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16/03/13 06:24:36
Name   마스터충달
Subject   [조각글 18주차] 궁극의 질문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4
  • 춫천
  • 다음도 이어 써주세요
이 게시판에 등록된 마스터충달님의 최근 게시물


난커피가더좋아
응? 42. 가 무슨 의미인가요? ㅎㅎ
리틀미
[은하수를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라는 인기절정 영국 SF 소설에서 \"the answer to life, the universe and everything\"을 본문에 나온 엄청난 존재한테 물어봤더니 \"42\"라고 대답했다는 에피소드가 있습니다. 구글에도 위에 문구를 치면 계산기가 뜨면서 42라고 나오는 이스터에그가 있어요.
난커피가더좋아
아항!!!! 친절한 설명 감사합니다.
이를테면... 문학 계층 유머로군요 ㅎㅎ
파란아게하
재밌게 잘 봤습니다
춫천
얼그레이
무척 재밌게 읽었습니다. 최근에 화제가 되고 있던 알파고나 필리버스터 등에 영향을 받은 흔적이 보입니다. \'팔리는 글\'을 중시하는 충달님의 스타일에도 맞고, 무엇보다도 기본적인 필력이 기반되어 있어 재밌게 읽었습니다. \'오메가\'가 인류를 떠나는 모습에서는 영화 <her>의 OS들이 떠나는 모습이 생각났습니다.
저는 이번 주제를 진행하면서 서로 다른 두 사람의 목소리를 내는 것이 무척 어려웠는데, 여러 사람이 말하는 대화임에도 불구하고 어렵지 않게 읽혀 무척 감탄했습니다. 혹시 관련하여 조언주실 부분이 있으신지요... 더 보기
무척 재밌게 읽었습니다. 최근에 화제가 되고 있던 알파고나 필리버스터 등에 영향을 받은 흔적이 보입니다. \'팔리는 글\'을 중시하는 충달님의 스타일에도 맞고, 무엇보다도 기본적인 필력이 기반되어 있어 재밌게 읽었습니다. \'오메가\'가 인류를 떠나는 모습에서는 영화 <her>의 OS들이 떠나는 모습이 생각났습니다.
저는 이번 주제를 진행하면서 서로 다른 두 사람의 목소리를 내는 것이 무척 어려웠는데, 여러 사람이 말하는 대화임에도 불구하고 어렵지 않게 읽혀 무척 감탄했습니다. 혹시 관련하여 조언주실 부분이 있으신지요.
무엇보다 주제에 가장 적합한 글이었습니다.
마지막 마무리에 감탄했습니다. \'오메가력\'에 대한 설정도 좋았고, 다시 조우하게 된다는 점. 그리고 조우하는데 걸리는 시간과 절단 신공까지.. 늘 다음을 궁금하게 만드는 매력이 있는 것 같습니다. 이번 글은 이어서 좀 써주세요!!
재밌게 읽었습니다. 다음 글도 기대하겠습니다. 아멘
마스터충달
필리버스터를 연상하시다니, 역시 작가의 손을 떠난 작품은 독자에 의해 다시 태어나네요. 그런 점까지 읽어내는 시선 저에겐 과분한 것 같기도 합니다. 고마워요.

대화라는 게 서사를 이끄느냐 개성을 묘사하느냐에 따라 좀 갈리는 것 같아요. 보통 서사를 이끈다면 \'누가 말했다\'라는 표현이 필요 없는 경우가 많은데, 개성을 표현한다면 \'누가 말했는지\'가 중요해져서 또 신경을 써야 하기도 하고요. 그래도 누가 말했는가를 언급하기보다는 대화만으로 파악하는 게 젤 좋다고 생각해요. 제가 생각하는 이상적인 대화체는 오페라입니다. 영화... 더 보기
필리버스터를 연상하시다니, 역시 작가의 손을 떠난 작품은 독자에 의해 다시 태어나네요. 그런 점까지 읽어내는 시선 저에겐 과분한 것 같기도 합니다. 고마워요.

대화라는 게 서사를 이끄느냐 개성을 묘사하느냐에 따라 좀 갈리는 것 같아요. 보통 서사를 이끈다면 \'누가 말했다\'라는 표현이 필요 없는 경우가 많은데, 개성을 표현한다면 \'누가 말했는지\'가 중요해져서 또 신경을 써야 하기도 하고요. 그래도 누가 말했는가를 언급하기보다는 대화만으로 파악하는 게 젤 좋다고 생각해요. 제가 생각하는 이상적인 대화체는 오페라입니다. 영화 <아마데우스>에서 모짜르트가 이렇게 말하죠. \"연극이였으면 여러사람이 한꺼번에 말하는 건 소음이지만, 오페라에서는 화음이 되고 예술이 됩니다.\" 쏟아지는 대화 만으로 서사와 스타일을 살려내는 그런 대화가 궁극의 대화체가 아닐까 그리 생각해봅니다.
얼그레이
크.. 덧글도 작품
42에서 빵빵 터졌습니다. 크크크 재밋어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30 문학[인터뷰 번역] 코맥 매카시의 독기를 품은 소설(1992 뉴욕타임즈) 8 Homo_Skeptic 17/05/13 9428 6
877 문학[자랑글] 구글독스 기반 독서관리 시트를 만들었읍니다 7 환경스페셜 19/10/20 6358 15
171 창작[조각글 18주차] 궁극의 질문 9 마스터충달 16/03/13 6443 4
199 일상/생각[조각글 24주차] 이해와 인정 사이 4 nickyo 16/05/02 5612 3
98 문학[조각글 2주차] (1주차와 약간 믹스, 약 기독) 노래는 가사지 18 매일이수수께끼상자 15/10/30 6874 14
492 꿀팁/강좌[커피]모카포트이야기 39 사슴도치 17/08/11 10448 11
937 과학[코로나] 데이터... 데이터를 보자! 20 기아트윈스 20/03/22 7075 12
229 역사[펌] 글쓰기란 병법이다 14 기아트윈스 16/07/07 6883 3
425 정치/사회[펌] 대선후보자제 성추행사건에 부쳐 112 기아트윈스 17/05/04 9424 14
275 일상/생각[펌] 시대로부터 밀려나는 것에 대한 두려움 46 기아트윈스 16/10/06 6127 14
858 일상/생각[펌] 자영업자의 시선으로 본 가난요인 43 멍청똑똑이 19/09/13 11470 89
903 일상/생각[펌글] 좋은게 좋은거라는 분위기가 세상을 망쳐왔다 21 Groot 19/12/27 6078 8
289 창작[한단설] For Sale : Baby shoes, never worn. 8 SCV 16/10/24 6967 11
306 창작[한단설] 손 없는 날 2 틸트 16/11/21 7173 11
1389 꿀팁/강좌[해석] 인스타 릴스 '사진찍는 꿀팁' 해석 24 *alchemist* 24/04/23 2924 16
182 기타[회고록] 그 밤은 추웠고, 난 홍조를 띠었네. 43 수박이두통에게보린 16/04/12 6089 10
437 일상/생각[회고록] 그녀의 환한 미소 17 수박이두통에게보린 17/05/24 5251 13
341 일상/생각[회고록] 나 킴치 조아해요우 19 수박이두통에게보린 17/01/09 6076 18
4 게임[히어로즈] 이것만 알면 원숭이도 1인분은 한다 64 Azurespace 15/05/30 13944 76
1411 문학『채식주의자』 - 물결에 올라타서 8 meson 24/10/12 1528 16
1079 IT/컴퓨터<소셜 딜레마>의 주된 주장들 9 호미밭의 파스꾼 21/04/06 5191 13
599 일상/생각#metoo 2017년 11월 30일의 일기 41 새벽3시 18/02/28 7480 54
1226 정치/사회<20대 남성 53% "키스는 성관계 동의한 것">이라는 기사는 무엇을 놓치고 있는가? - 보고서 원문 자료를 바탕으로 46 소요 22/07/25 5645 39
840 문화/예술<동국이상국집>에 묘사된 고려청자 3 메존일각 19/08/01 5793 7
817 과학0.999...=1? 26 주문파괴자 19/06/14 7150 19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