런 시대의 공과를 모두 빨아들이는 자리가 있어버린다고 한다면...
ㅋㅋㅋ 근데 사실 저도 잘 모르겠어욥 ㅋㅋㅋㅋㅋ
언제든 제가 언제 그랬읍니까? 할 생각으로 적는게 #뻘소리시리즈 의 취지이긴 합니다? ㅋㅋㅋㅋㅋ
다만 그 뭐랄까
잘 보면 저사람의 성과가 아닌데도 저사람의 성과처럼 되어버리는 것이 있잖읍니까
예를들어 코로나 방역도 그게 문재인의 성과이겠읍니까 아니면 정은경질병관리본부장의 성과이겠읍니까, 하지만 다들 문재인 성과인것처럼 생각하는 그런 그 공과의 전이현상이라해야하나? 암튼 그런게 막 발생해버리는 지위가 아예 없다면 저에게는 사실 최상으로 좋겠읍니다만 그런 시대의 공과를 모두 빨아들이는 자리가 있어버린다고 한다면...
ㅋㅋㅋ 근데 사실 저도 잘 모르겠어욥 ㅋㅋㅋㅋㅋ
일평생 박빠이신 아부지 (폰 통화연결음이 새아침이 밝았네~새마을운동노래..임미다) 는 "그분덕에 늬들까지 먹고사는거" 람서 코로나땐 "방역은 다같이 잘한것" 이라고..ㅡㅡ;;
#오늘의뻘소리
철가방이 중국집에 고용될수 있었던 이유에는 사측이 저렴한 비용에 철가방을 고용할수 있었다는 이유도 있지만
철가방 입장에서도 저렴한 임금을 감수하고 몇년만 여기서 구르고 나면
기술을 배워 중국집을 차려 나갈수 있다는 보장도 있었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인구구조가 피라미드 형태이고
또 그 인구가 급속도로... 더 보기
철가방이 중국집에 고용될수 있었던 이유에는 사측이 저렴한 비용에 철가방을 고용할수 있었다는 이유도 있지만
철가방 입장에서도 저렴한 임금을 감수하고 몇년만 여기서 구르고 나면
기술을 배워 중국집을 차려 나갈수 있다는 보장도 있었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인구구조가 피라미드 형태이고
또 그 인구가 급속도로... 더 보기
#오늘의뻘소리
철가방이 중국집에 고용될수 있었던 이유에는 사측이 저렴한 비용에 철가방을 고용할수 있었다는 이유도 있지만
철가방 입장에서도 저렴한 임금을 감수하고 몇년만 여기서 구르고 나면
기술을 배워 중국집을 차려 나갈수 있다는 보장도 있었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인구구조가 피라미드 형태이고
또 그 인구가 급속도로 증가하며 경제성장률도 높은 사회라면
중국집을 차리는 즉시 장사가 잘될겁니다.
즉, [A 지금 당장의 저소득을 일부 감내하면 나중에 고소득 직장을 차릴수 있는 기술을 가르쳐주기 때문]에
노동자 입장에서도 저임금 철가방 생활을 감내하는것.
(댓글로께솤)
철가방이 중국집에 고용될수 있었던 이유에는 사측이 저렴한 비용에 철가방을 고용할수 있었다는 이유도 있지만
철가방 입장에서도 저렴한 임금을 감수하고 몇년만 여기서 구르고 나면
기술을 배워 중국집을 차려 나갈수 있다는 보장도 있었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인구구조가 피라미드 형태이고
또 그 인구가 급속도로 증가하며 경제성장률도 높은 사회라면
중국집을 차리는 즉시 장사가 잘될겁니다.
즉, [A 지금 당장의 저소득을 일부 감내하면 나중에 고소득 직장을 차릴수 있는 기술을 가르쳐주기 때문]에
노동자 입장에서도 저임금 철가방 생활을 감내하는것.
(댓글로께솤)
5
A문장에 해당하는 공식은 사실 우리 사회 모든 분야에 오랫동안 존재해왔습니다.
생각해보면 연공급여제도 A에 해당하는 시스템이고,
좀 더 거칠게 생각해보면 몇몇 이등병이 소대내 모든 빨래를 다 감당해야하는 군대내 부조리도 A시스템임.
A에 해당하는 모든 시스템은 지난 수십년간 한국에서 다 박살났습니다.
그래서 지금의 전공의 시스템이 그런 형태로 존재하고 있었다는 것 자체가 사실 되게 신기했습니다.
어떤 식으로든, 경제적 / 문화적으로 박살날수밖에 없었던 시스템임.
저 시스템이 박살나지 않고 지금까지 유지되어왔다는것 자체... 더 보기
생각해보면 연공급여제도 A에 해당하는 시스템이고,
좀 더 거칠게 생각해보면 몇몇 이등병이 소대내 모든 빨래를 다 감당해야하는 군대내 부조리도 A시스템임.
A에 해당하는 모든 시스템은 지난 수십년간 한국에서 다 박살났습니다.
그래서 지금의 전공의 시스템이 그런 형태로 존재하고 있었다는 것 자체가 사실 되게 신기했습니다.
어떤 식으로든, 경제적 / 문화적으로 박살날수밖에 없었던 시스템임.
저 시스템이 박살나지 않고 지금까지 유지되어왔다는것 자체... 더 보기
A문장에 해당하는 공식은 사실 우리 사회 모든 분야에 오랫동안 존재해왔습니다.
생각해보면 연공급여제도 A에 해당하는 시스템이고,
좀 더 거칠게 생각해보면 몇몇 이등병이 소대내 모든 빨래를 다 감당해야하는 군대내 부조리도 A시스템임.
A에 해당하는 모든 시스템은 지난 수십년간 한국에서 다 박살났습니다.
그래서 지금의 전공의 시스템이 그런 형태로 존재하고 있었다는 것 자체가 사실 되게 신기했습니다.
어떤 식으로든, 경제적 / 문화적으로 박살날수밖에 없었던 시스템임.
저 시스템이 박살나지 않고 지금까지 유지되어왔다는것 자체가
어디에선가 저 시스템이 계속 유지될수 있게끔하는 외부 자원이나 노력이 투입되었음에 틀림없다는 것입니다.
그 투입된 노력에는 전공의들 스스로의 막대한 노동시간도 있었겠습니다만
동시에 전공의들의 삶을 뒷받침해주는 전공의들의 부모님들이 빨래를 대신해줬다거나 하는류의 투입도 있었을것이고 뭐 아무튼 그러함..
생각해보면 연공급여제도 A에 해당하는 시스템이고,
좀 더 거칠게 생각해보면 몇몇 이등병이 소대내 모든 빨래를 다 감당해야하는 군대내 부조리도 A시스템임.
A에 해당하는 모든 시스템은 지난 수십년간 한국에서 다 박살났습니다.
그래서 지금의 전공의 시스템이 그런 형태로 존재하고 있었다는 것 자체가 사실 되게 신기했습니다.
어떤 식으로든, 경제적 / 문화적으로 박살날수밖에 없었던 시스템임.
저 시스템이 박살나지 않고 지금까지 유지되어왔다는것 자체가
어디에선가 저 시스템이 계속 유지될수 있게끔하는 외부 자원이나 노력이 투입되었음에 틀림없다는 것입니다.
그 투입된 노력에는 전공의들 스스로의 막대한 노동시간도 있었겠습니다만
동시에 전공의들의 삶을 뒷받침해주는 전공의들의 부모님들이 빨래를 대신해줬다거나 하는류의 투입도 있었을것이고 뭐 아무튼 그러함..
그리고 아무도 이부분에 집중하지 않는것 같아서 굳이 언급해보자면
국민들이 생각보다 이 의료공백 장기화에 큰 우려를 나타내고 있지 않는것 같아 보입니다.
의료공백사태가 처음 시작될때만해도 정부 정책에 대한 지지가 압도적이었지만
장기화될수록 정부가 부담을 감당하지 못할만큼 역풍이 불것 아닌가 하는 관측이 많았는데
지금와서 돌이켜보면 '정부 정책 지지가 여당 지지로 이어지지는 않았다' 정도이지
이게 무슨 다시 역풍이 되어서 정부에게 걸림돌이 되는 사태까지는 역풍이 불지 않았습니다.
의대 교수님들이라거나 뭐 다른 전문의 ... 더 보기
국민들이 생각보다 이 의료공백 장기화에 큰 우려를 나타내고 있지 않는것 같아 보입니다.
의료공백사태가 처음 시작될때만해도 정부 정책에 대한 지지가 압도적이었지만
장기화될수록 정부가 부담을 감당하지 못할만큼 역풍이 불것 아닌가 하는 관측이 많았는데
지금와서 돌이켜보면 '정부 정책 지지가 여당 지지로 이어지지는 않았다' 정도이지
이게 무슨 다시 역풍이 되어서 정부에게 걸림돌이 되는 사태까지는 역풍이 불지 않았습니다.
의대 교수님들이라거나 뭐 다른 전문의 ... 더 보기
그리고 아무도 이부분에 집중하지 않는것 같아서 굳이 언급해보자면
국민들이 생각보다 이 의료공백 장기화에 큰 우려를 나타내고 있지 않는것 같아 보입니다.
의료공백사태가 처음 시작될때만해도 정부 정책에 대한 지지가 압도적이었지만
장기화될수록 정부가 부담을 감당하지 못할만큼 역풍이 불것 아닌가 하는 관측이 많았는데
지금와서 돌이켜보면 '정부 정책 지지가 여당 지지로 이어지지는 않았다' 정도이지
이게 무슨 다시 역풍이 되어서 정부에게 걸림돌이 되는 사태까지는 역풍이 불지 않았습니다.
의대 교수님들이라거나 뭐 다른 전문의 선생님들이 전공의 선생님들의 빈자리에 발생한 의료공백을
매우 과중한 노동을 바탕으로 막아온 공로 때문이거나
아니면 애초에 저 종합병원들이 필수적으로 필요한 사람들의 숫자가 매우 적었기 때문일수도 있고
아니면 국민들이 의료개혁의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기 때문에
비록 이 사태가 장기화되더라도 본인들의 불편을 감수하겠다는 자세로
정부를 비난할 생각을 하지 않는 것일수도 있습니다만
이 사태를 가장 집중적으로 맞닥뜨리고 있는 의사 본인들이
이번 사태에도 불구하고 여당지지성향을 철회하지 않았다는게 사실 제일 큰 이유가 아닐까 싶기도 합니다.
대형병원이 위치한 지역구에서 민심 이반이 일어나는것은 고사하고
대형병원에 위치한 투표구에서조차 표심변화는 목격되지 않았다고 하니 뭐...
국민들이 생각보다 이 의료공백 장기화에 큰 우려를 나타내고 있지 않는것 같아 보입니다.
의료공백사태가 처음 시작될때만해도 정부 정책에 대한 지지가 압도적이었지만
장기화될수록 정부가 부담을 감당하지 못할만큼 역풍이 불것 아닌가 하는 관측이 많았는데
지금와서 돌이켜보면 '정부 정책 지지가 여당 지지로 이어지지는 않았다' 정도이지
이게 무슨 다시 역풍이 되어서 정부에게 걸림돌이 되는 사태까지는 역풍이 불지 않았습니다.
의대 교수님들이라거나 뭐 다른 전문의 선생님들이 전공의 선생님들의 빈자리에 발생한 의료공백을
매우 과중한 노동을 바탕으로 막아온 공로 때문이거나
아니면 애초에 저 종합병원들이 필수적으로 필요한 사람들의 숫자가 매우 적었기 때문일수도 있고
아니면 국민들이 의료개혁의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기 때문에
비록 이 사태가 장기화되더라도 본인들의 불편을 감수하겠다는 자세로
정부를 비난할 생각을 하지 않는 것일수도 있습니다만
이 사태를 가장 집중적으로 맞닥뜨리고 있는 의사 본인들이
이번 사태에도 불구하고 여당지지성향을 철회하지 않았다는게 사실 제일 큰 이유가 아닐까 싶기도 합니다.
대형병원이 위치한 지역구에서 민심 이반이 일어나는것은 고사하고
대형병원에 위치한 투표구에서조차 표심변화는 목격되지 않았다고 하니 뭐...
표심변화가 1도 없었기 때문에 당연한 결과이겠습니다만
이제 정치권에서는 아무도 이 의정갈등사태에 관심을 보여주지 않고 있습니다.
국회의장이 누가 될것인가 / 원내대표가 누가 될것인가 / 영수회담은 개최될것인가 에 대한 관심이 이어지는 와중에도
정치권에서는 국회의장 / 여야 원내대표가 의정갈등에 대한 입장을 갖고있는지 안갖고있는지에 대해 관심이 없고
오늘 이뤄질 영수회담 의제에 의정갈등이 주요 의제가 될것이라는 고려조차 하지 않는것처럼 보입니다.
그냥 뭐 이렇게 갈것 같기도 합니다.
어떤식으로든 신규 의사 배출이 1년 ... 더 보기
이제 정치권에서는 아무도 이 의정갈등사태에 관심을 보여주지 않고 있습니다.
국회의장이 누가 될것인가 / 원내대표가 누가 될것인가 / 영수회담은 개최될것인가 에 대한 관심이 이어지는 와중에도
정치권에서는 국회의장 / 여야 원내대표가 의정갈등에 대한 입장을 갖고있는지 안갖고있는지에 대해 관심이 없고
오늘 이뤄질 영수회담 의제에 의정갈등이 주요 의제가 될것이라는 고려조차 하지 않는것처럼 보입니다.
그냥 뭐 이렇게 갈것 같기도 합니다.
어떤식으로든 신규 의사 배출이 1년 ... 더 보기
표심변화가 1도 없었기 때문에 당연한 결과이겠습니다만
이제 정치권에서는 아무도 이 의정갈등사태에 관심을 보여주지 않고 있습니다.
국회의장이 누가 될것인가 / 원내대표가 누가 될것인가 / 영수회담은 개최될것인가 에 대한 관심이 이어지는 와중에도
정치권에서는 국회의장 / 여야 원내대표가 의정갈등에 대한 입장을 갖고있는지 안갖고있는지에 대해 관심이 없고
오늘 이뤄질 영수회담 의제에 의정갈등이 주요 의제가 될것이라는 고려조차 하지 않는것처럼 보입니다.
그냥 뭐 이렇게 갈것 같기도 합니다.
어떤식으로든 신규 의사 배출이 1년 이상 미뤄지는 사태로 인해 발생하는 피해를 사회가 그냥 몸으로 감당하고 지나갈지도?
이제 정치권에서는 아무도 이 의정갈등사태에 관심을 보여주지 않고 있습니다.
국회의장이 누가 될것인가 / 원내대표가 누가 될것인가 / 영수회담은 개최될것인가 에 대한 관심이 이어지는 와중에도
정치권에서는 국회의장 / 여야 원내대표가 의정갈등에 대한 입장을 갖고있는지 안갖고있는지에 대해 관심이 없고
오늘 이뤄질 영수회담 의제에 의정갈등이 주요 의제가 될것이라는 고려조차 하지 않는것처럼 보입니다.
그냥 뭐 이렇게 갈것 같기도 합니다.
어떤식으로든 신규 의사 배출이 1년 이상 미뤄지는 사태로 인해 발생하는 피해를 사회가 그냥 몸으로 감당하고 지나갈지도?
실상이 어땠는지에 대한것은 저도 경험하지 못했기 때문에 알수는 없고... 킹치만 되게 직관적으로 와닿기 때무네 잘 써먹고 있읍니다. ㅋㅋㅋ
근데 킹차피 점심시간 바쁠때는 철가방 들고 뛰다가
오후 2시 넘어가면 주방장이랑 같이 옹기종기 모여서 양파 썰고 하지 않았겠읍니까? ㅋㅋ (잘모름)
근데 킹차피 점심시간 바쁠때는 철가방 들고 뛰다가
오후 2시 넘어가면 주방장이랑 같이 옹기종기 모여서 양파 썰고 하지 않았겠읍니까? ㅋㅋ (잘모름)
1. 도제식 시스템이 이번 사태의 발생 원인이나 악화 요인은 아닙니다. 그리고 이게 한국만의 체계는 아니고 타국에서도 있읍니다. 선진국이든 개도국이든 후진국이든 현대 의학을 가르치는 곳에선 모두 동일합니다
2. 전공의도 사회 전체적으로 보면 그저 회사원 1인입니다. 자취하면 빨래 혼자 하는 거고 병원 가운은 병원 세탁부에서 세탁해주는 거고
3. 문제가 되는 건 3차의료이고 1/2차는 살아 있읍니다. 의약분업 때와 다른 점이지요. 참여 주체만 보면 2020년과 비슷한데 차이점이라면 그 때 1/2차에서 감염환자를 모두 처리하지 못했다는 점이 큽니다
2. 전공의도 사회 전체적으로 보면 그저 회사원 1인입니다. 자취하면 빨래 혼자 하는 거고 병원 가운은 병원 세탁부에서 세탁해주는 거고
3. 문제가 되는 건 3차의료이고 1/2차는 살아 있읍니다. 의약분업 때와 다른 점이지요. 참여 주체만 보면 2020년과 비슷한데 차이점이라면 그 때 1/2차에서 감염환자를 모두 처리하지 못했다는 점이 큽니다
도제식 시스템 : 전세계 모두 동일
근무 형태 : 이건 국가마다 다릅니다. 미국 계셔서 아시겠지만 Libby Zion law(=전공의 근무 시간 제한)가 미 전역에 모두 도입된 것도 2003년입니다
저임금 : 전문의보다는 페이가 적은 것 자체는 어디든 동일합니다. 다만 그게 전문의 대비 몇%인가는 국가마다 다릅니다. 예를 들어 여기도 계시는 일본의 경우 한국보다 더 낮다고 들었읍니다
근무 형태 : 이건 국가마다 다릅니다. 미국 계셔서 아시겠지만 Libby Zion law(=전공의 근무 시간 제한)가 미 전역에 모두 도입된 것도 2003년입니다
저임금 : 전문의보다는 페이가 적은 것 자체는 어디든 동일합니다. 다만 그게 전문의 대비 몇%인가는 국가마다 다릅니다. 예를 들어 여기도 계시는 일본의 경우 한국보다 더 낮다고 들었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