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 16/03/06 20:10:33 |
Name | 난커피가더좋아 |
File #1 | i11435110885.jpg (109.4 KB), Download : 43 |
Subject | 디플레이션의 시대가 오는가? |
이불밖은 위험한 시대? http://news.donga.com/3/all/20160305/76829053/1 http://news.donga.com/rel/3/all/20160305/76829119/1 http://news.donga.com/rel/3/all/20160305/76829055/1 http://news.donga.com/rel/3/all/20160305/76829125/1 http://news.donga.com/rel/3/all/20160305/76829058/1 지난 토요일, 동아일보 주말 특별기획 기사로 '디플레이션'현상을 다룬 기사가 실렸습니다. 엄밀히 말해 디플레이션 현상 자체를 경제학적으로 분석한 기사는 아니고, 가격파괴가 일상화되는 현재 한국의 소비시장을 조명하면서 일본식 장기불황이 시작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를 드러내는 기사입니다. '디플레이션 전조'를 다룬 기사라고 할 수 있습니다. 디플레이션은 압축적 고도성장을 해온 한국에서, 사람들이 겪어본 적이 없는 현상입니다. 어쩌면, 전세계적으로도 2차대전 이후 전 세계의 성장, 1980년대 이후 금융화에 의한 또 다른 성장국면으로 인해 인플레이션이 '상수'였기에 겪은 국가 혹은 국민이 많지 않은 현상으로도 볼 수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 제가 구독하는 경제블로거 중 한 분은 '우리의 사고방식과 행태가 달라지게 될 것'이고 '기업은 더욱 혹독한 경쟁을 견뎌내야 할 것'이라고 예측합니다. http://blog.naver.com/darrel76/220609191446 위 글을 읽기 귀찮으신 분들을 위해 간단히 요약해드리면, 인플레이션이 상수인 시대에는 '소비가 미덕'이 될 수 있지만(어차피 시간이 지나면 물건의 가격이 오를 것이므로) 디플레이션 상황에서는 '가만히 있는 것, 현금을 쥐고 아무것도 안하는 것이 제일 이득'인 상황이 된다는 겁니다. 외향적이고 적극적으로 투자해 이자를 받거나, 소비를 해서 현재 가장 낮은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는 재화를 소비하는 것은 '불합리한 선택'이 된다는 것이지요. 인플레이션 시대와 달리 제품은 점점 싸지기 때문입니다. 위 글의 블로거는 "집에서 게임만 하는 아들이 제일 효자일 것"이라는 재미난 표현을 합니다. 홍차넷에도 가입한 것으로 알고 있는 다른 블로거님 역시 일본의 장기불황과 디플레이션 상황에서 일본 젊은이들의 행태가 어떻게 바뀌었는지를 조명하고 있습니다. 앞서 소개한 블로거님의 글과 일맥상통하는 얘기지요. 링크는 위 darrel76님 글 안에 있습니다. 관심있는 분들은 그것까지 읽어보시면 되겠습니다. 오직 관이 주도하고 재벌이 이끄는 '고도 성장'을 위한 경제정책, 한은을 통한 통화관리로 돈을 풀고 죄고 하는 전형적인 통화정책 외에는 별로 해본 게 없는 한국의 관료와 정치엘리트들이 과연 이 상황에서 어떤 정책을 펼칠 수 있을 것인지, 기업들은 훨씬 더 싼 가격에 질 좋은 제품이나 서비스를 내놓아도 팔릴까 말까 한 상황에서 과연 경쟁력을 갖출 수 있을 것인지. 여러모로 우려스러운 상황입니다. 결론은 뭐....집에서 겜하는 게 이득이다! 응? 이상 소개를 마칩니다. * Toby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6-03-20 17:08)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3
이 게시판에 등록된 난커피가더좋아님의 최근 게시물
|
단순히 저가 제품군이나 가격파괴형 서비스나 산업이 등장했다는 것만으로 디플레라고 할 순 없겠지요. 단순한 소비양극화시대에도 인플레는 발생하고 있었으니까요. 새로운 \'비즈니스 영역\'으로서 저가 재화가 공급되는 것은 문제가 아니나, 실질적인 화폐가치를 기준으로 디플레가 일어난다면 좀 새로운 문제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그래서 지금이 심각한 듯 합니다. 사실 작년에 한 경제관료가 \"내년에는 물가 인상에 신경쓰겠다\"(오를 수 있도록 하겠다)는 말을 했지요. 디플레 우려를 입밖에 내서 시장이 반응하게 만들었어요. 어이없게. 물론 ... 더 보기
그래서 지금이 심각한 듯 합니다. 사실 작년에 한 경제관료가 \"내년에는 물가 인상에 신경쓰겠다\"(오를 수 있도록 하겠다)는 말을 했지요. 디플레 우려를 입밖에 내서 시장이 반응하게 만들었어요. 어이없게. 물론 ... 더 보기
단순히 저가 제품군이나 가격파괴형 서비스나 산업이 등장했다는 것만으로 디플레라고 할 순 없겠지요. 단순한 소비양극화시대에도 인플레는 발생하고 있었으니까요. 새로운 \'비즈니스 영역\'으로서 저가 재화가 공급되는 것은 문제가 아니나, 실질적인 화폐가치를 기준으로 디플레가 일어난다면 좀 새로운 문제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그래서 지금이 심각한 듯 합니다. 사실 작년에 한 경제관료가 \"내년에는 물가 인상에 신경쓰겠다\"(오를 수 있도록 하겠다)는 말을 했지요. 디플레 우려를 입밖에 내서 시장이 반응하게 만들었어요. 어이없게. 물론 모두가 알지만 책임있는 관료가 함부로 막 말하고 다니면 안되거든요.(개인적으로 좀 황당했습니다.)
물론 정치엘리트들과 관료들 전반적으로 어떤 정책을 어떻게 고민하고 있는지는 사실 모르겠습니다. 그래서 더 답답하지요.
그래서 지금이 심각한 듯 합니다. 사실 작년에 한 경제관료가 \"내년에는 물가 인상에 신경쓰겠다\"(오를 수 있도록 하겠다)는 말을 했지요. 디플레 우려를 입밖에 내서 시장이 반응하게 만들었어요. 어이없게. 물론 모두가 알지만 책임있는 관료가 함부로 막 말하고 다니면 안되거든요.(개인적으로 좀 황당했습니다.)
물론 정치엘리트들과 관료들 전반적으로 어떤 정책을 어떻게 고민하고 있는지는 사실 모르겠습니다. 그래서 더 답답하지요.
초이노믹스의 경제부양이나 대규모 복지나 김종인의 경제민주화와 같은 국가 정책을 통해서 사회를 바로 세워보겠다는
어떠한 시도를 한다해도 별로 효과 없을 거예요. 이건 마치 저성장시대를 거부하는 모든 반동적 행위라고 생각하거든요.
특히 개인적으로 경제민주화는 저번 대선때 했어야 했는데 실패하고 삼성이 비주력, 부실계열사 및 캐시카우 문어발 계열사들을 죄다 정리하고 전자에 올인한 시점에서
이미 타이밍을 놓쳤다고 생각해요. 작년에 조선해양쪽에서 공적자금이 꽤나 많이 들어간 후 기업이나 정부쪽에서 겁내고 노동법 카드를 꺼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이번 대선때 가면 언제 그랬냐는듯 다른 안건이 떠오르지 않을까 싶네요.
어떠한 시도를 한다해도 별로 효과 없을 거예요. 이건 마치 저성장시대를 거부하는 모든 반동적 행위라고 생각하거든요.
특히 개인적으로 경제민주화는 저번 대선때 했어야 했는데 실패하고 삼성이 비주력, 부실계열사 및 캐시카우 문어발 계열사들을 죄다 정리하고 전자에 올인한 시점에서
이미 타이밍을 놓쳤다고 생각해요. 작년에 조선해양쪽에서 공적자금이 꽤나 많이 들어간 후 기업이나 정부쪽에서 겁내고 노동법 카드를 꺼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이번 대선때 가면 언제 그랬냐는듯 다른 안건이 떠오르지 않을까 싶네요.
청년배당, 기본소득 같은 것이 방법중의 하나이기는 합니다만, 합의가 없지요.
유럽에 가면 지하철이 대부분 낡고 지저분하고, 도로도 낡은 경우가 많습니다.
대부분 돈이 없어서 그렇겠지만, 돈이 없는 이유는 그 돈을 대부분 복지에 사용했고 국민 대부분이 저성장에 익숙해져 있기 때문이라고 봅니다.
우리는 국민들이 저성장에 익숙해 있지 않습니다.
새로운 지하철을 만들고, 새로운 도시를 만들고, 새로운 도로를 만드는데 익숙하지요.
그 익숙함과의 이별도 같이해야하는데 국민들이 동의를 할 가능성이 낮다고 봅니... 더 보기
유럽에 가면 지하철이 대부분 낡고 지저분하고, 도로도 낡은 경우가 많습니다.
대부분 돈이 없어서 그렇겠지만, 돈이 없는 이유는 그 돈을 대부분 복지에 사용했고 국민 대부분이 저성장에 익숙해져 있기 때문이라고 봅니다.
우리는 국민들이 저성장에 익숙해 있지 않습니다.
새로운 지하철을 만들고, 새로운 도시를 만들고, 새로운 도로를 만드는데 익숙하지요.
그 익숙함과의 이별도 같이해야하는데 국민들이 동의를 할 가능성이 낮다고 봅니... 더 보기
청년배당, 기본소득 같은 것이 방법중의 하나이기는 합니다만, 합의가 없지요.
유럽에 가면 지하철이 대부분 낡고 지저분하고, 도로도 낡은 경우가 많습니다.
대부분 돈이 없어서 그렇겠지만, 돈이 없는 이유는 그 돈을 대부분 복지에 사용했고 국민 대부분이 저성장에 익숙해져 있기 때문이라고 봅니다.
우리는 국민들이 저성장에 익숙해 있지 않습니다.
새로운 지하철을 만들고, 새로운 도시를 만들고, 새로운 도로를 만드는데 익숙하지요.
그 익숙함과의 이별도 같이해야하는데 국민들이 동의를 할 가능성이 낮다고 봅니다.
유럽에 가면 지하철이 대부분 낡고 지저분하고, 도로도 낡은 경우가 많습니다.
대부분 돈이 없어서 그렇겠지만, 돈이 없는 이유는 그 돈을 대부분 복지에 사용했고 국민 대부분이 저성장에 익숙해져 있기 때문이라고 봅니다.
우리는 국민들이 저성장에 익숙해 있지 않습니다.
새로운 지하철을 만들고, 새로운 도시를 만들고, 새로운 도로를 만드는데 익숙하지요.
그 익숙함과의 이별도 같이해야하는데 국민들이 동의를 할 가능성이 낮다고 봅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