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19/09/13 19:58:08수정됨
Name   멍청똑똑이
Subject   [펌] 자영업자의 시선으로 본 가난요인
저는 편의점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가족끼리 하는 부업이긴 하지만요. 주업으로는 회사에 다니고 있습니다. 그래서 저 자신이 현재 가진 자산은 없지만 젊은 나이 + 노동소득이 가져오는 기대소득을 포함하면 극빈층에 떨어질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적다고 생각합니다. 아마 부자는 못 되겠지만 애슐리는 가겠죠. 잘 하면 빕스도 가고.

편의점을 시작하고 나서 사람을 뽑아 쓰면서는 가난한 사람들을 많이 봅니다. 그리고 때로는 가난이 그들의 책임이라는 생각이 드는 사람도 많이 보지요. 일하면서 하는건 오로지 불법 토토 사이트라거나, 조금의 성실성도 없는 사람이라거나, 업무지시를 거의 기억하지 않는(못하는건지 않는건지) 사람이라거나, 허구한날 지각하고 결근하고 손님이랑 싸우고.. 지금의 상황에서 조금의 장래성도 기대하기 힘든 사람들. 심지어 돈을 빼돌리거나 소소한 절도를 저지르는 사람들도 써 보고, 그 사람들이 술과 담배값에 얼마 안되는 벌이를 (최저시금+주휴수당 주고 주 40시간 조금 넘게 일하면 그래도 150은 넘깁니다만) 탕진하는 것도 많이 봅니다. 모바일 게임에 월급 받아서 쏟아 부으면서 고시원 사는 사람들도 있었고요. 반대로 얘는 가난을 이겨내겠다, 혹은 앞으로 뭘 해도 열심히 하겠다 하는 사람들도 있었죠.


그치만 제 경험상, 이런 일자리에 오는 사람들 중에 '몸과 정신'이 건강한 사람은 정말 소수입니다. 제 생각에 몸과 정신이 건강하다는건 질병이나 보험에 대한 비용부담이 거의 없고, 적당히 식단관리가 되지 않은 인스턴트 음식들과 저가의 탄수화물 중심의 식사를 해도 아직 몸이 탈이 안나고, 일 8~9시간의 노동을 건강한 마음 상태로 '성실히'수행할 수 있는 사람을 뜻합니다. 이런 사람은 정말 드뭅니다. 설령 그렇게 건강한 사람이 하루만, 일주일만, 한달만, 세달만, 반년, 일년은 유지될 지언정 기간이 지날수록 가장 건강하던 사람도 조금씩 '닳아'갑니다. 게다가, 몸과 정신이 건강한 사람은 애시당초 최저임금 주변의 일자리에 잘 나타나지 않습니다. 10대후반 20대 초중반의 아르바이트 생들을 제외하고, 생업으로 이 일을 하려는 사람중엔 더더욱이요.


문제는 한가지 더 있습니다. 몸과 정신이 좋은 상태가 아니라는 것은 이미 어떤 사회적 / 개인적 요인에 의해 성장과정에 있어서 영향을 받은 것입니다. 그것은 교육사회와 가정의 무관심이나 폭력, 방치, 가난, 혹은 개인적 일탈 등 아주 여러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했을 겁니다. 사실 스스로 건강함을 자신하는 사람들조차 이런 성장과정에서 한두가지의 아주 예민하고 비정상적인 감정이나 트리거는 갖게 마련이죠. 그것은 폭력성일수도 있고 우울함일수도 있고 이상성욕일수도 있고 폭식이나 나태일수도 있고 과소비나 도박, 중독일수도 있습니다. 어느쪽이든 사람마다 대부분 약간의 비정상성은 갖고있다는 거죠. 그래서 가난한 사람들은 보통 사람보다도 더욱 더 물질적 빚 만큼이나 몸과 정신이 좋은 상태이기 어렵습니다. 정확히는, 가난한 사람 대부분은 이미 몸과 정신 역시 어느정도는 가난에 의해 '낡아'진 상태라고 보는게 타당합니다. 유머게시판의 '몸 정신 말짱한데 왜 가난하냐'는 명제가 처음부터 틀린 이유겠죠. 지금처럼 빠른 변화와 고도화된 사회에서는 역설적으로, 몸 정신이 말짱해도 경쟁에서 이기기 쉽지 않은데 멀쩡한 몸 정신마저 낡게 하는것이야 말로 가난의 무서움이니까요.


게다가 고용주의 입장에서는, 대부분의 영세 사업자들이 그러하겠지만, 30대를 훌쩍 넘은 사람들을 잘 쓰지 않습니다. 30대 중반을 넘어가기 시작하면, 이전의 이력을 '고작 편의점이라도' 한번쯤 확인하기 마련입니다. 누군가에겐 고작 편의점이지만 업주 입장에서는 조금이라도 성실하고 똑똑한 사람을 뽑고 싶으니까요. 사실 편의점 일이라는게 생각보다 복잡한 부분도 있습니다. 최신 전산시스템의 다양한 기능들을 활용해야하고, 주, 월마다 바뀌는 행사를 숙지해야하고, 상품의 위치와 유통기한을 살펴야하고, 다양한 결제수단을 고려해야해요. 이런것들은 교육수준이 낮거나 나이든 분들이 습득하기 좀 어려워 하는 부분도 많습니다. 그러니 같은 가격이면 가장 리뷰가 좋고 제품설명과 보증이 확실한, 디자인이 예쁜 상품을 고르는 것처럼 편의점 직원 마저 어느정도의 기준을 갖고 사람을 뽑게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30대 중반을 넘어가기 전에 가난에 의해 이 일 저 일 이것저것 하다가 이렇다 할 숙련도도, 경력도 얻지 못한 사람들은 (그것은 개인의 성실함 문제일수도있고 환경의 문제일수도 있지만) 이런 저임금 시장에서조차 굉장히 빠르게 도태됩니다.


이런 사람들이 마지막으로 가게 되는 곳은 보험판매원, 경비용역, 주차용역, 미화용역, 건설용역, 주방보조, 방문판매원 등입니다. 늘 사람이 필요하고 항상 저임금일자리를 제공하는 곳들이죠. 문제는 이런 직업일수록 육체적 정신적 노화를 가속화시키고 건강을 빠르게 해친다는 점입니다. 숙련과 동시에 몸은 깎여나가기 시작하고, 임금 상승폭은 무척 낮습니다. 심지어 고용 불안정성은 높고, 미래는 아무리 아끼고 저축을 해도 깜깜합니다. 일자리가 없어지지 않는 것, 그리고 내 몸이 어떤 고통이 있더라도 버텨주는 것. 이러한 모순된 막연한 기대속에서 일을 하게 됩니다. 허나 30대 후반에서 40대를 넘어갔는데 변변찮은 기술도 이력도 없다면 이런 직종조차 구하기가 어려워집니다. 행여나 그동안 가난에 의해 몸이 상했다면, 정말로 '법이 보호하지 않는' 일자리조차 감지덕지하게 됩니다. 이마저도 모자라 잔고와 빚에 허덕이기 시작하면, 지엄한 법률은 종이쪼가리만도 못합니다. 그 때부터는 빈곤이 빈곤을 불러온다는 말과, 삶이 죽음보다 무겁다는 것이 무엇인지 뼈저리게 느낄 수 있습니다.


그래도 세상이 늘 불운과 불행으로만 가득하진 않을겁니다. 대한민국은 세계에서 가장 잘 사는 나라 중 하나로, 저런 저임금 노동조차도 운과 성실성이 바탕이되면 어느정도의 생활수준을 구사할 수 있게 만들어주지요.  위에서 언급한 직업군에 들어서서 꾸준히 일을 하고, 어찌어찌 가난한 사람끼리라도 만나 가정을 이루고, 아등바등 열심히 살면 월세가 전세되기도 하고, 반지하가 1층으로, 2층으로 가기도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그렇게 될 때 즈음, 그 동안 전혀 호사와 여유를 부리지 못한 사람들이 병에 걸리거나 사고를 당하면, 단 한 순간에 그동안 쌓아온 빈곤과의 벽이 허물어집니다. 빈곤은 마치 얇은 문풍지로 바람을 막아왔던 것처럼 세차게 들이치기 시작합니다.  사람을 낡게 하지 않는 노동이 없다지만, 특히나 저임금 고위험일자리들은 더 빠른 속도로 사람을 마모시키고, 그렇게 빠르게 낡아가는 사람들을 빈곤은  마구 잡아먹습니다.


이런 사회의 모습을 보며 어떤 사람들은 그럼 공무원 시험이라도 죽어라 했어야지, 라거나. 경력을 쌓았어야지. 뭘 배웠어야지. 라고 쉽게 말합니다. 그러나 제가 최저임금 일자리를 도는 20대부터 60대 사이의 사람들을 만나면서 느낀 것은, 무엇을 배우고, 익히고, 노력하는것 조차 개인의 재능과 사회적 요건 없이는 발휘하기 무척 힘들다는 것이었습니다. 명백한 희망과 노력에 대한 긍정적인 피드백이 있는가, 당장 가난과 노동에 의해 스스로의 선택을 강요당하지 않는가, 날로 피곤해지고 힘들어지는 신체를 의지로 끌어당길 수 있는가. 이 과정 모두에서 그 개인의 열정, 의지, 노력등으로 이야기되는 정신적 요소들은 그가 가진 '배우고 익히는 데' 필요한 재능과 신체적 건강, 적절한 영양등이 받쳐주는지에 따라 결과가 극적으로 달라집니다. 같은 시간을 살고 비슷하게 나이를 먹어도 어떤이에게는 판타지 소설조차 잘 이해가 안가서 이세계 깽판물 아니면 안본다는 사람이 있다면, 어떤 사람은 원어로 된 논문을 손쉽게 읽어냅니다. 그 극단적 차이에서 사람의 지능이나 노력으로 행하는 행동들이 그 사람의 성장과정과 환경속에서 대부분 만들어져 온 것이라는 생각을 지울 수 없게 됩니다. 결론적으로, 가난했던 사람중에 그것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할 수 있는 사람은 적어도 무언가는 '타고 나' 있어야 합니다. 조금은 머리가 영민하다거나, 조금은 끈기가 있다거나, 조금은 긍정적이고 희망적이라거나. 그러나 이 모든 것들을 가난은 아주 빠르게 풍화시킬 수 있습니다. 게다가 풍화의 속도만큼이나 우리는 빠르게 나이를 먹지요. 이 모든 노력이 무용해지는 나이가 정말 금세 찾아옵니다.


제 생각에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처지에서 타인의 빈곤을 상상할 수 없는 것은 그것이 절대적으로 빈곤하다는 것을 모른다기 보다, 우리가 빈곤을 벗어나기 위해 시도하고 유지하는 당연한 것들이 남들에게도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것에 있습니다. 그러나 세상에는 정말 상상 이상으로 사람간에 많은 능력 차이를 보입니다. 행동능력, 지능, 판단력, 외모, 체력.. 가난하지 않다는 것은 이 부족한 것들을 부담없이 채워나갈 수 있는 사람들입니다. 가난한 사람들은 이것을 타고나더라도 채우긴 커녕 있는 것을 깎아 써서라도 살아남아야 하는 것을 뜻합니다. 그마저도 빠르게 대처하지 않으면, 30대, 40대가 되어서는 정말 돌이키기 어려운 상황으로 추락합니다. 아무도, 당신에게 일을 시키고 싶어하지 않아한다면, 빈곤을 벗어날 시도조차 불가능해지는 것입니다.


저는 이게 어떻게 해소되어야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저는 최저임금의 상승을 찬성하지만(돈주기 개빡셉니다 저는 시급으로 치면 5천원쯤 벌겁니다) 이 혜택을 많이 받는 사람들은 오히려 현재 정말로 노동시장에서 소외된 사람들이 다수인건 아닐수도 있습니다. 차라리 정말로 기초소득같은걸 주는게 절대빈곤에서 구제할 방법일수도 있지요. 노동시장에서는 빈곤에 오래 노출된 사람들이 더욱 더 빈곤해지기 딱 좋습니다. 그래서 '몸과 정신이 멀쩡한데' 가난한 사람이 있겠냐, 애슐리 못가는게 말이 되냐는 말은 전제부터 틀렸습니다. 가난한테 몸과 정신이 온전히 말짱하긴 어렵습니다. 긴 시간 그렇게 유지되기는 더욱 어렵습니다. 애슐리를 한 번 가자는 마음가짐을 먹기 전에, 몸과 정신이 깎여나가거나 빈곤을 벗어나지 못하거나. 정말 많은 사람들은 그렇게 삶을 '버티고'있습니다. 저 역시, 얇은 문풍지로 막아놓은 빈곤의 바람을 앞에두고 문풍지가 찢어지지 않게 하기 위해 필사적일 뿐입니다.


이 명절에도 빈곤을 벗어나기 위해 가족들 얼굴을 못 보고, 인스턴트 음식을 먹으며 일하는 노동자들이 많습니다. 그리고 이 명절에, 그 일자리조차 없어서 한 숨을 안주삼아 소주 한 잔에 의탁하는 사람들은 더 많습니다. 그 소주 한 병을 살 돈이 아까워서, 늙은 몸뚱이를 방바닥에 눕힌 채 홀로 추석이 아닌 9월 13일을 보내는 사람도 더러 있습니다. 한국의 빈부격차는 세계에서 무척 높은 수준이며, 한국의 청년실업률 역시 상당히 높고, 한국의 노인빈곤률 역시 세계 최고수준이며, 자살인구 역시 세계 최고 수준입니다. 어쩌면 우리 사회에서 노력할 수 있는 사람이란, 우리가 바라보는 것 보다 훨씬 적을지도 모릅니다. 노력하면 잘 살 수 있다고 이야기 할 수 있는 것은, 아마 노력할 수 있는 사람만이 우리 주변에서 '사회적 활동'을 하고 있는 것일지도 모르지요. 이미 도태되어 가는 사람들은, 도시의 변두리로 숨고, 소리도, 냄새도 지워집니다. 그 지워져 가는 곳에도 사람이 있습니다.



==============================================================================================
다들 풍요로운 한가위 잘 마무리 하시길 바라겠습니다.
이번 명절에는 추석도시락 발주를 안했더니 명절음식을 못 먹었네요 아쉽습니다.
그래도 선물들어온 갈비로 찜 해먹었으니까 이정도면 좋다 싶습니다.
위에서 언급된 유머게시판은 이 곳이 아닌 다른 곳의 게시글로, '몸과 정신이 건강하면 성실히 맞벌이만 해도 애슐리를 못 갈 만큼 가난한 사회는 아니다'라는 내용이 있었습니다. 그 글에 대해 약간 비튼 시선으로 바라본 글입니다. 사실, 정말 그 전제가 가능하다면 저도 빈곤에서 벗어날 수 있는 사회라는 것에 동의합니다. 가난한 가정이 그 전제를 충족시키기가 쉽지 않아서 그렇지..




* Cascade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9-09-24 21:30)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89
  • 맞습니다. 가까운 주변의 울타리를 넘어서면 생각보다 황량한 세상이 있습니다.
  • 좋은 글 감사합니다
  • 동감합니다
  • 닉넴과 글 내용이 일치가 안 됩니다, 똑똑똑똑이로 바꾸시죠!
  • 좋은 통찰입니다.
  • 멍청이 아닌 똑똑한 닉넴의 글 잘 읽었습니다. 느끼는 바가 많군요.
  • 이걸 이제 봤네
  • 사회에 대한 자신만의 해석이 마음에 들었습니다.
  • 건강검진에 정신과상담 및 심리치료 반드시 포함시켜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 춫천


켈로그김
크게 동의합니다.

커뮤니티에서 읽은 글들 중
열거법이 이토록 적절하게 쓰인 글을 읽은적이 있었나 싶읍니다.
5
멍청똑똑이
우ㅡ쭐
로냐프
본문에 적극적으로 동의하는데, 과연 인간 사회에서 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지는 모르겠습니다. 가난 구제는 나랏님도 못한다는 속담 아닌 속담도 있는 걸 보면 말이죠. 그나마 기본소득제가 대안으로 떠오르기는 하는데, 사실 기본소득제가 제대로 운영되는 사회의 전제조건을 생각하다 보면, 이게 될까? 싶구요.
AGuyWithGlasses
기본소득제는 환상과는 달리 극우파에서 가장 좋아할 체제입니다. 모든 기존의 복지를 싹 없애고 돈으로 준다는 발상인데 아무리 계산해도 복지가 필요할 개인에게 돌아갈 양 자체가 줄거든요.
7
딱깨놓고 이야기하면 기본소득 줬는데 그걸로 도박하다 다 잃은놈들은 아프면 그냥 길에서 죽으셈 하는 이야기죠. 의료재정도 아끼고 일석이조 이런.. 사회구성원들이 지극히 이성적이다라는 전제하에야 가능한 부분이 아닐까 싶어요.
7
즐겁게
좋은 글 덕분에 곱씹으며 읽었습니다. 깊이있는 사유를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대안은 모르겠으나 공감은 하고싶어요.
제로스
장판파 유게글에 못껴서 슬펐습니다. 흑흑
AGuyWithGlasses
정말 느끼는 바가 많은 글입니다.

사실 거꾸로의 시점에서도 한번 써보고 싶은데 제약이 많...ㅠ
1
좋은 글 감사합니다.
먹먹하네요. 노력 vs 재능은 커뮤에서 자주 등장하는 주제인데, 노력할 수 있음도 재능(혹은 타고남, 운 등등)의 일종임을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자주 있더라고요.
1
CONTAXND
추석연휴 말미에 정말로 좋은 글 읽었습니다. 감사합니다.
1
그저그런
글 잘 읽었습니다 :)
파이어난글 궁금해서 찾아봤습니다.


https://pgr21.com/humor/363039?page=4



고등학교때 선생 한명이 동남아인들은 게을러서 못 사는거라고 싸잡아서 욕하면서 우리 민족의 근면성실함에 대해서 열변을 토한 일종의 파시스트였습니다. 제가 봤을땐 그 선생이라는 작자 동남아 국가에 그 나라 국적 가지고 거기 간다고 혼자 노력해서 잘 살것 같지 않은데...... 못 사는 사람 = 게으른 사람이라고 편견을 가진 사람들이 꽤 있는것 같아요.
2
잘 읽었습니다.
직접 쓰신 것 같은데 왜 [펌] 인가요?
멍청똑똑이
여기서 먼저 쓴게 아니라서..ㅎㅎ;
5
엄격하시군용 ㅎㅎ
헐..
펌 글이라 안보고 지나칠뻔 했는데.. ㅋㅋㅋ;;
1
멍청똑똑이
애독자님 놓칠뻔..
불타는밀밭
정신과 상담을 받으러 갔는데 제가 병적요인으로 인한 우울감과 통상의 우울감의 차이를 물었었습니다. 의사선생님이 [그런건 우울감으로 인하여 생활에 지장이 간다면 우울증]이라고 하시더군요. 그래서 제가 [똑같은 정신 상태여도 돈많은 백수라서 아무 것도 안하고 우울하다고 앉아만 있어도 별 문제가 없다면 우울증이 아니고, 1시간도 제대로 쉬지 못할 바쁜 직장인이라 우울해서 퍼포먼스가 조금 떨어지는 것 하나로 사회적으로 여러가지 심대한 타격을 입을 사항이면 우울증인 거냐]라고 물었더니 그렇다고 하시더군요. 똑같은 상태라도 부자면 정상인, 빈자면 우울증 환자로 판정한단 이야기 입니다. 그러니 가난하면서 건강한 이라는 개념은 형용모순같아요.
8
와.. 이 덧글은 심히 아프군요. 저는 우울증이네요. ㅋㅋ
열대맛차
'심리학은 자본주의의 앞잡이'라는 말이 있잖아요.
심리학으로는 가난도 해결 할 수 없고 가난으로 인한 심리적 고통도 해결 할 수 없다는거죠.
심리학에서는 개인의 심리적 문제를 유전적 요인, 신경전달물질 왜곡, 인지구조 왜곡에서 찾아버리는데 사실 외부적 요인에 대해서는 답이 없죠.
특히나 임상심리학은 상담자도 내담자도 다 그럭저럭 돈이 있는 사람들 위주의 학문이라서 가난한이들을 위한 심리학은 없다는 말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말했죠? 선생님 글은 항상 믿고 읽고 있습니다. 마음은 좀 많이 아프지만요. 오늘도 감사합니다.
읽으면서 그냥 우리 가족이 끌어안고 있는? ㅋㅋ 모순성이나 불안정성이나 사상누각 같은 이 기분을 느꼈어요. 그게 어디서 나온 걸까, 이 집에서 가장 어린 나는 무엇을 불안해하고 있는 건가, 무엇이 무서운 건가. 그게 이 글의 내용과 맞닿아있어요. 생각할 거리 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리고 항상 좋은 글 고마워요.
1
멍청똑똑이
고마우면 백원만!
1
아니면 밥 한 끼? ㅋㅋㅋㅋ
멍청똑똑이
저는 이러면 진짜 얻어먹는사람입니다
2
오.. 드루와드루와 아 막 개비싼 거는 안 대염
멍청똑똑이
ㅋㅋㅋㅋ길일을 점쳐주시지요
제가10월에는 조금 여유가있을예정입니다ㅎㅎ
10월 32일이요..? 아니 이건 농담이구여..
옆동네에서 읽고 참 감탄했었는데, 여기서 또 보는군요. 좋은 글 감사합니다.
화이트카페모카
세계적으로 성장세는 이제 차츰 느려지고
이제는 개인이 각자 알아서 행복해지는 법을
찾아나서야할때죠. 그래서 더더욱 사람이 귀한 법
글 잘 읽었습니다.
[펌]이라고 되어 있는데 왜 출처가 기재되어 있지 않을까 의아해했었는데
본인이 다른 곳에 먼저 게재한 것이 이유였군요.
공감되는 글 아주 잘 읽었습니다. ^^
감사합니다.
에브리타임이라는 대학교 온라인 커뮤니티가 있습니다. 거기로 퍼가도 될까요?
멍청똑똑이
네 출처랑 링크만남겨주셔여 댓글보고싶음
rknight
글 잘 읽었습니다. 그런데 마지막 부분에
>한국의 빈부격차는 세계에서 무척 높은 수준이며, 한국의 청년실업률 역시 상당히 높고
어떤 근거로 이런 얘기가 나오는지 궁금하네요. 소득 지니계수로는 준수한 편이고, 자산 지니계수로 봐도 북유럽에 비하면 매우 건전하고, 유럽에 비하면 청년실업률도 낮은 수준인데 어떤근거로 "세계에서 무척 높은 수준", "역시 상당히 높고" 인지 의문입니다. 통계에서 빠진 이부분 저부분으로 보자면 다른 OECD국가들도 이것저것 빠진부분은 많죠. 급속한 경제발전으로 인한 60~70살 이상 노인계층이 극빈... 더 보기
글 잘 읽었습니다. 그런데 마지막 부분에
>한국의 빈부격차는 세계에서 무척 높은 수준이며, 한국의 청년실업률 역시 상당히 높고
어떤 근거로 이런 얘기가 나오는지 궁금하네요. 소득 지니계수로는 준수한 편이고, 자산 지니계수로 봐도 북유럽에 비하면 매우 건전하고, 유럽에 비하면 청년실업률도 낮은 수준인데 어떤근거로 "세계에서 무척 높은 수준", "역시 상당히 높고" 인지 의문입니다. 통계에서 빠진 이부분 저부분으로 보자면 다른 OECD국가들도 이것저것 빠진부분은 많죠. 급속한 경제발전으로 인한 60~70살 이상 노인계층이 극빈곤층으로 떨어진것은 안타까운 현실이지만 이 글에서 지적하는건 경제활동 나잇대인 ~50대~ 이하 얘기가 아닌가요? 노년층이라는 특수한 상황을 제외하면 솔직히 한국의 극빈층이 미국같은 나라의 극빈층보다 암울한거 같지는 않네요.
조지아1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Dr.Pepper
결론은 애슐리 맛있어!
빕스는 더 맛있어!
맞죠? ㅋㅋㅋㅋ
좋은 글 감사히 읽었습니다./
공중파 진출 축하드립니다.
1
사이시옷
워매.. 인터뷰까지..
축하드립니다!

https://m.yna.co.kr/view/AKR20191001172000505?input=feed_daum
1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223 일상/생각딸아이는 자스입니다. 13 세상의빛 22/07/15 7857 152
920 일상/생각아들놈이 대학병원에서 ADHD 판정을 받았습니다 70 아나키 20/02/06 8488 146
917 일상/생각엄마 덴마크가 나 놀렸어요 ㅜㅠ 69 구밀복검 20/01/29 13186 122
771 요리/음식영국 음식이 맛이 없는 과학적인 이유 119 문학소녀 19/02/22 11993 106
699 창작고백합니다 44 파란아게하 18/09/09 9243 96
841 일상/생각[단상] 결혼을 수선하다. 35 다람쥐 19/08/08 6954 93
1221 일상/생각아이스크림 마이따 아이스크림 (50개월, 말문이 터지다) 72 쉬군 22/07/05 5240 90
858 일상/생각[펌] 자영업자의 시선으로 본 가난요인 43 멍청똑똑이 19/09/13 11418 89
695 정치/사회강제추행으로 법정구속되었다는 판결문 감상 - 랴 리건.... 30 烏鳳 18/09/07 51262 85
1422 정치/사회그럼에도 불구하고, 내가 차가운 거리로 나서는 이유 10 삼유인생 24/12/08 1817 84
1102 일상/생각귀여운 봉남씨가 없는 세상 36 문학소녀 21/07/09 5656 83
1001 일상/생각타임라인에서 공부한 의료파업에 대한 생각정리 43 거소 20/08/25 9155 82
769 정치/사회북한은 어떻게 될까 - 어느 영국인의 관점 85 기아트윈스 19/02/12 9566 79
1231 일상/생각자폐 스펙트럼과 일반인의 경계에서 살아온 사람의 이야기 14 카르스 22/08/21 5592 78
803 일상/생각끝나지 않은 투병기 25 Chere 19/05/16 6628 76
710 게임WOW(World Of Warcraft) 해야만 했던 이야기 76 문학소녀 18/10/02 9201 76
4 게임[히어로즈] 이것만 알면 원숭이도 1인분은 한다 64 Azurespace 15/05/30 13874 76
1256 기타포스트 아포칼립스물의 세계관 최강자가 68 문학소녀 22/12/09 5388 74
810 의료/건강저희는 언제 새로운 시작을 할 수 있을까요.. 20 Zel 19/05/30 7929 73
1059 일상/생각나도 누군가에겐 금수저였구나 15 私律 21/02/06 7198 72
910 경제홍차넷 50000플 업적달성 전기 79 파란아게하 20/01/17 6912 72
1154 일상/생각구박이는 2021년에 무엇을 어떻게 먹었나 62 구박이 21/12/23 5492 71
1177 정치/사회홍차넷의 정치적 분열은 어떻게 변해 왔는가? - 뉴스게시판 정치글 '좋아요'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72 소요 22/03/13 7002 70
1005 일상/생각어른들 말씀 잘 듣고 공부 열심히 하는 착한 사람 되지 마세요. 27 Schweigen 20/09/07 7942 70
1362 기타자폐아이의 부모로 살아간다는건... 11 쉬군 24/02/01 3609 69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