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15/10/15 23:08:16
Name   난커피가더좋아
Subject   노벨경제학상 앵거스 디턴과 21세기자본 도마 피케티는 대립하는가?
부제: 디턴은 어쩌다 '반피케티 전선'의 선봉장으로 보도됐는가?

1. 앵거스 디턴은 누구인가?

뭐 간단한 팩트만 얘기하자면, 2015년 노벨경제학상을 받은 프린스턴대 교수 아재(?)입니다. 그는 왜 노벨경제학상을 받았을까요?

아까 점심시간에 직장동료 등과 이 주제로 신나게 떠들던 분위기에서 너무 당연한 듯 올린 내용으로 글이 꼬이기 시작했고, 최근 매주 대학원 발제문을 쓰던 습관까지 더해저 아예 망글을 하나 올렸습니다. 그렇게 올린 글은 삭제를 했습니다만, 이미 국내 다수의 언론들이 혼란만 가중시켜놓은 상황에서 어떻게 글을 시작해야할지는 계속 고민이 됐습니다.

도대체 이걸 어디에서부터 정리해서 올려야 하나 고민 중이었는데, 마침 좋은 정리기사가 하나 떠 있어서 그것으로 시작합니다.

http://www.huffingtonpost.kr/2015/10/13/story_n_8283744.html

아까(삭제한 글에서)는 제가 이 얘기를 하기 위해 직접 가디언 기사와 갤럽의 영어기사 링크를 걸어야 했는데 이렇게 친절한 해설본이 그새 나왔군요.

그 일부분을 보죠. 미국 한 온라인 매체의 보도를 허핑턴포스트가 인용한 부분입니다.

[디턴은 경제학 모델이 ‘이래야 한다’고 상정하는 세계가 아닌, 있는 그대로의 세계를 이해하기 위해 노력했다. 부유한 국가와 가난한 국가의 소비자들은 똑같은 방식으로 행동하지 않으며, 빈곤은 각 나라마다 철저하게 다른 특질을 드러낸다.
“세계 빈곤율이 사상 처음으로 10% 밑으로 떨어졌다는 뉴스를 읽을 때, 당신은 우리가 그걸 어떻게 아느냐고 묻고 싶을 겁니다. 답은 가계 서베이와 자료 수집, 복지 측정에 대한 디턴의 작업에 있습니다.”라고 ‘Marginal revolution’의 알렉스 테브록은 적었다. “디턴의 주요 업적은 세계 빈곤을 이해하고 측정하는 부분에 있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다음도 위의 허핑턴포스트 기사에 재인용된 가디언 보도에요.

[스웨덴왕립과학원은 이렇게 소개했다. “소비와 수입에 대한 디턴의 심층적 연구는 현대 거시경제학 연구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다. 케인즈 이후 이전까지의 거시경제학 연구자들은 오직 총자료(aggregate data)에만 기댔다. (이와 달리) 오늘날 연구자들은 거시적 층위에서의 관계를 다룬다 하더라도 보통 개별적 층위에서 출발하며, 전체 경제에서 산출된 숫자와 개인의 행동을 주의 깊게 결합시킨다.” 이건 올해 노벨경제학상을 수상한 디턴 교수의 선구자적인 연구 덕분이다.]

일단은 그가 누구이고 왜 상을 받았는지는 저 허핑턴 포스트 기사로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읽고 오시면 되겠지만, 제가 약간만 더 쉽게 풀어보면, 또한 <위대한 탈출>이라는 번역서 내용을 토대로 첨가해보면 그의 업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빈곤과 불평등을 이해하는 데 있어 뭉뚱그려진 데이터와 잘 추출된 수치에 의존한 게 아니라, 각 국가의 맥락과 개인의 소비행태를 다양한 차원에서 실증적으로 분석했고 이것이 학계에 큰 기여를 했다는 겁니다. 그리고 작년에 대유행을 한 도마 피케티와 마찬가지로 그도 역시 '불평등'을 중점적으로 연구한 것입니다.


2. '불평등이 성장을 촉발시킨다', '그는 피케티를 멋지게 반박했다'

디턴이 노벨경제학상 수상자로 발표된 다음날 아침에 나온 대한민국 언론의 헤드라인은 대략 이런식이었습니다.

도대체 이와 같은 오해는 어디에서 나왔을까요?

일단 피케티의 논리부터 알아봅시다. 피케티의 몇 개의 핵심 주장만 살펴보면, 그는 전체 국민소득에서 자본소득이 차지하는 비중이 점점 더 커지면서 불평등이 심화된다고 하고, 자본소득 내에서의 불평등도 심각하다는 지적을 함께 하는데요, 결론적으로 세계의 불평등은 심화되고 있다고 하고 이는 기존 주류경제학의 가정에 대한 도전으로 이어집니다. 즉 경제가 성장하면 불평등이 커지다가 일정수준을 넘어서면 다시 줄어든다고 하는 가정을 반박하는 것이지요.

이 복잡할 수 있는 얘기에서 딱 두 가지만 기억해보죠.
1)경제성장에도 불구하고 세계의 불평등은 심화되고 있다.
2)이렇게 심화된 불평등은 이후의 경제성장과 민주주의에 모두 악영향을 끼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본주의의 미래는 그렇게 어둡지 않다.)

자, 뭐 이리 보니 부유세 정책 주장 등이 좀 빡세서 그랬지 뭐 피케티 아재도 그닥 빨갱이는 아닙니다.

어쨌든 이 피케티의 반대편에 서기 위해서는 논리적으로 디턴 교수는 다음과 같은 주장 중 하나를 펼쳐야 합니다.
1)세계의 불평등은 심화되지 않았다.
혹은
2)불평등은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최소한 1)번과 2)번 중 하나의 주장을 강력하게 펼쳐야 피케티의 반대편에 서는게 되겠지요?

그런데 그렇지 않습니다. <위대한 탈출>을 보면  그가 반박하는 건 오히려 이스털린 역설입니다. 이스털린 역설이란 건, 소득이 증가할 수록 행복도 계속 증가하는 게 아니라는 거죠. 일정 소득 이상이 되면 행복감은 상승하지 않는다는 건데, 디턴은 그건 반박합니다.

하지만 <위대한 탈출>의 내용과 그의 인터뷰 등을 조사해 보면 [전 세계는 자유시장경제에 기반한 성장을 통해 예전에 비해서 많은 '복지의 향상'과 '생활수준의 향상'을 일궈냈지만 그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불평등을 낳았다]는 것입니다. 다만 그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불평등은 나쁘기만 한 건 아니고, 경제성장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공정한 경쟁이 있다면 불평등은 각 개인 혹은 국가의 '성장의 동기'가 되는 긍정적인 측면도 있다.] 정도의 주장을 펼칩니다. 기본적으로 '성장을 중시'하는 건 맞지만, 불평등이 성장을 촉진한다거나 성장으로 모든 불평등을 해소할 수 있다는 그 어느 입장도 아닌 겁니다. 심지어 지난 경제성장의 필연적 결과로 불평등이 심화했다고 말하는데요?
그리고 오히려 이건 경제에나 민주주의에나 좋은게 아니라고 합니다.

앞서 허핑턴 기사를 읽고 오시지 않은 분들은 메이저 보수경제 신문인 매경의 다음 기사만 보셔도 이해가 쉬우실 겁니다.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5&no=977369&utm_source=facebook&utm_medium=sns&utm_campaign=share

매체 성향까지 감안해서 본다면, 이 정도면 도대체 피케티의 반대편이라는 논리는 말이 안되는 거지요.

그럼 도대체 오해의 소지는 어디에 있는가?  

그가 종종 말하는 '불평등이 상황에 따라 개인 혹은 국가의 성장을 독려할 수 있다' 정도의 말이 확대 왜곡 재생산 된 측면이 큽니다. 여기에 <위대한 탈출>에 '빈곤국 원조'와 관련돼 그가 제시하는 대안이 부풀려 진겁니다. 그는 "원조정책은 이런저런 왜곡과 문제로 큰 도움이 안될 수가 있으니 오히려 성장촉진정책을 써야 빈곤을 탈출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취지로 말하는 데, 이 부분을 신나게 언론이 따 온 거지요.


3. 어디서부터 꼬였나?

이 비하인드 스토리는 아까 글을 쓸때만 해도 '소설' 수준이었는데, 약간 더 알아보니 '팩션'수준까지는 되는 거 같습니다.

우리나라에서 피케티 책을 번역한 건 모 경제신문사 논설위원입니다. 그리고 그 신문사는 피케티를 초청해 강연회도 엽니다. 그 번역서가 나올 때쯤 경쟁사에서 책이 나오는 데 제가 볼때 '악의'가 있던 건 아니고 그냥 핫한 피케티에 편승해 가려했는지 책 띠지에 '피케티 vs 디턴'이라고 박고, 아예 그런 방식으로 요점정리를 해버린 비평까지 책 내부에 박아서 출판을 해버립니다. 그리고 중요한 '출판 보도자료'를 그렇게 내요.

모든 책은 출판되고 나면 각 언론사에 보내질때 'A4 4~5페이지'의 보도자료와 동봉됩니다. 그 많은 책을 다 읽고 서평을 쓸 순 없을테니 읽고 쓰는 핵심기사들 외에는 기자들도 아마 그 보도자료를 중심으로 책을 훑어보고 소개기사를 쓰는 모양입니다. 피케티 책이라면 억지로라도 다 읽고 기사를 썼을 메이저 신문사의 기자들도, 아마 잘 모르는 디턴 아재의 책은 그 보도자료 중심으로 써서 간단히 올리고 말았겠지요.

아니 근데, 그 디턴 아재가 그간의 다른 연구성과로 인해 이번에 노벨상을 받았네요. 한국시간으로 밤 늦게 발표되니 신문사들은 부리나케 예전 자료를 뒤집니다. 근데 그 자료는 저 왜곡된 자료로군요.

이제 수수께끼가 좀 풀리는 기분입니다.


4. 나오며-근대화 이론 악용의 재탕인가?

아까 삭제한 글은 사실 이 근대화 이론이라는 정치학 이론으로부터 시작했습니다. 근데 지금 생각해보니 이 마지막 부분에 쓰면 좋을 듯 합니다. 세이무어 립셋이라는 '안 건드린 것 없는 미국 정치학자 아재'는 1950~60년의 온갖 자료를 박박 긁어모아서, 경제발전이 정치발전을 가져온다는 주장을 합니다. 경제가 성장할 수록 민주주의도 발전한다는 것인데 이게 되게 단순 명료하지만 실제 검증은 쉽지 않거든요. 워낙 옛날이라 자료 오류도 많고 해석에도 문제가 많았지만 그래도 꽤나 설명력이 높은 이론이었습니다.

그런데, 대충 예측하실 수 있듯이 이 이론은 제3세계 독재국가에서 무지하게 정권들이 악용해 먹습니다. 뭐 출발점 자체가 '사회주의 확산'을 막고 '마르크시즘에 대한 반론을 과학적으로 하겠다'의 성격이 있긴 했습니다만, 그래도 진짜 너무 악용됐죠. 뭐 굳이 반인반신 누구를 떠올리지 않으셔도 됩니다.

저는 단순한 해프닝을 넘어서 이와 유사하게 한 위대한 경제학자의 연구와 성과를 악용하려는 사람들도 이 나라에 존재한다는 의심을 하고 있습니다. 마이클 샌델 열풍, 피케티 열풍, 헬조선 담론과 금수저/흙수저 유머의 범람 속에서 확연히 드러나는 이 사회 전반의 정서와 다양한 문제제기를 디턴의 몇 가지 주장과 문장을 따와서 '불평등은 나쁜거 아님. 그래야 열심히 노오오력을 할거 아님. 성장하면 다 해결됨'이라는 말로 덮으려는 것 아니냐는 의심입니다.

가디언 기사 중에 이런 말이 있었습니다. [이번 노벨경제학상은 피케티와 앳킨스(또 다른 불평등 연구의 대가)와 함께 받았으면 좋았을 것] 이라는 말입니다. 물론 노벨상 수상 이유를 보면 굳이 그럴 필요까진 없었다고 봅니다만, 저만큼 많은 함의를 담고 있는 말도 없는 것 같습니다.

* 난커피가더좋아님에 의해서 자유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5-10-23 07:51)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10


    삼공파일
    저는 전혀 모르는 분야이지만, 그런 생각은 듭니다. 과학 분야의 노벨상은 대충 써놓고 \"한국은 언제?\", \"일본과 한국, 10대 0\", \"중의학의 발전, 한의학은?\" 이런 기사나 나옵니다. 평소에도 나오는 기사들 보면, 지상파 뉴스에 나오는 과학이나 의학 꼭지나 조중동에 실리는 기사가 그래도 가장 수준 높은 기사일텐데 대부분 \"세계 최초로 한국 연구팀이 규명\"한 것 밖에 없습니다.

    그나마 경제학이라서 \"피케티 vs 디턴\"이라는 되도 않는 프레임이라고 갖고 와서 썰을 풀어보는 걸겁니다. 피케티 책이 처음 나왔을... 더 보기
    저는 전혀 모르는 분야이지만, 그런 생각은 듭니다. 과학 분야의 노벨상은 대충 써놓고 \"한국은 언제?\", \"일본과 한국, 10대 0\", \"중의학의 발전, 한의학은?\" 이런 기사나 나옵니다. 평소에도 나오는 기사들 보면, 지상파 뉴스에 나오는 과학이나 의학 꼭지나 조중동에 실리는 기사가 그래도 가장 수준 높은 기사일텐데 대부분 \"세계 최초로 한국 연구팀이 규명\"한 것 밖에 없습니다.

    그나마 경제학이라서 \"피케티 vs 디턴\"이라는 되도 않는 프레임이라고 갖고 와서 썰을 풀어보는 걸겁니다. 피케티 책이 처음 나왔을 때 뉴라이트 계열의 경제학자라는 사람들에게 폭발적인 반응이 나왔죠. 뉴라이트 계열의 경제학자라는 게 너무 안타깝지만 그래도 어떤 자극이 있었을 때 반응할 수 있는 지식인의 풀이 있고 그 풀이 다시 교양 있는 대중에게 영향을 줄 수 있는 최소한의 어떤 규모라도 갖춘 상태인 것이죠. 디턴을 아주 교묘하게 왜곡해서 신자유주의 복음 전파하려는 사탄의 세력을 의심한 정황 증거는 있지만 그래도 생태계가 존재하면 썩지는 않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그 전에 언론의 생리 상 그냥 말하기 쉬운 썰을 빨리 풀어서 대충 써버린 게 더 크겠죠. 밑에서도 나온 얘기지만 역사 쪽에서도 비슷한 그런 게 있는 것 같아요.

    반면 문학은 \"고은은 언제?\" 이러고 있으니 과학이랑 별반 다를 바 없어보이고요. 내용 자체에 대해서 무식이라 약간 딴 얘기해서 죄송합니다.
    난커피가더좋아
    크크...\"한국은 언제?\" 보다 더 안타까운 게 \"고은은 언제?\"죠. 그 시인이 당최 뭘 잘못하셨기에(아 우리나라에 태어났구나) 가을만 되면 괴롭히는지...

    노벨 의학, 과학분야 상에 대한 \"한국은 언제?\"타령과 과학/의학기사 전반의 낮은 수준 문제는 다음과 같이 볼 수 있습니다.

    우선, \'전문기자\'수가 절대적으로 부족합니다. 기자라는 사람들의 교육수준이 메이저 매체들 기준으로 꽤 높은 건 사실이지만, 대부분 문과출신이죠. \"등단은 아무나 못한다는 걸 깨달은 문학도와 유학은 돈이 있어야 간다는 걸 깨달은 ... 더 보기
    크크...\"한국은 언제?\" 보다 더 안타까운 게 \"고은은 언제?\"죠. 그 시인이 당최 뭘 잘못하셨기에(아 우리나라에 태어났구나) 가을만 되면 괴롭히는지...

    노벨 의학, 과학분야 상에 대한 \"한국은 언제?\"타령과 과학/의학기사 전반의 낮은 수준 문제는 다음과 같이 볼 수 있습니다.

    우선, \'전문기자\'수가 절대적으로 부족합니다. 기자라는 사람들의 교육수준이 메이저 매체들 기준으로 꽤 높은 건 사실이지만, 대부분 문과출신이죠. \"등단은 아무나 못한다는 걸 깨달은 문학도와 유학은 돈이 있어야 간다는 걸 깨달은 사회과학도가 모여서 다시 등단과 유학을 꿈꾸는 곳이 언론사\"라는 얘기를 들었거든요.

    상황이 이렇다보니 해외 학자들에 대한 관심이 많은 사람들이 꽤 있고 노벨 경제학상이나, 각종 인문사회과학, 특히 독자들이 관심 많은 정치경제사회+경영은 어떻게 해결이 좀 되는 거 같습니다. 아무리 일에 쪼여도 관심있는 사람들은 존재한다는 거죠. 그나마 알아서들 추적하고 있다는 얘기죠.(물론 그 사람들이 각자 관련기사를 쓰는 건 아닌지라 수준높은 기사가 나오진 않습니다. 워낙 온갖 잡일에 시달리는 거 같기도 하고요)

    (그럼 문학은? => 이건 언어문제가 큰거 같아요)

    그런데 과학쪽은 특히 이걸 풀어줄 사람들이 아예 부족한거 같아요. 저는 그래도 \'공학박사\' 기자를 본적이 있습니다. 모 경제신문사에 계시던 분인데요, 그럼 이런 분들에게 오직 국내외 연구 추적 등을 맡겨야 하는데 온갖 딴일을 하시는 모양이더라고요. 언론사가 어디나 돈벌이가 쉽지 않으니까 여러가지 잡일을 회사에서 지시하게 되는 모양입니다. 그 분 역시 굉장히 회의를 많이 느끼셨던 걸로...
    (그리고 \'소수의 이공계 출신 기자\'들은 대부분 과학동아에 모여있는 거 같기도 합니다.)
    뉴욕타임즈는 기자만 1000명인데, 10분의 1 인력갖고 신문찍어내는 한국 인력구조 문제도 있는거 같고요.

    몇몇 큰 신문과 지상파방송에는 또 의학전문기자들이 있는데(이분들 다수가 의사인데...) 역시나 \'가을철 건강 주의사항\'같은 야들야들한, 굳이 의사가 할 필요 없는 아이템을 취재하고 있으니(방송은 어쩔 수 없기도 합니다.), 역시나 국내외 주요 연구에 대한 추적이 어렵지 않을까 싶어요.
    의사에 전문의긴 한데 이미 기자로서의 아이덴티티가 더 강하다고 김철중 기자 마저도 실토하더군요. 딱 깨놓고 의학 기사는 김철중 미만 잡이 맞습니다. 박주신 관련 논란에도 유일하게 자기 목소리를 냈죠.. 동아일보 이진학 기자는 채널 A때문인지..영 좀 행보가 맘에 안들고. 이번 메르스때 취재는 나름 잘 했다고 봅니다만 일단 종편 출연을 좀 삼가야. 홍혜걸 이라는 양반은 그냥 평할 필요도 없는 수준..
    DoubleYellowDot
    고은 선생은 본인께서 약간 노린 느낌이 없잖아 있는 만인보 쓰셨을때 받으셨어야......이젠 타이밍 지났다고 생각합니다.
    난커피가더좋아
    타이밍 지났죠....2010년 기자들 진 친 게 마지막 아니었을까 싶으요.
    Beer Inside
    이제는 고은 보다는 하루끼가 언제 받느냐가 더 궁금한 상이 되었지요.
    소노다 우미
    디턴이 말한 불평등과 국내에서 인식하는 불평등의 스케일은 아마 꽤나 다를듯 한데, 그걸 모르는 것을 비극이라고 해야하는걸까요.

    그러고보니 얼마전 들은 말이 갑자기 생각나네요. \"대한민국 국민들의 사고방식은 사회주의다. 맨날 국가에서 규제해라, 이런건 국가가 해야한다. 국가가 바로잡아야한다 라고 하지 않느냐?\"
    난커피가더좋아
    꽤 다를 수 있죠. 분석의 스케일부터 다르고, 맥락도 다양하고요.
    사고방식은 글쎄요. 사회주의적이다 라고 말하긴 어렵다는 생각이 드는데, 다른 요소나 맥락, 문화적 베이스 등이 있어서.
    이건 이 댓글에서 따로 의견을 개진하기에는 너무 크고 어려운 주제 같네요. 흥미로운 문제제기(저도 들어보긴 했습니다. 그렇게 말씀하시는 분들 얘기를)이니 나중에 따로 글 한 번 파볼게요.
    소노다 우미
    뭐 교수님이 지나가는 말처럼 한 내용이니까요. 아마 \'시장에 대한 개입\' 이 사회주의적이라고 하신 것 같은데.. 꽤나 흥미로운 이야기이긴 하지만 저 또한 찬성하기는 힘든 발언입니다. 사회주의와 자본주의(시장주의) 가 반드시 양쪽 끝에 위치했다고만 보는 것도 문제가 있으니까요. 오히려 국가주의/정부주의로 봐야하는건 아닌지 싶기도 하더군요. (물론 사회주의가 국가주의에 가깝다는 표현으로 변화시켜야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물론 시장에 개입하는것이 자본주의와는 어느정도 거리가 있는것도 사실.)
    국가라는 표현 보다는 \'정부는 이런거 하나 규제 안하고 뭐하고 있느냐?\' 라는 표현이 흔히 쓰이는 표현이죠. 어디서 부터 잘못 되었는지는 모르겠지만 자유민주주의의 장점이 이런데서 많이 훼손되고 동력을 잃는 건 사실인 것 같습니다. 규제가 아니라 각 주체의 경쟁과 공정한 룰 도입, 그리고 이를 감시하고 피드백을 주면서 역동성을 키워야 하는데 뭐 후자가 어려우니 규제일변도로 흐르는게 정서에도 부합하고 당장은 편하죠..
    darwin4078
    한국경제인지 서울경제인지 1면에 디턴 사진 실어놓고 \'저성장은 무조건 죄악\'이라고 써놓은 기사가 생각나네요.
    노벨상까지 받은 냥반이 무조건이라고 얘기할 리가 없을텐데...하는 의구심이 들었지만, 역시 경알못이라 진짜 그럴수도 있겠지,라고만 생각했는데,
    역시 경제지들 클라스 어디 안가네요.
    난커피가더좋아
    오 마이...
    darwin4078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5101372871&intype=1

    한경이었네요.
    그리고 제가 잘못 기억하고 있었습니다. 저성장은 무조건 죄악이 아니라 저성장은 모든 것을 오염시킨다.라고 써있네요.
    한경은 경제지라기보단 진짜 황색언론? 포르노잡지? 딱 그 라인수준..
    제가 아파트 신문돌릴때 유독 아 이건 진짜 똥을 닦기에도 쓰레기같다는 첫 면을 가졌던 신문 세개가 한경, 동아, 스포츠조선이었어요. 진짜 저 세개를 보면 조선 중앙은 민족언론지 같아보이고 매경은 경제학 석박사들의 논문집같아보이는 효과를 느꼈죠. 한겨례랑 경향놓고 동아랑 한경보면 이건 뭐 같은나라 같은사건이라고는 도저히 생각이 안드는 지면..
    스트로
    피케티 책을 산 지 벌써 1년인데 아직 펴보지도 않고 있...
    난커피가더좋아
    좀 얇게 나온 신자본론도 있는데 그거 먼저 보시는 것도...(전 아직 그건 사놓고 못봤습니다. 나온지 한 달 정도 된거 같은데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6 문화/예술goodbye. printmaking 18 1일3똥 15/09/24 9369 4
    77 경제집은 시장리스크, 전세는 신용리스크 20 MANAGYST 15/09/22 8685 6
    78 요리/음식중국의 면과 젓가락문화 22 마르코폴로 15/09/22 13590 8
    79 IT/컴퓨터사실 구글은 스카이넷을 만들고 있습니다 16 Azurespace 15/09/30 10215 4
    80 기타gentlemen and ladies는 왜 안 되는 걸까?... 8 Neandertal 15/09/30 6375 7
    81 역사두 형제 이야기 - 황형의 유산 10 눈시 15/09/30 5630 6
    82 일상/생각수줍수줍..이런걸 한번 해봤어요.. 23 얼그레이 15/09/29 8690 21
    83 역사사도 - 사랑치 않으시니 서럽고, 꾸중하시니 무서워서... 7 눈시 15/10/08 6362 7
    84 역사사도 - 지옥으로 가는 길 5 눈시 15/10/09 6396 4
    85 과학불멸의 세포 17 모모스 15/10/09 8154 10
    86 역사사도 - 그 때 그 날, 임오화변 16 눈시 15/10/14 6844 8
    87 역사사도 - 역적이되 역적이 아닌 8 눈시 15/10/16 6210 8
    88 IT/컴퓨터간략하게 살펴보는 웹디자인의 역사 24 Toby 15/10/16 11362 17
    89 경제노벨경제학상 앵거스 디턴과 21세기자본 도마 피케티는 대립하는가? 16 난커피가더좋아 15/10/15 8535 10
    90 영화킹콩 : 원숭이만이 이해할 수 있는 위대함(스포일러) 3 구밀복검 15/10/15 10057 13
    91 과학쓰레기 유전자 ( Noncoding DNA ) 와 유전자 감식 23 모모스 15/10/20 7577 9
    92 기타세계화, 무역 그리고 전염병 12 마르코폴로 15/10/20 8908 11
    96 요리/음식토마토는 과일인가? 채소인가? 24 모모스 15/10/21 10775 6
    97 정치/사회비동시성의 동시성과 한국의 페미니즘 40 난커피가더좋아 15/10/31 8652 6
    98 문학[조각글 2주차] (1주차와 약간 믹스, 약 기독) 노래는 가사지 18 매일이수수께끼상자 15/10/30 6837 14
    99 일상/생각삐딱하게 사는 것, 사실은 세상이 내게 원한 것 41 난커피가더좋아 15/10/25 8358 11
    100 꿀팁/강좌라면 49 헬리제의우울 15/10/29 11637 30
    101 과학지구의 온난화와 빙하기 4 모모스 15/10/27 9639 8
    102 꿀팁/강좌홍차를 저렴하게 구입해보자 (딜마) 22 관대한 개장수 15/10/28 12728 7
    106 문학[2015년 노벨문학상] 전쟁은 여자의 얼굴을 하지 않았다 - 여성은 전쟁을 이렇게 기억합니다. 16 다람쥐 15/11/01 7042 11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