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22/09/05 15:41:29
Name   몸맘
Link #1   https://blog.naver.com/penfan2022/222863860984
Subject   마름모는 왜 마름모일까?
image


삼각형, 사각형, 평행사변형, 사다리꼴....

이렇게 도형의 이름은 그 특징을 직관적으로 이해하도록 지어집니다.



image


그런데 이 도형의 이름은 왜 마름모일까요?

마름모...? 왜 마름모야...? 연상되는 게 하나도 없습니다.

이번엔 다른 이미지를 보시죠.



B


우리나라 어디에서나 쉽게 볼 수 있는 망 펜스죠. 마름모 모양으로 엮여 있습니다. 이 망의 이름이 능형망입니다.

능형? 능형이 뭐야?

사전을 찾아보면 이렇게 나옵니다.



Screenshot-2022-09-01-at-13-20-46


그렇습니다. 마름모는 예전에는, 참으로 생소하지만 '능형'이라 불렸답니다. 삼각형, 사각형처럼 말이죠.

그러면 삼각, 사각처럼 능이 뜻하는 것이 있을 텐데요. 한자를 보면 능형菱形의 능은 '마름 능'자입니다.

이렇담 추측이 가능해지죠. 마름모는 '마름+모'인 건가?

그래서 결국엔, 마름이 무엇이란 말인가???? 꼬리에 꼬리를 물어 검색을 해 보니,


1


2



얘가 마름이라는 식물이었습니다!

드디어 찾았습니다. ◆가 마름을 닮아 능형이라고 부른 것이고 이후 순우리말 과정을 거쳐 세모, 네모처럼 마름모라고 개명한 것이었습니다!! 같은 한자권인 중국, 일본은 현재도 菱形을 쓴다는군요.

참고로, 영어권에서는 마름모를 다이아몬드diamond라고 하기도 하지만 람버스rhombus라는 명칭을 많이 씁니다. 람버스 피시rhombus fish를 검색하면,





Scophthalmus-rhombus


광어가 나옵니다! 광어(넙치)brill의 학명이 Scophthalmus rhombus입니다. 그러고 보니 마름모를 닮았죠?
능형이라는 이름이 어려워 쉽게 이해하라고 마름모라고 바꿨을 텐데 여전히 알쏭달쏭해 이리저리 찾아본 뒤,
문득 이런 생각이 드네요.


'넙치꼴' 어떻습니까???




https://youtu.be/CLHGcJo7RRY
마름모는 왜 마름모일까?



* Cascade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22-09-20 09:29)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28
  • 재밌어요
  • 평소 구태여 궁금하게 여기지는 않았지만, 답이 예상조차 가지 않았던 질문에 대한 명쾌하고 재미난 설명.
  • 추천하고싶습니다
  • 일리가... 있어!


유튜브와 블로그를 만들었습니다.
가벼운 수학 컨텐츠들인데 홍차넷에 어울리겠다 싶어 운영진의 허락을 득하여 올립니다.
아직 구독자 몇 없는 애기 유튜버지만 언젠가 수학계의 태ㅍ,, 아 아니,, 살랑 미풍이 되고 싶습니다.
2
전 또 말라서 마름모인줄 알았습니다
5
매뉴물있뉴
광어가 먹고싶읍니다... 츄릅
1
태풍이 지나가고 광어 철이 오면 대광어 츄릅 인증짤이 탐라에 올라오겠네요 ㅎㅎ
영상 쉽고 간단하고 귀여워요!!!!!!!!
1
하마소
마름과 넙이 동일개체라니, 역시 표리부동은 표리일체인 것...
2
ㅋㅋ 거경궁리하면 표에 현혹되지 않는 것…
1
미쓰비시가 그래서 삼능(三菱) 이죠 ㅎㅎ
6
그런데
마름 열매인 물밤은 사각사각 식감이 독특합니다.
익혀도 생 배를 먹는 식감이 나지요.
1

호옹이. 어느 글을 보니 궁극의 사각사각이라고 하네요. 중국음식에 쓰이는 것 같은데 나도 먹어봤으려나…?
whenyouinRome...
한국에는 돼지 감자가 궁극의 식감입니다.
익혀도 사각사각... 전 도저히 익혔을때도 사각거리는게 적응이 안되서 못 먹긴 합니다만...
1
상상하자면 생마같은 거려나요?
그런데
네 식감이 마와 비슷하고 특별한 맛이나 향이 느껴지는 편은 아닙니다.
생각외로 믹스 베지터블 같은 곳에 끼어 있는데
아무래도 중국에서 많이 먹어서인 것 같습니다.
1
알았다! 찾아보니 팔보채에 들어있는 그게 마가 아니고 물밤이네요! 마름이 곁에 있었네!!
1
비비고 한섬만두에 들어갑니다. 독특한 식감을 내세웠는데 호불호 갈리는 편임다.
아니 애초에 비비고는 왕교자가 짱이라서 ㅎㅎ
1
킹리적 갓심 들었습니다. 제가 가끔 가는 만둣집이 있는데 아삭한 식감이 좋아서 가거든요. 물밤 들어가는지 물어봐야겠습니다.
저는 마름쇠를 마름모보다 먼저 접해서 이름이 어색하다는 생각이 없었습니다.
1
나뭇잎마을 출신이십니꽈?
경상도 출신입니다.
마름쇠는 을유문화사에서 펴낸 세로쓰기 3권짜리 임진왜란에서 가장 먼저 봤습니다.
몇년도에 나온 판본인지는 기억이 안나네요;;
1
박종화 작품 말씀이시죠? 와우.... 여기에 닌자 갖다댄 나는....
어릴 때 본 거라 맞는지 좀 찾아봤는데 긴가민가 싶습니다;
임진왜란 책은 책 등이 어떻게 생겼는지도 기억이 잘 안나서, 그나마 기억나는 삼국지 책 등이랑 월탄 삼국지 검색해서 나온 사진 비교해봤는데 비슷하긴 하네요.
기억나기로는 1권에서 비빈중 하나가 선조가 먹을 된장찌개 끓이던 장면 묘사한거나, 선조 꿈에 이순신이 나와서 흰옷 입은 억조창생 백성들이 열린 나무 쓰러지는거 막는 장면, 역관 홍순언이 공금 횡령해가며 3천냥 주고 온 부분 세부 묘사가 참 세세했다 정도입니다.
제가 본 책이 박종화 작품 맞는지 혹 읽어 보신 분이 계시면 판정해 주시겠죠.
아이캔플라이
좋은 지식 감사합니다
덕분에 배웠습니다
해부학에도 견갑을 잡아주는 능형근이 있지요. 우리말로는 마름근입니다
1

정말 마름모네요!
Rhomboid Muscle... 몸맘님 해석 적용하면 넙치근 ㅋㅋㅋㅋ
1

ㄷㄷㄷ 진짜 있어버리고.....
2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250 일상/생각7년동안 끊은 술이 생각나는 밤입니다. 32 비사금 22/11/10 4957 44
1249 정치/사회슬픔과 가치 하마소 22/11/02 3501 15
1248 꿀팁/강좌간혹 들어오는 학점은행제 알바들은 뭐 하는 사람들일까? 5 Profit 22/10/30 5120 14
1247 정치/사회이태원 압사사고를 바라보는 20가지 시선 7 카르스 22/10/30 5694 29
1246 과학이번 카카오 사태에 가려진 찐 흑막.jpg 코멘터리 18 그저그런 22/10/25 5438 24
1245 일상/생각"교수님, 제가 생과 사의 경계에 있는 것 같습니다." 24 골든햄스 22/10/20 4996 53
1243 과학"수업이 너무 어려워서 해고당한" 뉴욕대 화학 교수에 관하여 64 Velma Kelly 22/10/06 6622 27
1242 IT/컴퓨터망사용료 이슈에 대한 드라이한 이야기 20 Leeka 22/09/30 4466 9
1241 기타대군사 사마의 감상. 나관중에 대한 도전. 10 joel 22/09/30 4230 24
1240 체육/스포츠북한산 의상능선 간략소개 9 주식못하는옴닉 22/09/25 4483 16
1239 정치/사회한국 수도권-지방격차의 의외의 면모들 45 카르스 22/09/20 6371 22
1238 기타난임일기 26 하마소 22/09/19 4305 58
1237 일상/생각만년필 덕후가 인정하는 찰스 3세의 착한 빡침 95 SCV 22/09/13 32952 49
1236 기타2022 걸그룹 4/6 31 헬리제의우울 22/09/06 4774 30
1235 과학마름모는 왜 마름모일까? 30 몸맘 22/09/05 6154 28
1234 일상/생각우리는 조금씩 성장한다. 4 whenyouinRome... 22/09/05 4151 35
1233 정치/사회한국 인구구조의 아이러니 21 카르스 22/09/01 6492 57
1232 역사홍콩의 기묘한 도로명의 유래 11 아침커피 22/08/27 4982 37
1231 일상/생각자폐 스펙트럼과 일반인의 경계에서 살아온 사람의 이야기 14 카르스 22/08/21 5607 78
1230 IT/컴퓨터가끔 홍차넷을 버벅이게 하는 DoS(서비스 거부 공격) 이야기 36 T.Robin 22/08/08 4448 25
1229 정치/사회장애학 시리즈 (2) - 시각장애인 여성은 타인의 시선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돌려주는가? 5 소요 22/08/07 3831 15
1228 의료/건강아산병원사건 서울대 교수 실명글과 개인적인 견해 20 cummings 22/08/04 5036 23
1227 일상/생각(영양無) 나는 어쩌다 체조를 끝내고 레전드로 남았는가 14 Picard 22/07/27 4749 11
1226 정치/사회<20대 남성 53% "키스는 성관계 동의한 것">이라는 기사는 무엇을 놓치고 있는가? - 보고서 원문 자료를 바탕으로 46 소요 22/07/25 5583 39
1225 일상/생각 6 하마소 22/07/21 3947 20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