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21/03/03 20:59:47
Name   샨르우르파
Subject   수준이하 언론에 지친 분들을 위해 추천하는 대안언론들
흔한 통념과는 달리, 국내 언론이 마냥 수준 떨어지지만은 않습니다.
더 썬이나 뉴욕포스트, 빌트같은 타블로이드 언론 보면 한국 기레기보다 더하면 더했지 결코 덜하지 않는 경우도 많죠.
다만 한국 언론 중 뉴욕 타임즈, 월 스트리트 저널, 파이낸셜 타임즈, 가디언, 피가로, 자이퉁같은 세계 정상급의 언론도 없는 게 현실입니다.   
저급 언론은 타국과 비슷하거나 오히려 우리가 나을지 몰라도, 고급 언론만 비교하면 우리가 확실히 밀립니다. 

그러다보니 괜찮은 정보에 갈증을 느끼는 분들이 많아 보입니다. 외신 읽는 사람들도 많고요. 
그래서 제가 자주 혹은 최소한 종종 들리는 국내 대안언론들을 소개해봅니다. 
전부 한글이기에 글을 보러 번역기를 쓰거나 영어를 배울 필요는 없습니다. 


1. 리멤버나우 (https://now.rememberapp.co.kr/)

경제/경영/금융 분야을 전문적으로 다루는 언론입니다. 
주요 경제/경영/금융 뉴스를 이해하기 쉽게 분석해놓은 결과물들이 매일 올라갑니다. 

해당분야는 뉴스를 봐도 뭔 소린지 모르겠다, 무슨 의미가 있는건지 모르겠다, 
이 뉴스를 금융투자에 어떻게 써먹을지 모르겠다 하는 분들에게 추천합니다.


2. 피렌체의 식탁 (https://firenzedt.com/)

국내 전문가들이 칼럼을 올리는 대안언론입니다.
주제는 국내/국제를 막론하고 정치, 경제에서 과학기술까지 완전 자유입니다.

단신 뉴스들만 보고는 파악하기 어려운 전문분야 이슈를, 전문가의 식견을 통해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한국 언론은 국제면이 외신을 그대로 번역하는 등 부실한 경우가 많은더라, 
국제이슈가 올라가는 경우 전문적으로 제대로 파악하기도 좋습니다.


3. 뉴스페퍼민트 (https://newspeppermint.com/)

100% 해외 언론을 번역한 기사들로 구성된 대안언론입니다.
뉴욕타임즈, 이코노미스트, 가디언 등 세계 최상급 언론 글들이 많이 올라갑니다. 

단순 시사 이슈를 넘어, 한 발짝 물러서 세계를 바라보는 통찰력을 보이는 글들이 많습니다. 
아예 시사와 완전 무관한 학술적인 고급기사도 꽤 있으니, 지적 호기심이 강한 분들은 꼭 보세요.  


4. SNU Factcheck (https://factcheck.snu.ac.kr/)

엄밀히 말하자면 대안언론은 아니고, 팩트체크 사이트입니다.
기성 언론들이 국내(드물게 국외) 정치인, 유명인, 인터넷 글들의 발언의 진위 여부를 가린 것을 보기좋게 정리한 사이트입니다. 
사실에서 전혀 사실 아님까지 5단계로 나눠서 분류합니다. 

물론 기성 언론에서 하는 일이라 완벽하지는 않고, 특히 전문성이 필요한 학술적인 이야기는 좀 취약합니다.
팩트체크 사이트는 누가 체크하느냐같은 클리셰는 피할 수 없고요. 
하지만 적어도 인터넷의 출처불명의 소문이나 레토릭을 그대로 믿는 것보단 훨씬 안전한 선택이라고 봅니다.



* Cascade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21-03-14 17:47)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24


    페퍼민트 외에는 못들어본곳이네요. 감사합니다. 프레시안은 어떤가요?
    1
    샨르우르파
    좀 신선한 글이 많긴 했는데 지금은 영... 선호하는 편은 아닙니다.
    프레시안은 믿고 거릅니다.
    3
    로냐프
    다른 곳은 아직 안 봤지만, factcheck는 괜찮아 보이네요.
    1
    리멤버나우는 매일 출근길에 읽고있습니다.
    2
    네개 창 띄워놓고 심심할 때마다 하나씩 봐보겠습니다. 고급 정보엔 추천
    1
    이아무개
    똥쌀때 읽을거리 주셔서 고맙습니다
    2
    한국어로 된 가볍게 읽을만한 곳을 추천하자면,

    순살브리핑(경제), 테크니들(테크), 플래텀(중국 테크), 아웃스탠딩(종합) 추천합니다.
    2
    Factcheck 괜찮넴
    1
    팩트체크는 뉴스TOF도 괜찮습니다.
    2
    듣보잡
    정치든 뭐든 엔터테인먼트화되는 거 극혐하는 입장에서 좋은 소개 감사합니다.
    1
    길고양이
    팩트체크 재미있네요 ㅋㅋ 이재용 구속에 주가 급락해 개미들 곡소리 난다 > 대체로 사실 아님 ㅋㅋ
    1

    팩트체크 첫 팩트부터 강렬하군요.
    3
    수준이하 언론이란 뭘 가리키는 건가요? 조중동? 그 반대쪽? 내가 싫어하는 언론사? 다수가 싫어하는 언론사? 듣보잡 언론사?
    2
    타마노코시
    언론계 전반적인 이야기겠죠.
    조중동이나 한경오나 지금 상황을 보면, 사실적인 이야기도 정파색이 묻어서 각색이 되서 나오는데 그 각색도 창조 수준인 경우도 많으니까요..
    1
    보트피플
    돈 받는 언론도 안 믿는데 돈도 안 받는 언론을 신뢰하긴 더 어렵겠습니다만 팩트체크 사이트는 진짜 들어가자마자 뉴스 면면이 다 머리아프네요
    1
    EuropaV
    팩트체크는 쭉 둘러보니 열심히 활동하는 사람들은 정해져 있는듯 하군요
    1
    흥흥우리흥
    www.oxopolitics.com 여기도 정치뉴스로는 괜찮아요. 정치 테마별로 다양한 의견을 볼 수 있어요
    1
    너부리
    ㅍㅍㅅㅅ는 어떨까요?
    여기에도 다양한 분야에 걸쳐 좋은 글들이 많이 올라오는 것 같았습니다.
    1
    몬테레이
    페퍼민트만 좀 볼만한데, 매일 뉴욕타임즈 사설 1-2개를 번역해서 올리고 있네요. 문제는 뉴욕타임즈 자체가 공평한 시각이 아니라, 우리나라 조중동, 한경오 이상의 편향된 시각을 가지고 있다고 외신 10년이상 보신 분이 홍차넷에 적은 일방적 관점의 언론인데, 이 신문기사만 매일 보면 어떻게 될까요?
    미국 언론의 시각을 왜곡되게 알게 될 거 같습니다.

    SNU팩트체크도 저 기관에서 팩트체크를 하는 게 아니라, 어떤 신문사가 주장하는 팩트체크 기사를 소개한 것인데. JTBC가 [채상병 특검의 헌법정... 더 보기
    페퍼민트만 좀 볼만한데, 매일 뉴욕타임즈 사설 1-2개를 번역해서 올리고 있네요. 문제는 뉴욕타임즈 자체가 공평한 시각이 아니라, 우리나라 조중동, 한경오 이상의 편향된 시각을 가지고 있다고 외신 10년이상 보신 분이 홍차넷에 적은 일방적 관점의 언론인데, 이 신문기사만 매일 보면 어떻게 될까요?
    미국 언론의 시각을 왜곡되게 알게 될 거 같습니다.

    SNU팩트체크도 저 기관에서 팩트체크를 하는 게 아니라, 어떤 신문사가 주장하는 팩트체크 기사를 소개한 것인데. JTBC가 [채상병 특검의 헌법정신 위배]라는 성태윤 수석의 말에 대해, 과거 특검사례, 헌재 판례 중 조문을 인용해서 팩트가 아니라고 주장한 것을 그대로 올리는 게 무슨 의미가 있는지 모르겠네요. 그 신문사 주장을 그대로 따라하고 있는데. 단지 한 것은 기사에 있는 특검사례, 헌재 판례가 사실인지만 확인한 것인데.
    기본적으로 헌법정신을 왜 과거 거대 야당의 주도하에 행해졌던 특검사례, 박근혜 대통령 탄핵시기의 헌재 조문 하나를 가져와서 맞다고 판단하는지. 그럼, 반대되는 특검사례와 헌재 조문이 없을까요? 헌법정신이라면 헌법에 기초한 법리적 해석을 하여 주장을 하는 것이 맞지, 그 하부기관이 정치적 영향을 받아서 정치적 행동을 한 것까지 헌법정신으로 인정될 수 없읍니다.
    주로 JTBC 기사를 많이 인용했는데, 저 기관은 JTBC부설 팩트연구소로 이름을 바꾸는게 낫겠습니다.
    1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81 의료/건강COVID-19 백신 접종 19 세상의빛 21/04/17 5504 22
    1150 일상/생각벨기에 맥주 오프모임에 참석하지 못해서 하는 벨기에 맥주 셀프시음회(어?) 10 세리엔즈 21/12/08 4554 22
    887 의료/건강의사는 어떻게 사고하는가 - 3. 치료 13 세란마구리 19/11/12 6514 18
    787 의료/건강어떻게 의사는 사고하는가 - 2. 진단=사후확률Up & 진단의 두 축 3 세란마구리 19/04/03 6211 10
    783 의료/건강어떻게 의사는 사고하는가 - 번외. ROC와 카파통계량 9 세란마구리 19/03/22 6845 11
    782 의료/건강어떻게 의사는 사고하는가 - 1. 단어 정의 21 세란마구리 19/03/21 8869 15
    431 일상/생각가끔은 말이죠 1 성의준 17/05/14 4873 9
    317 일상/생각이것은 실화다. 10 성의준 16/12/06 6089 11
    254 일상/생각온수가 나오는구만, 수고했네 6 성의준 16/08/23 5717 5
    608 여행청와대 관람을 했습니다. 15 성공의날을기쁘게 18/03/30 7377 14
    234 일상/생각백윤식을 용납하기 위해서 40 선비 16/07/23 7916 19
    1374 기타민자사업의 진행에 관해 6 서포트벡터 24/03/06 2412 3
    1365 기타자율주행차와 트롤리 딜레마 9 서포트벡터 24/02/06 2630 7
    1328 과학체계화된 통빡의 기술 - 메타 휴리스틱 13 서포트벡터 23/09/14 3521 26
    1291 문화/예술천사소녀 네티 덕질 백서 - 2. 샐리의 짝사랑 14 서포트벡터 23/04/05 3559 12
    1289 문화/예술천사소녀 네티 덕질 백서 - 1. 원작 만화처럼 로맨스 즐기기 16 서포트벡터 23/04/03 3817 9
    1307 과학유고시 대처능력은 어떻게 평가가 될까? - 위험 대응성 지표들 18 서포트벡터 23/06/26 3564 31
    1306 문화/예술애니메이션을 상징하는 반복 대사들 22 서포트벡터 23/06/14 5263 8
    1152 일상/생각헌혈하는 것의 의미 9 샨르우르파 21/12/14 4289 24
    1116 정치/사회동북아에서 급증하는 무자녀 현상 (부제: 초저출산이 비혼'만'의 문제인가?) 23 샨르우르파 21/08/13 6414 24
    1070 일상/생각대학원생으로서의 나, 현대의 사제로서의 나 5 샨르우르파 21/03/15 4975 17
    1065 정치/사회수준이하 언론에 지친 분들을 위해 추천하는 대안언론들 20 샨르우르파 21/03/03 8568 24
    1064 문학지난 두달동안 읽은 책들 간단리뷰 5 샨르우르파 21/02/28 5773 22
    58 음악Jolene/Miriam - 상간녀를 대하는 두가지 태도 10 새의선물 15/08/05 10071 0
    712 일상/생각고해성사 19 새벽하늘 18/10/12 5711 46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