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16/10/14 00:46:09
Name   tannenbaum
Subject   보름달 빵


그 시절엔 그랬다.


면사무소 앞 게시판엔 근검, 절약, 저축을 장려하는 포스터가, 태극기 옆에는 새마을운동을 상징한다던 초록색 풀떼기 깃발이 항상 나부끼던 시절... 안쓰고 안먹고 안입으며 언젠가 우리도 부자가 되길 꿈꾸며 살던 시절... 나는 무지랭이처럼 살지만 내 아이는 반드시 출세시켜 동네에 자랑거리가 될거란 믿음으로 살던 시절... 그래서 늘 부족하고 힘들더라도 불평을 하지 않는 게 당연했던 시절.....


그 시절엔 그랬다.


마당에 그네와 연못이 있던 그리고 매일 아침이면 100원씩 용돈을 받던 나는 그 시절 시골로 보내졌다. 양변기 대신 재래식 뒷간에서 일을 봐야 했고 반찬투정과 군것질은 더이상 내가 누릴 수 없다는 걸 누가 말해주지 않았지만 나는 알 수 있었다. 어쩌다 학교에서 불우이웃돕기 모금 이백원, 환경미화 물품을 가져오라 할때면 할아버지에게 불호령을 받았다. 왜 화를 내는지 이해 할 수 없었지만 집안에 돈이 없다는 건 어렴풋이 알았던 것 같다. 기껏해야 일년 중 가을 추매시기에야 목돈을 만질 수 있던 농사꾼에게 늘 돈이 없는 건 당연한 일이었다. 닭, 오리, 강아지를 몇천원에 장에 내어 팔거나, 밤나무 감나무 자두나무에 알 굵은 걸 모아 팔지 않으면 일년 내내 집안에 십원 한장 없는 날이 더 많았다. 이런 저런 이유로 아버지 또한 나를 할아버지댁에 맡겼지만 생활비를 지원할 수 없었던 시절... 그래서 난 갖고 싶은 것 먹고 싶은 것 입고 싶은 것 모두 참아야만 했었다.


그 시절엔 그랬다.


그 시골에도 동네에 잘사는 유지가 있었다. 동네 사람들 대부분은 그 사람의 땅을 빌어 농사를 지었다. 할아버지도 몇 마지기 땅이 있었지만 그걸로는 우리 식구 1년 살이 밖에 되지 않았기에 땅을 빌어 소작을 했었다. 양파 수확철이면 할머니는 바쁜 농사일에도 불구하고 일당을 받으려 그 집 양파밭으로 가셨다. 종일 뙤약볕에 쪼그려 양파를 캐면 5천원을 받으셨다. 그 시절 시골살이에  5천원은 매우 큰 돈이었기에 혹시나 십장의 눈 밖에 날까 그이의 험한말에도 대거리 한번 못하시고 어떻게든 양파밭으로 가셨다.

지금도 사람을 쓰면 점심과 참을 주듯 그때도 참으로 보름달 빵과 우유를 주었다. 남자들이었으면 막걸리에 고깃거리였겠지만 작업하는 이들이 다 여자들이라 대신 주었을것이다. 할머니는 일을 다녀오시면 자기 몫의 보름달 빵과 우유를 몸빼 바지에서 꺼내주었다. 허리춤에 넣고 양파를 캐느라 뭉개진 빵과 이미 미지근하게 뎁혀진 우유였지만..... 달콤한 크림과 부드러운 빵의 촉감은 8살 아이에게 너무나 행복한 군것질거리였다. 첫날 할머니도 드시라 절반 떼어주었지만 당신께서는 단거 싫다며 너 다먹으라 하셨다. 그 이후 두번다시 묻지 않고 게눈 감추듯 나 혼자 다 먹었다. 오늘도 내일도 모레도 할머니에게 같이 드시자는 말도 없이 혼자 다 먹었었다.


그 시절 할머니는 그래도 되는 줄 알았다.


몇년간 시골생활이 끝나고 난 다시 여기 저기 옮기며 살았다. 명절 때 두번 내려가는 일 외에는 할머니를 뵌적이 없었다. 중학생일적 여름 방학이었을거다. 문득 시골 할머니가 보고 싶어졌다. 아버지에게 용돈을 받아 터미널로 향했다. 터미널 앞에 도착하자 제과점이 보였다. 용돈에서 차비를 빼면 몇천원은 남아 뭐라도 사드리려 제과점 안으로 들어갔다. 센베와 화과자를 집어들고 문득 할머니는 단 음식을 안좋아 하시던게 기억났다. 괜히 잘 못 사는 거 아닌가 싶으면서도 안드시면 동네 사람들에게 자랑하시겠지 생각에 이왕이면 예쁜 걸로 집어 들었다.

시골집에 도착하자 할머님은 더 없이 반가워하면서 내 강아지 내 강아지 부르셨다. 그날 저녁 닭을 잡으시고 밭에서 푸성귀를 따 큰 상에 저녁을 차려주셨다. 배가 부르다는 나에게 계속 이것 저것 권하시며 더 먹으라 하셨다. 안먹겠다 하니 서운한 표정의 할머니 얼굴을 보니 어떻게든 뱃속에 자리를 만들어 꾸역 꾸역 밀어 넣으며 제과점에서 산 센베와 화과자를 내밀었다. 할머니는 니 용돈이나 하지 이런걸 뭐하러 사오냐 말씀은 하셨지만 분명 미소를 띄셨던 걸 기억한다. 단 거 안좋아 하시니 그냥 한두개 먹고 마시겠지 하던 내 예상과 달리 할머니는 화과자를 그 자리에서 반상자 가량 드셨다. 그 걸 보던 나는 몇년 전 당신께서는 단게 싫으시다며 한사코 나 다 먹으라 하던 보름달 빵이 생각이 났다. 그리고 난 갑자기 눈물이 날것 같아 감추려 소화 좀 시키고 오겠다며 도망치듯 집 뒷산으로 올라갔다.


그때 알았다.

그 시절 할머니도 달달한 크림이 들어 있는 부드러운 보름달 빵이 너무 드시고 싶었다는 걸...

그제서야 알았다....




가끔 제과점에서 화과자를 보면 할머니가 생각난다.



* 수박이두통에게보린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6-10-24 10:42)
* 관리사유 : 추천 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14
  • 눈물 찔끔.
  • 소중한 이야기 나눠주셔서 감사해요
  • 잔잔하고 따듯해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67 일상/생각할머니가 돌아가셨다. 8 SCV 17/12/28 6366 27
632 의료/건강26개월 남아 압빼수술(a.k.a 충수절제술, 맹장수술) 후기 30 SCV 18/05/14 6848 15
1237 일상/생각만년필 덕후가 인정하는 찰스 3세의 착한 빡침 95 SCV 22/09/13 31806 49
1350 일상/생각아보카도 토스트 개발한 쉐프의 죽음 10 Soporatif 23/12/31 1832 19
914 일상/생각멘탈이 탈탈 털린 개인카페 리모델링 후기 51 swear 20/01/23 6223 32
1284 일상/생각20개월 아기 어린이집 적응기 18 swear 23/03/21 2488 29
727 IT/컴퓨터인터넷 뱅킹, 공인인증서를 사용하지 않아도 안전할까? 31 T.Robin 18/11/07 6821 10
739 정치/사회미국의 장애인 차별금지법과 George H. W. Bush 5 T.Robin 18/12/05 4787 6
1004 철학/종교나이롱 신자가 써보는 비대면예배에 대한 단상 14 T.Robin 20/08/31 4485 6
1230 IT/컴퓨터가끔 홍차넷을 버벅이게 하는 DoS(서비스 거부 공격) 이야기 36 T.Robin 22/08/08 3437 25
284 일상/생각보름달 빵 6 tannenbaum 16/10/14 4598 14
290 정치/사회외국인 범죄에 대한 진실과 오해 6 tannenbaum 16/10/24 7628 6
293 일상/생각꼬마 절도범 6 tannenbaum 16/10/26 5238 6
295 일상/생각아재의 커피숍 운영기 - Mr.아네모네. 15 tannenbaum 16/10/30 4950 6
308 일상/생각착한 아이 컴플렉스 탈출기. 5 tannenbaum 16/11/24 5439 14
325 일상/생각지가 잘못해 놓고 왜 나한테 화를 내? 42 tannenbaum 16/12/18 6534 22
347 일상/생각가마솥계란찜 6 tannenbaum 17/01/17 4960 13
376 일상/생각호구의 역사. 23 tannenbaum 17/02/27 5609 28
392 경제약간만 양심을 내려 놓으면 댓가는 달콤하다. 하지만... 51 tannenbaum 17/03/20 6923 15
442 일상/생각누워 침뱉기 17 tannenbaum 17/06/01 5044 24
399 일상/생각쪽지가 도착했습니다. 36 tannenbaum 17/03/27 5341 24
411 정치/사회쓰리네요 18 tannenbaum 17/04/14 6335 16
421 정치/사회무지개 깃발. 61 tannenbaum 17/04/28 6639 22
424 일상/생각나도 친구들이 있다. 3 tannenbaum 17/05/03 4495 14
434 일상/생각가난한 연애 11 tannenbaum 17/05/15 6336 18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