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 16/04/18 19:09:57 |
Name | 마르코폴로 |
Subject | 한식판 왕자와 거지, 곰탕과 설렁탕 |
![]() ![]() -차이가 나는 국물 때깔 곰탕은 ‘고은+탕’, ‘고기 곤 뜨거운 국물’이라는 의미입니다. ‘기름 고(膏)’의 동사형이 ‘고다’입니다. 명사 ‘고(膏)’에서 동사 ‘고다’가 나왔다고 하죠. 즉 고은탕, 혹은 곤 탕이 시간이 지나면서 곰탕이 된 것이지요. 뜻은 ‘기름기 많은 탕’ 정도라고 보면 될 듯합니다. 이런 곰탕은 반가의 음식인지라 그 기록도 정확한 편입니다. ‘음식디미방’의 우족탕, ‘규합총서’의 꼬리곰탕 같은 것들이 현재 곰탕의 원형이라고 할 수 있을 겁니다. 곰탕의 원형이라 볼 만한 음식들의 경우 그 조리방식까지 명확하고 상세하게 서술되어 있습니다. 그야말로 한식계의 금수저라고 할 수 있겠죠. 현재 남아 있는 많은 음식들이 사실 그 원형을 찾기가 쉽지 않은데 반가에서 주로 먹던 음식인 탓인지 곰탕은 그 유래와 기록을 상세하게 알 수 있습니다. 곰탕은 매식(판매하는 음식)의 형태로 발전하는 과정에서 설렁탕에 주류의 위치를 빼앗기게 되는데, 이는 서울에서 장국밥이 설렁탕에 그 위치를 내준 것과 유사해 보입니다. 상대적으로 손이 많이 가고, 재료의 가격이 비싼 까닭에 대중적인 음식으로 자리 잡기가 불리했기 때문이겠죠. 설렁탕의 역사는 곰탕과는 다릅니다. 겉보기에는 거의 유사한 음식들의 유래가 이렇게 다른 경우를 보는 것도 그리 흔한 일은 아닐 겁니다. 일단 설렁탕의 경우 제대로 된 기록이 거의 없습니다. 조선시대 후기에 도축된 소의 부산물로 탕을 만들어 팔았다는 기록이 그 유래로 짐작될 뿐, 조리법이나 이름에 대한 정확한 유래를 알 방법이 없습니다. 설렁탕을 끓이는 국솥에 국물이 끓는 모습이 ‘설렁설렁’ 하다고 해서 설렁탕이라고 부른다는 식의 황당한 유래만이 알려져 있을 따름이죠. 선농단이 설렁탕이 되었다는 유래(인터넷이나 식당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유래입니다) 같은 그럴듯한 이야기도 있습니다만, 음식사가들은 그럴듯한 이야기의 조합일 뿐 근거가 없다는 말로 일축하더군요. 그렇다면 설렁탕과 곰탕의 차이는 무엇일까요? 시간이 흐르면서 그 차이가 모호해지긴 했지만, 조리법을 살펴보면 두 음식은 확실히 다른 음식입니다. 기본적으로 국물을 만드는 방법에서 차이를 보입니다. 소뼈를 사용하는 것은 유사하지만, 설렁탕의 경우 육수의 주체가 뼈인 반면에, 곰탕은 고기를 주로 해서 육수를 뽑아냅니다. (나주곰탕의 경우처럼 뼈를 사용하지 않고, 고기로만 국물을 내는 경우도 있습니다)사용하는 고기의 부위도 곰탕의 경우 양지머리, 사태, 양 정도로 국한하는 반면에 설렁탕은 가죽과 오물(?)을 제외한 모든 부위를 사용해서 국물을 뽑아냅니다. 그래서 곰탕의 경우 국물이 맑고 담백한 맛이 느껴지는 반면, 설렁탕의 경우 진하고 무겁다는 느낌을 받습니다. 저는 곰탕에서 느껴지는 미묘한 단맛 탓에 설렁탕을 더 선호합니다. ![]() - 영춘옥 ![]() - 정주영 회장의 단골집이었다는 만수옥( 설렁탕의 경우 서울이 가장 유명합니다. 이문설농탕, 잼배옥, 만수옥 같은 노포들도 많이 자리 잡고 있지요. 마장동의 우시장이 음식의 발전에 큰 영향을 끼쳤던 것 같습니다. 이 시장에서 나오는 부속물들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설렁탕이 생겨났으리라 짐작할 수 있습니다. 곰탕은 서울과 현풍, 나주가 유명합니다. 서울에서 유명한 가게로는 하동관과 영춘옥을 들 수 있겠네요. 나주는 하얀집, 현풍은 박소선 할매 곰탕이 널리 알려진 집입니다. 앞서 언급했듯이 서울은 마장동의 우시장이 유명하고, 경북은 지역의 김천같은 곳의 우시장이 과거 평양의 우시장과 함께 쌍벽을 이뤘을 정도로 큰 규모를 자랑했었죠. 나주의 경우 일제 강점기에 일제가 생산하던 소고기 통조림이 이 지역에서 주로 만들어 지면서, 이 지역으로 전국의 엄청난 소고기가 쏟아졌습니다. 흔히 재료가 요리의 절반 이상이라는 말을 하고 하는데, 곰탕 역시 이런 요인들-풍부하고 좋은 소고기를 제공받을 수 있는 환경-로 말미암아 앞서 언급했던 지역의 음식으로 자리 잡을 수 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 수박이두통에게보린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6-05-02 11:46) * 관리사유 : 추천 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13
이 게시판에 등록된 마르코폴로님의 최근 게시물
|
원조 식당은 역시 허름한 자리에서 위생같은건 개의치 않고 먹어야 제맛이죠. ㅎㅎ 남평식당이 대단했던게 식당 주변으로 시장이 생겨버려서 식당이 시장 한가운데 있게 되었어요.
나주에 송현불고기라고 백종원 3대천왕에 나와서 유명해진 집이 있는데, 거기가 원래 그 자리가 아니고 약간 뒷길에 허름한 집에서 했었던 식당이었어요. 대학생때 서너명이 가서 4인분 시켜놓고 술만 진탕 마시고 했던 집인데, 그땐 간판도 없어서 저희끼리는 쓰러져가는집이라고 불렀어요. 근데, 그 집이 몇 년전 태풍 크게 왔을때 집이 아예 날아가버려서 지금 자리로 어... 더 보기
나주에 송현불고기라고 백종원 3대천왕에 나와서 유명해진 집이 있는데, 거기가 원래 그 자리가 아니고 약간 뒷길에 허름한 집에서 했었던 식당이었어요. 대학생때 서너명이 가서 4인분 시켜놓고 술만 진탕 마시고 했던 집인데, 그땐 간판도 없어서 저희끼리는 쓰러져가는집이라고 불렀어요. 근데, 그 집이 몇 년전 태풍 크게 왔을때 집이 아예 날아가버려서 지금 자리로 어... 더 보기
원조 식당은 역시 허름한 자리에서 위생같은건 개의치 않고 먹어야 제맛이죠. ㅎㅎ 남평식당이 대단했던게 식당 주변으로 시장이 생겨버려서 식당이 시장 한가운데 있게 되었어요.
나주에 송현불고기라고 백종원 3대천왕에 나와서 유명해진 집이 있는데, 거기가 원래 그 자리가 아니고 약간 뒷길에 허름한 집에서 했었던 식당이었어요. 대학생때 서너명이 가서 4인분 시켜놓고 술만 진탕 마시고 했던 집인데, 그땐 간판도 없어서 저희끼리는 쓰러져가는집이라고 불렀어요. 근데, 그 집이 몇 년전 태풍 크게 왔을때 집이 아예 날아가버려서 지금 자리로 어쩔 수 없이 옮겼다고 하더라구요.
거기 주인아줌마가 예전이나 지금이나 연탄불 앞에서 고기 굽고 있는데, 예전에는 진짜 위생상태 장난 아니어서 접시도 안씻고 이전손님들이 먹던 쌈장, 마늘이 고기 밑에서 나오고 그래서 막 싸우고 그랬는데, 지금은 조금 나아졌더라구요. ㅋㅋ
나주에 송현불고기라고 백종원 3대천왕에 나와서 유명해진 집이 있는데, 거기가 원래 그 자리가 아니고 약간 뒷길에 허름한 집에서 했었던 식당이었어요. 대학생때 서너명이 가서 4인분 시켜놓고 술만 진탕 마시고 했던 집인데, 그땐 간판도 없어서 저희끼리는 쓰러져가는집이라고 불렀어요. 근데, 그 집이 몇 년전 태풍 크게 왔을때 집이 아예 날아가버려서 지금 자리로 어쩔 수 없이 옮겼다고 하더라구요.
거기 주인아줌마가 예전이나 지금이나 연탄불 앞에서 고기 굽고 있는데, 예전에는 진짜 위생상태 장난 아니어서 접시도 안씻고 이전손님들이 먹던 쌈장, 마늘이 고기 밑에서 나오고 그래서 막 싸우고 그랬는데, 지금은 조금 나아졌더라구요. ㅋㅋ
전설같은 이야기네요. 예전엔 유명식당 주위로 먹거리타운이 형성되는 경우가 종종 있었는데, 요즘은 그런현상을 보기가 힘든 것 같아요.
경기가 좋지 않아서 그런걸까요. 그리고 송현 불고기 얘기는 충격적이네요. 위생이 더러운 가게야 종종 봐왔습니다만,
태풍에 건물 자체가 날아간 얘기는 놀랍습니다. 사건 후에 가게이름을 옆에 \'태풍에 날아간 집\'같은 걸 덧붙이면 재밌을 것 같아요.
예전에 서울에 동물원에서 코끼리 무리가 탈출해서 삼겹살 집을 급습한 적이 있었는데, 사건 후에 수리랑 리모델링하고 간판을 \'코끼리 들어온 집\'으로 바꿨더라고요. 흐흐흐
경기가 좋지 않아서 그런걸까요. 그리고 송현 불고기 얘기는 충격적이네요. 위생이 더러운 가게야 종종 봐왔습니다만,
태풍에 건물 자체가 날아간 얘기는 놀랍습니다. 사건 후에 가게이름을 옆에 \'태풍에 날아간 집\'같은 걸 덧붙이면 재밌을 것 같아요.
예전에 서울에 동물원에서 코끼리 무리가 탈출해서 삼겹살 집을 급습한 적이 있었는데, 사건 후에 수리랑 리모델링하고 간판을 \'코끼리 들어온 집\'으로 바꿨더라고요. 흐흐흐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