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18/06/08 12:34:25
Name   호라타래
Subject   다문화와 교육 - 한국, 싱가포르, 말레이시아를 중심으로
1. 다문화란 뭔가요?

'다문화'라는 말을 들으면 무엇이 떠오르시나요? 신문을 검색하면 다문화 가족, 다문화 정책, 다문화 자녀 등등의 용어들이 눈에 들어와요. 언론에서 일컫는 '다문화'는 한국인 남성 배우자와 외국인 여성 배우자로 이루어진 이주배경 가정, 그리고 그들의 자녀를 가리키는 경우가 많아요. 

한국 사회에서 '다문화' 논의는 2000년대 이후 부각되었다고 해요. 다양한 배경을 지닌 외국인들이 한국으로 이주해오면서 한국사회의 인구학적 변화가 야기되었고, 다양한 분야에서 '다문화'에 대한 관심이 커졌지요. 그런데 한국 사회에서 단/장기로 체류하는, 혹은 귀화하여 한국 사회로 한 걸음 더 진입하는 외국인의 증가는 어느 날 짠하고 등장한 것으로 읽기는 곤란해요. 국경 관리, 그 중에서도 외국인의 유입은 국가가 강력하게 통제하는 영역이거든요. 

국가는 누구를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지를 결정해요. '외국인 저숙련 노동자들은 귀화 신청하지 못하도록 체류 기간을 제한해야겠다'. 이를 저숙련노동자들에 대한 단기순환정책이라 불러요. 나름의 계산에 따라 선별적으로 받아들이고자 하는 것이지요. 미등록 장기체류 외국인(흔히 불법체류자라 부르기도 하지요)의 사례에서도 볼 수 있듯이, 언제나 마음처럼 되지는 않지만요.

반대로 국제결혼이주자들에게는 호의적인 편이예요. 인구 감소에 대한 정부, 언론의 걱정을 연결해서 생각하시면 될 거예요. '농촌총각 장가보내기 운동'을 떠올리셔도 되고요. 초창기 국제결혼중개는 그 참혹한 실상 때문에 여성 인신매매(trafficking)라는 비판을 받기도 했어요. 물론 한국으로의 이주를 목표로 위장결혼을 하는 사례도 분명 있었고요. 지금은 농촌 뿐만 아니라 도시에도 국제결혼을 통해 형성된 가정의 수가 많아졌고, 국제결혼 경로가 변화하여 초창기 부각되던 문제는 완화되었어요. 

한국에서 장기체류/귀화하는 외국인의 수가 늘어나고, 이주배경자녀들의 수가 늘어나면서 해결해야 할 문제가 생겨요. 오랫동안 한국 사회와 국가는 자신들을 '단일 민족'이라 칭했거든요. 단군신화를 뿌리로 하는 5천년의 역사와 문화를 공유하는 단일민족. 이 관점도 자세히 뜯어보면 어폐가 있지만, 언어가 다르고 생김새도 달라보이는 사람들이 일단은 '한국 사람'이 되는 거거든요. 국적을 지니지 않더라도, 생활영역을 공유하는 외국인들의 수도 많아지고요. 

'다문화'에 대한 논의는 이러한 배경에서 발전했어요. 외국인 노동자들이 '다문화'라는 개념에서 벗어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주로 국제결혼가정과 그 자녀들만이 '다문화'로 인식되는 것도 마찬가지의 배경을 지녀요. 역설적으로 '다문화'에 대한 한국 정부와 사회의 관심이 늘어나면서, '다문화'에 대한 반감이 생겨나기도 해요. 다문화 사회는 '다양한 사회적, 문화적 배경과 관계없이 평등하게 더불어 가는 사회'(이민경, 2011)라는 가치지향적인 관점을 지녀요. 하지만 정작 '다문화'는 이주배경가정과 그 자녀들은 분리하고 낙인찍는 용어로 쓰이게 되었지요. 이주배경인구 내부의 다양성이 무시되기도 하고요. 그래서 많은 학자들은 '다문화'라는 용어를 특정 집단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하지 않을 것을 제안해요.

그렇다면 아예 다문화(multi-culture)라는 용어를 생각해봐요. 문자 그대로 보자면 여러가지(multi) 문화(culture)지요. 문화(culture)는 너무나도 정의하기 어려운 개념인데, 일단은 고등학교 사회문화 시간에도 배우는 '인간 집단의 생활양식의 총체'라고 생각하고 넘어가 볼게요. 생활양식이 도대체 무엇인가도 어려운 이야기지만, 인간 집단이 지니는 생활 양식도 매우 다양하잖아요. 위에서 언급했던 외국인 혹은 이주배경인구들이 정주민이었던 한국인들과 다른 생활양식을 지닌다는 점은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거예요. 그럼 최근 젊은 층 사이에서 부각되고, 온라인을 중심으로 표출되는 젠더 이슈를 생각해보면 어떨까요. 젠더로서의 남성과 여성은 다른 문화를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을까요? 금수저/흙수저라는 구분에서 드러나는, 경제적으로 대별되는 집단 간 문화 차이는 어떨까요?

다인종, 다민족 사회가 아닌 '다문화 사회'라는 말은 훨씬 넒은 의미가 담겨있어요. 한국에서 '다문화' 논의가 부각된 맥락이 이민을 중심으로 하기에 아직까지는 젠더나, 장애 이슈는 '다문화'와는 거리가 있는 것처럼 치부되기는 해요. 하지만 미국에서 다문화 논의는 흑인 민권 운동과 여성 운동을 따라서 형성되었고, 이후에 새로운 이민자1), 장애에 대한 논의도 이어져요. 한국의 '다문화' 현상은 전세계적으로 볼 때 후발적인 현상이고, 해외의 논의들을 받아들이지만 한국의 독특한 맥락과 꼭 일치하지는 않지요. 그렇다고 해서 '다문화'를 꼭 이주로만 한정해서 바라볼 필요는 없어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대 사회에서 이주 현상이 매우 강력한 파급력을 지니고 있고, 대부분의 국가가 다루어야 하는 문제라는 점에서 다문화 논의와 이주의 관계는 특히 밀접하다 할 수 있겠네요.

2. 다문화교육이란 뭔가요? 한국의 다문화 교육은 어떤가요?

뱅크스(Banks, 2001)라는 학자에 따르면 다문화 교육은 평등을 위한 교육이에요(An idea, an educational reform movement, and a process whose major goal is to change the structure of educational institutions so that male and female students, exceptional students, and students who are members of diverse racial, ethnic, language, and cultural groups will have an equal chance to achieve academically in school)(Banks & Banks, 2001). 다양한 배경의 학생들이 학교에서 실질적으로 동등한 교육 기회를 보장받을 수 있도록 구조를 바꾸어내기 위한 사상, 교육 개혁 운동, 과정이지요. 

실제 서구에서 사용하는 다문화 교육의 개념이나 용어 등은 조금씩 달라요. 그렇지만 어떠한 정책적 기조를 내세우든지 간에 실천적인 측면에서는 비슷하게 수렴하는 경우가 많아요(이민경, 2008). 프랑스는 공화국이 이룩해 온 정치적 합의를 벗어나는 개별 집단의 특수성을 인정하지 않으려 해요. 캐나다는 (지금은 공식적으로 다문화주의를 철회했지만) 개별 집단의 특수성을 폭넓게 인정하지요. 하지만 각자 전면에 내세우는 기조 뿐만 아니라, 보완적인 정책들도 병행해야 하는 것이 현실이거든요.

원칙적인 차원에서 접근하자면, 다문화교육에서 담아내야 하는 요소는 다음의 다섯 가지에요(Banks, 2008)

1) 편견 줄이기(Prejudice Reduction): 다양한 민족, 인종, 문화적 그룹 사이의 편견을 줄이는 방법론을 모색하는 것
2) 지식 구성 과정 이해(The Knowledge Construction Process): 학생들이 지식이 어떻게 구성되는지를 이해하게 하여 문화적 틀을 이해하게 하는 것
3) 내용 통합(Content Integration): 교사가 다양한 문화적 콘텐츠를 사용하여 문화적 다양성을 통합적으로 제시하는 것
4) 공평한 교수법(An Equity Pedagogy): 아이들의 배움에 적합한 다양한 교수법을 사용하여 이질적인 배경을 가진 아이들의 균등한 학업성취를 돕는 교수법을 개발하는 것
5) 학생 역량 강화를 위한 학교 문화와 사회 구조(An Empowering School Culture and Social Structure): 다양한 민족, 인종, 문화적 그룹의 학생들이 학교에서 파워를 균등하게 행사할 수 있도록 균등하고 정의로운 학교문화를 창출해야 한다는 것

주목해야 할 것은 다문화교육의 대상은 이주민, 장애인과 같은 사회적 소수자 뿐만 아니라, 흔히 '일반'이라고 생각하는 다수자들까지 포함한다는 것이에요. 소수자에 대한 교육적 지원과 배려로는 한계가 있어요. 다수와 소수의 경계는 언제나 동일하지 않지만, '다수자'들이 지닌 인식의 문제를 다루어야 할 필요가 있지요.

다문화교육은 '사회', '영어'와 같은 개별 분과라기 보다는 교육과정이나, 교수법에 반영되는 지침과 철학에 가까워요. 뒤집어 말하자면 각 학교, 지역 사회, 개별 사회가 처해있는 구체적인 맥락에 따라 실천적인 내용이 달라져야 해요. 

한국의 다문화교육을 살펴봅시다. 앞서 언급했듯이, 한국의 다문화 교육은 주로 이주배경인구의 자녀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어요. 이 중 대다수는 한국인 아버지와, 외국 출신 어머니를 둔 '국제결혼자녀'였어요. 현재 이러한 배경을 지닌 인구는 대다수가 초등학교 미만이에요. 물론 국제결혼이주의 역사도 20년이 넘었기에 일부는 대학에 진입했어요. 어머니가 한국으로 재혼을 하고, 그 전혼(前婚) 자녀가 따라온 경우(중도입국자녀라 칭합니다) 중~고등학생 나이이고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절대다수의 이주배경학생들이 초등학교 이하의 국제결혼자녀이기에 정책도, 연구도 여기에 집중되어 있었지요.

이러한 편향성이 문제가 되는 이유는 겪고 있는 어려움의 크기로 보았을 때, '국제결혼자녀'들보다는 '이주노동자 자녀'나 '중도입국자녀'들이 정책적 관여의 필요성이 더 크기 때문이에요. 특히 언어능력으로만 보자면 '국제결혼자녀'들의 대다수는 한국어 의사소통에 문제가 없어요. 애초부터 한국에서 태어나고 자란데다가, 결혼이주자 어머니들 중 많은 수가 차별의 가능성을 의식해서 더욱 적극적으로 한국어를 강조하기도 했거든요. 

한국 교육문화와 구조를 함께 고려하지 않은 채 '다문화 교육'을 독자적인 영역으로 간주한다는 비판도 있어요. 한국교육의 경쟁적이고, 위계적인 특징이 두드러지지 않는 초등학교 시기에 연구가 집중되었기 때문이라 볼 수도 있지만, 제 개인적으로는 이러한 비판에 상당히 동의하는 편이에요. 결국은 같은 한국 사회와 교육의 자장 아래 놓여있으니까요. 앞서 짚었듯이 다문화 교육은 '이주배경인구의 자녀'만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이라 보아서는 안 되고요. 중학교 이상 자녀들에 대한 연구들이 이어진다면 한국 교육의 구조들과 보다 선명하게 접합하는 문제들을 잡아낼 수 있지 않을까 싶네요. 

시혜적이고 온정적이라는 비판도 존재해요. 이러한 비판은 한국 정부의 다문화 정책 전반에 적용되는 비판이지요. 여성 결혼이민자들에게 지원이 집중되는데, '김장 담그기' 행사와 같은 이벤트성의 행사가 중복되는 경우가 많았거든요. 자녀들에 대한 지원도 마찬가지로 '놀이공원 체험'과 같은 이벤트적 성격이 많았지요. 최근에는 중장기적인 효과를 노리는 여러 프로그램들이 개발되고 있고, 그 효과성을 측정하기 위한 노력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까지 한국에서 뱅크스가 제시한 형태의 다문화교육이 온전히 실행된다고 보기는 힘듭니다. 입시라는 과업을 중심으로 초, 중, 고 교육이 작동되는 양상도 고려해야 하고, 개별 지역사회와 학교의 맥락까지 고려하여 이러한 철학을 녹여낸다는 것이 쉽지 않은 작업이기도 해요. 기존에 몇몇 학교에서 실시되던 세계시민교육이나, 문화다양성 교육이 다문화교육과 겹쳐지는 부분이 있기는 하지만 나열한 교육들도 한국 학교에서는 일반적이라 보기 힘들지요.

3.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의 다문화교육은 어떤가요?

개별 사회가 처한 맥락에 주목해야 해요. 처음에 한국 사회에서 '다문화' 담론이 부상한 맥락을 개략적으로 풀었고, 동시의 미국의 역사도 살짝 언급했어요. 한국은 들어오는 이민(immigration)이 매우 제한되었던 사회이고, 미국은 애초부터 이민자들이 건설한 국가예요.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가 여러 인종과 문화가 공존하는 다문화 사회라는 이야기는 있지만, 그 역사적 배경은 제국주의와 식민지 시기까지 거슬러 올라가야 합니다.

동남아시아의 말레이 반도 남부(싱가포르까지 이어지는)를 제국주의 시대 때 지배했던 국가는 영국이라 해요. 많은 식민지 정부들과 마찬가지로 영국은 식민지를 원활하게 통치하기 위해 분할통치(divide and rule) 원칙을 이용합니다. 말레이반도에서 살던 정주민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외부에서 이민으로 데려온 중국, 인도인들을 각기 다르게 대우하여 분열을 조장했지요. 영국의 뒤를 이어 이 지역을 지배한 일본도 마찬가지였고요.

2차대전 종결 이후 영국이 다시 말레이 남부에 영향력을 끼치고자 하자 사람들은 반발합니다. 분할통치의 유산으로 서로 간 간극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말레이시아 정주민들 뿐만 아니라 중국에서 왔던 이주배경인구들도 함께 독립을 기획하지요. 그 결과 독립에 성공한 말라야 연방에서 말레이계, 중국계, 인도계는 모두 공동체의 일부로 편입됩니다.

하지만 식민 시기에 분할 통치를 통해 뿌려진 갈등의 씨앗은 쉽게 사라질 수가 없었어요. 다수인 말레이계가 정치적인 권력을 장악하고 있지만, 경제적인 권력은 상대적으로 소수인 중국계가 장악하고 있었어요. 인도계는 직접적인 갈등에서 벗어나는 전문직에 다수 자리잡고 있었고요. 말레이계는 자신들이 장악한 정치적인 권력을 통해 '말레이시아인'을 어떻게 형성할지를 고민해요. 그리고 말레이계를 중심에 놓지요. 구체적인 예를 들자면 각자의 종교적 자유는 보장하지만 국교는 이슬람교로 지정하고, 모든 사람들은 종교를 지녀야 한다는 식이지요(양승윤, 2008). 

결국 중국계가 다수였던 싱가포르는 연방이 추진하는 말레이 인종 우선 정책에 반대하여 독립을 택해요(싱가포르가 말라야 연방으로부터의 독립을 원치 않았다는 의견도 있던데, 이 점은 잘 모르겠어요. 레퍼런스를 확인하면 추가하도록 할게요). 당시 말레이반도 남부의 경제적인 축은 현재 말레이시아 수도인 쿠알라룸푸르와, 남부의 무역도시 싱가포르였거든요. 하지만 싱가포르는 말레이시아와는 다른 방식을 따릅니다. 독립 당시 싱가포르를 구성하고 있던 인종의 비율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각자의 문화를 존중하겠다는 입장을 취해요. 이를 CMIO(Chinese, Malay, Indian, Others) 시스템이라 부르지요(Noor & Leong, 2013).

이러한 일련의 흐름들을 학자 고(Goh, 2008)은 식민지적 다원주의에서 후기식민적 다문화주의로(From Colonial Pluralism to Postcolonial Multiculturalism)라고 표현해요. 식민지 통치자들이 다원주의적 모델(pluralist model)에 따라 간섭한 지역 사회, 그리고 조직해 둔 사회적 경제가 독립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이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가 서로 다른 다문화 사회 모델을 채택했다는 것이지요. 식민지 통치자들의 관점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인종(race) 개념에 대한 당대의 신화까지도 연결해야 하지만 일단 이 글에서는 넘어갈게요 ㅇ_ㅇ;

말레이시아는 이후에도 말레이계의 우위를 위한 노력을 계속해요. 특히 1969년 5월 13일에 발생한 종족 폭동(racial riot)은 큰 계기였어요. 여전한 중국계의 경제적 우위 때문에, 말레이계는 정치적 주도권을 상실하리라는 두려움을 지니고 있었는데 이것이 폭발했지요. 그 결과 말레이시아 정부는 부미푸트라(bumiputera; 땅의 자손)라 불리는 말레이계에 대한 적극적 우대조치(affirmative action)을 더욱 강화합니다. 1971년 발표한 신경제정책(NEP)는 부미푸트라들의 경제적인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을 경주해요. 말레이계와 토착 원주민을 대상으로 하는 정부공직 자동임용, 대학 입학 할당제와 무료 외국유학, 정부대출과 저축을 포함한 금융지원, 외국계 기업에서의 우대 채용 등등이 그 골자예요(염철현, 2014). 

교육은 그 핵심 내용이였어요. 경제 분야를 장악한 중국계는 교육에 대한 열의가 컸는데, 중국계가 계속해서 엘리트를 재생산한다면 미래에도 중국계의 우위가 계속되리라는 논리가 컸어요. 때문에 고등교육, 엘리트 교육 분야에서 정부는 말레이계에 대한 우대를 유지해요. 말하자면 부미푸트라가 아닌 중국, 인도계는 차별을 받는 것이지요. 이 때문에 많은 중국계 말레이시아인들은 해외 유학을 택하게 됩니다.

이렇게만 말하면 다문화인가? 싶은 생각도 들텐데, 말레이시아 교육정책의 기본 방향은 국민통합이예요. 다른 말로 하자면 '말레이시아의 주요 과제는 국민 형성(Nation building)'이었고요(황인원·김형종·김지훈, 2012). 그 결과 경쟁관계에 따른 이질감은 상존하지만, 주요 세 종족2)집단이 서로 상대방의 존재를 인정하고 그들의 문화적 전통을 존중해야 한다는 폭넓은 공감대는 존재한다고 하네요(양승윤, 2008) 이슬람 교도인 말레이계가 이슬람 종교교육을 받는 동안, 이슬람 교도가 아닌 외래 종족들은 도덕과목을 받아요. 말레이의 이슬람들은 다종족 문화에 기반하기에 여타의 이슬람 국가가 지니는 보수적 성향이 상대적으로 적어 정체성 교육과 세계화 교육을 동시에 강조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하고요. 국어는 말레이어지만, 영어를 공용어로 활용하는 것도 만다린(Mandarin), 타밀(Tamil)어를 유지하는 서로 다른 집단들이 의사소통이 가능하게 했어요. 그 외에 집단 간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학교 시스템을 하나로 통합하는 비전 학교(Vison School; Sekola Wawasan)의 설립, 과학과 수학 영어 수업을 들 수도 있지요(이윤정, 2014).

싱가포르로 넘어가보지요. 싱가포르가 말레이시아보다 각 집단의 고유성을 존중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펼친 까닭은 독립 자체가 말레이시아의 차별에 대한 반대이기도 했지만, 주변 국가들의 주요 구성원이 말레이계이기에 차별이 자행될 경우 도시국가인 싱가포르가 주변 국가들과의 갈등을 감당하기란 여의치 않아서기도 했어요(최무현, 2009). 싱가포르가 내세운 방침은 철저한 실력주의(meritocracy)였지요. 모두가 영어를 익히는 이중언어 정책을 공식적으로 내세우고, 언어 능력에 대한 평가를 바탕으로 모든 학생들의 학업 경로를 조율하는 방식이였어요. 싱가포르의 경제적 구조는 인적 자본이 중심이기 때문에, 엘리트 교육에 총력을 기울인 것이지요. 이러한 관점에서 싱가포르는 국민 형성보다 국가 형성(state-building)이 더욱 절실했다(황인원·김형종·김지훈, 2012)고 할 수 있습니다. 배려, 다양성, 유연성과 같은 다문화교육의 요소들조차도, 거시적으로 볼 때는 국가 발전과 사회 통합이라는 상위 목표 달성을 위한 과정으로 보았다는 것이지요.

표면적으로 잘 조율되어 보이는 싱가포르의 '다문화주의' 내에도 갈등 요소는 존재합니다. 분화된 학업 경로에 따라 교육의 내용은 크게 달라져요. 다문화 교육은 지식에 대한 교육이라기 보다는 태도와 행동의 변화를 촉진하기 위한 교육인데, 싱가포르에서는 시민의 역할을 세 가지로 분리하고3) 오직 엘리트들만 민주적 계몽이나 정치적 관여를 촉진하는 시민교육을 받지요(Ho, 2012). 이는 싱가포르가 기술관료를 중심으로 하는 국가의 역할을 강조하고, 시민사회 영역은 억압해 온 것과 무관하지 않아요. 싱가포르 교사들에 대한 인터뷰를 보면(Alviar-Martin & Ho, 2011) 싱가포르 교사들 사이에서 국가가 내세우는 방침과 이상, 그리고 실제 현실 상에서 드러나는 차별에 대한 혼란이 느껴져요. 국가가 내세우는 CMIO의 집단 구분은 결국 인위적인 구분이라 모든 학생들을 나눌 수가 없고, 언어 능력을 중시하는 시험 위주의 '능력주의'가 저소득 계층을 소외시키며, 정치적 안정성을 위해 대안적인 시각을 꺼리는 싱가포르의 방침이 다문화교육에 적합한지를 질문할 수도 있지요. 싱가포르의 이중언어능력에 대한 환상은 한국에도 꽤나 폭넓게 존재해요. 하지만 그 결과를 함부로 판단하기란 힘들어요. 사회경제적 배경에 따라 영어 능력에 차이가 생겨나고, 이 영어 능력 차이가 다시 사회경제적 차이를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거든요(Kim, 2012). 특히 말레이계와 중국계의 경제적 격차가 두드러져요(Noor & Leong, 2013).

4. 나가며: 앞으로는?

간략하게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의 상황을 짚었지만 서술하지 않은 내용도 많아요. '국민'의 범주에 포함되지 않지만,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 경제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 특히 싱가포르의 경우 더더욱 큰 - 외국인 노동자들에 대한 태도의 문제는 중요하지요. 또한 눈치채셨겠지만 학문적인 논의에서의 다문화교육과, 실제 각 사회에서 시행하는 다문화교육 사이의 간극은 상당해요. 하지만 각국 다문화교육의 우열을 비교한다는 것은 어려운 문제에요. 서로 다른 맥락에서 비롯된 결과를 어떻게 우열의 문제로 쉽게 판단할 수 있겠어요.

다만 '맥락'에 주목하자면 향후에 어떠한 문제가 부각될지에 대한 생각을 해볼 수 있을 듯해요. 말레이시아의 경우 이전의 에스닉 집단 간 차이보다는 집단 내 차이가 부상하고 있다고 합니다. 신경제정책의 적극적 우대조치의 과실을 향유하는 것은 부미푸트라 중 상위 몇 %에 불과하다는 것이지요. 이러한 상황에서 도시 상류층들의 도덕적 타락을 비판하는 움직임도 있고요(Noor & Leong, 2013). 2017년 이후 말레이시아는 그간 세속화(secularization)를 강조하던 정치세력(UMNO)와, 탈세속화를 강조하는 정치세력(PAS)의 정치적인 협력이 일어났어요(김형종·홍석준, 2018). '정치적 이슬람'의 부각이 향후 말레이시아의 다문화 교육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는 생각해볼 만한 문제지요.

싱가포르는 포스트 리콴유 시대를 맞이했어요. 첫 여성대통령이 탄생했지만, 이는 사회 평등과 민주주의의 실현이라는 관점이라기 보다는 집권당(인민행동당, PAP)의 정치적 정당성 재창출을 위한 설계라는 시각이 크지요. 그 과정이 '다인종주의'와 '능력주의'를 내세웠던 PAP의 태도와 모순된다는 비판도 존재하고요. 하지만 말레이계이자, 여성이라는 이중 약자인 할리마 야콥 대통령의 당선을 싱가포르가 보다 차별 없는 사회로 나아간다는 신호로 읽을 수도 있어요. 2016년에 단행된 교육 정책 변화는 어린 청소년들의 다양한 적성과 재능을 평가할 수 있는 쪽으로 나아갔다고도 하지요(강윤희·최안아, 2018) 그 실제적인 내용들을 확인해 보는 것도 의미있는 작업일 거예요.


1) 미국은 1965년도까지 인종/국적에 따른 이주민 쿼터가 있었거든요. 쿼터제가 폐지된 후 들어온 사람들을 '새로운 이민자'라 부릅니다. 아시아계의 증가도 이 이후지요.
2) 생물학적 요소가 강조되는 종족보다는, 문화/사회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에스닉(ethnic) 집단이 더 적절해하다 느껴요. 여기서는 인용한 논문들의 표현을 그대로 씁니다.
3) 1] elite cosmopolitan leaders 2] globally-oriented but locally-rooted mid-level executives and workers and 3] local ‘heartlander’ followers.


참고문헌

강윤희, & 최인아. (2018). 싱가포르 2017 : 포스트 - 리콴유 시대의 도전과 과제. 동남아시아연구, 28(1), 83–120.
김형종, & 홍석준. (2018). 말레이시아 2017: 정치적 이슬람의 부상. 동남아시아연구, 28(1), 53–82.
양승윤. (2008). 말레이시아의 교육정책과 종족갈등. 동남아연구, 17(2), 91–121.
염철현. (2014). 말레이시아 적극적 우대정책(Affirmative Action)의 배경, 성과, 그리고 최근 동향. 교육법학연구, 26(2), 101–123.
이민경. (2008). 한국사회의 다문화 교육 방향성 고찰 : 서구 사례를 통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교육사회학연구, 18(2), 83–104.
이민경. (2013). ‘다문화교육’ 연구동향과 쟁점: 교육사회학 연구에의 시사점을 중심으로. 교육사회학연구, 23(4), 177–205.
이윤정. (2014). Asean 국가 다문화교육의 현황과 시사점 -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를 중심으로. 교육논총, 34(2), 115–143.
최무현. (2009). 싱가폴의 다문화 정책의 형성과정과 평가. 지역발전연구, 18(2), 133–162.
황인원, 김형종, & 김지훈. (2012).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 고등교육정책 변화의 정치경제. 동남아시아연구, 22(3), 195–239.
Alviar-Martin, T., & Ho, L. C. (2011). “So, where do they fit in?” Teachers’ perspectiv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diversity in Singapore.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7(1), 127–135. http://doi.org/10.1016/j.tate.2010.07.009
Banks, J. A., & Banks, C. A. M. (2001). Multicultural education: issues and perspectives. 4th ed: John Wiley. 
Banks, J.A.(2008). An Introduction to multicultural education(4th ed.). Seattle: University of Washington
Goh, D. P. S. (2008). From Colonial Pluralism to Postcolonial Multiculturalism: Race, State Formation and the Question of Cultural Diversity in Malaysia and Singapore. Sociology Compass, 2(1), 232–252. http://doi.org/10.1111/j.1751-9020.2007.00065.x
Ho, L. C. (2012). Sorting citizens: Differentiated citizenship education in Singapor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44(3), 403–428. http://doi.org/10.1080/00220272.2012.675359
Kim, J. (2012). Singapore’s Bilingualism and its Bilingual Educational Policies: A Review of the Literature on Continuity, Change and Challenge, 1950s-2000s. 사회과학연구, 36(1), 157–177.
Noor, N. M., & Leong, C. H. (2013). Multiculturalism in Malaysia and Singapore: Contesting models.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cultural Relations, 37(6), 714–726. http://doi.org/10.1016/j.ijintrel.2013.09.009


* 수박이두통에게보린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8-06-18 08:07)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16
  • 홍차넷의 보배인데스
  • 선추후독
  • 논문 잘 읽고 합니다 ㅎㄷㄷ


호라타래
급하게 쓰다보니 문장이 개판이네요. 조만간 수정하겠읍니다 ㅠㅠ
기쁨평안

요새 TV유치원에서 어린이 출연자들을 다문화가정으로 구성하고 있지요.
1
호라타래
저는 일단 찬성합니다 ㅎ_ㅎ 한국도 곧 한국 미디어에서 표상되는 다양성을 둘러싸고 논쟁이 불거지겠네요.
망손꽝손
이 사진을 보며 든 생각이.. 한국이 말하는 다문화는 결국 "혼혈" 아이들과 직계를 어떻게 품고 받아들일지 위주로만 고민을 하나? 라는 의문이 들었어요. 한국은 귀화를 한 외국인 부부가(귀화도 잘 시켜주지도 않지만) 한국에서 애를 낳아 그 아이는 한국 밖에 몰라도 그 아이를 "다문화"가정의 범주에 넣고 고민하지는 않는 거 같아요. 싱, 말레이, 인도네시아 등은 비록 인도계, 중국계가 섬처럼 살아도 자국민으로서의 아이덴티티가 있고 그 부분은 존중 받잖아요. 우리가 이야기 하는 다문화가 계속해서 "한국인 피가 흐르는" 이들에 대한 교육, 정책으로 한정되는 건 아닌가...라는 생각이 드네요.
호라타래
말씀하신 경향이 강하지요. 한국은 혈통주의에 기반한 국적 기준을 지니고 있거든요. 국민으로 편입될 사람들을 우선적으로 관리한다는 입장을 취해요. 한국의 '다문화 가족' 기준도 여기에 들어가기 때문에, '이주배경인구'라는 기준을 쓰는 편이 문제의식을 지니는 '모두'를 포괄하기에 더 적절합니닷 :) 그래도 한국 맥락에 배태되어 있는, 말씀하신 한계를 극복하려는 노력도 지속되고 있어요. 미등록 이주노동자 가정 자녀에 대한 교육 권리 보장이라든지, '중도입국자녀'에 대한 연구라든지요.

앞으로도 많은 관심 부탁드려요. 생각할 거리를 드렸다고 느끼니 기분이가 좋아지네요 히힛
블랙비글
제가 듣기로 싱가포르는 말레이 연방에서 쫓겨난 걸로 알고 있습니다. 아마 싱가포르 혼자 독자생존이 불가능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더 이상 말레이계 위주의 국가를 설립하는데 있어서 반대하지 말 굽히고 들어오라는 의도였을 수도 있는데 역사는 그렇게 흘러가지 않았죠. 또 다른 이유는 어떻게 해서든 중국계 인구를 줄이려는 노력의 일환이었을 수도 있고요. 애초에 싱가포르가 공산당과의 갈등으로 인해 그 1962년 국민투표(No가 없는, Yes 중에 하나를 고르는 특이한 국민투표였죠..)를 통해 말레이에 스스로 들어간거라서 본인들이 원했다면 애초에 독립해야 하는 상황에 있을 필요도 없었습니다.

싱가포르는 선택적... 더 보기
제가 듣기로 싱가포르는 말레이 연방에서 쫓겨난 걸로 알고 있습니다. 아마 싱가포르 혼자 독자생존이 불가능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더 이상 말레이계 위주의 국가를 설립하는데 있어서 반대하지 말 굽히고 들어오라는 의도였을 수도 있는데 역사는 그렇게 흘러가지 않았죠. 또 다른 이유는 어떻게 해서든 중국계 인구를 줄이려는 노력의 일환이었을 수도 있고요. 애초에 싱가포르가 공산당과의 갈등으로 인해 그 1962년 국민투표(No가 없는, Yes 중에 하나를 고르는 특이한 국민투표였죠..)를 통해 말레이에 스스로 들어간거라서 본인들이 원했다면 애초에 독립해야 하는 상황에 있을 필요도 없었습니다.

싱가포르는 선택적 다문화 정책을 취하고 있는데, 주거정책 같은 것에서는 강한 다문화 정책을 지향하고 있지만 교육에서는 말씀하신것처럼 실력주의를 채택하고 있습니다. 인종간 차이가 없다면 (그 원인이 무엇이든간에) 상관이 없겠지만 현실적으로 존재하는 상황에서 실력주의를 채택하면 결과는 뻔하죠. 따라서 대학 진학은 대부분 중국계인 것을 확인 할 있고, 그것에 대해 별다른 문제의식도 없는 것 같습니다. (https://www.foreignaffairs.com/articles/singapore/2017-09-05/singapores-lessons-affirmative-action) 취업공고에서도 중국어 가능자 원한다고 지정되면 사실상 이중언어 교육의 특성상 중국계가 될 수 밖에 없는 상황이죠. 다문화는 어려운 문제고 싱가포르 정도면 아주 잘하고 있는거 같습니다.
1
호라타래
관심 감사합니다. 혹시 첫 번째 문단과 관련해서 레퍼런스를 더 알 수 있을까요? 링크가 아니더라도 논문 검색에 도움이 될 만한 내용이라도요. 말씀해주셨던 부분이 계속 마음에 걸렸었어요ㅠㅠ 추방이다, 자발적 독립이다를 한마디로 결정할 수는 없지만 각각의 근거들을 교호하여서 살펴야 하니...

두 번째 문단의 기사에서 싱가포르 부분만 읽었는데, 선거 관련 부분은 강윤희, 최인아(2018) 선생님이 다루신 내용이지만 기사는 적극적 우대조치의 측면에서 더 해석하고자 하는군요. 이 부분은 비전공인 제가 가타부타 논하기는 어렵네요 8ㅅ8 ... 더 보기
관심 감사합니다. 혹시 첫 번째 문단과 관련해서 레퍼런스를 더 알 수 있을까요? 링크가 아니더라도 논문 검색에 도움이 될 만한 내용이라도요. 말씀해주셨던 부분이 계속 마음에 걸렸었어요ㅠㅠ 추방이다, 자발적 독립이다를 한마디로 결정할 수는 없지만 각각의 근거들을 교호하여서 살펴야 하니...

두 번째 문단의 기사에서 싱가포르 부분만 읽었는데, 선거 관련 부분은 강윤희, 최인아(2018) 선생님이 다루신 내용이지만 기사는 적극적 우대조치의 측면에서 더 해석하고자 하는군요. 이 부분은 비전공인 제가 가타부타 논하기는 어렵네요 8ㅅ8

통계 결과는 흥미롭네요. 엘리트 트랙에서 중국계와 말레이계의 격차는 여전히 존재하지만 완화되는 것이 지표로 드러나고
네요. 기사에서는 그 원인을 에스닉 집단 자체의 기초교육 강화 노력에 두고 있고요. MENDAKI와 싱가포르 정부의 관계를 찾아봐야겠네요.

다문화는 어려운 문제라는데 동감해요. 각국의 맥락이 있으니 뱅크스 센세의 기준을 들이대기만 하는 것도 비현실적인 접근이라 느끼고요. 싱가포르가 잘하고 있는건지 아닌지는 전 모르겠습니다 ㅠㅠㅠ
블랙비글
감사합니다 ㅎㅎ 저도 완전 비전공이라서 논문 같은것은 잘 모르겠고 그냥 들은 얘기랑 추측을 말씀드렸습니다. 추방이다 자발적 독립이다는 쉽게 이야기 할 수 없다는게 맞는 거 같습니다. 저는 어쨌든 순서상으로 말레이에서 먼저 싱가포르를 추방하기로 결정을 내렸고, 그 이후에 싱가포르에서 독립을 선언했기 때문에 '쫓겼다' 라고 했는데 (https://www.econom... 더 보기
감사합니다 ㅎㅎ 저도 완전 비전공이라서 논문 같은것은 잘 모르겠고 그냥 들은 얘기랑 추측을 말씀드렸습니다. 추방이다 자발적 독립이다는 쉽게 이야기 할 수 없다는게 맞는 거 같습니다. 저는 어쨌든 순서상으로 말레이에서 먼저 싱가포르를 추방하기로 결정을 내렸고, 그 이후에 싱가포르에서 독립을 선언했기 때문에 '쫓겼다' 라고 했는데 (https://www.economist.com/the-economist-explains/2015/03/22/how-singapore-gained-its-independence), 리콴유가 그때 눈물의 기자회견도 하고 그래서 적어도 기쁨의 독립은 아니었던 거 같습니다. 그래도 싱가포르쪽 문서가 공개된걸 보면 적어도 합의 이혼인거 같기는 한 거 같습니다. (https://www.straitstimes.com/opinion/behind-the-scenes-what-led-to-separation-in-1965)

살짝 언급하셨지만 제가 개인적으로 생각하기에 싱가포르가 다문화 정책에서 잘하고 있다고 보는 것은 현실주의적인 측면이 크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인종간 갈등이 자연스럽다는 것을 어느정도 인정했을 때, 사회적 화합을 위해 서로 따로 사는 것이 아니라 섞여 살도록 주거의 자유를 제한할 수 있는 것이고, 선거에 있어서 사람들은 같은 인종을 선호할 확률이 높다는 것을 인정했을 때 단순 다수결이 아니라 인종에 비례해서 정치권력도 나눌수도 있는 것이겠죠. 이런 것을 표면적으로 인정했기 때문에 반대급부로 대학진학 같은 것에 있어서는 실력주의 정책을 큰 무리없이 실행할 수도 있는 거 같습니다. 반면에 서양에서는 모든 사람은 같고 기회의 평등만 주어지면 누구나 할 수 있다는 사상이 있으니까 결과가 인종간에 평등하지 못할 때 과연 인종사이에 기회가 평등한 건지, 기회의 평등의 정의가 뭔지에 대해 갈등이 계속 생기는 거 같습니다. 근데 이것도 사실 어떻게 보면 운이라고도 볼 수 있는게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에서 중국계에 대한 탄압이 그동안에 있어왔으니까 싱가포르의 중국계가 서양백인만큼의 죄의식이 생길수도 없는 상황이었고, 그게 실력주의 정책으로 이어졌을수도 있는 거 같습니다... 뭐 역사는 복잡하고 인과관계에 대한 추측은 많고 해서, 싱가포르가 다문화정책을 잘하고 있다는 건 개인의견입니다 ㅎㅎ
호라타래
주변 전공자들에게 물어봤는데 경제적, 국제적 어려움 때문에 연방의 힘을 빌리기를 원했었다고 하네요. '합의 이혼'이라는 표현이 절묘하다고 느껴져요.

저도 개인적인 입장만 밝히라면 '싱가포르의 다문화교육도 부족한 부분이 많다!'라 주장할텐데, 이 글 자체가 작은 인터뷰를 준비하면서 쓴 글이다보니 조심스러울 수 밖에 없더라고요. 말씀하시는 현실적인 한계는 인정하면서도, 공부하는 사람 특유의 '그래도 더...'라는 아쉬움은 어쩔 수 없달까요 ㅋ_ㅋ

사실 가장 우려되는 부분은 실력주의라는 주장 아래 주변화된 집단의 소외가 심화... 더 보기
주변 전공자들에게 물어봤는데 경제적, 국제적 어려움 때문에 연방의 힘을 빌리기를 원했었다고 하네요. '합의 이혼'이라는 표현이 절묘하다고 느껴져요.

저도 개인적인 입장만 밝히라면 '싱가포르의 다문화교육도 부족한 부분이 많다!'라 주장할텐데, 이 글 자체가 작은 인터뷰를 준비하면서 쓴 글이다보니 조심스러울 수 밖에 없더라고요. 말씀하시는 현실적인 한계는 인정하면서도, 공부하는 사람 특유의 '그래도 더...'라는 아쉬움은 어쩔 수 없달까요 ㅋ_ㅋ

사실 가장 우려되는 부분은 실력주의라는 주장 아래 주변화된 집단의 소외가 심화되는 것이었어요. 자료를 살피니 격차가 일어나는 지점이 단순 에스닉 집단간의 차이라고 환원하기는 힘드네요. 집단 내 차이도 존재하는 것이니까요.

주변 국가의 중국계에 대한 차별도 중요한 맥락이라 생각해요 ㅎ_ㅎ 질적 연구 자료를 통해 사람들의 마음을 들여다보고 싶은데, 너무나도 머네요.
우선 좋은 글 감사드립니다. 작년까지 다문화주의에 대해 공부하다가 올해는 놓고 있었는데 이 글을 보니 다시 관심이 생기네요. 캐나다가 공식적으로 다문화주의를 철회했다는 건 오늘 처음으로 알게 되었네요. 그전까지 서구에서 가장 적극적인 다문화주의 정치를 실행했던 국가 중 하나로 알고 있었는데............

한국의 다문화 정책과 교육에 대해서는 잘 모르지만 먼 길을 가야 한다는 생각이 드네요. 제 생각에는 한국의 다문화 정책이 서구 국가, 또 본문에서 언급하신 싱가폴이나 말레이시아의 사례를 모델로 삼는 것조차 쉬울 것 같지... 더 보기
우선 좋은 글 감사드립니다. 작년까지 다문화주의에 대해 공부하다가 올해는 놓고 있었는데 이 글을 보니 다시 관심이 생기네요. 캐나다가 공식적으로 다문화주의를 철회했다는 건 오늘 처음으로 알게 되었네요. 그전까지 서구에서 가장 적극적인 다문화주의 정치를 실행했던 국가 중 하나로 알고 있었는데............

한국의 다문화 정책과 교육에 대해서는 잘 모르지만 먼 길을 가야 한다는 생각이 드네요. 제 생각에는 한국의 다문화 정책이 서구 국가, 또 본문에서 언급하신 싱가폴이나 말레이시아의 사례를 모델로 삼는 것조차 쉬울 것 같지는 않아 보여요. 우선 현재 한국의 소수자 문화 집단이 말씀하신 에스닉(ethnic) 집단을 구성할 정도의 응집력을 가지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한국 내 다문화가정은 위에서도 나왔지만 일단은 혼혈 가정이 주류를 이루니까요. 한국 사회에서 절대다수를 차지하는 '한국계' 인종에게 한국 내 소수자 인종의 특별한 인종적, 문화적 정체성이라는게 식별될 수 있을까요?

그렇게 생각하면 현실적으로 한국 내 다문화정책과 교육의 목적 혹은 방향성은 어떻게 하면 소수 인종 한국인들을 주류 사회 내에서 통합시키는가의 문제가 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요. 거기서 관건이 되는건........한국이 다인종 국가로 전환되었다는 인식이 어떻게 보편화 되는냐일 것 같네요. 그리고 만약에 혹시라도 남북통일이 된다면? 그러면 그때야말로 한반도를 점유하는 전체 사회에 두 개의 에스닉 집단이 생기는 것이 되겠죠. 언어와 인종적 뿌리는 같아도 문화적 차이가 너무나도 클테니까요.
호라타래
댓글 감사합니다 :) 국가마다 서로 다른 맥락 속에서 문화다양성 보장이라는 과업을 다루어야 하지요. 다만, 전세계적으로 경제위기가 지속되면서 이민자에 대한 태도는 악화되어 가는 추세라 하더라고요. 캐나다 이야기는 저도 이번에 논문을 읽으면서 확인했어요. 그렇다고 해서 캐나다의 다문화주의가 급속도로 폐쇄적으로 바뀌었다 말하기는 힘들어보여요. 본문에서 지적했듯이, 각 국가가 공식적으로 어떠한 정책을 표방하느냐 뿐만 아니라 현장에서 구체적으로 시행되는 정책들을 살펴야 하거든요.

한국의 이주배경인구에 대한 연구는 보다 '지방적인 것'... 더 보기
댓글 감사합니다 :) 국가마다 서로 다른 맥락 속에서 문화다양성 보장이라는 과업을 다루어야 하지요. 다만, 전세계적으로 경제위기가 지속되면서 이민자에 대한 태도는 악화되어 가는 추세라 하더라고요. 캐나다 이야기는 저도 이번에 논문을 읽으면서 확인했어요. 그렇다고 해서 캐나다의 다문화주의가 급속도로 폐쇄적으로 바뀌었다 말하기는 힘들어보여요. 본문에서 지적했듯이, 각 국가가 공식적으로 어떠한 정책을 표방하느냐 뿐만 아니라 현장에서 구체적으로 시행되는 정책들을 살펴야 하거든요.

한국의 이주배경인구에 대한 연구는 보다 '지방적인 것'을 향해 나아가고 있어요. 거주지 분리(segregation) 문제에 대한 관심이 많아요. 읍면동 단위 통계자료에 기반한 연구들은 한국 사회에서도 에스닉 집단 간 거주지 분리 문제가 심화되어 가고 있다고 지적하더라고요. 이 때 이주배경인구에는 한국인 남성과의 결혼으로 이루어진 '다문화 가정'뿐만 아니라, 규모가 큰데도 관심을 덜 받는 이주노동자들도 포함해야 하지요. 이민법/행정 체계에서는 단기순환정책을 고수하고 있지만, 실질적으로 체류 기간이 10년이 넘은 사람들도 많거든요. 지리적 스케일을 어느 정도 수준으로 조정하느냐에 따라 [에스닉 집단]을 다수자가 얼마나 피부로 인식하느냐가 달라지지 않을까 싶어요. 시 단위로는 안산, 구 단위로는 구로, 동 단위로는 화양동을 사례로 들 수 있겠지요.

렌즈의 수준을 어느 단계로 두느냐에 따라 정도에 차이가 나겠지만, 이주자들이 한국 사회/문화에 영향을 일방적으로 받을 뿐만 아니라 이들 또한 한국 사회/문화에 영향을 주어요. 말씀하셨던 [주류 사회 내에서 통합]이 구체적으로 가리키는 바가 무엇인지 궁금하네요. 동화, 통합 등등의 용어들을 보다보면 저도 머리가 지끈지끈해서 ㅋㅋㅋ "아니 그래서 현장에서 뭘 어떻게 하자는 거야!" 싶달까요.

별개의 답변이지만 '혼혈' 가정에서 특별한 인종적, 문화적 정체성이 형성되는가?는 흥미로운 문제예요. 본문에서 인종의 신화에 대해 신호를 주었지만, 문화/정체성은 고정되거나 균질한 것이 아니라 분절되어 있고 계속해서 변화하거든요. 또한 한 개인이 지닌 정체성도 젠더, 섹슈얼리티, 계급/계층, 이데올로기 등등 엄청나게 복잡하고요.

본문에서 거듭 강조했지만 이상적인 차원에서 이야기할 때 다문화 교육/사회는 이주만의 문제를 포함하지 않아요. 최근 부상하는 젠더 이슈도, 대선 때 반짝했다가 지금은 살짝 배경으로 빠진 섹슈얼리티 이슈도, 수저론으로 대변되는 경제 불평등 이슈도 결국은 포괄해야 하는 부분이에요. 최근 강조되는 '사회통합'과 직접적으로 연결되겠지요.

북한과의 관계 개선, 통일/통합 문제도 생각을 해보았는데, 결국은 '정치적인 것'으로부터 떼어놓고 생각하기가 힘들기 때문에 인적 교류는 제한적인 수준에서 이루어지지 않을까 생각해요. 다만 '다문화 교육/사회'와 통일 이슈가 붙어있다는 지적은 매우 동의합니다.

개인적으로는 [우리 밖이라 생각했던 다양성을 고민하면서, 우리 안의 다양성을 다시금 살피게]되었으면 좋겠네요.
[주류 사회 내의 통합]에서의 "통합"을 "동화"와 구별하게 된다면 소수자 집단이 스스로의 문화/정체성을 어느 정도 보존한 상태에서 주류 사회로 수용되는 경우를 지칭할 수 있을 것 같아요. 반면에 동화는 소수자집단이 원래 가지고 있었던 정체성이나 문화, 규범을 포기하고 주류 사회의 것을 수용하는 게 되겠죠. 거칠게 말하면 차이를 수용하느냐, 배제하느냐의 문제가 되겠죠.

사실 동화냐 통합이냐는 주류 사회와 국가가 내새우는 방침일 수도 있지만, 소수자 집단의 유형에 따라서 결정되는 측면도 큰... 더 보기
[주류 사회 내의 통합]에서의 "통합"을 "동화"와 구별하게 된다면 소수자 집단이 스스로의 문화/정체성을 어느 정도 보존한 상태에서 주류 사회로 수용되는 경우를 지칭할 수 있을 것 같아요. 반면에 동화는 소수자집단이 원래 가지고 있었던 정체성이나 문화, 규범을 포기하고 주류 사회의 것을 수용하는 게 되겠죠. 거칠게 말하면 차이를 수용하느냐, 배제하느냐의 문제가 되겠죠.

사실 동화냐 통합이냐는 주류 사회와 국가가 내새우는 방침일 수도 있지만, 소수자 집단의 유형에 따라서 결정되는 측면도 큰 것 같아요. 가령 일부다처제 사회에서 살던 사람이 한국 국적을 얻으려고 한다면 그 사람은 일부일처제를 받아들여야 하겠죠. 이렇게 되면 그 사람에 대한 한국 사회의 방침은 동화가 되는 것이구요.

일반적으로 한국의 이주자들은 한국 사회의 법이나 제도, 일반적인 규범에 반하는 문화를 갖는 경우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문제가 되는건 인종적 특성이나 언어 정도가 될 것 같은데, 일단 인종적 차이는 이주자들이 아니라 한국의 주류 사회가 인식을 바꾸고 수용해야 할 문제라고 생각해요. 그런 점에서 통합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해요. 언어의 경우에는.........지금 현재 어떻게 진행되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이주자와 그 자녀들이 한국어에 적응하도록 지원하는게 현실적인 최선의 방향이 아닐까 싶습니다.

사실 이론을 현장에서, 현실적 문제에 어떻게 적용하느냐는 진짜 어려운 문제인거 같아요. 굳이 말하자면 기본적인 방향성을 제시하고 제약조건을 규정하는게 이론의 존재의의이자 역할이 아닐까 싶어요.
1
홍차넷을 논문 퍼블리셔로 만드실 기세 ㅎㄷㄷ
호라타래
다시 공부하러 도망가야 ㅌㅌ
나방맨
아카넷보다 홍차넷 ㅋㅋ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59 정치/사회능동적 인터넷 사용자 vs 수동적 인터넷 사용자 16 풀잎 19/09/15 6947 11
842 정치/사회한일간 역사갈등은 꼬일까 풀릴까? 데이빋 캉, 데이빋 레헤니, & 빅터 챠 (2013) 16 기아트윈스 19/08/10 6429 14
838 정치/사회경찰관 허위 초과근무와 부정수령 내부 고발자 경찰관 입니다. (인증샷 포함) 42 멈추지말자고 19/07/29 6728 53
830 정치/사회사회가 감내할 수 있는 적정비용을 찾아서 41 Fate 19/07/10 8113 38
825 정치/사회정전 66년 만의 만남, 2019년의 대한민국은 빚을 졌다 6 The xian 19/06/30 5552 14
788 정치/사회제1저자, 교신저자, 학회, 자리싸움, 그리고 관행 25 烏鳳 19/04/03 6827 23
769 정치/사회북한은 어떻게 될까 - 어느 영국인의 관점 85 기아트윈스 19/02/12 9613 79
760 정치/사회국가유공자등록거부처분취소 소송의 경험 3 제로스 19/01/18 5835 19
743 정치/사회한 전직 논술강사의 숙대 총학의 선언문 감상 40 烏鳳 18/12/11 7786 35
741 정치/사회세계1% 연구자 논란 22 제로스 18/12/06 8360 21
739 정치/사회미국의 장애인 차별금지법과 George H. W. Bush 5 T.Robin 18/12/05 5506 6
735 정치/사회형벌의 목적, 책임주의, 그리고 음주운전 28 烏鳳 18/11/20 6691 35
724 정치/사회양심적 병역 거부 무죄는 어떤 결과를 낳을까 25 Danial Plainview 18/11/04 6623 8
720 정치/사회Case Study : 포드 핀토(Ford Pinto)에 관련한 세 가지 이야기 21 Danial Plainview 18/10/31 6518 10
695 정치/사회강제추행으로 법정구속되었다는 판결문 감상 - 랴 리건.... 30 烏鳳 18/09/07 51275 85
694 정치/사회서구사회에 보이는 성별,인종에 대한 담론 29 rknight 18/09/08 8445 23
682 정치/사회넷상에서 선동이 얼마나 쉬운가 보여주는 사례 16 tannenbaum 18/08/14 9140 9
645 정치/사회다문화와 교육 - 한국, 싱가포르, 말레이시아를 중심으로 15 호라타래 18/06/08 7262 16
641 정치/사회나도 노동법 알고 알바해서 인생의 좋은 경험 한번 얻어보자! 9 우주최강귀욤섹시 18/06/02 7503 25
638 정치/사회권력과 프라이버시 32 기아트윈스 18/05/28 6147 27
621 정치/사회픽션은 사회를 어떻게 이끄는가 (1) 13 Danial Plainview 18/04/22 6241 15
619 정치/사회범죄의 세계 - 임대차보증금 대출사기 17 烏鳳 18/04/20 6934 21
614 정치/사회슬라보예 지젝과 정치적 올바름 17 Eneloop 18/04/10 8056 17
613 정치/사회북미 정상회담을 앞둔 여덟 가지 생각 5 Danial Plainview 18/04/08 7013 14
612 정치/사회미중갈등의 미래와 한국의 선택 19 Danial Plainview 18/04/08 6492 23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