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19/12/13 20:45:14수정됨
Name   해유
Subject   아픈 것은 죄가 아닙니다.
요즘 죄에 관련된 논문을 쓰다보니 ㅋㅋㅋ 오늘도 죄에 대한 얘기를 해볼까 합니다.

한국 사회의 우울증은 성별, 나이를 막론하고 계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라고 합니다. 저는 다를 줄 알았는데 아니었나 봅니다.
다양한 사건이 겹치며 결국 올해 중증 우울증 진단을 받았고 현재 약을 복용해야 하나 술을 마시려 제 맘대로 약을 이랬다 저랬다 하는 중입니다. (의사쌤 죄송합니다. ㅜ.ㅜ)

다양한 사건이란 다음과 같습니다.

1. 가장 친한 친구가 자살로 생을 마감했습니다. 제가 더 이상 학생회를 하지 않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제가 1학년 때부터 저를 챙겨준 친한 친구가 올해 초 학생회 활동 중 어떠한 사건으로 목숨을 끊었습니다. 오빠는 매번 웃으면서 제게 "해유가 먼저 자살하면 안되는데. 그럼 오빠가 진짜 혼낼거야. 죽을 생각하지 말고 허리 아픈데 힐 신지 말고, 술 좀 줄이고. 알겠지?"를 입에 달고 살던 분이 저를 두고 먼저 세상을 떴다는 사실을 믿을 수가 없었습니다. 처음에는 부정으로 시작해서 정말 착실하게 분노의 5단계를 거쳤습니다. 지금은 아마 타협 즈음을 멤돌고 있지 않나 생각합니다.
모든 친구들이 제가 죽을까봐 걱정했지, 오빠가 죽을까봐 걱정하진 않았는데 먼저 생을 마감하는 것을 보면서 인생은 진짜 모른다는 생각을 많이 했습니다. 더불어서 죄책감이 너무나도 크게 다가왔습니다. 생을 마감하는 직전의 유서를 안 본 것이 아닌데, 봤음에도 그니까 잘 하겠지란 생각에 아무 말도 해주지 않은 것이 아직까지 생각납니다.

2. 진로문제입니다.
사실 조기졸업은 쉽습니다. 정말입니다. 다만 많은 분들이 하지 않는 가장 큰 이유는 일반적으로 기업 취직에 있어서는 조기졸업이 디메릿이면 디메릿이지 절대 좋지 않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저는 로스쿨을 생각하고 있었고 조금이라도 빨리 진학하고자 3년 조기졸업 플랜을 세웠습니다. 다만, 올해 초 교수님의 권유로 로스쿨에서 일반대학원으로 진로를 바꾸었습니다. 바쁜 와중에 GRE준비를 하고, 대학원 수업을 청강하며 제가 일반대학원에서 살아남을 수 있을 것인지, 학자로 활동할 수 있는 사람인지를 고민하는데 저도 저를 잘 모르겠더군요. 물론 어느 누가 "나"를 잘 알겠냐만은 진짜 답이 없어 아직도 갈피를 못 잡고 갈팡질팡하고 있습니다.
(와중에 일반대학원 가자고 꼬신 교수님과 학술지 내보자고 한 교수님은 각각 다른 분입니다. 전방위적으로 저를 꼬시면 어쩌란 말입니까. 흑흑흑)

3. 연애 문제입니다.
이전에 관계에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제가 그나마 자발적으로 연애에 시간을 할애해야겠다고 마음먹은 것은 올해가 처음이었습니다. 근데 저의 다름이 이 연애 관계에 큰 문제를 불러일으킵니다. 뿐만 아니라 저와 상대 모두가 큰 상처를 입게 되기도 합니다. 상대는 잘 모르겠지만 그 상처는 제게 아직도 현재 진행형입니다.
제가 타임라인에 글을 "자주" 올리니 아시는 분은 아시겠지만 저는 소위 말해 플러팅을 잘 하는데 그걸 제가 잘 인지하지 못하고, 세상 사람들의 보편적 연애관(?), 이성관(?)과는 굉장히 다른 가치관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것에서 생기는 괴리를 스스로 합리화시키지 못해 방황 중에 있습니다.

사실 일반적인 케이스와 비교했을 때 저는 특이한 편입니다.
중증 우울증이어서 매사에 의욕이 없어도 원체 하는 일이 많아서 의욕이 없는 지금도 남들이 보기에는 빡센 삶을 살고 있습니다. 주변에 친구들도 많고 대외생활에 아무런 문제가 없습니다. 심지어 가정도 아버지께서 조금 과보호하시는 것을 제외하면 누구나 부러워 할 법한 다정한 가족들과 살고 있습니다.

결국 이렇게나 TMI 가득한 글을 쓴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평소와 다른 것 같은 느낌이 들면 병원에 가보세요! 상담도 좋습니다.
육체는 조금만 아파도 병원에 꼬박꼬박 챙겨가면서 우리는 정신이 아픈 것은 방치하는 데 익숙합니다. 누군가에게 털어놓을 수 있다는 것, 생각보다 매력적인 일입니다. 저처럼 드러내어 토로하지 않아도 나의 얘기를 꼬박 한 시간 들어준다는 거 생각보다 하고 나면 카타르시스를 느낄 수 있습니다.

시간이 해결해준다. 조금만 바쁘게 살면 된다. 다 맞는 말입니다. 다만 병원에 가고, 상담을 받고, 약을 먹으면 인고의 시간을 줄여줍니다. 아프면 집에서 참고 조금 있으면 나을텐데 병원 왜 갑니까? 진료 받고 약 먹으면 조금이라도 아픈 시간을 줄일 수 있기 때문 아닐까요? 그러니까 (결론이 이상한 것 같긴 하지만) 우울하면 여기 저기 도움을 요청하고 "나 아프니까 봐줘"라고 외치세요. 그거 했다고 떨어져나가는 사람은 그냥 나랑 안 맞는 사람입니다. 그 사람이 나쁜 사람인거죠.

아픈 것은 죄가 아닌데 사회는 그리고 우리는 아픔에 죄의식까지 묻어버립니다. 그렇게 하지 마세요. 다름을 모른 채, 차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들을 무시하고, 내가 나를 조금 더 사랑하면 조금 더 행복한 삶을 살 수 있지 않을까요? (아 물론 저도 잘 안 됩니다,,, ㅋㅋㅋ)

그러니까 홍차클러 여러분은 아프지 말고 행복한 연말 보내시길!
미리 메리 크리스마스 ♥



* 토비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9-12-24 22:48)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30
  • 맞아요 아픈것은 죄가 아닙니다.
이 게시판에 등록된 해유님의 최근 게시물


안경쓴녀석
아픈 것을 진솔하게, 그러면서도 잘 이야기하시는 분들이 진짜 강한 거 같아요.
아프니까 아프다고 해야죠 ㅎㅎㅎ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귀차니스트
아픈거는 죄가 아닌데, 주변에서 죄로 만드는 거 같기도 합니다.
그러게요. 세상이 문제에요 >_< ㅋㅋㅋ
알료사

안녕하세요 프로 징징러 알료사입니다. 세상은 우는 아이에게 떡을 줍니다. 산타할아버지와는 달라요. 아프니까 징징댄다. 메리 크리스마스.
1
별바라기
우리 모두 화이팅!
1
호라타래
자살, 죄의식, 인간관계, 언어, 도덕, 윤리 등등이 엮여서 떠오르네요. 귀인에 관한 연구들은 그 요인을 스스로에게 돌릴 때 슬픔이, 밖으로 돌릴 때 분노가 찾아온다 하더라고요. 그것이 자신 혹은 타인을 파괴할 만큼 커지는 과정에는 언어로 구성된 도덕의 피드백이 있지 않나 싶어요.

"시간이 해결해준다. 조금만 바쁘게 살면 된다. 다 맞는 말입니다. 다만 병원에 가고, 상담을 받고, 약을 먹으면 인고의 시간을 줄여줍니다. 아프면 집에서 참고 조금 있으면 나을텐데 병원 왜 갑니까? 진료 받고 약 먹으면 조금이라도 아픈 시간을 줄... 더 보기
자살, 죄의식, 인간관계, 언어, 도덕, 윤리 등등이 엮여서 떠오르네요. 귀인에 관한 연구들은 그 요인을 스스로에게 돌릴 때 슬픔이, 밖으로 돌릴 때 분노가 찾아온다 하더라고요. 그것이 자신 혹은 타인을 파괴할 만큼 커지는 과정에는 언어로 구성된 도덕의 피드백이 있지 않나 싶어요.

"시간이 해결해준다. 조금만 바쁘게 살면 된다. 다 맞는 말입니다. 다만 병원에 가고, 상담을 받고, 약을 먹으면 인고의 시간을 줄여줍니다. 아프면 집에서 참고 조금 있으면 나을텐데 병원 왜 갑니까? 진료 받고 약 먹으면 조금이라도 아픈 시간을 줄일 수 있기 때문 아닐까요? 그러니까 (결론이 이상한 것 같긴 하지만) 우울하면 여기 저기 도움을 요청하고 "나 아프니까 봐줘"라고 외치세요. 그거 했다고 떨어져나가는 사람은 그냥 나랑 안 맞는 사람입니다. 그 사람이 나쁜 사람인거죠."

건강함에 따봉 드리고 갑니다 ㅎ_ㅎ 222는 너무 걱정 마셔요. 제가 생각하는 전공이라면 조금 걱정(?) 되기는 하지만, 유학 혹은 박사 전환 과정에서 전공을 조정할 수 있으니까요. 스스로를 알아가면서 결정하셔도 될 것 같습니다.

33은 음... 타인의 감정과 스스로의 감정을 동시에 고민하면서, 모든 것을 나에게서 비롯된 것으로 환원하여 바라보지만 않으면 되는 듯해요. 사람들의 이야기를 자세히 들어보면 연애/사랑에 대한 관점은 제각기 다르더라고요. 당장 저마저도 다른 사람들이 이해하지 못하는 짓(?)들을 많이 하고요. 뭐가 되든 행복하게 연애하시기를 바랍니다 :)
1
감사합니다!
김영웅
저는 강박증 환자입니다. 오늘도 가게문 제대로 닫혔나 확인만 30분하고 집에 바로 들어와서 약을 흡입하니 조금 기분이 나아지는데 아직도 가게문 제대로 닫혔을까? 걱정이 마음한가운데 자리잡고 있습니다만 무시하려고 애를씁니다. 마치 뷰티풀 마인드의 주인공이 결국엔 환영을 무시하는 것처럼 말이죠. 오늘 자고 일어나면 빡쌔게 운동해야겠습니다. 운동과 약 이게 신경정신질환을 이겨내는데 아주 효과적입니다. 여기에 추가적으로 상담까지 들어가면 효과는 더욱 좋구요. 여러분 건강하게 오래살자구요.
1
세인트루이스
"다만, 올해 초 교수님의 권유로 로스쿨에서 일반대학원으로 진로를 바꾸었습니다."
거듭 생각해보세요 ㅋㅋㅋ 저 교수님은 해유님의 인생을 대신 살아주지 않습니다
3
윽 뼈를 이렇게 세게 때리시면 아프옵니다 ㅋㅋㅋ
와, 술을 그렇게 드시면서도 로스쿨 갈 학점이 나온단 말입니까. 재능러시네. ㅋㅋ

가끔 해유님 글에서 가족이 묻어날 때가 있었어요.
제 아이들도 저와 아내가 있는 집을 세상의 풍파에서 벗어나 잠시 쉴 수 있는 베이스 캠프로 여기게 되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요.

지금까지 무슨 일이 있었든, 앞으로 무슨 일이 생기든 해유님 잘못은 아니에요.
1
술과 학점은 별개라서 ㅋㅋㅋㅋ

이렇게 다정하신 분이라면 아이들도 집을 좋아할거에요! 따뜻한 말씀 감사해요!
CONTAXND
이렇게 글을 잘쓰니 학술지에 내보자고 한거 아닙니까?
글 못 씁니다. ㅠ.ㅠ
잘 쓰고 싶어요 엉엉엉
컨트롤 하려는 범위까지만 내 세상이다. 라고 생각하면 세상이 너무 막막하고 무섭고 크더라고요. 하지만 일종의 정합성(?)을 그런건 없다 생각하고 뛰어들면 기대하지 않았던 호의도 받고 기회도 얻고.. 기독교적으로 말하면 값없이 얻은 은혜를 많이 얻을 수 있었던 것 같아요.
돌아보면 20대 중반에 제가 무슨 결정을 했어도 되돌릴 수 없는 결정도 없었고, 무슨 결정을 했어도 그에 따른 새 길이 있었더라고요. 편안해지시길 바라며..
그런데 친구분 이야기는 너무 마음 아파요.
1
감사합니다 (:
좋은 글 감사합니다. 중증 우울증이라고 하셨는데도 글에는 밝음이 묻어나네요. 힘들지만 잘 살아보려고 애쓰시는 모습이 보입니다. 말씀하신대로 아픈것은 죄가 아니에요. 아프면 치료받고, 다시 일어나면 돼요. 마음이 평안하시길 바라겠습니다.
1
감사합니다!
whenyouinRome...
탐라에 징징글 담당 롬입니다.. 앞으로도 용기내서 계속 징징대도록 하겠습니다!
징징 죠아
다람쥐
이걸 인정하는게 정말 어려워요
그리고 인정하되, 그것이 자기비하나 자책으로 이어지지 않은 건강한 받아들임이 되는것도 정말 어렵죠
살아줘서 고마워요. 해유님 만날 수 있어서 저에게도 정말 의미 있는 한 해가 되었어요.
일반대학원 졸업 후 로스쿨에 온 많은 분들을 알고 있어요. 염려 마세요
그리고 연애 문제는 정말 사람을 흔들리게 하는 것 같아요.. 개인적으로 나누고 위로가 될 수 있으면 좋겠어요 ㅠㅠㅠ
2
람쥐님 매번 따뜻한 말씀 감사합니다 ♡
저도 올해 람쥐님이랑 만날 수 있어서 너무 좋았던 것 같아요! ㅎㅎㅎ
다람쥐
연애문제는... 개인적으로 꼭 한번 만나서 나눠보고싶습니다아아아....!!! 꼭 만나요!!! 토닥토닥 힘내요
1
좋은 글 감사합니다. 읽으면서 많은 생각을 하게 되네요. 대단하시다는 말 밖에는 할 수가 없습니다. 해유님을 잘 알지는 못하지만 어떤 선택을 하시든지 응원할게요. 팟팅...!
감사합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28 역사역사학 강연에서 의용대를 자처하는 이들을 만난 이야기 13 Chere 20/02/29 5833 35
927 의료/건강세계 각국의 중국과의 인적교류 통제 상황판 (업데이트끝. 나머지는 댓글로) 8 기아트윈스 20/02/28 6266 17
926 의료/건강지금 부터 중요한 것- 코로나환자의 병상은 어떻게 배분하여야 하나 6 Zel 20/02/27 5932 43
925 기타교육심리학의 20가지 주요 원리 11~20 16 호라타래 20/02/20 6025 20
924 정치/사회봉준호 감독 통역을 맡은 최성재(Sharon Choi)씨를 보면서 한 영어 '능통자'에 대한 생각 31 이그나티우스 20/02/19 7784 23
923 문학일독김용(一讀金庸): 김용 전집 리뷰 40 기아트윈스 20/02/16 8533 27
922 일상/생각군대 친구 이야기 3 化神 20/02/15 5533 17
921 의료/건강'코로나19'라는 이름이 구린 이유 29 Zel 20/02/14 7955 14
920 일상/생각아들놈이 대학병원에서 ADHD 판정을 받았습니다 70 아나키 20/02/06 8590 146
919 일상/생각사회주의 대 반사회주의 9 necessary evil 20/02/06 5960 30
918 일상/생각처음 느낀 늙음 3 행복한사람 20/02/03 5415 22
917 일상/생각엄마 덴마크가 나 놀렸어요 ㅜㅠ 69 구밀복검 20/01/29 13311 122
916 창작나는 행복의 나라로 갈테야. 5 작고 둥근 좋은 날 20/01/29 6912 24
915 의료/건강BBC의 코로나바이러스 Q&A 14 Zel 20/01/27 7304 31
914 일상/생각멘탈이 탈탈 털린 개인카페 리모델링 후기 51 swear 20/01/23 7156 32
913 역사궁궐 건축물 위에 <서유기> 등장인물이? 15 메존일각 20/01/23 6223 12
912 과학기업의 품질보증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3 Fate 20/01/22 6500 19
911 경제파이어족이 선물해준 세가지 생각거리 6 MANAGYST 20/01/19 6926 10
910 경제홍차넷 50000플 업적달성 전기 79 파란아게하 20/01/17 7013 72
909 일상/생각습관 만들기 - 2달째 후기 47 카야 20/01/14 6731 37
907 게임2019년 좋았던 게임과 별로였던 게임 뽑기 6 저퀴 20/01/07 5566 9
906 게임요즘 아이들과 하는 보드게임들 19 로냐프 20/01/04 7751 8
905 역사역사적 유물론과 행위자 연결망 이론(1) - 아 그게 뭐요? 13 호라타래 19/12/22 5992 12
904 일상/생각올해 읽은책 간단정리 15 오디너리안 19/12/27 5793 17
903 일상/생각[펌글] 좋은게 좋은거라는 분위기가 세상을 망쳐왔다 21 Groot 19/12/27 6126 8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