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18/01/03 15:57:16
Name   소맥술사
Subject   타 커뮤에서 상처받은 이들이 홍차넷 탐라를 찾는 이유
부제: 새로운 관종이론

제목이나 부제나 다 농담이고요, 업무관련해서 지금 열심히 새로나온 HBR을 읽고 있는데 재미있는 연구결과가 실려서 옮겨옵니다.
하버드경영대학원의 폴그린과 연구원들은 '투명한 동료평가 제도'를 운영하는 기업들을 분석해서 '비판적 평가'를 받은 직원들이 어떤 행동패턴을 보이는 지 연구했다고 합니다.

결론부터 말하면, 많은 기업들이 '미래의 발전'을 위해 '부정적 평가'를 조언 형태로 해주고 이를 통해 부족한 점을 개선하도록 하는데, 그게 실제 개선으로 이어지는 경우는 거의 없다는 겁니다.

사람들은 회사 내 인사평가 과정에서 부정적 평가를 받으면, 그런 평가를 한 동료들을 떠나 다른 사람과 새로운 관계를 구축하려는 경향을 보였다고 합니다. 부정적인 피드백을 받은 사람은 긍정적인 피드백을 받은 사람보다, 그 다음과제에서 새로운 동료를 찾으려는 경향이 훨씬 강했다는 겁니다.

만약 내가 있던 부서에서 안좋은 평가나 피드백이 있었다면, 다른 부서나 다른 사무실 사람들과 더 친하게 지내려고 하는데, 이런 현상을 '칭찬 쇼핑'이라고 부른답니다.

심리적으로 사람들은 '칭찬쇼핑'을 자연스레 하게 된다는 건데요, 부정적인 피드백은 분명 도움을 주려는 건데도 위협으로 인식이 되기 때문이랍니다 자기 긍정의 시간이 필요한 것이지요.

지난 20~30년간 이뤄진 연구를 보면, 이런 심리적인 위협이 행동 뿐 아니라 신체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밝혀졌는데요 무기력증, 불안감, 우울증을 유발한다는 겁니다. 따라서 반드시 어떤 부정적 피드백을 줘야 한다면 그 무엇보다 그 사람의 존재 가치를 인정해주는 작업을 충분히 선행해야 한다는 결론입니다.

[뭐 그러니까, 회사에서의 일로 짜증나신 분들, 다른 커뮤니티에서 날카로운 키배에 지치신 분들은 홍차넷 탐라에서 다양한 인증을 통해 칭찬쇼핑을 하시면 되겠습니다.]


* 수박이두통에게보린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8-01-15 09:19)
* 관리사유 : 추천 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16
  • 논문은 언제나 추천!
  • 정말 간헐적으로 탐라에 글 올리는데 다들 너무 위로해주셔서 사랑하는 마음에 추천!!!


1 칭찬 드리겠습니다.
월화수목김사왈아
1 상처 드리겠습니다.
구밀복검
부정적 평가를 받았을 때 해당 그룹을 떠나기보다는 그 자리에 머무르며 비판을 수용하고 평판을 반전시키려는 지향성이 강한 이들의 특성이나 행태 같은 것도 궁금하네요. 왜 이런 생각을 하냐면, 물론 이런 연구를 통해서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하는군'이란 결론을 낼 수도 있겠지만, 한편으로 '주변에 예스맨만 두면서 문제와 갈등과 마찰을 회피하기만 하다보면 발전이 없지 않을까'라는 의문도 제기할 법하다 싶거든요. 특히 칭찬 쇼핑을 하다보면 자칫 그 칭찬의 분위기에 도취되어 자기만족에 빠지기 쉽기도 하니까요. 남들이 고담준론 하는 자리에 들... 더 보기
부정적 평가를 받았을 때 해당 그룹을 떠나기보다는 그 자리에 머무르며 비판을 수용하고 평판을 반전시키려는 지향성이 강한 이들의 특성이나 행태 같은 것도 궁금하네요. 왜 이런 생각을 하냐면, 물론 이런 연구를 통해서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하는군'이란 결론을 낼 수도 있겠지만, 한편으로 '주변에 예스맨만 두면서 문제와 갈등과 마찰을 회피하기만 하다보면 발전이 없지 않을까'라는 의문도 제기할 법하다 싶거든요. 특히 칭찬 쇼핑을 하다보면 자칫 그 칭찬의 분위기에 도취되어 자기만족에 빠지기 쉽기도 하니까요. 남들이 고담준론 하는 자리에 들어가 같이 고담준론을 하다보면 자신도 고상한 사람인 양 스스로를 속이게 되고. 그래서 '주변의 노맨을 잘 견뎌낼 수 있는, 우회보다 정면돌파를 선호하는 성향'이 실질적으로 얼마나 자기발전과 극기에 도움이 되는지를 아울러 살펴보면 꽤 그럴 듯한 조합적 판단을 내릴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6
헬리제의우울
소맥술사님이 탐라로 떠나게 되는데...
5
소맥술사
이 아티클의 꼭지 자체가 'Defend your research'에요. ㅎㅎ HBR 에디터도 역시나 구밀복검님과 비슷한 질문을 합니다. 더 노골적으로 "하지만 늘 긍정적이기만한 피드백은 별 도움이 안될 것 같은데요?"라고 묻지요.
여기에 대한 답변, 즉 이 사람들의 주장은 그러니까 '부정적 피드백을 통해 어떤 사람의 성과를 개선할 수 있다'라는 기업 HR의 맹목적 믿음에 대해 도전하는 게 핵심이지요. 그래서 연구자들은 "사람들은 다양한 동기로 일한다. 자기 약점을 발견했을 때 개선하려 들지 않는다는 말을 하는 게 아니다. 하지만 ... 더 보기
이 아티클의 꼭지 자체가 'Defend your research'에요. ㅎㅎ HBR 에디터도 역시나 구밀복검님과 비슷한 질문을 합니다. 더 노골적으로 "하지만 늘 긍정적이기만한 피드백은 별 도움이 안될 것 같은데요?"라고 묻지요.
여기에 대한 답변, 즉 이 사람들의 주장은 그러니까 '부정적 피드백을 통해 어떤 사람의 성과를 개선할 수 있다'라는 기업 HR의 맹목적 믿음에 대해 도전하는 게 핵심이지요. 그래서 연구자들은 "사람들은 다양한 동기로 일한다. 자기 약점을 발견했을 때 개선하려 들지 않는다는 말을 하는 게 아니다. 하지만 사람들은 자신이 소중한 존재이고, 대체로 회사에 긍정적인 기여를 한다는 점도 알아야 한다. 직원들에게는 '나를 가치있는 존재로 느껴야 한다'와 '나를 개선해야 한다'라는 두 가지 대립하는 동기부여가 필요하다. 지금의 피드백 구조는 이 둘을 잘 조화시키지 못한다"로 답변을 합니다. 그래서 몇 가지 간단한 대안을 내놓지요. 이 연구를 토대로 새로운 연구를 또 하겠지요. 물론 이들은 이 연구비를 타먹었으니 손 털겠지만...
구밀복검
아 네 저도 비슷하게 조직이나 상급자, 동료의 입장에서 부정적 피드백의 중요성을 과장하는 건 대개 허실이 많다고 생각합니다. 자신의 공격성이나 스트레스나 가학심을 해소하기 위한 행위를 '쓴소리' '참교육'이라는 식으로 정당화하고 포장하면서 스스로를 기만하는 행태는 어디서든 볼 수 있는 것이고, 그런 경향을 서로가 모방하면서 '업계 룰'이나 '당연한 관습'으로 받아들이게 되면 그 조직은 윤리와 규율의 이름으로 힐난과 고발과 학대가 만연하게 되겠죠. 그런 점에서 많은 경우 부정적 피드백의 효용이 과대평가 되어 있다고 생각하고요. 다만 ... 더 보기
아 네 저도 비슷하게 조직이나 상급자, 동료의 입장에서 부정적 피드백의 중요성을 과장하는 건 대개 허실이 많다고 생각합니다. 자신의 공격성이나 스트레스나 가학심을 해소하기 위한 행위를 '쓴소리' '참교육'이라는 식으로 정당화하고 포장하면서 스스로를 기만하는 행태는 어디서든 볼 수 있는 것이고, 그런 경향을 서로가 모방하면서 '업계 룰'이나 '당연한 관습'으로 받아들이게 되면 그 조직은 윤리와 규율의 이름으로 힐난과 고발과 학대가 만연하게 되겠죠. 그런 점에서 많은 경우 부정적 피드백의 효용이 과대평가 되어 있다고 생각하고요. 다만 그와 별개로..피드백을 받는 '수용자 본인'의 입장에서 '자신에게 직언을 해주는 인사를 주변에 남겨둘 필요성은 없는 것일까? 남겨둔다면 어느 정도 선에서 어느 정도 비율이 적당할까?'라는 생각이 들더군요. 아마 논문의 문제의식과는 포인트가 다르긴 할 텐데, 거시적으로 관련은 있을 듯 해서 발상 떠오른대로 적어봅니다. 단순화시켜서 말하자면 '남에게는 관대하게, 하지만 자신에게는 엄격하게'라는 명제를 구체적으로 어떻게 구현하면 좋을 것인가 뭐 그런..
3
소맥술사
"너 생각해서 하는 말인데...", "기분나쁘게 생각하지 말고 들어봐" 로 시작하면 일단 걸러야죠. ㅋㅋㅋㅋㅋ 쓴소리를 가장한 스트레스 해소. 그렇게 말 안해도 다 알아듣게 할 방법이 있거늘...

위 아티클에서는 '아내의 팩폭은 정당하다' 정도가 나옵니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읽다가 빵 터짐...
1
ㅋㅋㅋ 기혼자 분들의 경험과 비하겠습니까만, 살면서 느낀 건데 파트너의 팩폭에 잘 '혼나주는' 것도 기술이라고 생각합니다. 살다보면 명확하게 행위를 변경한다고 해서 깔끔하게 처리되지 않는, 하지만 상호 간의 감정적인 불일치에서 비롯되는 갈등과 마찰이 있을 수밖에 없는데, 어차피 내가 해결할 수도 없고 그렇다고 상대가 불쾌감을 느끼는 것도 어쩔 수 없는 이상 차라리 적당한 선에서 넌씨눈처럼 굴면서 상대가 나를 질타하고 욕해줄 '명분'을 만들어주는 게 낫다 싶더라고요. 그러면 상대는 죄의식이나 자기 혐오를 느끼지 않고 편안한 마음으로 ... 더 보기
ㅋㅋㅋ 기혼자 분들의 경험과 비하겠습니까만, 살면서 느낀 건데 파트너의 팩폭에 잘 '혼나주는' 것도 기술이라고 생각합니다. 살다보면 명확하게 행위를 변경한다고 해서 깔끔하게 처리되지 않는, 하지만 상호 간의 감정적인 불일치에서 비롯되는 갈등과 마찰이 있을 수밖에 없는데, 어차피 내가 해결할 수도 없고 그렇다고 상대가 불쾌감을 느끼는 것도 어쩔 수 없는 이상 차라리 적당한 선에서 넌씨눈처럼 굴면서 상대가 나를 질타하고 욕해줄 '명분'을 만들어주는 게 낫다 싶더라고요. 그러면 상대는 죄의식이나 자기 혐오를 느끼지 않고 편안한 마음으로 나를 타작할 수 있고, 그렇게 한 번 분기를 터뜨리면 상호 간의 긴장은 해소가 되니까요. 괜히 상호 체면 차리고 품위 유지하고 배려 있는 체 행동하려다가 감정골이 누적되고 불편한 기운 맴돌게 되면서 터놓고 말 못하는 상황이 되면 나중 가서 서로 감당을 못하게 될 수 있으니...그런 면에서 '밥통 같은 남편/남친' 행세도 할 줄 아는 것이 좋다 싶고요. 피니쉬 기술을 거는 쪽의 숙련도보다는 받아주는 쪽의 접수 실력이 더 중요하듯..'아이고 이 화상아..내가 애를 키우는 건지 뭔지'라고 한 마디 타작할 때마다 파트너의 홧병은 꽤 치유가 되겠죠 ㅋㅋ
6
부정적인 피드백엔 그 사람에 대한 진심어린 존중이 전제되어야 비로소 긍정적인 효용이 있다는 거죠
5
소맥술사
뭐 한줄요약하면 그거죠 ㅋ
성경에는 '사랑으로 진리를 말한다'는 멋진 표현이 있습니다 ㅎㅎ
사도 바울이 교인들에게 쓴 편지에서 사랑으로 진리를 말하고 살라고 권면하는 내용이지요.
월화수목김사왈아
현실에는 '예수믿으세요'가...
은채아빠
너무나 마음에 드는 표현이라 긁어갑니다. 심지어 제 카톡 프로필 문구로 지정했어요. 아침부터 마음이 꿈틀 감정은 꿀렁 감수성 돋는 중년입니다 @ㅁ@)b
제로스
그럴듯합니다? 저도 그럴지도.
소맥술사
뭐 제목과 부제는 그냥 농입니다만 ㅋㅋㅋ
제로스
사실 홍차넷에 정착하기 전에도 눈팅기간은 더 긴데, 그 때 탐라를 상당히 마뜩찮게 바라본 때가 있었습니다.
이거좀 너무 착한척들아닌가 오글거린다..

그런데 정착하니 넘나 편안한 것.. 오글오글 좋아요+1
6
쿠쿠쿠
전 넘 좋던데요- 다 착한말만 하고살다보면
진짜 다 착한사람 될지도 몰라요 ㅎ
제로스
옙 저도 넘 좋습니다. +_+
수박이두통에게보린
전 홍차넷에서 "맛이가 있는 것만을 탐하는 먹성 좋은 돼지" 로 정체성을 확고히 했기 때문에 상처도 힘이 됩니다. 상처 받고 먹으면 상처가 치유되거든요.
3
소맥술사
ㅋㅋㅋ 먹기 위해 상처를 받는 경지?
세인트
제가 아내한테 맨날 얻어터지고 욕먹고 하는 것은 다 구밀복검님께서 말씀하신 저런 좋은 접수를 위한 겁니다.

라고 정신승리할 명분이 생겼습니다.
감사합니다.
1
소맥술사
소개한 아티클 연구자 아재의 말을 옮겨옵니다. "저는 아내한테 부정적인 피드백을 꽤 자주 받습니다. 하지만 한 번도 칭찬 쇼핑을 하거나 '이 관계를 끝내야 해'라고 말한적이 없습니다. 아내의 피드백은 폭넓고, 긍정적이고, 서로 칭찬하는 관계의 맥락에서 이뤄지기 때문이죠"
하아....미쿡 아재나 한쿡 아재나 지엄하신 와이프님의 팩폭은 다 저를 위한 것입니다.
2
세인트
서로 칭찬하는 관계의 맥락일때만 팩폭하는건 아니라고 자신있게 말할 수 있습니다.
'그냥 스트레스를 받을 때 만만하게 풀 게 나라서 그냥 시비걸때가 있다' - 본인피셜입니다. ㅠㅠ
6
하나마루
엌ㅋㅋㅋㅋㅋ
뭔가 딱 그거 같아요.
팩트 폭격 당할때 저 말이 맞는 것은 알고 내가 잘못한게 있구나는 머리로 아는데 마음은 짜증나고 부글부글 끓는 느낌...
소맥술사
ㅎㅎ 그래서 충분히 존중받는 느낌에서 부정적 피드백이 들어가야한다는 걸 강조하더군요
메리메리
이른바 '팩트 폭격'이란 말이 처음 나왔을 때도 그랬고, 그 개념이 처음 쓰였을 때도 상대를 비난하고 위신을 격하시키기 위한 용도로 더 많이 쓰였고 지금도 그렇게 쓰고 있죠. 남들 앞에서 팩폭을 해도 부정적으로 받아들이는 경우가 많은게, 사회생활이건 인터넷이건 나에 대한 부정적 사실을 밝혀내서 상대에게 드러내면, 그게 나에 대한 공개적 공격이고 면박주기 혹은 저격인 경우가 더 많죠. 이건, '나더러 이런 문제를 고치고 더 발전적 관계로 나아가자' 이런 뜻으로 이해하는 경우는 없고, '저녀석이 꼬투리잡아서 날 날리려고 하는구나. 아오 열받아.' 이렇게 생각하는게 일반적 반응이죠.
소맥술사
문제는 이 아티클에서도 지적한 HR부서의 맹목적 믿음인데....이런 연구결과들이 계속 나오면 뭐 바뀌겠지요 ㅋ
아 백배공감. 앞으로 관계 맺는 일에도 참고해야 겠네요. 감사합니다.
소맥술사
감사는요...그냥 연구결과 퍼온 것인데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당.
그래서 이건희 에세이를 보면, 진정한 경영인은 사람을 다룰떄 당근과 채찍이 아니라, 당근만을 활용해서 최고로 만든다는 내용이 담겨있었구나 ..
소맥술사
그런데 재드래곤은 왜....(먼산, 눙물)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85 의료/건강AI와 영상의학의 미래는? 33 Zel 19/03/27 7893 28
783 의료/건강어떻게 의사는 사고하는가 - 번외. ROC와 카파통계량 9 세란마구리 19/03/22 6756 11
782 의료/건강어떻게 의사는 사고하는가 - 1. 단어 정의 21 세란마구리 19/03/21 8750 15
749 의료/건강저의 정신과 병력에 대한 고백 15 April_fool 18/12/29 9045 47
704 의료/건강건강한 노인들에게 저용량 아스피린을 장기 복용하면 어떻게 될까. 4 맥주만땅 18/09/27 6832 4
690 의료/건강의느님 홍차클러님들을 위한 TMI글 - 아나필락시스 사망사건과 민사소송 22 烏鳳 18/08/28 7650 10
662 의료/건강발사르탄 발암물질 함유 - 한국 제네릭은 왜 이따위가 됐나 11 레지엔 18/07/12 6670 23
661 의료/건강고혈압약의 사태 추이와 성분명 처방의 미래 28 Zel 18/07/10 7176 21
657 의료/건강리피오돌 사태는 어디로 가는가 37 Zel 18/07/04 7274 10
652 의료/건강전공의 특별법의 이면 23 Zel 18/06/24 7460 10
642 의료/건강애착을 부탁해 11 호라타래 18/06/03 7236 21
634 의료/건강술을 마시면 문제를 더 창의적으로 풀 수 있다?!!!! 61 소맥술사 18/05/15 8357 23
632 의료/건강26개월 남아 압빼수술(a.k.a 충수절제술, 맹장수술) 후기 30 SCV 18/05/14 7685 15
569 의료/건강타 커뮤에서 상처받은 이들이 홍차넷 탐라를 찾는 이유 31 소맥술사 18/01/03 8326 16
566 의료/건강완벽한 보건의료제도는 없다 ('완벽한 보건의료제도를 찾아서'를 읽고) 18 Erzenico 17/12/26 7476 24
559 의료/건강제목은 못 정하겠음 32 mmOmm 17/12/07 7455 23
503 의료/건강술, 얼마나 마셔야 적당한가? 63 빈둥빈둥 17/08/30 9871 10
466 의료/건강나의 갑상선암 투병기2 - 부제: 끝 없는 기다림, 그리고 포폴짱은 넘모 대단해. 25 고라파덕 17/07/05 6245 15
440 의료/건강나의 갑상선암 투병기 -부제: 워보이와 나 37 고라파덕 17/06/01 6548 20
404 의료/건강성중독에 관하여 몇마디 하고 싶어 적습니다. 12 민지 17/04/04 7733 19
372 의료/건강우울은 대체 어디에 쓸모가 있을까? 38 깊은잠 17/02/22 9001 22
300 의료/건강화병과 우울증 4 모모스 16/11/12 9117 8
292 의료/건강너무 착한 병 17 눈부심 16/10/25 8326 13
193 의료/건강비아그라와 시알리스 이야기 20 모모스 16/04/25 12287 13
190 의료/건강. 47 리틀미 16/04/23 8264 4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