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23/02/03 16:54:55
Name   카르스
File #1   20230202_144119_1675403267_resized.jpg (79.3 KB), Download : 8
Subject   석학의 학술발표가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왜곡되어 소비되는 방식


어쩌다가 혐오정서로 악명높은 펨코에 올라간 문제의 글을 보게 되었습니다.
https://www.fmkorea.com/best/5459790417

무려 "인구절벽 회의론자 급증, "인구절벽은 이론일 뿐..두려워만 말라""라는 자극적인 제목으로
이종화 교수와 홍춘욱 박사의 주장이 언급됩니다.
"실제로 인구절벽이론은 미국에서 헨리덴트에 의해 만들어지고 이론만 있고 단 한번도 적용된 적 없음."
이라는 말미 문구와 함께 글이 종료됩니다.

그리고 댓글란은 한국 인구구조 망한거 확실하지 않냐, 이종화 교수 말대로 절대 안된다, 윗세대가 문제라는 식의 냉소와 혐오정서로 가득합니다.
댓글란의 위 주장들이 옳으냐 그르냐에 대해선 답하지 않겠습니다.
냉소, 혐오정서와 비속어 표현이 그릇됨은 분명하지만.

참고로 저는 위 글에 나오는 홍춘욱의 논평에는 동의하지 않습니다.
인구와 경제 간의 관계에 대한 이해 없이, 지나하게 낙관적인 건 아닌가 생각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종화 교수의 발표내용을 본문과 댓글란에서 이런 식으로 소비하는 건 명백한 왜곡, 오독, 인신공격입니다.


이걸 단언할 수 있는 게,
저는 어제 윗 링크 첫번째 짤방에 언급된 학술대회 현장에서 저 강의를 직접 보았기 때문입니다.
글 맨 윗부분에 인증사진이 있습니다.

이종화 교수님은 인증사진에서 보다시피 한국에서 극심한 인구감소, 저출산 고령화로 경제성장률이 떨어지는 건 부정하지 않습니다. 다른 게 변하지 않는다는 전제 하에서, 2050-60년대에 한국 경제성장률이 0.9%, 1인당 gdp가 2.3%까지 떨어진다는 게 긍정적인 예측이라 보기는 힘들죠.
심지어 물적자본 투자율이 더 하락하여 평균성장률이 0.7%p나 더 떨어지는 비관적인 시나리오도 산입했습니다. 실제로 이 부분에 집중해서 제목을 작성한 기사도 있습니다. (https://www.asiae.co.kr/article/2023020216192057785 참고)

그러면 기사에 나오는 "인구 감소 두려워만 말라"는 교수님의 장담 내용은 과연 무엇일까요?
실마리는 "인구가 한 나라 경제의 운명을 결정할 것이란 생각은 역사적으로 자본과 기술이 발전하지 않았을 때 이야기"라는 교수님의 발언에 있습니다.

정답은 물적자본, 인적자본 향상 및 기술적 진보를 꾸준히 높게 유지한다는 전제 하에,
경제성장률이 0.6%p 더 올라가서 한국 경제성장률이 1.5%, 1인당 gdp 성장률 2.9%가 되는 낙관적인 시나리오입니다.

분명히 낙관적인 시나리오에는 물적 자본, 인적 자본, 기술적 진보를 꾸준히 하라는 조건이 들어갑니다.
기사엔 안 나왔지만, 이종화 교수 경제예측의 바탕이 된 인구예측은 통계청 2021년 인구추계의 저위(비관적 예측) 기준이라서, 저것보다 더 좋을 가능성도 제법 있습니다. 사견입니다만 이민자 추가유입이 없다는 전제 하에서 실제 인구추이는 저위-중위 사이로 가지 않을까 추측도 해보고요. 이민자 유입이 더해지면 또 다르고요.

그런데 이걸 가지고 댓글창에는 저출산 고령화가 심해져서 상관없다, 아무것도 안 해도 괜찮다는 식으로 내용을 자의적으로 왜곡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댓글창은 석학 발표에 대한 인신공격으로 가득하죠.

사실 이종화 교수가 국내외에서 인정받는 거시경제, 경제발전, 인적자본 석학(저도 작년 티타임에 올린 인구구조 관련 글에 교수님의 논문을 인용한 적 있습니다), 인구구조의 급격한 변화가 한국사회에 미칠 충격을 여러번 경고해온 건 일반인이 알 일이 없을테니 그렇다 칩시다.
하지만 학자들의 주장을 인터넷 냉소, 혐오정서의 연장선에서 함부로 조롱하고 비하하는 건 별개의 문제입니다. 이건 굳이 저 분이 저명한 학자임을 몰라도 지켜야 하는 윤리입니다. 

이런 씁쓸한 해프닝은 현대 한국 인터넷 커뮤니티의 여러 문화적 문제 때문에 가능했다고 봅니다.

딱 두 명의 존재로 인구절벽 회의론자 "급증"을 논하는 자극적인 커뮤 공유글 헤드라인,
모 아니면 도라는 흑백논리,
글을 중간에 자르는 악마의 편집으로 원글의 논지를 왜곡하는 짤방문화,
남의 의견을 함부로 조롱하고 비하하는 인터넷 커뮤니티 특유의 정서

참고로 커뮤에서 연구결과나 통계가 왜곡되는 일은 이번이 처음은 아닙니다.
개인적으로도 통계자료를 자기들 혐오를 정당화하기 위해 왜곡, 날조한 경우를 꽤나 발견했습니다.  
언젠가는 말할 생각입니다.

커뮤니티를 넘어 사회과학 통계나 연구결과를 언론, 정치권, 일반인들이 멋대로 오독, 왜곡, 악용하는 일이야 국내외 막론하고 비일비재한데, 제 주변에도 비슷한 일이 생겨나는군요. 스트레스도 비일비재한 게 참 씁쓸합니다.

* Cascade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23-02-13 18:30)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33
  • 동의합니다 자극적인 부분만 부추겨 자기 입맛대로 쓰려고 하는 사람들이 너무 온라인에 많지요


서포트벡터
저도 학술을 업으로 하는 사람이지만 학계의 언어를 외부 인사가 이해하게 하는건 참 어려운 일인듯 합니다.

학계 외부에서는 "이진수로 표현되는 결론"에만 관심이 있으니까요.
7
사회과학 전공이다보니 민감한 주제, 주장의 보편화/일반화 가능성 등으로 연구결과를 말하기 매우 조심스러울 때가 많은데

넷의 혐오와 냉소정서는 멀쩡한 주장도 왜곡시키는 동네라.
서포트벡터
꼭 넷에서만 그런건 아닙니다. 예를들어 공청회같은거 하면 얘기 듣지도 않고 일단 뭐부터 던지는 분들도 계세요.
1
절름발이이리
전문가의 권위와 건전한 사회적 견제가 균형을 이루어야 하는데, 달성하기 어려운 일이긴 합니다. 저는 귀찮아서 전자에 귀의한 상태.
11
듣보잡
인터넷 커뮤니티에 국한하지 않더라도 통계나 연구 결과가 마음대로 조작 또는 왜곡되어 이용되는 사례가 상당히 많다고 생각합니다. 거기에 연구 자체도 신뢰성이 떨어진다면 말 그대로 개판되는 거고요. 제 주변에도 팩트 통계 가지고 (제가 보기에) 단순화된 주장 반복하는 경우가 좀 있는데 제가 반박할 능력도 없고 그냥 방치하게 됩니다. 악의 없이 그러는게 어떤 면에서는 더 해로운 거 아닌가 싶기도 해요.
1
누군가 펨코에 이 글을 퍼간다면 교정이 될지 모르겠는데...
그러려면 '혐오정서로 악명높은 펨코' 라는 문장이 없는게 좋겠네요 ㅋ
5
서포트벡터
오히려 그렇게 해놔야 발끈해서 퍼갈지도요 ㅎㅎㅎ
1
펨코가 워낙 커서 펨코의 혐오정서에 반감을 가진 베댓은 심심찮게 찾아볼 수 있긴 하죠. ㅎㅎ
어느 정도 그럴싸한 분위기만 조장되면 전혀 다른 의견을 잘 따라갑니다.
단지 어디나 그렇듯 과몰입군이 혐오 정서가 클 뿐...
2
당근매니아
뭐 필드와 사회를 연결시켜줄 역할을 해야 하는 언론에 전문성이 없고, 부족한 전문성을 키울 생각도 없으니까요. 제가 일하는 분야도 마찬가지고, 자연과학 쪽을 봐도 마찬가지구요. 신문기사에서 호들갑 떠는 기사들만 모아놓고 보면 암은 이미 정복되고도 남았을 겁니다.
2
치킨마요
???: 그래서 누가 잘못함?
4
Mandarin
보석상이 200원 손해네요
1
여우아빠
결국 사람들이 자기 보고싶은거만 보고 듣고싶은거만 들어서... 인터넷 커뮤니티 문화 자체가 별로 좋지가 못한 것 같아요.
2
P의노예
자기편 의견을 내놓지 않으면 전문가 대응을 안하고 까기시작된지 오래죠. 다시 회복은 힘들겁니다.
1
새강이
기존의 황색 언론부터 시작해서 자기 편 이야기만 하는 종편방송, 보고 싶은 것만 보여주는 알고리즘(특히 유튜브), 거기에 원하는 방향으로 선동하기 위해 짜깁기한 커뮤니티 글까지 있네요. 정보화 시대에 미디어와 통신의 발달로 우리는 많은 정보를 얻게 되었지만 이를 걸러내기가 어려운 정말 혼란스러운 세상입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1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429 정치/사회민주당을 칭찬한다 13 명동의밤 25/01/15 2496 34
1388 기타잡담)중국집 앞의 오토바이들은 왜 사라졌을까? 27 joel 24/04/20 4075 34
1317 일상/생각사랑하는 내 동네 7 골든햄스 23/08/01 3073 34
1251 일상/생각농촌생활) 7.8.9.10.11월 23 천하대장군 22/11/15 3447 34
1128 게임월간 스타여캠 9월호 (비정기 간행) 25 알료사 21/09/18 6178 34
1100 일상/생각안티테제 전문 29 순수한글닉 21/06/29 5267 34
1072 기타그럼에도 사랑하는 너에게. 9 쉬군 21/03/22 4816 34
1055 게임랑그릿사와 20세기 SRPG적 인생 14 심해냉장고 21/01/23 6184 34
1045 요리/음식(내맘대로 뽑은) 2020년 네캔만원 맥주 결산 Awards 34 캡틴아메리카 20/12/27 7130 34
1042 정치/사회편향이 곧 정치 20 거소 20/12/23 5912 34
1028 일상/생각팬레터 썼다가 자택으로 초대받은 이야기 19 아침커피 20/11/06 6588 34
956 일상/생각나는 내가 바라는 사람이 되어가고 있는가. 9 켈로그김 20/05/06 5490 34
896 여행12월에 강릉에 가는 이유... 6 whenyouinRome... 19/12/09 6451 34
879 기타영국 교육 이야기 16 기아트윈스 19/10/23 6992 34
845 의료/건강세상에서 가장 이기적인 환자 11 Jace.WoM 19/08/15 7060 34
808 일상/생각영업사원의 삶이란? 27 배워보자 19/05/26 8189 34
732 요리/음식위스키 입문, 추천 27 Carl Barker 18/11/11 9581 34
419 정치/사회동성애 이슈와 팬덤정치 이야기 137 기아트윈스 17/04/26 9857 34
345 일상/생각타임라인과 속마음 나누기 36 Toby 17/01/13 7963 34
283 일상/생각태어나서 해본 최고의 선물. 81 SCV 16/10/13 10793 34
197 역사유게에 올라온 유재흥 글에 대해 67 눈시 16/04/29 7760 34
1419 기타페미니스트 vs 변호사 유튜브 토론 - 동덕여대 시위 관련 27 알료사 24/11/20 5181 33
1417 체육/스포츠기계인간 2024년 회고 - 몸부림과 그 결과 5 Omnic 24/11/05 1277 33
1273 정치/사회석학의 학술발표가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왜곡되어 소비되는 방식 14 카르스 23/02/03 4435 33
1272 일상/생각내 인생 가장 고통스러운 명절연휴 6 당근매니아 23/01/31 3469 33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