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21/11/16 19:44:31
Name   Regenbogen
Subject   어느 유서깊은 양반가문 이야기.

제 조부님은 술한잔 들어가시면 늘상 입에 달고 사셨습니다.

[우리 집안은 유서깊은 양반가문이다]

하지만… 아니에요. 우리가 양반가문 아닌건 저도 잘 알고 있었습니다. 돈주고 족보 산거 알고 있었거등요.

구한말 고종시절 고조 할아버지가 증조할아버지를 데리고 모 문중 선산 관리하는 묘지기 외노비로 지금의 시골에 자리를 잡았습니다. 세경 대신 땅 몇마지기와 산 두 답 땅문서를 받은 대신 선산을 관리하고 매년 시제 음식을 장만하는 조건이었지요.

조선시대에는 고조할아버님이, 일제시대에는 증조할아버님이 그 때 받은 전답을 길러 자식들을 낳고 키웠습니다. 근데 증조할아버지 이후로 아무도 그 묘지기를 물려 받으려 하지 않았습니다. 증조부께선 5남 6녀가 있으셨으나 할아버지 형제분 다섯분들 중 누구도 외노비가 되길 원치 않았습니다. 일제시대 신분제가 없어졌기도 하고 세상이 바뀐 탓이었겠지요. 자식들은 난 더이상 노비가 아니니 묘지기를 하지 않겠다 거부하셨고 평생을 노비로 살아오신 증조부께선 당연히 아들 중 누군가 받는게 도리라고 생각하셨던 듯 합니다.

결국 당시 막내였던 겨우 열 아홉이었던 제 할아버지가 그 문중에게서 받은 땅을 조건으로 묘지기를 이어 나가셨습니다. 할아버지가 돌아가시던 그날까지요. 해방 후 현행법상으로나 도의적으로나 100년 전 증여받은 그 땅들의 소유권은 이미 할아버지것이었기에 그집 묘지기 노릇을 거부해도 아무런 법적 도의적 책임은 없었으나 할아버지는 선대로부터 받은 묘지기 역할을 가시는 날까지 묵묵히 이어가셨습니다.

결국 100년 넘게 지긋지긋하게 따라오던 외노비의 멍에는 아버지 대에서 멈추게 되었습니다. 물론 그 문중도 그때부터 더이상 우리집에 묘지기 노릇을 하라 요구하지도 않고 알아서 하더군요. 할아버지는 더이상 하지 않아도 되는 그 묘지기를 해방 이후로도 십수년간 계속 하셨을까요? 저도 그 이유는 지금도 모릅니다.

하지만 어느 해 그 문중 사람들이 시제를 지내러 온날 본 할아버지 모습에서 막연히 추측할 수 있었습니다. 알콜중독에 그 불같던 할아버지가 그 문중 사람들 앞에서 어딘가 주늑이 들어 굽신거리던 모습에서요. 늘상 입에 달고 사시던 [유서 깊은 양반가문]과는 전혀 어울리지 않게 작아진 모습. 그러다가 아버지가 일을 도와주러 오시자 급 당당해지시며 너는 이런거 하는거 아니다 정색하시고 쫒아 내시던 모습에서요.

할아버지는 그 깡시골 지지리도 못사는 동네 중에서도 못살던 집에서 아버지를 대학까지 보내셨습니다. 말이 쉬워 대학이지 60년대 도시에서도 열에 하나나 겨우 대학에 가던 시절이었고 가난한 시골에선 중학교만 나와도 면사무소 주사를 하던 시절이었습니다. 동리는 물론 면에서 한명 겨우 대학에 갈까말까.

그러나 안타깝게도 형제 많은 깡시골 가난한 집에서 장남을 대학에 보내기 위한 방법은 하나였습니다. 고모님들이 열다섯 열여섯부터 방직공장, 고무공장에 들어가 돈을 벌었습니다. 그 돈은 고스란히 아버지 중학교 고등학교 학비에 들어 갔습니다. 고모님들의 피땀 때문인지 할아버지 치성 때문인지 아버지는 천재 소리 들으며 공부를 썩 잘하셨습니다. 그래서 제가 기대만큼 공부를 못하는 걸 아버지는 이해를 못하셨나 봅니다. 지지리도 못난 멍청한 아들이었죠. 할아버지 바람대로 아버지는 우수한 성적으로 당시 가난한 집 아들들의 입신양명 엘리트 코스였던 육사에 지원하셨으나…  까막눈이시던 큰할아버님이 난리통에 쌀 한됫박 받고 지장 찍어준 남로당 입당원서 때문에 성분조회에서 떨어지셨습니다. 그 일로 큰 할아버님과 연을 끊기도 하셨다 들었습니다. 후 교장선생님 신원 보증으로 교대에 겨우 들어가시게 되었습니다.

아버지가 합격한 날 할아버지는 돼지를 잡아 동네 잔치를 하셨답니다. 동리에서 몇년만에 대학에 간거였으니요. 후로도 할아버지의 자긍심은 이루 말할 수 없었습니다. 내가 우리 큰 아들 대학 보내 나랏녹을 받는 교사를 만들었다. 너희들과는 다르다. 크나 큰 자랑거리셨죠. 그토록 바라시던 공직에 나간 [양반가문]이 되었을테니까요.

할아버지께서는 세상이 두번 바뀌었어도 100년을 넘게 져온 노비의 멍에를 아들대에서 겨우 벗어났다고 생각하셨나 봅니다. 그래서 기회 있을 때마다 [우리는 유서깊은 양반가문]이라 그토록 자랑하고 싶으셨는지도 모르겠습니다. 당신의 평생 소원을 겨우 이루셨을테니요.





뱀발. 우리 시골 개발 안되나… 나도 그 땅 팔아서 돈벼락 맞아보게요. 이히히히~~


* Cascade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21-11-30 07:56)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35
  • 훈훈하다고 해야하나.. 좋은 글 잘 봤습니다.


키티호크
그래도 고조부님대까지의 내력을 아는 집은 흔치 않아요. 훌륭하신 댁입니다!
+ 부친께서 육사 안가신 건 천만다행이라 생각하시진 않나요?
Regenbogen
사실 알게된거도 웃겨요.

명절인가 제사였던가… 어느날 큰할머니가 큰할아버지랑 술한잔 걸치시고 싸우시면서 다 불어버린거. 크크크크.

근데 전 그때 알았지만 다른 어른들은 알게 모르게 쉬쉬했던거죠.

육사는 모르겠습니다. 그 후로 어떤 역사가 되었을지… 장담은 못하겠습니다만 518과 엮여 비극이 되었을수도…
jnote0504
그 시절에 육사 가셨으면 별 달고 나오셨을 가능성도 높아 보이는데 ... ㅎㅎ
매뉴물있뉴
저희 집은... 저희 아버지 + 고모부가 집안 공식 역덕 콤비신데
어느날 두분이 의기투합해서.... 한 10년쯤 전인가?
저희 집안 족보(와 옥편)을 꽤 오랜시간 뒤적거리며
'통계적으로 양반집안이 아닐 확률이 90% 이상인' 우리 집안의 족보는
과연 진짜 일까 아닐까라는 주제의 결론을 내보려고
꽤 오랜시간 뒤적뒤적 해보았으나
결론은 '이것만 갖고는 알수읍겠다'........ 였었읍니다..;ㅎㅎ
하우두유두
개발되서 부자되세요. 그리고 메로나 하나만
Regenbogen
아유 개발만 되바여~~
벽제갈비 쏠게여!!!!
2
저희 외가도 '가까운 친척이 없는' 반가입니다. 그래서 손이 무척 귀하나보다 했는데... 알고보니 노론명문에 자손이 많더군요.
아마 좋게 쳐줘서 방계, 어쩌면...^^;;
Dignitas
저도 어릴 때 명절이면 할아버지께서 대감들 쓰는 갓? 을 쓰고 제사지내던 모습을 봤습니다. 국민학교 시절 족보나 가문에 대해 배울 때 물어봤더니 양반 가문이라 들었죠. 제 상상으로는 누더기 같은 고서가 족보일 줄 알았는데 할아버지 댁에서 본 건 인쇄된 국어대사전 같은 책이었어요. 이것이 정녕 돈주고 산 족보란 말인가! 했습니다.ㅋㅋ

나중에 할아버지 돌아가시고 알게 됐는데, 일제시대 일본인 땅에서 농사 짓던 소작농이었다고 들었습니다. 그런데 일본인이 돌아가면서 땅을 싸게 넘겼고, 그걸로 기반을 다진거였어요. 뭐 덕분에 아버지 형제들 먹고살만큼은 키웠으니 다행이라고 해야할지.. 여느 집안과 마찬가지로 얼마 되지도 않는 재산 큰집에서 다 가져가고 이젠 서로 연락도 안 하게 됐지만요.ㅎㅎ
캡틴실버
식민지 시대와 전쟁을 거치며 기존 질서가 탈탈 털린 상황에서도 여전히 그 족보라는 것이 의미를 가지고 생명력을 이어가고 있는데, 지금까지 왕정을 고수하고 있는 영국이나 일본같은 나라들은 오죽할까하는 생각이 듭니다. 아무도 그리워하지 않는 무너진 옛 왕조의 흔적조차도 붙잡으려는 사람들이 있는데, 현존하는 왕조를 가지고 있는 사회의 관습과 질서의 무게는 신생 공화국 국민들의 생각보다 더 무거울지도 모르겠네요. 영국의 신분제라던가 일본의 세습정치인이 자연스럽게 느껴질 정도로 말이죠.
켈로그김
어르신 개발되면 오믈렛 테이크아웃 다섯평짜리 점포 하나만 굽신굽신..
Regenbogen
콜!!! 그까이꺼~ 공지가 평당 1천원짜리 10만원만 해도 난 벼락부우자아~~!!!
2막4장
오호라 재미있게 읽고 갑니다
우리집 족보가 어딨더라(뒤적뒤적)
꿀래디에이터
저는 핏줄은 양반이 맞는 것 같은데
돈도 땅도 없는데 양반이랍시고 되도안하는 소리만 하던 것으로 파악되어...
아케르나르
저희집은 좀 높은 확률로 족보가 조작되지 않은 쪽에 속한 거 같아요. 세조때 단종복위를 꾀하던 순흥부사와 금성대군 때문에 집성촌이던 순흥도호부가 관군에 의해 엉망이 되고 거주민들이 대량 살해되는 일이 있었다더라고요. 선조분들은 순흥에서 도망나와 전국으로 흩어졌다고 하고요. 그래서 고려때는 나름 위인도 배출하던 가문인데 조선시대 내내 이름난 선조가 없었고, 대한제국-일제강점기시절에 와서야 유명한 독립운동가분들이 나왔죠.
블레쏨
그 정도면 뼈대있는 집안 같은데요. ㅎㅎ
아케르나르
뭔가 자랑같이 됐는데, 가문까진 아니고 독립운동가분들도 직계도 아니고 성만 같은 분들이에요. 아무튼 그런 성씨의 족보를 살 사람이 없었을 거 같아서 진짜같다는 거죠.
개발되면 파파존스 한판만 굽실굽실
노질랜드
저희 집안은 종중 임원들이 아파트 개발되는 땅을 시에 헐값(제가 알기로 20억 내외)에 넘기고 위로금 3천만원 받은거때문에 뒤집어졌음 ㅋㅋㅋ
호구도 이런 호구가 없다고 다들 열 받아서 회장 짤리게 생김. 참고로 그 올라가는 아파트가 시의 새로운 대장 아파트가 됐고 현재 분양권 시세 4~6억 세대수는 1300세대정도임. 사람들이 저거 돈 안받고 분양을 받던 더 올려서 받던지 해야지 호구짓 했다고 분개중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438 기타애착을 부탁해 - 커플을 위한 보론 (1) 소요 25/02/07 609 11
1437 기타LLM에 대한 두서없는 잡썰 (3) 21 + 덜커덩 25/02/05 969 21
1436 일상/생각여행을 나서면 집에 가고 싶다. 4 풀잎 25/01/30 838 10
1435 꿀팁/강좌스피커를 만들어보자 - 3. 인클로저 설계 Beemo 25/01/29 876 4
1434 체육/스포츠해리 케인의 무관에 대하여. 12 joel 25/01/27 1019 12
1433 체육/스포츠볼링 이야기 20 거소 25/01/19 742 5
1432 일상/생각저에게는 원칙이 있습니다. 13 whenyouinRome... 25/01/19 1613 49
1431 일상/생각집사 7년차에 써보는 고양이 키우기 전 고려할 점 12 Velma Kelly 25/01/18 1016 20
1430 일상/생각입시에 대해 과외하면서 느꼈던 것들, 최근 입시에 대한 생각 12 Daniel Plainview 25/01/17 1582 16
1429 정치/사회민주당을 칭찬한다 13 명동의밤 25/01/15 2115 34
1428 꿀팁/강좌전자렌지로 탕후루 만들기 레시피 수퍼스플랫 25/01/11 777 7
1427 정치/사회탄핵심판의 범위 및 본건 탄핵심판의 쟁점 6 김비버 25/01/06 971 14
1426 IT/컴퓨터인공지능 시대,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말빨" 5 T.Robin 25/01/05 1084 8
1425 음악2024 걸그룹 6/6 6 헬리제의우울 25/01/01 967 26
1424 정치/사회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제2차 변론준비기일 방청기 8 시테 25/01/03 1313 26
1423 정치/사회그래서 통상임금 판결이 대체 뭔데? 16 당근매니아 24/12/23 1375 13
1422 정치/사회그럼에도 불구하고, 내가 차가운 거리로 나서는 이유 10 삼유인생 24/12/08 1638 84
1421 일상/생각임을 위한 행진곡을 만난 다시 만난 세계, 그리고 아직 존재하지 않는 노래 4 소요 24/12/08 1227 22
1420 정치/사회 나는 더이상 차가운 거리에 나가고 싶지 않다. 9 당근매니아 24/12/08 1723 43
1419 기타페미니스트 vs 변호사 유튜브 토론 - 동덕여대 시위 관련 27 알료사 24/11/20 4918 33
1418 문학한강의 "작별하지 않는다" - 오직 문학만이 줄 수 있는 위로 8 다람쥐 24/11/07 1458 32
1417 체육/스포츠기계인간 2024년 회고 - 몸부림과 그 결과 5 Omnic 24/11/05 1046 33
1416 철학/종교비 내리는 진창을 믿음으로 인내하며 걷는 자. 8 심해냉장고 24/10/30 1309 21
1415 정치/사회명태균 요약.txt (깁니다) 23 매뉴물있뉴 24/10/28 2370 18
1414 일상/생각트라우마여, 안녕 7 골든햄스 24/10/21 1286 37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