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22/02/03 03:15:55
Name   카르스
Link #1   https://imgur.com/a/vRLD4sU
Subject   한국 아동·청소년 정신건강의 역설 - 행복해졌는데 자살, 자해가 증가?
[내용을 입증할 사진들은 LInk #1 들어가시면 찾아볼 수 있습니다]

요즘 한국 아동·청소년의 정신건강 관련 통계가 심상치 않습니다.
정신과 상담을 받은 아동·청소년 절대수가 2016년에 22.1만명에서 2020년에 27.2만명으로 급증했고,
특히 10-19세는 15.1만명에서 19.7만명으로 30% 가까이 늘었습니다. 

아동·청소년 인구가 꾸준히 주는 현실을 생각하면 인구대비 증가율은 더 높겠지요.

단순히 요즘 세대가 정신과 상담에 대한 터부가 덜해서라고  볼 수 없는 게,
아동·청소년의 자살율, 자해율도 증가 추세입니다.
20세 미만 자살률은 2015년에 10만명당 2.3명에서 2019년에 3.2명까지 급격히 늘었고,
20세 미만 자해·자살 시도 건수는 2015년 2318명에서 2020년 4620명까지 거의 두 배가 되었습니다. 
인구대비로는 더 늘었죠. (박진우, 허민숙 2021)

흔한 오해와는 달리 한국의 청소년 자살율은 높은 편은 아닌데, 이러다가 진짜 높은 편이 되게 생겼습니다.
코로나로 인한 우울증 효과라고 보기엔 그 전부터 증가추세가 나타났습니다.

이런 이야기를 들으면
대부분의 한국인들은 한국 청소년에 대한 고정관념(stereotype)대로 이야기할 것입니다.
한국 청소년들은 입시에 치어 살고, 삶에 여유가 없고, 불행하고 각박하니 정신건강이 나쁠 수밖에 없다는 식으로.  틀린 이야기는 아닙니다. 한국 아동·청소년의 행복도나 삶의 만족도는 적어도 선진국에선 꽤 낮게 나오는 편이니.


하지만 위 관점은 근래 한국 아동청소년의 정신건강 위기를 설명하지 못합니다.

놀랍게도, 한국 아동·청소년의 행복도나 삶의 만족도는 꾸준히 상향되었고,
우울함이나 외로움같은 나쁜 정신건강 지표들도 개선되어 왔거든요. (Marquez and Long 2021; Twenge et al. 2021; 김지원 외, 2021; 배한나·최재성 2018; 염유식·김경미 2018; 유민상 2020; 통계청 2020)

행복도나 삶의 만족도같은 주관적 지표는 설문문항, 조사 기관 등 방법론에 따라 연구마다 결과가 갈릴 수 있는데, 한두개도 아니고 수많은 연구결과가 "한국 아동·청소년은 삶의 만족도가 높아지고 행복해지고 있다"는 일관된 결론을 내니 거의 99%는 확실하다고 봐야 합니다.
심지어 객관적인 자살률, 자살/자해 시도율의 증가와는 달리
(학생들이 주관적으로 응답한) 자살 생각율, 자살 시도율은 꾸준한 감소추세였습니다. (박진우·허민숙 2021)

심지어 이런 긍정적인 추세는 세계적 트렌드와 반대 방향입니다.
주요 국가들 중 청소년의 삶 만족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아졌고, 학교에서 외로움을 느끼는 비율이 유일하게 낮아진 나라가 한국입니다! 다른 국가들은 모두 삶의 만족도와 외로움 상황이 나빠지면 나빠졌지 좋아지진 않았습니다. (Marquez and Long 2021; Twenge et al. 2021)
물론 그간 한국 청소년 행복도가 바닥이었으니 올라가는 게 당연하게 보일 수도 있습니다만, 한국보다 삶의 만족도가 높았다가 한국에 역전당한 일본, 영국같은 나라들을 보면 그것도 아닙니다.  


그렇다면 한국 아동·청소년의 증가하는 자살/자해 문제의 원인엔 무엇이 있을까요?

우선 한국 아동 청소년에 대한 통념을 내려놔야 실마리가 보일 것 같습니다.
그렇지 않으면 근래 한국 아동청소년의 행복도, 삶의 만족도 개선(심지어 세계적으로 이례적인!)을 설명할 수가 없거든요.

ex1) 입시교육에 지쳐서 그렇다 => 그래서 행복도/삶의 만족도가 개선되었나?
ex2) 미래에 대한 희망을 못 느껴서 그렇다 => 그래서 행복도/삶의 만족도가 개선되었나?
ex3) 온라인 세상에 몰두하여 정신건강이 나빠졌다 => 그래서 행복도/삶의 만족도가 개선되었나?
ex4) 젠더갈등에 과몰입하여 정신건강이 나빠졌다 => 그래서 행복도/삶의 만족도가 개선되었나?

최소한 한국 아동·청소년의 행복/삶의 만족도가 개선됐다는 사실과 공존할 수 있어야 합니다.

저는 현 20대 후반으로서 지금의 아동청소년과 마주칠 일이 없다보니 감이 아예 잡히질 않는데,
어린 자녀의 부모이거나 교육 관련 분야에 종사하는 분 중 혹시 짐작가는 거 없나요?



참고문헌

Marquez, J., & Long, E. (2021). A Global Decline in Adolescents’ Subjective Well-Being: a Comparative Study Exploring Patterns of Change in the         Life Satisfaction of 15-Year-Old Students in 46 Countries. Child Indicators Research, 14(3), 1251-1292. https://doi.org/10.1007/s12187-020-09788-8
Twenge, J. M., Haidt, J., Blake, A. B., McAllister, C., Lemon, H., & Le Roy, A. (2021). Worldwide increases in adolescent loneliness. Journal of adolesce     nce, 93, 257-269.
김지원, 박차늠, 구교준, & 이희철. (2021). 한국의 행복 불평등 분석 [An Analysis of Happiness Inequality in Korea]. 행정논총, 59(1), 115-141.                 http://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g=kissmeta&m=exp&enc=81338E78E57C3B6B1A65ACCA45EDB6D2
박진우, 허민숙. (2021). 아동 청소년의 정신건강 현황, 지원제도 및 개선방안. 국회입법조사처. NARS 현황 분석, 200.
배한나, 최재성. (2018). Trends in Youth Happiness and Inequality of Happiness in South Korea, 한국인구학 2018 전기 학술대회.
염유식, 김경미. (2018). 한국 어린이·청소년 행복지수: 국제비교연구조사결과보고서.
유민상. (2020). 한국 아동들의 행복 격차. 보건복지포럼, 283, 58. https://go.exlibris.link/D0mvf96Q
통계청. (2020). 2020 청소년 통계.

* Cascade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22-02-15 07:34)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8


    어, 이거 재미있네요. 행복감은 자살성 사고, 자살 행동 모두와 부적 관계를 맺는다는 게 (비이론적인 상관관계에서도, 이론적으로 구조화 된 회귀관계에서도) 일반적이거든요. 과제부터 얼른 하고, 한 번 알아보겠습니다.
    3
    청소년의 행복도와 자살/자해가 강한 상관관계를 가질 경우 통계적으로 생각하면 평균값은 올라갔으나 편차는 늘어났다 혹은 만족도 그래프 모양 자체가 좀 바뀌는 추세다 그렇게 생각해 볼 수 있겠지요. 그렇지만 개인적으로는 청소년 전반의 심리적 만족도와 극단적 행위로서 자살&자해는 층위가 다르다는 생각입니다. 일상적 상태에서는 만족하는 학생이라도 어떤 방해 요소의 등장으로 인해 극단적 상황에 내몰릴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거니까요.
    아무튼 간에 현 시점의 한국 청소년층이 가장 행복도/만족도가 높은건 부정할 수가 없겠습니다. 저는 노동 ... 더 보기
    청소년의 행복도와 자살/자해가 강한 상관관계를 가질 경우 통계적으로 생각하면 평균값은 올라갔으나 편차는 늘어났다 혹은 만족도 그래프 모양 자체가 좀 바뀌는 추세다 그렇게 생각해 볼 수 있겠지요. 그렇지만 개인적으로는 청소년 전반의 심리적 만족도와 극단적 행위로서 자살&자해는 층위가 다르다는 생각입니다. 일상적 상태에서는 만족하는 학생이라도 어떤 방해 요소의 등장으로 인해 극단적 상황에 내몰릴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거니까요.
    아무튼 간에 현 시점의 한국 청소년층이 가장 행복도/만족도가 높은건 부정할 수가 없겠습니다. 저는 노동 시간 감소가 스마트폰 보급과 더불어 한국 청소년층의 삶의 질 증가에 큰 영향을 끼쳤다는 생각입니다. 염유식·김경미 (2018) 자료를 보면 2010년 경에는 60점 중반이던 점수가 2018년 95점을 찍었습니다. 어느 부분에서 그렇게 향상되었냐를 살펴보면 가족관계랑 학교생활, 주관적 삶 만족 부분인데 - 제 기억 상 노동 시간이 지난 10년 간 연간 한 300시간 가량 감소된걸로 압니다. 그리고 딱 스마트폰이 보급되고 각종 학생 대상 규제와 물리적 규제가 사라진 것 (동시에 교권 추락 기사가 난 것도) 2010년대 초로 기억합니다. 가족들이랑 소통 창구가 열리고 학생들의 목소리가 건물 밖으로 나올 수 있게 된 시점부터 청소년의 삶의 질은 아주 개선되었습니다. 결국, 주관적 건강, 주관적 삶 만족 부분은 많이 올라갔음에도 OECD 꼴지 수준이라 결국 평균 이하인건데 저는 뭐, 말을 아끼겠습니다... 저 두 개 말고 나머지 지표는 선진국들 중에서도 높은 수준이고 그나마 소속감 많이 느끼면서 외로움도 좀 느낀다는 게 눈에 띕니다. 사실 그냥 뭐랄까 그냥 청소년 때부터 제정신으로 살아서 여러 부분에서 만족함에도 평균치는 낮게 나온다 정도로 말할 수 있지 않나 싶습니다.
    2010년대 들어서 미성년자 자살률 증가는 그리고 전세계적인 추세입니다. 이유는 까먹었어요. 저는 스마트폰과 유해 컨텐츠 보급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한국의 경우 스마트폰의 등장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거죠. 일반적 가정에서는 연대와 강화하지만 소외 계층에는 더 소외를 느끼게 된다고 할까요. 그렇게 자극적인 컨텐츠에 놓이게 되면 더 힉힉호무리가 되고 으아아 추락한다.

    그리고 외국 애들은 으어 오늘 죽자 하고 내일 멀쩡이 등교하는 애들이 많은데
    한국 애들은 아 커서 뭐하지 하다가 오늘 뛰어내러 죽는 애들이 많아요.
    5
    바라스비다히
    양극화의 낙수효과 비슷한 이유 아닐까요
    이를테면 요새도 결혼 할만한 사람들은 하고 애기들 낳을만한 사람들은 낳습니다. 부모의 삶의 질이 만족스러우니 자녀도 만족스러운 경우가 많겠죠. 그렇지 못한 경우에도 마찬가지일거구요. 그런 비율 자체가 한쪽으로 이동하는 경향성을 보이는것이 아닌가...
    그리고 예전보다 많은 정보들에 대한 접근성이 너무 좋아졌습니다. 생각보다 어린 나이에서도 가정환경이 어떤지 집안분위기가 어떤지 대략적으로 체감되지만, 객관화된 수치가 지금처럼 딱 딱 나타나진 않았거든요. 우리 부모가 어느 회사를 다니고 그럼 대략적으로 급여가 얼마고 우리 집값이 얼마고 전세가 얼마고 하는 그런 접근성이 너무 높아지니 객관화가 빠르고 그런쪽에서의 양극화가 나타나는것이 아닌가...
    1
    자살시도그룹의 특징이 있을 것 같네요.
    가정형편 성적 교우관계등에서.
    1
    켈로그김
    불행상태라는게 삶의 동력의 일종인가 싶기도 하고
    얻고자 했던 행복이 공허감으로 돌아오는건가 싶기도 하네요.
    2
    주식하는 제로스
    다 불행하면 오히려 견딜만한데
    나는 불행한데 옆은 행복해보이면 더 버티기 힘든?
    혹은 행복했었다가 불운이 닥쳤을때 낙차가 더 커서 버티기 힘든?

    행복해보이는 옆은 SNS등으로 너무 잘보이고
    사실 옆이 아닌건데도 옆처럼 보이고
    죽는게 죄라거나 도망치는 짓이라거나 부모가족에게 나쁜 짓이라거나 사람생명이 중요하다거나 이런 의식도 약해지고
    2
    남가주로켓연료
    평균적인 행복의 증가 추세에서 벗어난 집단이 있을 것 같네요. 뇌피셜이지만 중상위 계층 이상의 행복도는 크게 증가했지만 그 이하 계층에서는 감소하지 않았을까… 그리고 하위 계층은 점점 더 이런 조사에 잡히지 않게 될 거고요.
    8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195 정치/사회검경수사권 조정- 국가수사총량은 얼마나 증발하였나 36 집에 가는 제로스 22/05/02 5417 44
    1192 정치/사회영국의 이슬람 트로이 목마 사건, 그리고 이에 대한 재조명 1 열한시육분 22/04/30 4158 14
    1188 정치/사회현대 청년들에게 연애와 섹스가 어렵고 혼란스러운 결정적인 이유 63 카르스 22/04/19 7390 21
    1177 정치/사회홍차넷의 정치적 분열은 어떻게 변해 왔는가? - 뉴스게시판 정치글 '좋아요'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72 소요 22/03/13 7013 70
    1172 정치/사회비전문가의 러시아 - 우크라이나 전쟁 향후 추이 예상 20 호타루 22/02/28 5293 28
    1170 정치/사회러시아와 우크라이나, 3개월의 기록들 4 조기 22/02/25 4056 14
    1165 정치/사회한국 아동·청소년 정신건강의 역설 - 행복해졌는데 자살, 자해가 증가? 7 카르스 22/02/03 4445 8
    1155 정치/사회20대 대통령 선거 정책 공약 살펴보기 (각 후보자 1호 공약 + 선거관리위원회 공약 이슈트리) 24 소요 21/12/24 5151 12
    1149 정치/사회노인 자살률은 누가 감소시켰나 10 구밀복검 21/12/06 5406 32
    1143 정치/사회개인적인 투자 원칙 방법론 공유 16 Profit 21/11/09 6236 15
    1139 정치/사회검단신도시 장릉아파트에 대한 법개정을 추적해 봤습니다. 15 Picard 21/10/28 5459 8
    1138 정치/사회다시 보는 사법농단 8 과학상자 21/10/19 4743 19
    1134 정치/사회IT 중소기업을 선택할 그리고 선택한 이들을 위한 -틀-의 조언 14 아재 21/10/07 6728 23
    1133 정치/사회청소년, 정체성의 발전, 인종관계 15 소요 21/10/03 4821 30
    1132 정치/사회산재 발생시 처벌에 대한 개인적인 경험 3 Picard 21/09/30 4346 25
    1116 정치/사회동북아에서 급증하는 무자녀 현상 (부제: 초저출산이 비혼'만'의 문제인가?) 23 샨르우르파 21/08/13 6334 24
    1112 정치/사회상호교차성 전쟁 23 소요 21/08/03 5086 11
    1097 정치/사회외신기사 소개 - 포퓰리즘 정치인이 일본에서 등장하기 힘든 이유 6 플레드 21/06/13 4893 12
    1096 정치/사회누군가의 입을 막는다는 것 19 거소 21/06/09 5939 55
    1093 정치/사회의도하지 않은 결과 21 mchvp 21/05/30 4899 19
    1091 정치/사회섹슈얼리티 시리즈 (완) - 성교육의 이상과 실제 18 소요 21/05/18 5224 27
    1080 정치/사회택배업계의 딜레마 19 매뉴물있뉴 21/04/16 5805 11
    1071 정치/사회우간다의 동성애에 대한 인식과 난민사유, 그리고 알려는 노력. 19 주식하는 제로스 21/03/17 5601 32
    1069 정치/사회미래 우리나라의 정치지형에 대한 4개의 가설 27 이그나티우스 21/03/14 5441 17
    1065 정치/사회수준이하 언론에 지친 분들을 위해 추천하는 대안언론들 20 샨르우르파 21/03/03 8477 24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