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17/07/20 16:17:06
Name   Raute
Subject   백작이랑 공작이 뭐에요?
https://kongcha.net/pb/view.php?id=timeline&no=45946

장화신은 고양이에도 작위가 나오는군요? 저는 소공녀 이야기에서 처음 봤던 거 같은데...

당연하지만 서양과 동양의 양식이 좀 다릅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공후백자남은 유럽이 아니라 중국의 오등작이고, 서양의 귀족 작위를 이 오등작에 대입해서 번역하곤 합니다.

먼저 중국 얘기를 하면 원래 유교경전에서 나온 거라고 하는데 역사에서 찾아보기 제일 쉬운 사례는 춘추시대입니다. 하나라 시대부터 오등작이 존재했다고는 하지만 기록의 부족으로 인해 실질적으로 파악이 되는 건 주나라와 춘추시대거든요. 아주 쉽게 설명하자면 특별대우를 받는 극소수가 공작, 힘 좀 쓰는 제후국이 후작, 그 아래 있는 군소제후들이 백작이나 자작이었고 남작의 경우 제후들의 부하로 같이 귀족으로 묶기도 뭐한 존재였습니다. 실질적으로 제후라고 부를 수 있는 커트라인은 대개 백작이었고요. 이외에 방백이나 숙 등이 있는데 일종의 명예직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주의해야 하는 게 ~~공, ~~후라고 불린다고 다 그 계급이 아닙니다. 가령 춘추시대의 첫 패자인 제환공은 이름만 들었을 때는 공작 같지만 실제로는 후작이었습니다.

공작으로는 송(宋), 우(虞), 주(周), 소(召) 등이 있는데 다들 사연이 있습니다. 가령 송이 공작이었던 이유는 망국 은나라 왕실의 후예였기 때문에 배려를 해준 것이고, 우나라는 조상이 주나라 왕가에게 제후의 자리를 양보한 것에 대한 보답으로 봉해줬고, 주공단이나 소공석 같은 인물들은 주나라 왕실의 일을 맡았던 재상이라서 명예직으로 공작으로 임명된 케이스입니다(주공단이나 소공석이나 분봉받은 제후국은 후작이었습니다). 제일 높은 공작이니까 다 강국이었던 건 아니고 오히려 송나라를 제외하면 소국이라서 대부분 '뭐야 이런 이름의 나라도 있었나?' 싶을 정도.

후작은 주로 주왕실과 같은 희(姬)성을 쓰는 동성제후국들이 많았고 강태공의 제(齊)처럼 특별한 공신의 나라인 경우도 있었습니다. 진(晉), 위(衛), 노(魯), 연(燕) 같은 나라들이 여기에 해당하며 족보는 좋을지언정 강대국에게 털리는 후작인 경우도 있습니다. 가령 진(晉)과 초(楚) 사이에서 동네북이 되는 채(蔡)가 후작이었습니다. 한편 위나라는 서주가 망하고 동주가 될 때 공을 세워서 공의 호칭을 썼으며 진(晉)은 방백이라서 백작으로 오해받기도 합니다.

백작은 실질적인 제후국의 커트라인쯤 되는 자리인데 진(秦), 정(鄭), 오(吳) 등이 유명합니다. 여기서 진은 원래 자작이었는데 중간에 백작으로 올라선 케이스입니다. 희성을 쓰는 제후들도 꽤나 있었고 주나라 왕실의 일을 맡아보는 등 어느 정도 주나라의 문화 아래에 있는, 그럭저럭 족보가 되는 제후들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자작은 춘추오패에 해당하는 초(楚)와 월(越)이 유명한데 뼈대있는 제후는 아니고 그냥 변두리 지방세력들에게 자작 자리 던져줬다, 혹은 원래 남남이었는데 중국 문화권에 포섭되면서 근본 없는 자작을 칭한 거다 등등 여러 설이 있습니다. 확실한 건 국력과 별개로 별로 인정받는 자리는 아니었다는 거죠. 한편 자작보다 못한 남작은 진짜 뭣도 없는데 그나마 이름이 언급되는 남국으로는 허(許)가 있습니다. 삼국지의 허창이 바로 이곳이죠.

이러한 중국의 오등작은 시대가 흐르면서 이십등작, 십이등작, 구등작 등 여러가지로 변형되어 사용되고 우리나라에도 수입되어 비슷한 개념이 자리잡게 됩니다.


서양은 좀 곤란한 게 중국은 그래도 하나의 나라로 묶여서 변형되었지 여기는 나라가 수십수백개로 쪼개져 있었잖아요? 그래서 작위도 엄청 다양하고 동일한 등급으로 대응되지 않습니다. 가령 Duke를 공작으로 번역하곤 하는데, Prince나 Grand Duke 같은 게 나오면 난감해지는 거죠. 그런가 하면 독일에는 변경백, 궁중백, 방백 같은 게 튀어나오질 않나 아예 자작이 없는 나라도 있었죠. 이렇게 복잡한 유럽의 작위체계를 그냥 오등작과 비슷하게 대충 때려맞춰 번역한 겁니다.

또 춘추시대의 중국은 A제후가 B제후를 없애버리면 B가 A에게 흡수되거나 혹은 새로운 B제후를 임명하는 방식이었지만 유럽은 고위귀족에 한해 A제후가 B제후를 겸임하는 게 가능했습니다(심지어 왕을 겸직하는 경우도 있었고요). 작위란 게 사실상 한 지역의 수장을 상징하는 타이틀이라고 할까요. 이런 면모는 게임 크루세이더 킹즈에서 잘 나타납니다. 그렇다고 게임처럼 1공작-4백작-16남작 이렇게 가지치는 것처럼 늘어났냐 하면 그것도 아닙니다. 제가 갖고 있는 스페인사 책에 귀족의 수입에 대한 자료가 인용되어있는데 16세기 초에 카스티야 연합왕국에는 13명의 공작과 13명의 후작, 34명의 백작과 2명의 자작이 나오고 아라곤 연합왕국에는 5명의 공작과 3명의 후작, 9명의 백작과 3명의 자작이 나옵니다. 중국은 규모 있는 제후국이 작은 제후국을 잡아먹고 또 그런 제후국들에 대한 기록만 전해지면서 상위 등급의 제후들만 남게 되지만 유럽은 그냥 나라와 지방에 따라 작위와 귀족의 세력이 천차만별인 거죠.

그럼에도 보편성을 찾아보려고 하면 공작은 왕가의 방계거나 오래된 전통있는 가문, 혹은 최고위 명예직인 경우가 많았습니다. 후작은 변경의 실력자들이 인정받으면서 생긴 자리인데 백작과는 달리 여러 작위를 겸직할 수 있는 특권이 부여되었습니다. 근데 뭐 존재감은 별로 없어요. 백작은 봉건제의 근간이 되는 작위인데 중앙 백작들은 왕가의 중요 업무를 맡는 실세요 지방 백작들은 세습 영주로서 하나의 작은 왕국을 거느리는 존재였습니다. 자작은 백작의 따까리, 남작은 왕의 따까리였습니다. 근데 왜 왕보다 백작의 따까리가 더 높냐고요? 백작 따까리는 백작의 오른팔이지만 왕의 따까리는 부하1이라서 흔해빠졌거든요(...) 이렇듯 중국과 유럽의 작위 체제는 비슷한 거 같으면서 뭔가 좀 달라서 1:1 대응이 어렵습니다.


이거 써놓고 보니 별 도움이 안되겠군요. 그냥 아이들에게는 왕의 부하들한테 별명 붙여준 거라고 설명해주세요(...)

p.s. 공작새와는 한자가 다릅니다. 조류와는 다르다! 조류와는!

* 수박이두통에게보린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7-07-31 08:22)
* 관리사유 : 추천 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15
  • 재미있게 읽었습니다!
  • 으어어엇 감사합니다!


레지엔
간단하게 이해하는 법은 동양은 사람에게 직위를 붙여줬고 서양은 땅과 세트로 줬다... 긴 합니다. 하지만 이 정도로는 크킹의 데쥬레를 이해할 수 없지!
부모님을 괴롭힐 줄 아는 아이는 이렇게 물어볼 겁니다. '왜 저 땅은 백작이고 저 땅은 후작이에요?'
레지엔
집값이 달라서 그래로 퉁쳐야...
https://www.youtube.com/watch?v=sahSAMj8OIY

착한 아이는 괴롭힘을 멈추지 않을 겁니다
레지엔
애들은 역시 piece of shit...
cause I smoked too much pot...
호라타래
답은 크-킹이다. 역사 교육의 산실!
겨울삼각형
정도전이 조선건국후 봉화백을 받지요.
이게 백작..

서양의 작위를 중국의 5등작으로 설명하면 꼬이죠.

그냥 서양쪽 작위는 다 영주의 이름일 뿐이고,
백작이나 공작이나 자신의 영지에서의 권한은 같습니다.

중세끝나고 귀족가문들이 실권을 잃고 명예만 남겨질때정도나 너네 백작 가문이냐? 난 공작인데? 아닌데 우리는 대공가문인데? 라고 따질때나 구분이 되지요.

뭐 그래도 중세 당시에도 작위별로 차이는 있지요.
예로들면,
십자군 국가들에서
예루살렘은 왕국
안티오키아는 공국
에데사, 트리폴리는 백국
갈릴래아... 더 보기
정도전이 조선건국후 봉화백을 받지요.
이게 백작..

서양의 작위를 중국의 5등작으로 설명하면 꼬이죠.

그냥 서양쪽 작위는 다 영주의 이름일 뿐이고,
백작이나 공작이나 자신의 영지에서의 권한은 같습니다.

중세끝나고 귀족가문들이 실권을 잃고 명예만 남겨질때정도나 너네 백작 가문이냐? 난 공작인데? 아닌데 우리는 대공가문인데? 라고 따질때나 구분이 되지요.

뭐 그래도 중세 당시에도 작위별로 차이는 있지요.
예로들면,
십자군 국가들에서
예루살렘은 왕국
안티오키아는 공국
에데사, 트리폴리는 백국
갈릴래아나 아스카론은 공작급인데, 독립국이 아니라 예루살렘왕국의 봉신.. 등등
예나 지금이나 중요한 건 명예가 아니라 권력과 돈과 능력이죠 ㅎㅎ
곰곰이
탐라 글 작성자입니다!
혹시 역사존잘님께서 작위 관련 글을 올려주시지 않을까? 하고 살짝 기대했었는데
정말 상세한 글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애들한테도 조언해 주신 대로 잘 설명하겠습니다.^^
좀 더 쉽게 쓰지 못해서 죄송합니다 ㅠㅠㅋㅋ
곰곰이
장화신은 고양이에서는
고양이가 왕을 찾아가 자신의 주인을 '카라바 백작 (또는 공작)' 이라고 소개하고
여차저차 해서 주인을 진짜 귀족으로 신분상승시키고 공주와 결혼까지 시켜드리는 대담한 이야기가 나오더군요 ㅎㅎ
겨울삼각형
동화라서 퉁치는거지..
그냥 사칭이죠.

실제 영지없는 이름뿐인 작위는 18세기 이후에나.. 나오지요.

가장유명한게 워털루전투의 영웅 웰링턴공작 아서 웰즐리
실제 본인은 백작가문의 3남이긴 하지만..
우주최강워리어
우리의 조안 페레로는 왜 땅떵어리 한 뼘 없이 공작이었던가...
아버지가 공작인 거지 조안이 공작인 게 아니니까 괜찮습니다?
Erzenico
그 아버지도 1편에서 공주를 구출하며 공주와 결혼해서 공작이 되신...
레온 페레로에겐 뭔가 땅이 있을 겁니다 아무튼 있을 겁니다
Erzenico
당연히 공작이 되면서 받았겠죠 ㅎㅎ 리스본 근교에다가
검은돌
재밌게 봤습니다 !!ㅎㅎ
호라타래
잘 읽었습니다 ㅎㅎ 나라 + 지방에 따라 천차만별이네요. 같은 봉건 시스템이라도 중국이 훨씬 중앙집권이 되어있었다는 의미로 봐도 될까요?
단일국가와 여러나라의 차이인 거죠. 중국도 쪼개져있을 때는 나라마다 관직 다 다르고 머리아파요...
Dr.Pepper
중세 작위얘기 보면서 매번 느끼지만 역시 핏줄보다 돈이 최고시다 뭐 이런 생각해봅니다.
그나저나 크킹이 짱인거시었다 ㅋㅋㅋㅋㅋ
그 동네도 가끔 돈으로 고위귀족이 되는 경우가 있더군요 역시 돈이야...
수성펜
오 몰라따 공후백자남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450 여행그간 다녀본 리조트 간단 정리 : 푸켓, 나트랑, 안탈리아 8 당근매니아 25/03/21 941 23
1449 꿀팁/강좌스피커를 만들어보자 - 4. 재질과 가공 (완) 10 Beemo 25/03/17 574 11
1448 기타남의 인생 멋대로 판단하는 이야기 11 바닷가의 제로스 25/03/13 1785 51
1447 꿀팁/강좌1. 만화란 뭘까? 인스타툰은 어떻게 시작해야할까? 11 흑마법사 25/03/12 877 26
1446 일상/생각첫 마라톤 풀코스 도전을 일주일 앞두고 24 GogoGo 25/03/09 981 24
1445 일상/생각포스트-트라우마와 사회기능성과 흙수저-학대가정 탈출 로직 6 골든햄스 25/03/06 978 21
1444 정치/사회 2월 28일, 미국 우크라이나 정상회담 파토와 내용 정리. 11 코리몬테아스 25/03/01 1874 29
1443 문화/예술2025 걸그룹 1/6 18 헬리제의우울 25/03/03 1001 16
1442 정치/사회목요일 대학살 - 믿을 수 없이 부패한 트럼프 16 코리몬테아스 25/02/19 2001 24
1441 정치/사회화교는 상속세를 내지 않는다는 말 18 당근매니아 25/02/11 3296 17
1440 정치/사회무엇이 한국을 분열시킬 수 있는가? 5 meson 25/02/09 1241 7
1439 기타애착을 부탁해 - 커플을 위한 보론 (2) 5 소요 25/02/09 779 7
1438 기타애착을 부탁해 - 커플을 위한 보론 (1) 소요 25/02/07 1035 11
1437 IT/컴퓨터LLM에 대한 두서없는 잡썰 (3) 23 덜커덩 25/02/05 1428 24
1436 일상/생각여행을 나서면 집에 가고 싶다. 4 풀잎 25/01/30 1115 10
1435 꿀팁/강좌스피커를 만들어보자 - 3. 인클로저 설계 Beemo 25/01/29 1135 4
1434 체육/스포츠해리 케인의 무관에 대하여. 12 joel 25/01/27 1286 12
1433 체육/스포츠볼링 이야기 20 거소 25/01/19 1016 5
1432 일상/생각저에게는 원칙이 있습니다. 13 whenyouinRome... 25/01/19 1879 49
1431 일상/생각집사 7년차에 써보는 고양이 키우기 전 고려할 점 13 Velma Kelly 25/01/18 1260 20
1430 일상/생각입시에 대해 과외하면서 느꼈던 것들, 최근 입시에 대한 생각 12 Daniel Plainview 25/01/17 1860 16
1429 정치/사회민주당을 칭찬한다 13 명동의밤 25/01/15 2384 34
1428 꿀팁/강좌전자렌지로 탕후루 만들기 레시피 수퍼스플랫 25/01/11 1079 7
1427 정치/사회탄핵심판의 범위 및 본건 탄핵심판의 쟁점 6 김비버 25/01/06 1174 14
1426 IT/컴퓨터인공지능 시대,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말빨" 5 T.Robin 25/01/05 1321 8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