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17/07/25 14:45:29
Name   Homo_Skeptic
Subject   사회적 조증에 대하여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30
  • 종편 토크쇼 보는 마누라가 이 글 좀 읽었으면....
  • 추천하지 않을 수가 없군요..;;
  • 좋으네요 추천
  • 요즘 들어 더욱 심하게 체감하던 내용입니다. 조증을 베이스라인으로 삼고 침묵할 시간을 갖는 개인을 무능력자로 낙인찍고 채찍질하죠. 좋은 글 소개 감사합니다.
  • 좋은 의견이네요


"내가 추천하지 않을 수 없는 글을 하나 쓰지"
Homo_Skeptic
숨어있는 탈모인들과 혼바퍼들아! 나에게 추천을 모아줘!!
저기 근데 탈모는 왜 (...)
Homo_Skeptic
제 마지막 댓글은 읽고 우시는 것 맞죠???
이거시 미러링이닷!! 황씨 이거나 좀 읽으쇼
추천하나 드립니당
Homo_Skeptic
큰 힘처럼 큰 마이크에도 큰 책임이 따른다는 걸, 마이크 잡아서 먹고 사는 사람들이 좀 알았으면 좋겠어용.
좋은 글입니다
Homo_Skeptic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알료사
ㅋㅋㅋ이거 정말 당사자에게 읽혀주고 싶네요 ㅋ
Homo_Skeptic
막상 쓰긴 했지만 tbs 사이트 같은데 가입하고 복붙하고 이러긴 귀찮네요..
이런 소릴 듣고 자성할 사람이었으면 애초에 저런 소릴 하지도 않았을 것 같기도 하고요.
사악군
퍼가도 됩니까?? ㅎㅎ
Homo_Skeptic
홍차넷 출처만 남겨주신다면 얼마든지요!
눈알 그려넣으면 날아갈까봐 일부러 그러신 건지는 모르겠지만 공허한 오지랖을 펴기 위해서 굳이 찔러보자면
'시간이 지나 출연 매체가 들어나고' 부분은 들어내다 / 드러나다 오용 이전에 '출연 매체가 유명해지고' 정도의 어휘가 더 좋겠습니다.
Homo_Skeptic
저 스스로 생각해도 놀랍게도 '늘어나고'의 오타였네요. 그리고 전 진심으로 맞춤법이나 띄어쓰기 지적 대단히 환영합니다. arch님은 물론이고 다른 분들도 오타나 적확하지 않은 표현이 보이면 거침없이 지적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원래는 아무리 짧은 글이라도 공개 전에는 맞춤법 교정 사이트에 집어넣고 교정 후 올리는데, 홍차넷 시스템은 붙여넣기한 텍스트를 불편해하는 것 같더라고요.
Cibo & Killy
저도 사회적 조증인 것 같네요. 사회적 조증을 비판적 시각으로 바라보는 사회적 조증환자.
Homo_Skeptic
쓰면서 저도 결국 오지라퍼라는 걸 자각하긴 했습니다 ㅋ
통찰력에 감탄하고 갑니다^^ 추천
Homo_Skeptic
그냥 긴~드립에 불과한데요.. 과찬이세요^^;
Jasonmraz
크...사이다 마신거 같네여
Homo_Skeptic
감사합니다^^
Darwin4078
좋은 글 감사합니다.
저도 되도록 적게 쓰고 잘난척 안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Homo_Skeptic
가장 이상적인 것은 많이 쓰되 공개는 최소화하는 방향인 것 같아요.
그리부예
재밌게 읽었습니다. ^^ 자신을 다른 사람들 앞에 드러내고자 하는 욕망, 특히 자신이 생각하는 이상적인 모습으로 타인에게 어필하고자 하는 욕망은 정말 강렬하고 본질적인 것 같아요. 그 강렬함에 사로잡혀서 깜이 안 되는 행동들을 하게 되고 감당 못할 실수를 저지르고... 혹은 요행히 실수를 거듭 피할수록 점점 더 자기 객관화를 못하게 되어서 결국에는 대형 사고를 치게 되는 그런 일들이 점점 더 많아지는 것 같단 생각도 들고요. 아무래도 공중에 자신을 표현할 수단들이 점점 더 많아지고 심지어는 그것들(SNS를 위시한)이 자신을 능동적으... 더 보기
재밌게 읽었습니다. ^^ 자신을 다른 사람들 앞에 드러내고자 하는 욕망, 특히 자신이 생각하는 이상적인 모습으로 타인에게 어필하고자 하는 욕망은 정말 강렬하고 본질적인 것 같아요. 그 강렬함에 사로잡혀서 깜이 안 되는 행동들을 하게 되고 감당 못할 실수를 저지르고... 혹은 요행히 실수를 거듭 피할수록 점점 더 자기 객관화를 못하게 되어서 결국에는 대형 사고를 치게 되는 그런 일들이 점점 더 많아지는 것 같단 생각도 들고요. 아무래도 공중에 자신을 표현할 수단들이 점점 더 많아지고 심지어는 그것들(SNS를 위시한)이 자신을 능동적으로 표현하라는 압박으로 작용하기도 하고... 사회적 조증이라고 표현하신 게 참 적절한 거 같아요. 뭔가 침잠과 부상의 사이클에서 부상만 잔뜩 끌어와 즐기다가 아픈 추락을 겪게 되는. 자기 호흡을 잃지 않고 침잠과 부상을 오가는 기술이 점점 중해지는데 그걸 단련하기는 나날이 어려워진다는 생각이 듭니다.
Homo_Skeptic
글을 올리고 관련 이야기들을 더 읽어보면서 제 입장도 미묘하게 변하긴 했네요. 확실한 건 제게 SNS는 참 좋은 타산지석인 것 같다는 점입니다ㅋ
시커멍
전제, 진화심리학적으로 남의 일에 간섭하지 않을 때 질적으로 성숙할 수 있다는 말은 참으로 이해가 되지 않는 군요.
진화는 종간의 경쟁을 필연적으로 예정하는데,
개인의 질적 성장은 경쟁과의 화학적, 물리적 작용 속에서 가속되었다가 차라리 진화심리학에 부합하는 관점 아닐까요?

최근의 분위기에 대한 환기의 차원에서 쓴 것 같다는 이해는 되지만 좀 과도한 논리아닌가 싶어 달아보았습니다
기아트윈스
끄덕끄덕
Homo_Skeptic
기본적으로 원본 발언 속 논리의 괴랄함을 강조하고자 쓴 글입니다.
'진화심리학적으로 인간은 남과 밥을 먹을 때 그 쾌락을 함께 느낀다', 와 같은 헛소리를 보니 그냥 넘어가긴 억울하더라고요.
'소통하지 않으려는 마음의 병 때문에 노숙자가 된 것'이라는 식의 원인과 결과를 일부러 뒤바꾼 오류들도 무수하고요.
서두에 밝히고 시작했는데 오독하게 할 여지가 어디엔가 있었던 모양이네요.

하지만 타자와의 경쟁이 개인의 성장에 있어 더 중요한 요소이다, 라는 말씀엔 동의하기 어렵네요.
동네 공터에서 시끌벅적 모여 야구 경기만 하는... 더 보기
기본적으로 원본 발언 속 논리의 괴랄함을 강조하고자 쓴 글입니다.
'진화심리학적으로 인간은 남과 밥을 먹을 때 그 쾌락을 함께 느낀다', 와 같은 헛소리를 보니 그냥 넘어가긴 억울하더라고요.
'소통하지 않으려는 마음의 병 때문에 노숙자가 된 것'이라는 식의 원인과 결과를 일부러 뒤바꾼 오류들도 무수하고요.
서두에 밝히고 시작했는데 오독하게 할 여지가 어디엔가 있었던 모양이네요.

하지만 타자와의 경쟁이 개인의 성장에 있어 더 중요한 요소이다, 라는 말씀엔 동의하기 어렵네요.
동네 공터에서 시끌벅적 모여 야구 경기만 하는 아이의 기량도 늘긴 하겠죠.
하지만 질적으로 다른 기량을 가지고 싶다면 혼자 던지고 스윙하는 연습을 더 많이 해야 할 겁니다.

자연선택으로 진행될 뿐인 진화가 담보하는 것은 환경적응과 먹이 획득에 유리한 기능적 부분일 뿐이니
그것을 제가 이야기하는 '질적' 성장과 같은 의미라 보긴 어려울 것 같아요. 그런 면에서 보면 인류는 실패했죠.
되풀이해 말하지만 다른 생명체에 비교했을 때 인간의 유일한 장점이라 할 수 있을 지성, 자의식, 언어의 씨앗이 되었을 각성과 심화는
다른 인간과의 떠들썩한 경쟁이나 전쟁의 장에서가 아니라, 홀로 동굴 속에 들어앉아 모닥불을 보며 멍 때리고 혼밥하던 순간에 시작되었을 겁니다.
물론 사회 속에서 정보가 많아지고, 타자의 존재도 의식하며, 어휘도 늘어나고 이걸 언어로 사용하자고 약속하기도 했겠죠.
하지만 이 양적 증가를 최초의 각성과 수준적 발전보다 더 중요하다고 단언하긴 어렵다는 거죠.

혼밥하는 시간없이, 혹은 혼밥하는 개체를 용납하지 못하고 다들 들판에서 24시간 사냥하고 경쟁했던 부족은
골방에 틀어박혀 부족의 신화나 나무의 정령에 대한 망상을 하는 개인을 대충 냅뒀던 부족에게 졌을 겁니다.
후자는 더 나은 신화, 더 나은 언어, 더 나은 이념을 가지고 더 크고 단결된 집단을 만들었을 테니까요.

사회성과 협업에 대한 환상, 좀 버려야 해요.
전체주의나 독재, 공산주의부터 일상 속의 무의미한 회의, 회식, 돌 굴러가는 소리만 요란한 브레인스토밍까지,,
사실 우리 모두는 그 맹신이 얼마나 위험하고 비효율적인지 잘 알고 있습니다.
개인 나름의 삶과 밥먹는 스타일을 인정해 주는 사회, 개인이 각자의 방식대로 충분히 성숙하고 기량을 갖추고 적응하는 것을
기다려 줄 수 있는 사회가 되어야 더 생산적이고 바람직한 협업과 소통도 가능하리라고 봅니다.
시커멍
레퍼런스라는 제목으로 시작했으니 크게 오독할 일은 없었고요. 그래도 도입이 강렬하니 위의 댓글을 붙혔어요.

글쓰기도 이런 저런 다양한 경험을 거치며 늘어가요.
대중적으로 쓰는 글, 보일 필요가 없는 글 있잖아요?
굳이 열심히 반박하고 싶진 않습니다.
그러나 쓸 수록 함정에 빠지는 글은 드러나서야 비로소 알게 됩니다. 쓰신 글 잘 간직하셨다가 나중에 한 번 읽어보세요
Homo_Skeptic
개인적으로 커뮤니티에서 상호 존대같은 외형적 매너보다 더 중요한 것은 상대가 나와 대화할 수 있고 설득할 수 있는 대상이라고 생각하며 대화에 임하는 태도라고 생각해요. 나름 최선을 다해서 제 생각을 말씀드렸는데, 핵심적인 논지에 대해서는 일언반구 없이, '난 네가 겪고 있는 글쓰기의 시행착오를 모두 거친 고수이지만, 지금 네 글의 문제점을 이야기해주긴 싫군. 하지만 언젠가는 스스로 느끼게 될 것이야 허허' 라는 식으로 흰 연기와 함께 퇴장해 버리시면, 적어도 저는 대단히 허탈하고 모욕감까지 느낀다는 점을 분명히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더 보기
개인적으로 커뮤니티에서 상호 존대같은 외형적 매너보다 더 중요한 것은 상대가 나와 대화할 수 있고 설득할 수 있는 대상이라고 생각하며 대화에 임하는 태도라고 생각해요. 나름 최선을 다해서 제 생각을 말씀드렸는데, 핵심적인 논지에 대해서는 일언반구 없이, '난 네가 겪고 있는 글쓰기의 시행착오를 모두 거친 고수이지만, 지금 네 글의 문제점을 이야기해주긴 싫군. 하지만 언젠가는 스스로 느끼게 될 것이야 허허' 라는 식으로 흰 연기와 함께 퇴장해 버리시면, 적어도 저는 대단히 허탈하고 모욕감까지 느낀다는 점을 분명히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그 정도로 글이나 지적 격차가 심하게 드러나는 대단한 논쟁은 어차피 아니었던 것 같은데요. 물론 솔직히 전 시커멍님의 '경쟁과의 화학적, 물리적 작용'이라는 표현을 앞으로도 영영 이해 못할 것 같긴 합니다만.

가벼운 글이었지만 과분한 칭찬보다는 다른 의견도 듣고 싶은 마음도 있어 시커멍님의 반론이 반갑기도 했었는데, 여러모로 아쉽고 유감입니다. 언젠가 기회가 되시면 진화심리학이나 '경쟁과의 화학적, 물리적 작용'에 대한 고견도 꼭 들려주시길.
CONTAXS2
제가 올린 글에서 출발했지만, 뭐 별다른 논리적 충돌의 지점은 보이지 않는군요. 긍갑다 하겠습니다.
황교익씨랑 페친이라 (친은 아니고, 그냥 팔로워 -_-v) 그 양반이 타임라인에서 섀도복싱하는 것을 계속 읽게 되는데.
이렇게 그냥
'개개인의 침잠도 필요하고, 그런 과정에서 인류는 발전한다'라는 일반적인 이야기,
집단도 중요하지만, 개개인도 중요하다. 누구도 논박할 수 없는. 이야기는 그 양반이 하는 이야기를 제대로 논박하기 어렵지 않나 싶습니다.

뭐 그 양반의 진의를 굳이 찾아 읽어보라는 말씀은 드리지 않겠지만, 뭐 제 아이디가 언급되었으니까, 저도 좀 찌끄리고 갑니다. 총총
좋은 글 감사합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153 일상/생각도어락을 고친 것은 화성학과 치과보철학이었다 3 Merrlen 21/12/15 4727 31
1121 일상/생각손님들#1 7 Regenbogen 21/08/25 4368 31
1077 철학/종교사는 게 x같을 때 떠올려보면 좋은 말들 34 기아트윈스 21/04/02 8447 31
1063 일상/생각30평대 아파트 셀프 인테리어 후기 28 녹차김밥 21/02/22 7463 31
915 의료/건강BBC의 코로나바이러스 Q&A 14 Zel 20/01/27 7255 31
836 역사고려청자의 위상은 어느 정도였을까? 17 메존일각 19/07/24 7760 31
615 영화인어공주, 외국어, 인싸 24 기아트윈스 18/04/10 8247 31
605 철학/종교감동(感動) 23 기아트윈스 18/03/22 7859 31
544 일상/생각무죄 판결 21 烏鳳 17/11/14 7917 31
1307 과학유고시 대처능력은 어떻게 평가가 될까? - 위험 대응성 지표들 18 서포트벡터 23/06/26 3505 31
388 일상/생각정리해고 당했던 날 47 소라게 17/03/15 6375 31
174 일상/생각수업시간 추억 한 폭 7 기아트윈스 16/03/26 5704 31
1366 체육/스포츠(데이터 주의)'빌드업 축구'는 없다. 우루과이전으로 돌아보는 벤투호의 빌드업. 13 joel 24/02/12 2908 30
1236 기타2022 걸그룹 4/6 31 헬리제의우울 22/09/06 4840 30
1189 경제넷플릭스: 주주 여러분 안심하십시오. 19 코리몬테아스 22/04/21 5223 30
1158 꿀팁/강좌인체공학적 사무 환경 조성하기 33 구글 고랭이 21/12/31 6640 30
1133 정치/사회청소년, 정체성의 발전, 인종관계 15 소요 21/10/03 4864 30
1053 일상/생각34살, 그 하루를 기억하며 8 사이시옷 21/01/21 5339 30
995 일상/생각풀 리모트가 내 주변에 끼친 영향 16 ikuk 20/08/12 5466 30
981 철학/종교자제력, 지배력, 그리고 이해력 13 기아트윈스 20/07/10 6703 30
919 일상/생각사회주의 대 반사회주의 9 necessary evil 20/02/06 5921 30
897 일상/생각아픈 것은 죄가 아닙니다. 27 해유 19/12/13 5929 30
660 문학왜 일본 만화 속 학교엔 특활부 이야기만 가득한가 - 토마스 라마르 31 기아트윈스 18/07/09 8468 30
635 일상/생각오물 대처법 6 하얀 18/05/20 6408 30
616 일상/생각오빠 변했네? 14 그럼에도불구하고 18/04/16 7345 30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